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035B1 -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 - Google Patents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035B1
KR101591035B1 KR1020140017056A KR20140017056A KR101591035B1 KR 101591035 B1 KR101591035 B1 KR 101591035B1 KR 1020140017056 A KR1020140017056 A KR 1020140017056A KR 20140017056 A KR20140017056 A KR 20140017056A KR 101591035 B1 KR101591035 B1 KR 101591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roduct
cut
room temperatur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082A (ko
Inventor
권오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아이 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아이 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아이 플렉스
Priority to KR1020140017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035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온성 테이프 준비단계와, 준비된 상온성 테이프의 상면과 저면에 형상반칼과 하단반칼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재단하는 단계와, 재단된 형상에 따라 테이프의 상부 스크랩 및 하단 이형지를 제거하는 자재 이형단계와, 상단 스크랩과 하단 이형지가 제거된 테이프 및 제품을 이단핀 지그에 적재하여 접착하는 제품 접착단계와, 접착된 제품과 테이프에 있어서 제거하고 남은 하단 이형지를 제거하는 하단이형지 제거단계를 포함함으로서,
본 공법을 통해 제품에 간섭은 피하고 줄 취부식으로 취부 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지니며, 이단핀 지그를 사용하여 취부함으로서 손취부보다 정확하게 취부할 수 있어 제품의 불량 감소 및 공정시간이 감소함에 따라 소요되는 비용도 감소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 Multiple attachment method using tape }
본 발명은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의 배열에 맞게 테이프(TAPE)를 배열하고 형상 가공과 하단 이형지 재단선 가공을 통하여 취부 시 버려지던 이형지를 활용하여 낱개 취부시 이단핀 JIG 취부법이 가능한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및 LCD 제품들이 경량, 슬림화되면서 FPCB에 통전 TAPE 및 보강용 SUS등 기능성 원자재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능성 자재 및 단순 보강용 자재의 취부 횟수 및 보관 방법 등의 복합적 관리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취부 횟수 감소(생산성 향상)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종래의 취부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낱개 취부법은 자재를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 후 배열되어 있는 제품에 하나씩 취부 하는 방식으로 취부(작업)의 횟수 및 인력수요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줄 취부법은 제품의 배열상 필요영역과 불필요 영역을 이어 취부하는 방식으로 자재 가공 시 제품 배열을 피해 불필요 영역을 연결하다 보니 자재 소모량 및 형상 가공이 부수적으로 들어가게 되며 주로 요철 모양의 형성으로 보관 시 자재와 자재끼리 엉키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또한, 매단위 이단핀 지그(JIG) 취부법은 자재의 취부 모양이 넓어 매단위로 연결하여 이단핀 지그(JIG) 를 사용하여 취부되는 방식으로 생산성이 높은 작업 방식이나 점성을 띈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하기에는 치우침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이형지(고객 납품) + BOND + 이형지(취부 시 제거) 의 구조로 형성된 상온성 테이프(TAPE)는 점성을 띈 본드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준비단계와, 준비된 테이프에 가공용 칼을 이용하여 재단하는 단계와, 취부시 제거하고자 하는 이형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제품에 취부되는 단계로 가공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공용 칼로 재단된 테이프는 도 2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용칼의 형상과 제품에 배열되는 형상이 상이하며, 점성을 띈 본드로 인하여 하나씩 낱개로 취부되어야 하는 배열의 제품을 생산할 때만 사용 가능하므로 취부 인원 및 취부 시간이 증가하여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각각 취부하므로 테이프가 제품이 정확하게 취부되지 못하고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불량을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29925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TAPE) 가공 시 상단은 형상 반칼을 이용하여 가공하고 하단은 재단선 반칼을 가공하여 취부 전 상단의 스크랩(SCRAP)과 하단 이형지의 반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가공용 칼과 제품의 배열의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서 취부 시 버려지던 이형지를 활용 하여 이단 지그(JIG)를 이용한 다중 취부가 가능한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은 상온성 테이프 준비단계와, 준비된 상온성 테이프의 상면과 저면에 형상반칼과 하단반칼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재단하는 단계와, 재단된 형상에 따라 테이프의 상부 스크랩 및 하단 이형지를 제거하는 자재 이형단계와, 상단 스크랩과 하단 이형지가 제거된 테이프 및 제품을 이단핀 지그에 적재하여 접착하는 제품 접착단계와, 접착된 제품과 테이프에 있어서 제거하고 남은 하단 이형지를 제거하는 하단이형지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테이프를 재단하는 단계는 상단 이형지의 상부에는 형상반칼을 위치시키고, 하단 이형지의 저면에는 하단반칼을 위치시켜 가압함으로서 테이프가 재단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형상반칼은 제품의 배열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테이프를 재단하는 단계는 하단 반칼을 하단 이형지에 가압되어 재단되되 형상반칼의 사이에 일직선으로 재단될 수 있도록 하여 하단 이형지 제거 시 본드층의 일부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품 접착단계는 이단핀 지그에 테이프와 제품을 각각 거치한 다음 덮개판을 가압하여 테이프와 제품을 접착할 수 있도록 하여 줄 취부식으로 접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은 줄 취부가 적용 될 수 없는 배열의 경우 본 공법을 통해 제품에 간섭은 피하고 줄 취부식으로 취부 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지니며, 이단핀 지그를 사용하여 취부함으로서 손취부보다 정확하게 취부할 수 있어 제품의 불량 감소 및 공정시간이 감소함에 따라 소요되는 비용도 감소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취부공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상온성 테이프를 재단할 때 사용되는 가공용 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테이프가 제품에 취부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공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에 적용되는 상온성 테이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에 적용되는 반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도6에서 도시된 반칼을 이용하여 재단된 테이프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에 적용되는 이단핀 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공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에 적용되는 상온성 테이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에 적용되는 반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도6에서 도시된 반칼을 이용하여 재단된 테이프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에 적용되는 이단핀 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공법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온성 테이프 준비단계(S10)와, 준비된 상온성 테이프의 상면과 저면에 형상반칼과 하단반칼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재단하는 단계(S20)와, 재단된 형상에 따라 테이프의 상부 스크랩 및 하단 이형지를 제거하는 자재 이형단계(S30)와, 상단 스크랩과 하단 이형지가 제거된 테이프 및 제품을 이단핀 지그에 적재하여 접착하는 제품 접착단계(S40)와, 접착된 제품과 테이프에 있어서 제거하고 남은 하단 이형지를 제거하는 하단이형지 제거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상온성 테이프 준비단계(S10)는 제품에 취부될 테이프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온성 테이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에 접착된 후에도 남에 고객에게 납품되는 상단 이형지(10)와, 상단 이형지의 하부에 위치하며 점성을 띄는 본드층(20)과, 상기 본드층(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추후 하단 반칼에 의해 일부 재단되는 하단 이형지(30)를 포함한다. 상기 본드층(20)은 스스로 점성을 띄고 있으므로 별도의 열기구 없이 이단핀 지그에서 단순 가압에 의해서도 제품에 접착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테이프를 재단하는 단계(S20)는 상기 상온성 테이프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상온성 테이프를 재단하는 단계로서, 상기 상단 이형지(10)의 상부에는 도6에 도시된 형상반칼을 위치시키고, 하단 이형지(30)의 저면에는 하단반칼을 위치시켜 가압함으로서 테이프가 재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형상반칼은 상단이형지(10) 및 본드층(20)까지 삽입되어 제품에 취부될 수 있는 실직적인 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제품의 배열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하단 반칼은 하단 이형지(30)에 가압되어 재단되되 일직선으로 재단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형상반칼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하단 이형지(30) 제거시 하단 이형지(30)의 일부가 본드층(20)의 대략 절반정도 남아있는 상태로 재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재 이형단계(S30)는 상기 테이프를 재단하는 단계(S20)에서 형상반칼과 하단반칼에 의해 재단된 형태에 따라 상단 이형지(10) 및 본드층(20)의 일부 스크랩과, 하단 이형지(20)의 일부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품 접착단계(S40)는 상기 자재 이형단계(S30)에서 형성된 테이프와 제품을 상호 접착하는 단계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단핀 지그에 테이프와 제품을 각각 거치한 다음 덮개판을 가압하여 테이프와 제품을 접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단핀 JIG에 하단 이형지의 반이 제거된 테이프(TAPE)와 제품을 적재하여 노출된 테이프(TAPE)의 본드층(BOND) 영역으로 제품에 접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단이형지 제거단계(S50)는 상기 제품 접착단계(S40)에서 이단핀 지그에 의해 접착된 테이프와 제품 사이에 남아있는 하단 이형지를 제거하는 단계로서, 상기 이단핀 지그에 거치된 테이프의 하단 이형지(30)가 본드층(20)이 일부분만 가려진 채로 제품에 접착되므로 접착이 완료된 수에 수작업에 의해 하단 이형지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 : 상온성 테이프 준비단계
S20 : 테이프를 재단하는 단계
S30 : 자재 이형단계
S40 : 제품 접착단계
S50 : 하단이형지 제거단계

Claims (4)

  1. 상온성 테이프 준비단계(S10);
    준비된 상온성 테이프의 상면과 저면에 형상반칼과 하단반칼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재단하는 단계(S20);
    재단된 형상에 따라 테이프의 상부 스크랩 및 하단 이형지를 제거하는 자재 이형단계(S30);
    상단 스크랩과 하단 이형지가 제거된 테이프 및 제품을 이단핀 지그에 적재하여 접착하는 제품 접착단계(S40); 및
    접착된 제품과 테이프에 있어서 제거하고 남은 하단 이형지를 제거하는 하단이형지 제거단계(S50)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를 재단하는 단계(S20)는 상단 이형지(10)의 상부에는 형상반칼을 위치시키고, 하단 이형지(30)의 저면에는 하단반칼을 위치시켜 가압함으로서 테이프가 재단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형상반칼은 제품의 배열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하단반칼은 상기 형상반칼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를 재단하는 단계(S20)는 하단 반칼을 하단 이형지(30)에 가압되어 재단되되 형상반칼의 사이에 일직선으로 재단될 수 있도록 하여 하단 이형지(30) 제거 시 본드층(20)의 일부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접착단계(S40)는 이단핀 지그에 테이프와 제품을 각각 거치한 다음 덮개판을 가압하여 테이프와 제품을 접착할 수 있도록 하여 줄 취부식으로 접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
KR1020140017056A 2014-02-14 2014-02-14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 KR101591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056A KR101591035B1 (ko) 2014-02-14 2014-02-14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056A KR101591035B1 (ko) 2014-02-14 2014-02-14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082A KR20150096082A (ko) 2015-08-24
KR101591035B1 true KR101591035B1 (ko) 2016-02-02

Family

ID=5405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056A KR101591035B1 (ko) 2014-02-14 2014-02-14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0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121B1 (ko) 2012-08-31 2013-04-03 이종철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KR101299259B1 (ko) 2013-04-03 2013-08-22 주식회사 에스아이 플렉스 Mode key 취부 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121B1 (ko) 2012-08-31 2013-04-03 이종철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KR101299259B1 (ko) 2013-04-03 2013-08-22 주식회사 에스아이 플렉스 Mode key 취부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082A (ko) 201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261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셀의 제조 방법
CN104087195A (zh) 一种双面背胶的导电布胶带及其生产工艺
KR20120034116A (ko)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접착 시트
US20220246065A1 (en) Linerless combined mailing label and return lab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13528322A (ja) Fpc製品に部材プレートを付着する方法及び部材プレートテープ
KR101591035B1 (ko) 상온성 테이프를 이용한 다중 취부 공법
US10051747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circuit board involving the removal of a subregion thereof
CN104327759A (zh) 一种用于料带接驳的贴胶带及其加工方法
KR20130007984A (ko)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
JP2018041973A (ja) 回路基板用金属板、回路基板用金属板成形品、回路基板およびパワーモジュールならびに、パワー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449909B1 (ko) 캐리어 지지 테이프로부터 접착제 필름의 잘려진 스크랩을 제거하는 방법
CN104403595B (zh) 一种用于smt料带接驳的贴胶带及其加工方法
JP2009126159A (ja) フィルム固定治具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CN111823606A (zh) 金属件与绝缘件的结合方法
KR101932562B1 (ko) 필름 부착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필름 부착방법
JP2011249523A (ja) ウエハ製造方法及びウエハ製造装置
JP5857202B2 (ja) 熱伝導シート
CN203752220U (zh) 一种导光板裁切辅助治具
JP5611665B2 (ja) 基板搬送用冶具
CN109943241A (zh) 高稳定性遮光胶带及其加工方法
KR101597175B1 (ko) Fpcb의 습식공정 후처리 작업용 공구 및 이를 이용한 fpcb의 습식 공정 방법
CN216302871U (zh) 防尘网贴胶装置
TWI440128B (zh) 固定基板區塊之裝置
KR101785522B1 (ko) 뷰에어리어 치수정밀도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 제조방법 및 그 필름구조체
JP3185111U (ja) 予めカットされ、印刷可能で、貼り直し可能な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