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516B1 -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516B1
KR101593516B1 KR1020140063392A KR20140063392A KR101593516B1 KR 101593516 B1 KR101593516 B1 KR 101593516B1 KR 1020140063392 A KR1020140063392 A KR 1020140063392A KR 20140063392 A KR20140063392 A KR 20140063392A KR 101593516 B1 KR101593516 B1 KR 101593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glass panel
glass
conveyor
ang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6239A (ko
Inventor
박유혁
우철운
권순호
Original Assignee
(주)욱일에스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욱일에스피테크 filed Critical (주)욱일에스피테크
Priority to KR1020140063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51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6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 F26B15/2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 being carried by trays or holders supported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2Easels, stands or shelves, e.g. castor-shelves, supporting means o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the whole or part of a circle
    • F26B15/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the whole or part of a circle in a vertic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건조공간을 갖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로 글라스 패널을 인입시키는 유입컨베이어와, 상기 유입컨베이어를 통해 인입된 글라스 패널들을 층지게 수납시켜 승강시키는 한쌍의 상승컨베이어 및 글라스 패널을 하강시키는 한쌍의 하강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승강컨베이어와, 상승컨베어어에서 하강컨베이어로 글라스 패널을 이동시키는 이송유닛과, 건조된 글라스 패널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는 발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컨베이어는 한쌍의 체인과 상기 체인들을 연결하는 앵글부재와 상기 체인을 궤도 회전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글부재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측벽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면에는 상기 글라스 패널을 지지하도록 지지돌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지지돌부는 삼각의 긴 돌기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글라스 패널이 인입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사안내면이 더 형성되어, 베이스패널과의 접촉면적을 줄여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글라스패널 사이에 바람을 공급하여 열기를 순환시킴으로서, 빠르게 글라스패널의 패턴을 건조시킴과 아울러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 Glass Panel Cycle For Tower Lift Device }
본 발명은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본체의 내수에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적층되게 배치되는 글라스패.0널을 지지하는 앵글유닛에 지지돌부를 형성시켜 베이스패널과의 접촉면적을 줄여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글라스패널 사이에 바람을 공급하여 열기를 순환시킴으로서, 빠르게 글라스패널의 패턴을 건조시킴과 아울러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되는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모바일 기기 및 각종전자제품에는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글라스패널을 설치하게 되며, 글라스패널은 터치시 통전되도록 패턴이 인쇄된다.
이러한 글라스패널에 인쇄된 패턴을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로는 제품이 배치된 지그가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고온의 터널을 수평이동하는 터널 방식으로 터널 및 컨베이어 벨트를 길게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간을 많이 점유하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대한민국출원번호 제10-2011-0072765호 에서와 같이 글라스패널을 타워장치에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이송시켜며 열원에 의해 건조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타워장치식 건조방식은 글라스패널들 사이의 공간이 좁아 열기가 순환되지 않아 패턴이 균일하고 신속하게 건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앵글부재에 접촉되는 글라스패널의 단부에 인쇄된 패턴이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본체의 내수에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적층되게 배치되는 글라스패널을 지지하는 앵글유닛에 지지돌부를 형성시켜 베이스패널과의 접촉면적을 줄여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글라스패널 사이에 바람을 공급하여 열기를 순환시킴으로서, 빠르게 글라스패널의 패턴을 건조시킴과 아울러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되는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건조공간을 갖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로 글라스 패널을 인입시키는 유입컨베이어와, 상기 유입컨베이어를 통해 인입된 글라스 패널들을 층지게 수납시켜 승강시키는 한쌍의 상승컨베이어 및 글라스 패널을 하강시키는 한쌍의 하강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승강컨베이어와, 상승컨베어어에서 하강컨베이어로 글라스 패널을 이동시키는 이송유닛과, 건조된 글라스 패널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는 발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컨베이어는 한쌍의 체인과 상기 체인들을 연결하는 앵글부재와 상기 체인을 궤도 회전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글부재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측벽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면에는 상기 글라스 패널을 지지하도록 지지돌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지지돌부는 삼각의 긴 돌기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글라스 패널이 인입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사안내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돌부의 분사경사면에는 다수의 하부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하부분사공과 연통되게 하부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패널에는 내측면에 송풍돌부가 돌출되게 더 형성되며, 상기 송풍돌부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일면에 경사송풍면이 형성된 헤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송풍면에는 상부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패널에는 상기 상부분사공과 연통되게 상부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패널에는 상기 하부통로와 상기 상부통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송풍건조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송풍건조장치는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한쌍의 기둥과, 상기 기둥을 연결하며 상기 통로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일측에 상측분출공과 하측분출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관이 상기 앵글부재의 측벽패널과 마주보게 상기 체인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글부재에는 지지돌부의 분사경사면에 다수의 하부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이 저면에는 상기 하부분사공과 연통되게 유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패널의 내측면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상측안내패널과 하측안내패널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측벽패널에는 상기 상측안내패널과 상기 하측안내패널 사이에 측벽분사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돌부의 상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는 순차적으로 탄성스프링과 지지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에는 쿠션흡착패드가 부착되고, 상기 쿠션흡착패드의 상부에는 진공흡착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는 하우징 본체의 내수에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적층되게 배치되는 글라스패널을 지지하는 앵글유닛에 지지돌부를 형성시켜 베이스패널과의 접촉면적을 줄여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글라스패널 사이에 바람을 공급하여 열기를 순환시킴으로서, 빠르게 글라스패널의 패턴을 건조시킴과 아울러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에 있어,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에 있어, 앵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에 있어, 앵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에 있어, 송풍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에 있어, 앵글부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에 있어,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에 있어, 앵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에 있어, 앵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에 있어, 송풍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에 있어, 앵글부재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1)(이하 설명의 편의상 타워리프트 장치라 명명함)는 글라스패널을 건조시키는 장치로서, 이에 이와같은 타워리프트 장치(1)는 내부에 건조공간을 갖는 하우징 본체(2)와, 상기 하우징 본체(2)로 글라스 패널을 인입시키는 유입컨베이어(3)와, 상기 유입컨베이어(3)를 통해 인입된 글라스 패널들을 층지게 수납시켜 승강시키는 한쌍의 상승컨베이어(41) 및 글라스 패널(100)을 하강시키는 한쌍의 하강컨베이어(42)로 이루어지며 궤도 회전되는 승강컨베이어(4)와, 상기 상승컨베어어(41)에서 하강컨베이어(42)로 글라스 패널을 이동시키는 이송유닛(5)과, 건조된 글라스 패널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6)와, 상기 하우징 본체(2)에 설치되는 히터 또는 열선으로 이루어진 발열유닛(7)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컨베이어(4)는 상승컨베이어와 하강컨베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승컨베이어와 상기 하강컨베이어는 한쌍의 체인(C)과 상기 체인(C)들을 연결하는 앵글부재(8)와 상기 체인(C)을 궤도 회전시키는 구동부(M)로 이루어져, 모터인 상기 구동부(M)의 구동에 의해 승강컨베이어(4)는 앵글부재(8)에 배치된 글라스 패널(100)을 상승시키게 되고, 반대로 하강컨베이어(42)는 하강시키게 되는데, 상승컨베이어(41)에 안내되어 상승된 글라스패널(100)은 흡착구조를 갖으며 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는 통상의 이송유닛(5)에 흡착되어 하강컨베이어(42)로 이동된 후 하강되어 상기 배출컨베이어(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발열유닛(7)은 히터이며 하우징 본체(2)의 내측면에 나사체결 또는 용접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상승컨베이어(41)와 하강컨베이어(42) 사이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열유닛(7)은 가열된 바람을 배출시키는 열풍기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앵글부재(8)는 상기 체인(C)들을 연결하며 용접 또는 나사체결된다.
이때, 상기 앵글부재(8)는 베이스패널(81)과 상기 베이스패널(81)의 일측에 형성되는 측벽패널(82)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패널(81)의 상면에는 상기 글라스 패널을 지지하도록 지지돌부(811)가 더 형성되되, 상기 지지돌부(811)는 삼각의 긴 돌기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는 글라스 패널(100)이 인입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사안내면(812)이 더 형성된다.
즉, 글라스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돌부(811)의 형상과 단면형상의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돌부(811)의 상측에 글라스패널(100)이 지지되게 배치됨으로서 글라스패널(100)이 베이스패널(81)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에 비해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베이스패널(81) 전체와 접촉시 접촉부분에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글라스패널(100)을 이동시키거나 배치하는 과정에서 앵글부재(8)과 접촉하면서 글라스패널(100)에 크랙이나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타워리프트 장치(1)는 인쇄된 글라스 패널(100)이 유입컨베이어(3)를 통해 상기 하우징 본체(2)로 인입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C)이 궤도 회전하면서 유입컨베이어(3)의 상부에 배치된 글라스패널(100)의 하부를 앵글부재(8)가 들어올리면서 상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앵글부재(8)들이 층지게 이동 및 상승되면서 발열유닛(7)의 구동에 의해 인쇄된 글라스패널(100)이 점차 건조되며, 상승된 글라스패널(100)은 이송유닛(5)에 의해 하강컨베이어(42)의 앵글부재로 이동하여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건조된 후 배출컨베이어(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서,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이때, 유입컨베이어(3)가 이동하는 상태에서 연속동작으로 앵글부재(8)가 글라스패널(100)을 들어올리게 되는데, 지지돌부(811)에 경사안내면(812)이 형성됨으로서, 유입컨베이어(3)가 평균시간보다 빠르거나 늦게 글라스패널(100)을 이동시키는 오작동시에도, 이동되는 글라스 패널(100)이 경사안내면(812)에 안내되어 지지돌부(811)의 측면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돌부(811)의 일면에는 사선방향으로 글라스패널을 바라보도록 분사경사면(813)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경사면(813)에는 다수의 하부분사공(813a)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패널(81)에는 상기 하부분사공(813a)과 연통되게 하부통로(814)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패널(82)에는 내측면에 송풍돌부(821)가 돌출되게 더 형성되고, 상기 송풍돌부(821)는 목부(822)와 상기 목부(822)의 일단에 형성되고 일면에 글라스패널을 사선방향으로 바라보도록 경사송풍면(823a)이 형성된 헤드(823)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송풍면(823a)에는 상부 분사공(823a')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패널(82)에는 상기 상부분사공(823a')과 연통되게 상부통로(824)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패널(82)에는 상기 하부통로(814)와 상기 상부통로(814)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825)가 상기 상부통로(824) 및 상기 하부통로(814)와 연통되게 더 형성되어, 상기 하부분사공(813a)과 상기 상부분사공(823a')을 통해 공기가 분출되어 글라스패널(100)의 상면과 저면에 공급함으로서, 인쇄된 부분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글라스패널(100)에 바람을 사선방향으로 전면과 저면에 공급함으로서, 도면상 바람을 글라스패널의 측면에 공급되게 수평방향으로 공급되어 글라스패널이 부양되거나 이동하면서 날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부(825)는 내부에 펜이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펜이 구동되어, 상기 하부통로(814) 및 상기 상부통로(824)로 공기를 공급시키게 된다. 다르게는 상기 공급부(825)에 전달공간을 형성하고 외부에서 압축공기를 주입시켜 상기 하부통로(814) 및 상기 상부통로(824)로 압축공기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부분사공(813a)이 상향으로 경사진 분사경사면(813)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분사공(823a')이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송풍면(823a)에 형성되어 사선방향으로 글라스패널(100)의 상면과 저면에 바람을 공급함으로서, 글라스패널(100)이 지지돌부(811)에서 날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헤드의 단부에는 글라스패널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마찰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곡선의 쿠션패널(P)이 더 접착고정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 본체(2)에는 송풍건조장치(21)가 더 설치되며, 상기 송풍건조장치(21)는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관구조의 한쌍의 기둥(211)과, 상기 기둥(211)을 연결하며 상기 통로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일측에 상측분출공(212a)과 하측분출공(212b)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연결관(212)으로 이루어지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건조장치(21)의 연결관(212)이 상기 앵글부재(8)의 측벽패널(82)과 마주보게 궤도회전되는 상기 체인(C)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기둥(211)에는 외부에서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상측,하측분충공(212a,212b)으로 통해 분출되는 공기는 상기 앵글부재(8)들 사이의 틈으로 이동하여 글라스 패널(100)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212)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 상측분출공(212a)과 하측분출공(212b)이 형성되어, 도 10에서와 같이 사선방향으로 글라스 패널(100)의 상면과 저면에 바람이 공급됨으로서, 글라스 패널(100)이 날리는 것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인쇄된 부분을 건조시키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앵글부재(8)에는 지지돌부(811)의 분사경사면(813)에 다수의 하부분사공(813a)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81)이 저면에는 상기 하부분사공(813a)과 연통되게 유입홈(815)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패널(82)의 내측면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상측안내패널(826)과 하측안내패널(827)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용접고정되고, 상기 측벽패널(82)에는 상기 상측안내패널(826)과 상기 하측안내패널(827) 사이에 측벽분사공(828)이 더 형성된다.
즉, 재차 공급되는 바람을 사선방향으로 안내하여 글라스패널(100)의 상면과 저면에 공급함으로서, 글라스 패널(100)이 날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건조시키게 되며, 앵글부재(8)들 사이의 틈새 이외에 측벽패널(82)과 베이스패널(81)의 측벽분사공(828)과 하부분사공(813a)을 통해 바람이 공급됨으로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돌부(811)의 상부에는 체결홈(811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811a)에는 순차적으로 탄성스프링(S)과 지지패널(9)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에는 쿠션흡착패드(91)가 부착되고, 상기 쿠션흡착패드(91)의 상부에는 내부에 진공공간을 갖는 나팔형상의 진공흡착부재(92)가 일체로 더 형성되어, 바람에 의해 건조과정에서 글라스패널(100)이 날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패널(9)은 상기 체결홈(811a)의 턱부에 걸림되게 배치된다.
상기 진공흡착부재(92) 및 상기 쿠션흡착패드(91)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어, 글라스패널(100)과 마찰됨과 아울러 흡착고정시켜 바람에 의해 글라스패널(100)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진공흡착부재(92)가 상기 쿠션흡착패드(91)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고, 글라스 패널(100)의 자중에 의해 진공흡착부재(92)가 가압되어 흡착,고정되며, 상기 쿠션흡착패드(91)는 상기 지지돌부(811)의 상부에 접착 또는 융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1 : 타워리프트 장치 2 : 하우징 본체
3 : 유입컨베이어 4 : 승강컨베이어
5 : 이송유닛 6 : 배출컨베이어
7 : 발열유닛 8 : 앵글부재
9 : 지지패널
21 : 송풍건조장치 211 : 기둥
212 : 연결관 212a : 상측분출공
212b : 하측분출공
41 : 상승컨베이어 42 : 하강컨베이어
81 : 베이스패널 811 : 지지돌부
812 : 경사안내면 813 : 분사경사면
813a : 하부분사공 814 : 하부통로
815 : 유입홈
82 : 측벽패널 821 : 송풍돌부
822 : 목부 823 : 헤드
823a : 경사송풍면 823a' : 상부분사공
824 : 상부통로 825 : 공급부
826 : 상측안내패널 827 : 하측안내패녈
828 : 측벽분사공
91 : 쿠션흡착패드 92 : 진공흡착부재
C : 체인 M : 구동부
S : 탄성스프링 P : 쿠션패널
100 : 글라스패널

Claims (5)

  1. 내부에 건조공간을 갖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로 글라스 패널을 인입시키는 유입컨베이어와, 상기 유입컨베이어를 통해 인입된 글라스 패널들을 층지게 수납시켜 승강시키는 한쌍의 상승컨베이어 및 글라스 패널을 하강시키는 한쌍의 하강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승강컨베이어와, 상승컨베어어에서 하강컨베이어로 글라스 패널을 이동시키는 이송유닛과, 건조된 글라스 패널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는 발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컨베이어는 한쌍의 체인과 상기 체인들을 연결하는 앵글부재와 상기 체인을 궤도 회전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로서,
    상기 앵글부재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측벽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면에는 상기 글라스 패널을 지지하도록 지지돌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지지돌부는 삼각의 긴 돌기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글라스 패널이 인입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사안내면이 더 형성된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의 분사경사면에는 다수의 하부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하부분사공과 연통되게 하부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패널에는 내측면에 송풍돌부가 돌출되게 더 형성되며, 상기 송풍돌부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일면에 경사송풍면이 형성된 헤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송풍면에는 상부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패널에는 상기 상부분사공과 연통되게 상부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패널에는 상기 하부통로와 상기 상부통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송풍건조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송풍건조장치는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한쌍의 기둥과,
    상기 기둥을 연결하며 상기 통로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일측에 상측분출공과 하측분출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관이 상기 앵글부재의 측벽패널과 마주보게 상기 체인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부재에는 지지돌부의 분사경사면에 다수의 하부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이 저면에는 상기 하부분사공과 연통되게 유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패널의 내측면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상측안내패널과 하측안내패널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측벽패널에는 상기 상측안내패널과 상기 하측안내패널 사이에 측벽분사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의 상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는 순차적으로 탄성스프링과 지지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에는 쿠션흡착패드가 부착되고, 상기 쿠션흡착패드의 상부에는 진공흡착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KR1020140063392A 2014-05-27 2014-05-27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KR101593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392A KR101593516B1 (ko) 2014-05-27 2014-05-27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392A KR101593516B1 (ko) 2014-05-27 2014-05-27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239A KR20150136239A (ko) 2015-12-07
KR101593516B1 true KR101593516B1 (ko) 2016-02-15

Family

ID=5487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392A KR101593516B1 (ko) 2014-05-27 2014-05-27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5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5916A (zh) * 2017-05-18 2017-07-14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上海分公司 基底片存储器
KR101789242B1 (ko) * 2016-06-09 2017-11-20 (주)엘케이솔루션 궤도형 체인레일 승하강장치
KR102561650B1 (ko) * 2023-04-11 2023-07-28 문영일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15266B (zh) * 2016-08-08 2018-03-20 连云港美步家居有限公司 自动晾干机
CN106643019B (zh) * 2016-10-20 2019-03-26 精一机械(中山)有限公司 立式干燥炉
CN109059512A (zh) * 2018-07-26 2018-12-21 蚌埠淮畔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玻璃干燥装置
CN109822907A (zh) * 2019-03-22 2019-05-31 哈尔滨工业大学(深圳) 一种远程控制、无人值守连续打印的3d打印机辅助系统
CN111076525A (zh) * 2019-12-30 2020-04-28 安徽瑞泰汽车零部件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汽车零部件的烘干箱
CN112050608A (zh) * 2020-08-12 2020-12-08 创富东日(深圳)科技有限公司 硅片的烘干装置及硅片的固化装置
CN112524921A (zh) * 2020-11-19 2021-03-19 林晓霞 一种在制版过程在晒版时进行均匀晒版与风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0368A1 (en) 1992-09-29 1994-04-06 SACMI Cooperativa Meccanici Imola Soc. Coop. a Resp. Lim. Vertical drying kiln for tiles with blown-air drying
KR100787540B1 (ko) 2006-08-08 2007-12-21 장동복 평면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용 진공건조장치
KR101092014B1 (ko) 2011-07-22 2011-12-08 주식회사 대영테크 글라스 패널 건조장치
KR101092104B1 (ko) 2009-08-26 2011-12-12 주식회사 팬택 3차원 위치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0368A1 (en) 1992-09-29 1994-04-06 SACMI Cooperativa Meccanici Imola Soc. Coop. a Resp. Lim. Vertical drying kiln for tiles with blown-air drying
KR100787540B1 (ko) 2006-08-08 2007-12-21 장동복 평면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용 진공건조장치
KR101092104B1 (ko) 2009-08-26 2011-12-12 주식회사 팬택 3차원 위치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92014B1 (ko) 2011-07-22 2011-12-08 주식회사 대영테크 글라스 패널 건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242B1 (ko) * 2016-06-09 2017-11-20 (주)엘케이솔루션 궤도형 체인레일 승하강장치
CN106945916A (zh) * 2017-05-18 2017-07-14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上海分公司 基底片存储器
KR102561650B1 (ko) * 2023-04-11 2023-07-28 문영일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239A (ko) 201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516B1 (ko)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KR101473301B1 (ko) 파손 글래스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646163B1 (ko) 글라스 패널 순환인쇄 및 건조 방법
JP2006206324A (ja) 基板搬送装置
TWI729209B (zh) 乾燥裝置
JP2006332587A (ja) 基板処理装置
KR101557021B1 (ko)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KR101375348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라스 세정공정 자동화장치
CN206705256U (zh) 一种气浮式输送系统
JP2006093084A (ja) 平板型蛍光ランプのランプ上板成形システム
JP2008229467A (ja) 熱処理装置
JP5642986B2 (ja) 油焼入装置
KR100722009B1 (ko) 열처리로
KR101293289B1 (ko) 비접촉식 이송장치
JP5614378B2 (ja) 焼結機循環ガスフードのシール装置
CN205816367U (zh) 一种西林瓶内表面光洁系统
KR100681500B1 (ko) 기판의 자동 언로딩 장치
KR100718746B1 (ko) Fpd용 급속 건조 장치
CN104418498B (zh) 玻璃加热炉
CN206831824U (zh) 一种热风加热炉
KR20140077297A (ko) 효율이 향상된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CN210486421U (zh) 隧道式热风干燥输送机构
WO2019061550A1 (zh) 一种大件物流短距离传送装置
KR20130024694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CN216764989U (zh) 一种大型卧式真空退火时效炉用加热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