KR101593567B1 -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 - Google Patents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567B1
KR101593567B1 KR1020150079648A KR20150079648A KR101593567B1 KR 101593567 B1 KR101593567 B1 KR 101593567B1 KR 1020150079648 A KR1020150079648 A KR 1020150079648A KR 20150079648 A KR20150079648 A KR 20150079648A KR 101593567 B1 KR101593567 B1 KR 101593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upled
peeling
peeling tape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일
조명수
이선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엠일렉트로옵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엠일렉트로옵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엠일렉트로옵틱
Priority to KR1020150079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 B65H2301/5112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peeling layer of material

Landscapes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렌즈, 필름기판, 강화글라스 등에 사용되는 필름을 가공 및 이동시에 표면의 오염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된 보호필름을 상부와 하부에서 압박되는 박리테이프를 통해 동시에 제거하기 위한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PEELING APPARATUS OF PROTECTING FILM BOTH SIDES }
본 발명은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렌즈, 필름기판, 강화글라스 등에 사용되는 필름을 가공 및 이동시에 표면의 오염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된 보호필름을 상부와 하부에서 압박되는 박리테이프를 통해 동시에 제거하기 위한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을 보호하기 위해 양측면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제거하기 위한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로써, 지면에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필름이 이송되는 제 1이송대와, 상기 제 1이송대의 상하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이송대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필름의 상하면에 박리테이프가 접착되도록 권취시키는 박리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필름의 상하면에 접착되어 이송되는 박리테이프를 압박하는 가압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를 통해 보호필름이 제거된 상기 필름을 이송하는 제 2이송대와, 상기 박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속도 및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리부는 상기 박리테이프가 결합되어 인출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인출된 상기 박리테이프가 권취되는 구동풀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박리테이프는 상기 종동풀리에서 인출되어 상기 가압부를 지나 구동풀리에 권취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박리테이프가 상기 가압부를 지나 상기 구동풀리에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유도하는 가이드축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는 상하면에 상기 박리테이프와 상기 필름이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필름 및 상기 박리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에 결합되어 고정 및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풀리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1회전축이 형성된 모터와, 상기 제 1회전축에서 벨트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제 1기어가 형성된 제 2회전축과, 상기 제 1기어와 결합되어 나머지 상기 구동풀리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2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동풀리와 구동풀리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박리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포함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박리테이프를 내부에서 압박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하부면이 테이퍼진 압박판과, 상기 압박판에 대응되도록 테이퍼홈이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압박판을 외부로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에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동풀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회전을 억제시켜 상기 박리테이프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보호필름이 제거된 상기 필름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정전기제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의 상하면에서 동시에 박리테이프를 이용하여 보호필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박리테이프가 필름에 가압되어 용이하게 보호필름을 제거할 수 있는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상면과 하면을 동시에 진행하며 박리테이프의 텐션을 조절하여 제거시 발생하는 주름, 무늬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필름 및 박리테이프를 용이하게 삽입시킨 후 가압하여 보호필름과 박리테이프가 접착되어 보호필름을 용이하게 제거하며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필름은 카메라,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렌즈와 휴대폰 액정, LED, OLED와 같이 화상표시장치, 회로기판 및 강화글라스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필름은 공정 수행 중 다양한 공정을 이동하거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하는 중에 표면이 오염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널 표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필름을 원활히 가공하기 위해서는 가공전에 보호필름을 제거하여야 한다.
하지만 보호필름은 필름에 부착되어 일반적으로 쉽게 제거할 수 없으며, 수작업으로 필름을 제거하게 되면 표면이 오염 및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름의 표면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제거하기 위한 박리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제시된 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42855호 "필름 박리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패널을 하부에서 흡착하여 상부에서는 롤러를 통해 상하좌우이동하며 패널에 접착되는 접착테이프를 통해 표면을 박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패널의 한쪽 표면만을 박리할 수 있으며, 반대쪽 표면을 박리하기 위해서는 보호필름이 제거된 패널이 흡착되어 오염 및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양쪽면을 박리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공정을 거쳐 시간 및 인력이 투입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에 따르면, 필름의 상하면에서 동시에 박리테이프를 이용하여 보호필름을 제거할 수 있으며, 반복공정 없이 진행되어 시간 및 인력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반복공정 시 오염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호필름이 제거된 필름의 상하면에 오염 및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박리테이프의 텐션을 조절하여 박리테이프가 필름에 용이하게 접착되어 보호필름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의 회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에 의해 박리테이프의 탄성 조절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렌즈, 필름기판, 강화글라스 등에 사용되는 필름을 가공 및 이동시에 표면의 오염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된 보호필름을 상부와 하부에서 압박되는 박리테이프를 통해 동시에 제거하기 위한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렌즈 및 필름기판 등에 사용되는 필름이 가공전에 오염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몸체부(10), 제 1이송대(20), 박리부(30), 가압부(40), 제 2이송대(50), 구동부(60) 및 제어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0)는 지면에 설치되어 지지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는 수평을 조절하며,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부재(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는 외부에서부터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이송대(20)는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어 필름(200)이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이송대(20)는 상기 몸체부(10)의 정면에 결합되되, 상기 필름(200)이 유입되도록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이송대(20)는 일측이 축결합되고 타측에서 상하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상하회동부(21)와, 상기 상하회동부(21)에 결합되어 좌,우 이동하며, 상기 필름(200)을 이송하는 좌우이동부(2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부(22)는 상기 필름(200)이 바르게 이송될 수 있도록 양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필름(200)이 바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이송대(20)는 상기 상하회동부(21)에 의해 상기 필름(200)이 삽입되는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좌우이동부(22)를 통해 상기 필름(200)의 삽입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부(30)는 상기 제 1이송대(20)의 상하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며, 상기 제 1이송대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필름(200)의 상하면에 박리테이프(210)가 접착되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박리부(30)는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결합되어 인출되는 종동풀리(31)와 상기 인출된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권취되는 구동풀리(3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박리테이프(210)는 상기 종동풀리(31)에서 인출되어 상기 가압부(40)를 지나 구동풀리(32)에 권취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박리부(30)는 종동풀리(31)에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고정된 후 상기 가압부(40)를 지나 상기 구동풀리(32)에 권취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 1이송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박리부(30)가 형성되어 상기 제 1이송대(2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필름(200)의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접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어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상기 가압부(40)를 지나 상기 구동풀리(32)에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유도하는 가이드축(33)이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축(33)은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상기 필름(200)에 용이하게 접착되며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박리테이프(210)의 이동경로를 유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종동풀리(31)와 구동풀리(32)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8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80)은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내부에서 압박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하부면이 테이퍼진 압박판(81)과, 상기 압박판(81)에 대응되도록 테이퍼홈(82a)이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압박판(81)을 외부로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이송부재(82)와, 상기 이송부재(82)에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부재(82)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손잡이(8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종동풀리(31), 상기 구동풀리(32)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내부에서 압박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종동풀리(31)와 상기 구동풀리(32)가 회전시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40)는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며, 상기 필름(200)의 상하면에 접착되어 이송되는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압박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40)는 상하면에 상기 박리테이프(210)와 상기 필름(200)이 안착되는 안착판(41)과, 상기 안착판(4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10)에 고정축(4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필름(200) 및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가압하는 가압판(42)과, 상기 가압판(42)에 결합되어 고정 및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43)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고정부재를 회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끝단에 돌출되게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압부(40)는 상기 필름(200) 및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판(42)은 슬라이딩 이동, 탈부착, 가이드레일 등의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판(41)에는 상기 필름(200)이 안착되는 면에 상하 이동되며 필름(200) 및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상기 가압판(42)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가압핀(4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판(42)이 회동하여 상기 필름(200) 및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이송대(50)는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40)를 통해 보호필름이 제거된 상기 필름(200)을 이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 2이송대(50)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이송대(50)는 상기 박리테이프(210)에 의해 보호필름이 제거된 상기 필름(200)이 오염 및 손상되지 않도록 양 측면에서 상기 필름(200)이 안착되어 이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박리부(30)에 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구동풀리(32)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1회전축(62)이 형성된 모터(61)와, 상기 제 1회전축(62)에서 벨트(64)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제 1기어(65)가 형성된 제 2회전축(63)과, 상기 제 1기어(65)와 결합되어 나머지 상기 구동풀리(32)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2기어(66)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벨트(64)에는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부(6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텐션조절부(67)는 장홈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에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벨트(64)와 접촉하여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61)에서 전달되는 동력은 제 1회전축(62)에 연결된 상기 구동풀리(32)에 동력을 전달하며, 벨트와 기어를 통해 모터가 연결되지 않은 상기 구동풀리(3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구동풀리(32)는 상하에 위치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권취시켜 상기 필름(200)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기어(65)와 제 2기어(66)를 통해 회전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구동부(60)의 회전속도, 작동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70)에는 회전속도, 작동시간을 각각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과, 회전속도, 작동시간 등의 작동상태 및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에는 회전속도를 조작하는 회전제어버튼과,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시간조절버튼을 통해 설정된 시간 및 속도와, 작동되는 시간 및 속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종동풀리(31)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박리테이프(210)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부(9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텐션부(90)는 상기 구동풀리(32)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되는 상기 종동풀리(31)의 회전을 억제하여 늘어진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팽팽해지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텐션부(90)는 상기 종동풀리(31)의 회전을 억제하여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팽팽하도록 이루어져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파우더브레이크, 파우더 클러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에는 결합되어 보호필름이 제거된 상기 필름(200)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는 정전기제거부(10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정전기제거부(100)는 상기 가압부(40)를 지나면서 상기 박리테이프(210)에 의해 보호필름이 제거된 상기 필름(200)의 표면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정전기제거부(100)는 상기 필름(20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정전기를 제거하는 방법은 상기 필름(200)의 오염 및 손상될 수 있어 간접적으로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는 이오나이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200)의 표면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제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제 1이송대(20)에 상기 필름(200)이 삽입되며, 상기 종동풀리(31)에는 각각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결합된며, 상기 박리테이프(210)는 상기 가이드축(33)과 상기 가압부(40)를 지나 상기 구동풀리(32)에 각각의 끝단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60)의 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32)가 회전하여 상기 종동풀리(31)에 고정된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이동하며 상기 구동풀리(32)에 권취된다.
이때, 상기 필름(200)은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상하면에 각각 접착된 상태로 상기 가압부(40)에 삽입되도록 이동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40)에 의해 상기 박리테이프(210)는 상기 필름(200)의 상하면에 가압하여 보호필름이 상기 필름(200)에서 제거되며, 제거된 보호필름은 상기 박리테이프(210)에 접착되어 상기 구동풀리(32)에 권취된다.
이 후 보호필름이 제거된 상기 필름(200)은 상기 제 2이송대(50)를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정전기제거부(100)를 통해 발생한 정전기를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60)는 모터(61)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동일한 속도로 상기 구동풀리(32)가 회전할 수 있도록 전달하며, 상하에 위치한 상기 구동풀리(32)가 상기 필름(200)에 접착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기어(65) 및 상기 제 2기어(66)를 통해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의 회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40)는 상기 필름(200) 및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판(42)은 상기 고정축(43)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며, 상기 고정부재(44)를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4)를 길이방향으로 당겨 상기 몸체부(10)에서 이탈시킨 후 상기 가압판(42)을 상부로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가압판(42)이 상부로 이동하여 형성된 공간에 상기 필름(200) 및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삽입하여 상기 압박판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200) 및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안착되면 상기 가압부(40)를 회동하여 압박할 수 있도록 회동하며 상기 고정부재(44)를 상기 몸체부(10)에 고정하여 상기 가압판(42)이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박리테이프(210)는 상하면에서 상기 필름(200)을 가압하여 보호필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편리하게 상기 가압부(40)에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에 의해 박리테이프의 탄성 조절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리부(30)에서 장기간 사용 및 이상이 발생하여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늘어지게 되면, 상기 종동풀리(31)에 결합된 텐션부(90)를 작동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종동풀리(31)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박리테이프(210)의 텐션을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풀리(32)는 항시 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종동풀리(31)에서 회전을 억제하여 상기 가압부(40)를 지나는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팽팽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텐션부(90)는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팽팽해서 상기 구동풀리(32)에 일정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면 억제력을 해제되어 상기 구동풀리(32)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텐션부(90)는 상기 제어부(70)를 통해 제어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항시 팽팽하게 유지하여 상기 필름(200)에 알맞게 접착되고 상기 가압부(40)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보호필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늘어져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박리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풀리(31) 및 상기 구동풀리(32)의 내부에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풀리(32)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83)를 조작하여 상기 이송부재(82)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압박판(81)은 테이퍼홈(82a)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박리테이프(210)의 내부를 압박하며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풀리(32)에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고정되어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83)를 조작하여 상기 이송부재(82)가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압박판(81)은 테이퍼홈(82a)을 따라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재(82)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각각의 끝단에서 고정되어 상기 압박판(81)이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기와 홈, 스프링, 나사 등의 다양한 구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몸체부: 10 받침부재: 11
제 1이송대: 20 상하회동부: 21
좌우이동부: 22 박리부: 30
종동풀리: 31 구동풀리: 32
가이드축: 33 가압부: 40
안착판: 41 가압핀: 41a
가압판: 42 고정축: 43
고정부재: 44 제 2이송대: 50
구동부: 60 모터: 61
제 1회전축: 62 제 2회전축: 63
벨트: 64 제 1기어: 65
제 2기어: 66 텐션조절부: 67
제어부: 70 고정수단: 80
압박판: 81 이송부재: 82
테이퍼홈:82a 손잡이: 83
텐션부: 90 정전기제거부: 100
필름: 200 박리테이프: 210

Claims (8)

  1. 필름을 보호하기 위해 양측면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제거하기 위한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로써,
    지면에 설치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어 필름(200)이 이송되는 제 1이송대(20)와,
    상기 제 1이송대(20)의 상하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며, 상기 제 1이송대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필름(200)의 상하면에 박리테이프(210)가 접착되도록 권취시키는 박리부(30)와,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며, 상기 필름의 상하면에 접착되어 이송되는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압박하는 가압부(40)와,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40)를 통해 보호필름이 제거된 상기 필름(200)을 이송하는 제 2이송대(50)와,
    상기 박리부(3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60)와,
    상기 구동부(60)의 회전속도 및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70)로 이루어지되,
    상기 박리부(30)는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결합되어 인출되는 종동풀리(31)와 상기 인출된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권취되는 구동풀리(32)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리테이프(210)는 상기 종동풀리(31)에서 인출되어 상기 가압부(40)를 지나 구동풀리(32)에 권취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종동풀리(31)와 구동풀리(32)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80)이 포함되되,
    상기 고정수단(80)은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내부에서 압박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하부면이 테이퍼진 압박판(81)과,
    상기 압박판(81)에 대응되도록 테이퍼홈(82a)이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압박판(81)을 외부로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이송부재(82)와,
    상기 이송부재(82)에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부재(82)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손잡이(8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어 상기 박리테이프(210)가 상기 가압부(40)를 지나 상기 구동풀리(32)에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유도하는 가이드축(33)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40)는 상하면에 상기 박리테이프(210)와 상기 필름(200)이 안착되는 안착판(41)과,
    상기 안착판(4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10)에 고정축(4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필름(200) 및 상기 박리테이프(210)를 가압하는 가압판(42)과,
    상기 가압판(42)에 결합되어 고정 및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구동풀리(32)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1회전축(62)이 형성된 모터(61)와,
    상기 제 1회전축(62)에서 벨트(64)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제 1기어(65)가 형성된 제 2회전축(63)과,
    상기 제 1기어(65)와 결합되어 나머지 상기 구동풀리(32)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2기어(6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풀리(31)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어 회전을 억제시켜 상기 박리테이프(210)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부(9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보호필름이 제거된 상기 필름(200)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는 정전기제거부(1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
KR1020150079648A 2015-06-05 2015-06-05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 KR101593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648A KR101593567B1 (ko) 2015-06-05 2015-06-05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648A KR101593567B1 (ko) 2015-06-05 2015-06-05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567B1 true KR101593567B1 (ko) 2016-02-15

Family

ID=55357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648A KR101593567B1 (ko) 2015-06-05 2015-06-05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5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181B1 (ko) * 2019-05-27 2020-01-14 주식회사 포엠일렉트로옵틱 필름 보호용 테이프 부착 장치
CN114051453A (zh) * 2021-04-28 2022-02-15 奉贤淏 汽车着色膜蒸汽剥离装置
US11465333B2 (en) 2020-11-05 2022-10-11 Samsung Display Co., Ltd. Film peeling device and method of peeling fil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737B1 (ko) * 2011-11-17 2012-02-27 주식회사 아이.엠.텍 표면 보호필름 박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737B1 (ko) * 2011-11-17 2012-02-27 주식회사 아이.엠.텍 표면 보호필름 박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181B1 (ko) * 2019-05-27 2020-01-14 주식회사 포엠일렉트로옵틱 필름 보호용 테이프 부착 장치
US11465333B2 (en) 2020-11-05 2022-10-11 Samsung Display Co., Ltd. Film peeling device and method of peeling film
US11660805B2 (en) 2020-11-05 2023-05-30 Samsung Display Co., Ltd. Film peeling device and method of peeling film
CN114051453A (zh) * 2021-04-28 2022-02-15 奉贤淏 汽车着色膜蒸汽剥离装置
CN114051453B (zh) * 2021-04-28 2023-08-04 奉贤淏 汽车着色膜蒸汽剥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17253B (ko)
KR101593567B1 (ko) 보호필름 양면 박리장치
KR101857288B1 (ko) 기판으로부터 도너 필름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TWI457876B (zh) Fit the device
KR101765297B1 (ko) 보호필름 박리 장치
KR101748425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패턴필름 부착장치
TW200918315A (en) Method and device for patching film
JP6706746B2 (ja) 接着シート貼り付け装置及び貼り付け方法
KR20090066184A (ko) 필름 첩부 장치
KR20140122859A (ko) 패널의 클리닝을 위한 건식 세정기
KR20150100202A (ko) 필름 부착 장치 및 방법
KR20130041583A (ko) 편광판 부착 시스템
KR101672825B1 (ko) 필름박리장치
KR20150130139A (ko) 패널 양면 코팅 장치 및 패널 양면 코팅 방법
JP5290358B2 (ja) フィルム除去装置
JP2009140982A (ja) 除塵装置及び除塵方法
JP2009036897A (ja) 光学フィルム貼り付け方法、光学フィルム貼り付け装置、及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318176B1 (ko) 편광판 부착 장치
KR100647543B1 (ko) 티에프티-엘시디 판넬의 보호필름 박리장치
JP4451792B2 (ja) フィルム材の剥離方法及び装置
KR101547341B1 (ko) 기능성 밴드합지 제조장치
KR101923124B1 (ko) 패널의 클리닝을 위한 건식 세정기
KR102498189B1 (ko) 보호 필름 제거 장치
KR20140075172A (ko) 기능성 필름 부착 시스템
KR200390754Y1 (ko) 칩 온 필름 분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