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297A - 효율이 향상된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효율이 향상된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297A
KR20140077297A KR1020120145910A KR20120145910A KR20140077297A KR 20140077297 A KR20140077297 A KR 20140077297A KR 1020120145910 A KR1020120145910 A KR 1020120145910A KR 20120145910 A KR20120145910 A KR 20120145910A KR 20140077297 A KR20140077297 A KR 20140077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unit
display panel
flat panel
pane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노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주) 나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인테크 filed Critical (주) 나인테크
Priority to KR1020120145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7297A/ko
Publication of KR20140077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낮은 분사압력의 압축 공기를 사용하면서도 평판표시패널의 다양한 영역을 부분적으로 건조하거나 하나의 건조 장치로 다양한 크기의 평판표시패널을 건조시킬 수 있고, 건조를 마친 패널의 온도를 신속하게 하강시켜 효율이 향상된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는, 상면이 노출된 상태로 평판표시패널을 일정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패널 이송부; 상기 패널 이송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평판표시패널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 분사부;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에 설치되며, 상기 평판표시패널과 그 상측 공간을 가열하는 가열램프; 상기 가열램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열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조사 영역 조절부; 및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 하측을 통과한 패널에 대하여 냉각 기체를 분사하는 냉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효율이 향상된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THE APPARATUS FOR DRYING THE SUBSTRATE}
본 발명은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낮은 분사압력의 압축 공기를 사용하면서도 평판표시패널의 다양한 영역을 부분적으로 건조하거나 하나의 건조 장치로 다양한 크기의 평판표시패널을 건조시킬 수 있고, 건조를 마친 패널의 온도를 신속하게 하강시켜 효율이 향상된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표시패널(Flat Panel Display)이라 함은 LCD, PDP, OLED, FED 등과 같이, 평면 형상으로 제조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을 말한다. 이러한 평판표시패널은 정보화시대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그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 생산라인에서 다양한 공정을 거치면서 유리 패널 등의 패널 위에 소자를 구성하여 제조된다.
평판표시패널의 제조 과정에서는 다양한 공정을 거치는 가운데, 반드시 패널을 세정하는 공정이 진행된다. 그리고 세정 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세정에 사용된 순수(DeIonized Water)를 완전히 건조하여 제거하는 건조 공정이 진행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평판표시패널의 건조 과정에는 에어 나이프(air knife)와 같이 고온 고압의 압축 공기를 평판표시패널 표면에 직접 분사하여 수분을 신속히 제거하는 평판표시패널 건조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에어 나이프는 고압의 압축 공기를 이용하므로 0.7mm의 유리 패널에는 사용할 수 있지만, 이보다 얇은 유리 패널 등에는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평판표시패널 내에 형성되는 패턴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아지면서 세정 과정에서 패턴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 덩어리의 크기도 매우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작은 크기의 수분 덩어리는 기존의 에어 나이프로는 제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최근에 개발된 건조장치는 가열 램프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종래의 에어 나이프보다는 낮은 압력의 압축공기를 사용하면서도 미세 패턴 사이의 수분도 제거할 수 있도록 그 사용 범위를 확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건조장치는 특정 평판표시패널의 특정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건조하거나 다양한 평판표시패널에 대하여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낮은 분사압력의 압축 공기를 사용하면서도 평판표시패널의 다양한 영역을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건조하거나 하나의 건조장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평판표시패널을 건조시킬 수 있고, 효율이 향상된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는, 상면이 노출된 상태로 평판표시패널을 일정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패널 이송부; 상기 패널 이송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평판표시패널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 분사부;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에 설치되며, 상기 평판표시패널과 그 상측 공간을 가열하는 가열램프; 상기 가열램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열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조사 영역 조절부; 및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 하측을 통과한 패널에 대하여 냉각 기체를 분사하는 냉각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에는, 중앙에 상기 가열램프가 안착되는 램프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에는,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흡입하여 배기하는 배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는, 상기 배기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사 영역 조절부는,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 안착홈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릴 수 있는 셔터; 및 상기 셔터를 상기 램프 안착홈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셔터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셔터는,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리되며, 상기 셔터 구동수단은 각 셔터 조각을 분리하여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가열 램프를 사용하므로 압축공기의 압력을 낮게 조정하면서도 미세 패턴에 잔존하는 수분도 제거할 수 있으며, 조사 영역 조절부를 구비하여 하나의 평판표시패널에 대하여 특정한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건조하거나 특정한 영역에 대한 근적외선 조사를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사 영역 조절부를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리하여 다양한 크기의 평판표시패널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셔터의 특정 영역에 개구부를 구성하고 이 개구부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평판표시 패널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의 건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널건조장치는 건조 공정을 마친 패널의 온도를 상온으로 신속하게 하강시켜 다음 공정에 신속하게 대응가능하며, 공정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패널 건조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사 영역 조절부의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이송부(10), 압축공기 분사부(20), 가열램프(30), 조사 영역 조절부(40), 배기부(50) 및 냉각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패널 이송부(10)는 제조 중인 평판표시패널(P)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 패널 이송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롤러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널 이송부(10)에 의하여 이송되는 평판표시패널(P)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상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이송된다. 이는 상기 평판표시패널(P)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면서 노출된 면을 건조시키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이송부(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평판표시패널(P)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압축공기 분사부(20)는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압축 공기 공급원(도면에 미도시)과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관(28)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 공기 공급원은 일반적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셔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도면에 미도시)가 압축공기 공급관(28)의 중간 부분에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20)에 후술하는 가열램프(3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2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측 중앙에 램프 안착홈(22)이 형성된다. 이 램프 안착홈(22)은 설치되는 가열 램프(30)의 수에 비례하여 그 면적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20) 중 상기 램프 안착홈(22)의 좌우 측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를 평판표시패널에 분사하는 분사 노즐(24)이 형성된다. 상기 분사노즐(24)은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28)과 연결되는 압축공기 이동로(21)와 연통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압축공기 이동로(21) 상에는 공급된 압축공기를 균일하게 분사하기 위한 확산부재(2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 노즐(24)이 후술하는 배기부(50) 방향으로 경사지게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배기부(50) 방향으로 경사지게 압축공기를 분사하면, 배기부(50)에 의한 배기 작업이 용이하며, 수분, 파티클 등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20)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흡입하여 배기하는 배기부(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기부(50)는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20)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20)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한다.
상기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에 의하여 진행되는 건조 작업 중에는 상기 평판표시패널(P)에서 이탈된 수분이나 파티클(발생할 가능성이 거의 없으나 혹시 발생하는 경우) 등이 주변의 기체와 함께 존재하는데, 상기 배기부(50)에 의하여 이러한 것을 배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효과적인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20)의 전 후측에 각각 배기부(50)를 구비한다.
더 나아가서 상기 패널 이송부(10)의 하부에도 예비적으로 기체 배출을 위한 하부 배기부(6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열램프(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20)에 설치되며, 상기 평판표시패널(P)과 그 상측 공간을 가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가열램프(30)에 의하여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20)와 상기 평판표시패널(P) 사이의 공간이 가열되어 상기 평판표시패널(P) 상의 수분이 건조될 수 있는 최상의 조건을 조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 램프(30)를 2개 이상 복수개로 설치하며,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가열 램프의 수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램프(30)는 별도의 설치 지그(32)를 통하여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20) 즉, 램프 설치홈(22)에 설치되는대, 상기 설치 지그(32) 자체를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20)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며, 상기 설치 지그(32)를 설치되는 램프 개수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조사 영역 조절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램프(3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열램프(30)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에서는 상기 조사 영역 조절부(40)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 이송부(10)에 의하여 이송되는 평판표시패널(P)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건조하는 작업이 가능하다. 평판표시패널의 종류에 따라서는 건조되는 영역이 특정한 부분에만 한정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나머지 부분에 강한 압축공기와 열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사 영역 조절부(40)를 셔터(42)와 셔터 구동수단(44)으로 구성한다. 먼저 셔터(42)는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2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 안착홈(22)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셔터(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영역에 개구된 개구부(46)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셔터(42)가 다수개의 조각으로 나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셔터가 다수개의 조각으로 나뉘는 경우에는 각 셔터 조각을 분리하여 구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셔터 구동수단(44)은 상기 셔터(42)를 상기 램프 안착홈(22)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 셔터 구동수단(44)은 상기 셔터(42)를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단축 구동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셔터를 수평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셔터의 수평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리니어 가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부(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2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패널 이송부(10)에 의하여 이송되는 패널이 배출되는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 하측을 통과한 패널에 대하여 냉각 기체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냉각부에 의하여 건조 과정에서 온도가 50℃ 이상으로 가열된 패널의 온도가 상온(23 ~25 ℃) 수준으로 하강한다. 이때 상기 냉각부(60)에서는 저온으로 냉각된 기체를 분사할 수도 있지만, 통상적인 온도의 공기를 분사할 수도 있다.
10 : 패널 이송부 20 : 압축공기 분사부
30 : 가열 램프 40 : 조사 영역 조절부
50 : 배기부 60 : 냉각부

Claims (6)

  1. 상면이 노출된 상태로 평판표시패널을 일정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패널 이송부;
    상기 패널 이송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평판표시패널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 분사부;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에 설치되며, 상기 평판표시패널과 그 상측 공간을 가열하는 가열램프;
    상기 가열램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열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조사 영역 조절부; 및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 하측을 통과한 패널에 대하여 냉각 기체를 분사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에는,
    중앙에 상기 가열램프가 안착되는 램프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흡입하여 배기하는 배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는,
    상기 배기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영역 조절부는,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 안착홈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릴 수 있는 셔터; 및
    상기 셔터를 상기 램프 안착홈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셔터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체는,
    공기 또는 질소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KR1020120145910A 2012-12-14 2012-12-14 효율이 향상된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KR20140077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910A KR20140077297A (ko) 2012-12-14 2012-12-14 효율이 향상된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910A KR20140077297A (ko) 2012-12-14 2012-12-14 효율이 향상된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297A true KR20140077297A (ko) 2014-06-24

Family

ID=5112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910A KR20140077297A (ko) 2012-12-14 2012-12-14 효율이 향상된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72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820B1 (ko) * 2017-06-16 2018-07-23 윤중식 수세 방식의 필름 클리닝 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820B1 (ko) * 2017-06-16 2018-07-23 윤중식 수세 방식의 필름 클리닝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021B1 (ko)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JP7461291B2 (ja) 材料を熱的又は熱化学的に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593516B1 (ko)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CN107957183B (zh) 干燥装置
TW200721316A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ooling gas feed nozz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EP3896375A1 (en) Heat treatment furnace
KR101614423B1 (ko) 패널세정시스템
JP5129249B2 (ja) ハイブリッド型熱処理機及びその方法
JPH1012710A (ja) 基板処理装置
KR101521583B1 (ko) 에지 밴딩기의 에지밴드 처리장치
KR20140077297A (ko) 효율이 향상된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JP2006093084A (ja) 平板型蛍光ランプのランプ上板成形システム
JP2006063363A (ja) 熱処理設備
KR101733586B1 (ko) 밀폐형 히팅챔버를 이용한 리플로우 장치
TWI445914B (zh) Plate cooling device and heat treatment system
JP2014119226A (ja) 平板ディスプレイパネル乾燥装置
KR101537337B1 (ko) Ir 파장 선택이 가능한 건조장치
KR20130040696A (ko) 스크라이브 장치
KR20200005166A (ko) 열풍을 이용한 사출 성형물 표면 처리 장치
KR101350369B1 (ko) 유리기판 가공 장치
KR101877340B1 (ko) 기판처리장치
JP2001015024A (ja) 大型ガラス基板用冷却装置
KR101664161B1 (ko) 습식 세정 챔버 내부 설치용 기판 건조 장치
KR20150076857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555101B1 (ko) 수직 소둔로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