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490B1 -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490B1
KR101590490B1 KR1020150146379A KR20150146379A KR101590490B1 KR 101590490 B1 KR101590490 B1 KR 101590490B1 KR 1020150146379 A KR1020150146379 A KR 1020150146379A KR 20150146379 A KR20150146379 A KR 20150146379A KR 101590490 B1 KR101590490 B1 KR 101590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ex
weight
cement
modified concrete
concre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곤
허인
최성용
이봉규
Original Assignee
상상시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상시티(주) filed Critical 상상시티(주)
Priority to KR1020150146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4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04B14/106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4Carboxylic acids;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52Nitrogen containing polymers, e.g. polyacrylamides, polyacrylo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76Polystyr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 19~50 중량%, 스티렌 10~35 중량% 및 부타디엔 30~50 중량%를 포함하고 전 고형분 함량이 46~50 중량%이고, pH가 9 내지 11이며, 점도가 100 cps 이하이고, 전체 입자경이 1400~1800Å이며 미반응 모노머 함량이 100 ppm 이하인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 및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는 초속경시멘트를 포함하여, 슬럼프, 휨강도 및 압축강도가 우수하고, 나아가 초기강도 발현, 방수성, 고내수성 및 부착성능에 있어서 우수한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Latex Modified Concrete Composition Using a Ultra Rapid Harding Cement Comprising a Metacaoline}
본 발명은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의 경우 내구성이 우수한 건축 토목재료로 알려져 왔지만 최근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잦은 폭설, 과다한 제설제살포, 콘크리트 구조물 손상, 동결융해, 염화물 등에 의해 열화 및 노후화가 진행되어 이에 대한 보수보강이 요구되고 있다. 콘크리트는 내구성 약화로 인해 특히 내유성, 내열성, 내한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내오존성이 열악한 것이 단점이다.
한편, 최근 교량 및 건설구조물의 효과적인 유지관리를 통해 사용수명 연장에 대한 관심사가 높아지고 있으며 실제로 선진국의 경우 이미 교량 및 건설구조물의 유지관리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교면포장 및 콘크리트 포장 보수재는 보통 콘크리트의 제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콘크리트에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 카르복실레이트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 폴리아크릴 에멀젼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종류의 개질제를 시공 목적에 맞게 혼합시켜 제조한 개질 콘크리트 및 몰탈이다. 특히 도로의 교면 포장, 보수, 보강, 표면보호제, 교량방수에 있어서는 분산성, 접착성, 방수성 등이 우수한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를 혼합시킨 개질콘크리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콘크리트용 개질제인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의 제조방법의 일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41055호(2004. 7. 9. 등록)에 부타디엔 단량체, 스티렌 단량체 등을 이용하여 전환율 80 내지 90%에서 70℃로 승온시켜 반응을 완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콘크리트 제조용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부타디엔 단량체 및 스티렌 단량체를 고압반응기를 이용하여 고온에서 3-5기압의 고압으로 합성시킴에 따라 제조설비가 복잡해짐에 따라 설비의 가동이 까다롭고, 그에 따른 제조설비의 비용이 과다 소요되며, 또한 반응시간이 20시간 이상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미반응 물질이 많이 잔류하여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의 농도가 40 내지 43 중량%에 지나지 않고 고농도의 합성라텍스를 얻기 위해 농축공정이 필요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다른 일예로, 대한민국특허등록 제871318호(2008.11.25. 등록)에는 콘크리트 개질용 카르복실레이트 스티렌 부타디엔 합성라텍스의 제조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는데, 이 또한 스티렌 모노머와 부타디엔 모노머를 주 모로머로 하는 SB계 라텍스이다.
본 발명은 슬럼프, 휨강도 및 압축강도가 우수하고, 나아가 초기강도 발현, 방수성, 고내수성 및 부착성능에 있어서 우수한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시멘트, 잔골재, 굵은 골재 및 합성고무라텍스를 포함하는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합성고무라텍스는 아크릴로니트릴 19~50 중량%, 스티렌 10~35 중량% 및 부타디엔 30~50 중량%를 포함하고; 전 고형분 함량이 46~50 중량%이고, pH가 9 내지 11이며, 점도가 100 cps 이하이고, 전체 입자경이 1400~1800Å이며 미반응 모노머 함량이 100 ppm 이하인,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이고, 시멘트는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는 초속경시멘트로, 메타카올린과 초속경시멘트와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 되는 양으로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는 것이며,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는 그 함량이 시멘트와의 총량에 대하여 10 내지 30중량%에 해당되는 양인 것인,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상기 구현예에서, 구체적인 조성물은 시멘트 14 내지 20 중량%, 잔골재 37 내지 47 중량%, 굵은골재 28 내지 39 중량%,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 2.5 내지 6.2 중량% 및 물 2.6 내지 6.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는 시드(seed)라텍스 20~30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19~50 중량%, 스티렌모노머 10~35 중량%, 폴리부타디엔 라텍스 10~20 중량%,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4~15 중량%,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0.8~3 중량%, 이타코닉산(itaconic acid) 0.9~3 중량% 및 퓨마릭산(fumaric acid) 0.9~3 중량%를 포함하는 라텍스의 주제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로서 음이온 유화제 0.2~0.5 중량부, 암포트릭(amphoteric) 안정제0.1~0.3 중량부, 반응개시제 1~5중량부, 분자량 조절제 0.5~2 중량부, 가교제 1~2 중량부를 반응기에 일괄 투입하여 상압 하에서 70 내지 90℃에서 7 내지 9 시간 동안 유화중합 및 그라프트 반응시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시드(seed)라텍스는 입자의 크기가 600Å∼1,000Å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폴리부타디엔 라텍스는 입자경이 600~1,000 Å, 고형분의 함량이 38~41 중량%, 겔 함량이 70∼85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음이온 유화제는 소디움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소디움옥틸설페이트, 소디움톨루엔설포네이트, 포타슘스테아릴포스페이트 및 포타슘스테아레이트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암포트릭(amphoteric) 안정제는 노닐페닐에테르슬폰산염 및 노닐폐닐에테르 암모늄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반응개시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테트라 부틸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암모늄퍼설페이트, 포타슘퍼설페이트, 아세틸퍼옥사이드 및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중에서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분자량 조절제는 n-도데실메르캅탄, t-도데실 메르캅탄 및 n-옥틸메르캅탄 중에서 1 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가교제는 디비닐벤젠, 1,3-부탄디올 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아릴 아크릴레이트, 아릴 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코올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1 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은 내유성, 접착성 및 인열,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시멘트와의 혼화력이 우수한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 라텍스를 포함하여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의 제반성능이 우수하고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며, 슬럼프, 휨강도 및 압축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나아가 고령토 산업부산물인 메타카올린을 혼입한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초기강도 발현, 방수성, 고내수성 및 부착성능에 있어서 우수한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합성고무 라텍스
먼저, 본 발명의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주요한 원료인 합성고무라텍스에 대하여 살핀다.
라텍스는 크게 NBR, SB라텍스로 나뉠 수 있다. 첫 번째로 NBR라텍스는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와 부타디엔 모노머를 주 모노머로 한 라텍스로, 아크릴로니트릴은 내유성, 내마모성, 접착성,인열,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는 물질이다. 이전까지 사용된 SB 라텍스라 함은 스티렌 모너모와 부타디엔 모노머를 주 모노머로 하는 라텍스이다.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을 주 모노머로 하여, NBR라텍스와 SB라텍스의 장점을 합한 하이브리드형의 망상구조를 가지는 합성고무 라텍스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시드(seed)라텍스 20~30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19~50 중량%, 스티렌모노머 10~35 중량%, 폴리부타디엔 라텍스 10~20 중량%,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4~15 중량%,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0.8~3 중량%, 이타코닉산(itaconic acid) 0.9~3 중량% 및 퓨마릭산(fumaric acid) 0.9~3 중량%를 포함하는 라텍스의 주제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로서 음이온 유화제 0.2~0.5 중량부, 암포트릭(amphoteric) 안정제0.1~0.3 중량부, 반응개시제 1~5중량부, 분자량 조절제 0.5~2 중량부, 가교제 1~2 중량부를 반응기에 일괄 투입하여 상압 하에서 70 내지 90℃에서 7 내지 9 시간 동안 유화중합 및 그라프트 반응시키는,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 (이하 '에스앤비알 합성라텍스 '라 약칭한다)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화합물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드(seed) 라텍스는 폴리부타디엔 라텍스를 중합하여 합성시 중합체의 입자를 성장시키기 위해 중합 전 첨가하는 라텍스로써, 시드(seed) 라텍스의 첨가량이 상기에서 정한 범위보다 적게 첨가될 경우에는 폴리부타디엔 라텍스와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모노머가 상대적으로 과량이어서 중합 라텍스의 시드(seed)에 엉김 현상이 발생되거나 또는 미반응의 폴리부타디엔 라텍스와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모노머가 잔류하여 전화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반면, 시드(seed) 라텍스의 첨가량이 상기에서 정한 범위보다 많이 첨가될 경우에는 시드(seed) 라텍스의 첨가량에 비해 폴리부타디엔 라텍스와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모노머의 첨가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에스엔비알 합성라텍스 시드(seed)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시드(seed) 라텍스 입자의 크기는 600~1,0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드(seed) 라텍스 입자의 크기가 600Å 미만이 될 경우에는 라텍스의 최종입자경이 적어 점도가 높고, 교반이 어렵고, 시멘트 혼합성이 어려울 수 있고, 시드(seed) 라텍스 입자의 크기가 1,000Å를 초과할 경우에는 최종입자경이 커서 라텍스 응고물이 다량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주제인 폴리부타디엔 라텍스로는 기본물성이 고형분 38~41 중량%, 반응전환율 98%, 점도 70cps, 표면장력 45dyne/㎝, 입자 크기 600~1,000Å, 겔 함량 60~85 중량%, 응고물 0.1 중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부타디엔 라텍스의 입자경이 상기에서 정한 크기의 범위보다 작을 경우에는 폴리부타디엔 라텍스의 입자의 크기가 작아 개질콘크리트의 제반 물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상기에서 정한 크기의 범위보다 클 경우에는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모노머와의 그라프트 공중합시 에스엔비알 합성라텍스를 균일하게 형성시키기가 어려워 개질콘크리트의 제반 물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고형분 또는 겔의 함량이 상기에서 정한 함량의 범위보다 적을 경우에는 그라프트 단량체가 증가하면서 중합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중합 안정성이 저하되어 응고물이 다량 생성될 우려가 있고, 상기에서 정한 함량의 범위보다 클 경우에는 그라프트 단량체가 감소되어 그라프트 반응이 불균일하게 진행되어 에스엔비알 합성라텍스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모노머는 폴리부타디엔과 공중합시키기 위한 모노머이다. 한편, 불포화 카르복실산은 그라프트 중합되어 라텍스 입자의 껍질부에 친수성 유화제와 함께 카르복실기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모노머이다.
이에 시드 라텍스, 폴리부타디엔 라텍스,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스티렌 모노머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모노머를 총체적으로 라텍스의 주제 성분으로 통칭하며, 이러한 라텍스의 주제 성분은 시드(seed)라텍스 20~30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19~50 중량%, 스티렌모노머 10~35 중량%, 폴리부타디엔 라텍스 10~20 중량%,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4~15 중량%,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0.8~3 중량%, 이타코닉산(itaconic acid) 0.9~3 중량% 및 퓨마릭산(fumaric acid) 0.9~3 중량%를 포함한다.
라텍스 주제 성분에 있어서 폴리부타디엔 라텍스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모노머의 함량비가 상기에서 정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미반응된 폴리부타디엔 라텍스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모노머의 잔류 물질로 인하여 합성라텍스의 농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가장중요한 구성성분인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는 수용성, 친수성이고 반응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반응속도조절이 매우 어렵고, 소량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몰탈의 내유성 등의 제반물성을 악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불포화카르복실산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이타코닉산(itaconic acid), 퓨마릭산이 바람직하며, 수용액 상에 현탁된 합성 라텍스 입자의 껍질부에 친수성 유화제와 함께 카르복시기(-COOH)를 결합시켜 에스엔비알 합성라텍스의 유동성, 접착성, 방수성, 내구성 등과 같은 물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메타아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은 상기에서 정한 첨가량의 범위보다 적게 첨가할 경우에는 반응속도가 늦어지고 내구성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상기에서 정한 첨가량의 범위보다 많이 첨가할 경우에 반응속도가 빨라 반응속도조절이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은 상기에서 정한 첨가량의 범위보다 적게 첨가할 경우에는 반응속도가 늦고, 상기에서 정한 첨가량의 범위보다 많이 첨가할 경우에 라텍스 안정성이 부족하여 응고물이 다량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타코닉산(itaconic acid)은 상기에서 정한 첨가량의 범위보다 적게 첨가할 경우에는 중합안정성 떨어지고, 상기에서 정한 첨가량의 범위보다 많이 첨가할 경우에 내수성,방수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퓨마릭산(fumaric acid)은 상기에서 정한 첨가량의 범위보다 적게 첨가할 경우에는 라텍스 안정성이 떨어져 pH를 조정할 때 점도가 급상승할 우려가 있고, 상기에서 정한 첨가량의 범위보다 많이 첨가할 경우에 점도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음이온 유화제는 소디움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소디움옥틸설페이트, 소디움톨루엔설포네이트, 포타슘스테아릴포스페이트 및 포타슘스테아레이트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 유화제의 첨가량은 상기에서 정한 범위보다 적게 첨가하면 중합속도가 느려지고 중합안정성이 저하되어 다량의 응고체가 형성되어 생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그리고 상기에서 정한 범위보다 많이 첨가하면 중합속도가 빨라지고 안정성이 높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과도한 유화제의 사용으로 인해 다량의 거품(foam) 발생과 최종 제품의 가공물성에 나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암포트릭(amphoteric) 안정제는 노닐페닐에테르슬폰산염 또는 노닐폐닐에테르슬퐁산 암모늄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포트릭(amphoteric) 안정제의 첨가량은 상기에서 정한 범위보다 적게 첨가하면 반응계의 PH가 산성계열로 변하여 중합안정성, 라텍스 안정성이 떨어져 응고물이 다량 발생할 우려가 있고, 그리고 상기에서 정한 범위보다 많이 첨가하면 콘크리트 내구성,접착성, 방수성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반응개시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테트라 부틸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암모늄퍼설페이트, 포타슘퍼설페이트, 아세틸퍼옥사이드 및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중에서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개시제의 첨가량은 상기에서 정한 범위보다 적게 첨가하면 반응 속도가 느려 미반응 단량체가 다량 잔류하여 생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그리고 상기에서 정한 범위보다 많이 첨가하면 급격한 반응에 의해 중합체의 안정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분자량 조절제는 n-도데실메르캅탄, t-도데실 메르캅탄 및 n-옥틸메르캅탄 중에서 1 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의 첨가량은 상기에서 정한 범위보다 적게 첨가하면 그라프트율이 낮아 합성라텍스의 물성을 얻기 어려울 우려가 있고, 그리고 상기에서 정한 범위보다 많이 첨가하면 과도한 그라프트율에 의해 도리어 합성라텍스의 물성을 얻기 어려울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가교제는 디비닐벤젠, 1,3-부탄디올 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아릴 아크릴레이트, 아릴 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1 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의 첨가량은 상기에서 정한 범위보다 적게 첨가하면 충분한 가교가 일어나지 않을 우려가 있고, 그리고 상기에서 정한 범위보다 많이 첨가하면 글라스 전이온도 높아 휨 강도가 높아질 우려가 있다.
상술한 시드(seed)라텍스와 주제인 폴리부타디엔 라텍스와 아크릴로니트릴모노마,스티렌 모노머와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각종 첨가제들을 반응기에 일괄 투입하여 상압 하에서 70 내지 90℃의 조건에서 7 내지 9시간 동안 유화중합 및 그라프트 반응시켜 합성시키면, 본 발명의 에스엔비알 합성라텍스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 제조방법에서 상기에서 정한 범위보다 반응압력 및 반응온도가 낮거나 또는 반응시간이 짧을 경우에는 충분한 합성 반응이 일어나지 아니하여 미반응 물질이 많이 잔류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그리고 상기에서 정한 범위보다 반응압력 및 반응온도가 높거나 또는 반응시간이 길 경우에는 불록중합이 일어나 라텍스안정성이 나빠지고, 겔화가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이 고압반응기를 이용하여 70℃이상의 고온 조건에서 20시간 이상 반응시키는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압하에서 70 내지 90℃에서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고압반응기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종래의 설비에 비해 폭발 위험성이 없어 안전하고, 제조설비가 간단하여 운전하기 쉬우며, 그리고 반응시간이 9시간 이내로서 종래의 20시간에 방법에 비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스엔비알 라텍스는, 가소제를 전혀 사용하지 아니하고 합성시킨 것으로 유화제를 과다 사용하지 않고, 스틸렌 모노머 량을 대폭 줄이는 대신에 수용성모노머인 아크릴로니트릴을 투입하고,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이용하여 유화중합반응시킴으로써, 화학적, 기계적, 물리적 안정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포름알데히드가 검출되지 않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함량이 낮고,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는 친환경적인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는 수용액 상에 현탁된 합성 라텍스 입자의 시드(seed)에 디비닐벤젠과 같은 가교제를 넣어 가교 구조를 갖게 하고, 스틸렌 모노머 대신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마로 대체하고 그리고 시드(seed)의 껍질부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이타코닉산, 퓨마릭산과 같은 불포화카르복실산을 결합시켜 합성 라텍스의 유동성, 접착성, 방수성, 내구성 등과 같은 물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내유성,내열성,내한성,내화학성,내마모성,내오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질 수 있는 에스엔비알(S-NBR) 라텍스는, 아크릴로니트릴 19~50 중량%, 스티렌 10~35 중량% 및 부타디엔 30~50 중량%를 포함하고; 전 고형분 함량이 46~50 중량%이고, pH가 9 내지 11이며, 점도가 100 cps 이하이고, 전체 입자경이 1400~1800Å이며 미반응 모노머 함량이 100 ppm 이하인 것이다. 또한 표면장력 45dyne/㎝이하이고, 응고분이 0.1 중량%이하인 것이다.
이와 같은 에스엔비알 합성라텍스의 물성은 이를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몰탈, 방수제 등에 첨가하는 경우 각각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다.
그 특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부타디엔 함유량은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의 총 중량에 대한 부타디엔 중량비로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몰탈, 방수제의 휨, 부착강도, 탄성, 균열저항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다. 부타디엔 함유량이 높으면 인장력과 신율 탄성은 우수하고 휨강도가 낮아지고, 낮으면 압축강도가 높아지고, 취성적인 성질이 나타낸다.
둘째로, 전 고형분 함유량은 라텍스 총 중량에 대한 고형분의 중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라덱스의 점도에 영향을 미치고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몰탈, 방수제의 부착력, 휨, 인장강도 및 투수성, 방수성, 내구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이다. 전 고형분 함유량이 높을수록 라텍스의 점도는 증가하게 되고, 허용 고형분보다 적을 경우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몰탈, 방수제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된다.
셋째로, pH가 높을 경우 카르복실기와 pH조정제의 금속이온인 칼륨, 나트륨 이온과의 에스테르반응으로 라텍스 점도가 급상승하여 시멘트와 라텍스간의 혼화력 분산력이 저하되어 강도 및 제반 물성이 떨어진다.
넷째로, 점도가 높으면 모빌믹서의 교반시간이 짧아 시멘트와 라텍스와의 혼화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개질콘크리트의 제반물성이 떨어지고 모빌믹서의 라텍스 이송라인이 적어 이송펌프에 부하가 걸려 정량투입이 어려워질 수 있다.
다섯째로, 표면장력이 높으면 시멘트와 라텍스의 혼화 분산성이 떨어지고 개질콘크리트 및 몰탈의 제반물성을 저하시키고 낮으면 분산력 혼화성이 좋아져서 유동성 가사시간이 좋고 개질콘크리트 및 몰탈의 제반물성이 향상되다. 따라서 40 이하가 적정하다.
여섯째로, 입자경이 작으면 시멘트입자에 흡착이 많아 접착력 휨강도 방수성능이 우수하고, 크면 분포도가 적어 개질콘크리트 및 몰탈 제반성능을 저하시키고, 라텍스의 저장 안정성이 떨어진다.
일곱 번째로, 응고량이 높으면 라텍스의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이 떨어져서 개질 콘크리트 및 몰탈의 물성을 저하시키고, 모빌믹서의 여과기 막힘 현상으로 라텍스의 정량투입이 어렵고 제반물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엔비알의 제반 물성은 상술한 인자들에 있어서 최적 범위를 충족하는 것으로, 이로써 이를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 및 폴리머 시멘트 개질제용으로 첨가하는 경우 보통 콘크리트 및 시멘트몰탈의 물성에 비해 혼화성, 접착성, 강도, 방수성, 내구성 등과 같은 제반 물성이 향상되고 특히 내유성,내열성, 내한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내오존성이 우수하다.
이렇게 개질한 개질콘크리트 또는 몰탈은 굳지 않은 상태에서는 유동성이 크게 향상되고 재료분리저항성이 우수하며, 경화 후에는 라텍스 입자가 콘크리트 또는 몰탈 내부의 미세공극을 채워 충진재 역할을 함과 동시에 필름 막을 형성하여 방수 역할을 하며, 인장강도 및 부착강도가 매우 크고, 그리고 균열저항성이 좋아 콘크리트의 제반 성능을 크게 개선되고 내유성,내열성,내한성,내화학성,내마모성,내오존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는 그 첨가량이 시멘트와의 총량에 대하여 10~30 중량% 되는 양으로 첨가시키면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발현할 수 있다.
(B)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는 초속경시멘트
본 발명의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은 상기한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를 포함함과 더불어, 시멘트로서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는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한다.
메타카올린을 혼입한 초속경시멘트와 에스엔비알 합성라텍스를 사용한 개질 콘크리트은 포장 부분의 단면보수 공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고령토 산업부산물인 메타카올린을 혼입한 초속경 시멘트와 본 발명의 에스엔비알 합성라텍스를 사용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은 특히 초기강도 발현, 방수성, 고내수성 및 부착성능에 있어서 우수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시멘트는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는 초속경시멘트일 수 있다.
메타카올린을 포함한 초속경시멘트는 메타카올린과 초속경 계열의 시멘트를 프리믹스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이는 초기강도 발현과 수밀성 및 부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메타카올린을 포함한 초속경시멘트와 함께, 본 발명의 에스엔비알 합성라텍스를 사용하면 부착성능 및 방수성이 개선되어 궁극적으로 콘크리트 부착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일예로,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는 초속경시멘트는 메타카올린과 초속경시멘트와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 되는 양으로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는 것이 초기강도 발현, 방수성, 고내수성 및 부착성능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MK-LMC로 약칭하고자 한다.
(C)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시공 방법
본 발명의 MK-LMC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로는, 시멘트 14 내지 20 중량%, 잔골재 37 내지 47 중량%, 굵은골재 28 내지 39 중량%,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 2.5 내지 6.2 중량% 및 물 2.6 내지 6.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MK-LMC는 시공 후 3-4시간 이내에 교통개방이 가능한 재포장공법이며 상용재료와 유사하므로 시공이 용이한 시공성을 충족하고, 고강도, 고내구성 및 부착성이 우수하며, 신구면 간의 접착, 방수성, 균열저항성이 우수하고, 기존 바닥판 콘크리트와 일체화 거동 및 구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경제적이며 도로주행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공용 수명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에 비하여 라텍스의 혼입율을 줄이더라도 목적하는 물성을 달성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또한 산업 부산물인 메타카올린을 재활용하는 것으로서 친환경적인 건설재료이며, 낮은 온도에서 생산된 엔스엔비알 라텍스를 사용함으로써 저탄소 재료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동결융해 저항성이 우수하고 표면박리저항성이 우수하며 염소이온침투성이 우수한 고기능성을 발현할 수 있다.
이러한 MK-LMC는 그 적용범위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일예로 노추바닥판 콘크리트, 아스콘 교면포장, 콘크리트 포장부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MK-LMC를 사용한 시공의 절차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예로 먼저 시공부의 포장상태를 조사하고, 열화부를 제거하고, 그 표면을 청소하며 발생되는 폐수를 처리한다. 다음 MK-LMC를 포설 및 마무리하고, 타이닝 및 피막양생제를 살포한 다음, 습윤 양생포를 도포한 다음, 3 내지 4시간 경과면 개방할 수 있다.
제조예: 합성고무라텍스의 제조
(제조예 1)
시드(seed) 라텍스 20 중량부, 폴리부타디엔 라텍스 1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50 중량부, 스티렌모노머 10 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메타크릴산 3 중량부, 이타코닉산 1 중량부, 퓨마릭산 1 중량부 및 음이온 유화제인 소디움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0.2 중량부, 암포트릭 안정제인 노닐페닐에테르슬폰산염 0.1 중량부, 반응개시제인 벤조일퍼옥사이드 2 중량부, 분자량 조절제인 n-도데실메르캅탄 1 중량부, 가교제인 디비닐벤젠 0.5 중량부를 동시에 반응기에 투입하여 상압 하에서 80℃의 조건에서 8 시간 동안 유화중합 및 그라프트 반응시켜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에스엔비알 합성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시드(seed)라텍스 20 중량부, 폴리부타디엔 라텍스 2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40 중량부,스티렌모노머 12 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메타크릴산 1 중량부, 이타코닉산 1 중량부, 퓨마릭산 1 중량부 및 음이온 유화제인 소디움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0.2 중량부, 암포트릭 안정제인 노닐페닐에테르슬폰산염 0.1 중량부, 반응개시제인 벤조일퍼옥사이드 2 중량부, 분자량 조절제인 n-도데실메르캅탄 1 중량부, 가교제인 디비닐벤젠 0.5 중량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에스엔비알 합성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시드(seed)라텍스 25 중량부, 폴리부타디엔 라텍스 15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30 중량부,스티렌모노머 20 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메타크릴산 1 중량부, 이타코닉산 1 중량부, 퓨마릭산 1 중량부 및 음이온 유화제인 소디움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0.5 중량부, 암포트릭 안정제인 노닐페닐에테르슬폰산염 0.3 중량부, 반응개시제인 벤조일퍼옥사이드 5 중량부, 분자량 조절제인 n-도데실메르캅탄 3 중량부, 가교제인 디비닐벤젠 1.0 중량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에스엔비알 합성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시드(seed)라텍스 25 중량부, 폴리부타디엔 라텍스 15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0 중량부 스티렌모노머 35 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메타크릴산 1 중량부, 이타코닉산 1 중량부, 퓨마릭산 1 중량부 및 음이온 유화제인 소디움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0.5 중량부, 암포트릭 안정제인 노닐페닐에테르슬폰산염 0.3 중량부, 반응개시제인 벤조일퍼옥사이드 5 중량부, 분자량 조절제인 n-도데실메르캅탄 3 중량부, 가교제인 디비닐벤젠 1.0 중량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에스엔비알 합성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4에 사용한 시드(seed) 라텍스는 폴리부타디엔 라텍스로써, 입자의 크기가 600~1,000Å인 것을 사용하였으며, 그리고 폴리부타디엔 라텍스의 기본물성은 고형분 38~41 중량%, 반응전환율 98%, 점도 70cps, 표면장력 45dyne/㎝, 겔 함량 70-85 중량%. 응고물 0.2 중량%이하인 것을 사용하였다.
(제조비교예 1)
반응기에 이온수 165 중량부에 부타디엔 단량체 90 중량부, 스티렌 단량체 10.0 중량부의 25%와 유화제인 소디움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1.5 중량부와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7 중량부, 분자량 조절제인 n-도데실메르캅탄 0.5 중량부, 안정제인 노닐페닐에테르슬폰산염 0.3 중량부를 일괄투입하여 40℃에서 1시간 정도 교반한 다음 섞이게 한 후 소듐바이슬파이드 0.2 주량부를 투입하여 50℃로 승온시켜 2시간 반응시켰다.
이때, 합성된 시드(seed)은 입자경이 1,000 Å, 고형분의 함량 38 중량%, 겔 함량이 70 중량%가 되는데 이 시드(seed)을 이용하여 비교예 1에 적용시켜 시드(seed)의 껍질부를 중합시킨다.
상기의 고압반응기에서 합성시킨 시드(seed) 라텍스 15 중량부에 부타디엔 모노머 20 중량부, 스티렌모노머 55 중량부, 카르복실 모노머 5 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터셔리도데실머캅탄 0.9 중량부, 로진염 0.7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계 비이온 염 4.5 중량부를 투입한 다음 55℃에서 개시하여 초기 반응이 완료되는 2시간 후에 55℃에서 60℃로 승온시켜 6시간 반응시킨 다음 65℃에서 12시간 반응시킨 후 70℃로 활성화시켜 반응을 종료하고, 라텍스 고형분이 낮아(43.1%) 농축 및 증류하였다.
상기 제조예예 1 내지 4에 따라 얻어진 에스엔비알 합성라텍스 및 제조비교예 1의 합성고무라텍스의 기본물성 및 라텍스 필름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아래 표 1의 내용과 같다.
시험항목 제조예 제조비교예
1 2 3 4 1
전 고형분(중량%) 47.0 47.0 47.0 47.0 47.0
PH(25) 10.2 10.5 10.3 10.7 10.5
점도((25)(cps) 37.0 42.0 46.0 34.0 180.0
응고분(중량%) 0.02 0.02 0.02 0.03 0.12
동결-해동 안정도(-10) 0.07 0.06 0.09 0.08 0.18
표면장력(25) 36.3 37.9 32.8 32.0 47.0
입자경() 1,615 1,577 1,542 1,544 1,900
부타디엔 함유량(중량%) 30.0 40.0 40.8 38.9 35.0
아크릴로 니트릴 함유량(중량%) 50.0 40.0 30.6 19.4 -
스틸렌 함유량(중량%) 10.0 12.0 20.4 34.0 55.0
신장율(%) 557.0 512.0 445.0 417.0 200.0
인장강도(kg/) 480.0 420.0 408.0 389.0 280.0
내유성(팽윤%) 1.3 2.7 3.2 4.1 23.5
내약품성(%) 0.3 0.3 0.2 0.5 1.7
상기 표 1의 내용에 의하면, 고압법에 의해 스티렌 부타디엔 합성라텍스를 합성시킨 제조비교예 1과 상압법에 의해 콘크리트 교면포장 및 폴리머 시멘트 개질제용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를 합성시킨 제조예 1 내지 4의 물성을 대비하여본 결과, 제조예 1 내지 4는 비교예 1에 비해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높을수록 라텍스 기본물성 및 건조 후 필름물성인 신장율, 인장강도, 내유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게 나타내었다.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올라갈수록 유화제의 양도 늘어남에 따라 입자경이 낮아지는 현상도 있었다.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높을수록 Tg(유리전이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너무 낮은 Tg는 콘크리트의 낮은 압축강도를 초래하였다. 이에 부타디엔 함량과 스티렌 함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비슷한 Tg를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실시예: 합성고무 라텍스 조성물 및 그의 물성평가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얻어진 에스엔비알 합성고무라텍스(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및 메타카올린을 포함(실시예 1 및 2)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의 평가를 위해 다음 표 2와 같은 배합비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는 상기 상기 제조비교예 1로부터 얻어진 합성고무라텍스를 포함하는 라텍스 개질콘크리트 조성물이다.
Figure 112015101934851-pat00002
주 1) 비중 2.64, 조립율 2.96, 입도 KS F 2536에 의함
2) 비중 2.70, 조립율 6.44, 입도 KS F 2536에 의함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로부터 얻어진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의 품질평가 결과는 다음 표 3으로 정리한 바와 같다.
표 3의 기재에서, 슬럼프는 KS F 2402), 공기량은 KS F 2421, 휨강도는 KS F 2408, 압축강도는 KS F 2405, 부착강도는 KS F 2762, 염소이온침투저항성은 KS F 2711, 동결융해저항성은 KS F 2456 A, 스케일링저항성은 SS1372 44 A에 의거하여 평가한 결과이다.
Figure 112015101934851-pat00003
( 실시예 3)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얻어진 에스엔비알 합성고무라텍스 및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는 MK-LMC가 단면보수재로서 유용한 것을 평가하기 위하여 물:시멘트:메타카올린:잔골재:굵은골개:라텍스의 배합비율을 88:342:18:924:771:92.2 kg/㎥로 하여(굵은 골재 최대치수 19mm)로 하여 MK-LMC를 제조하였다.
이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는 다음 표 4과 같다.
Figure 112015101934851-pat00004
( 실시예 4)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얻어진 에스엔비알 합성고무라텍스 및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는 MK-LMC가 교면포장체로서 유용한 것을 평가하기 위하여 물:시멘트:메타카올린:잔골재:굵은골개:라텍스의 배합비율을 88:342:18:924:771:92.2 kg/㎥로 하여(굵은골재 최대치수 19mm)로 하여 MK-LMC를 제조하였다.
이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Figure 112015101934851-pat00005
상기에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2)

  1. 시멘트, 잔골재, 굵은 골재 및 합성고무라텍스를 포함하는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합성고무라텍스는 아크릴로니트릴 19~50 중량%, 스티렌 10~35 중량% 및 부타디엔 30~50 중량%를 포함하고; 전 고형분 함량이 46~50 중량%이고, pH가 9 내지 11이며, 점도가 100 cps 이하이고, 전체 입자경이 1400~1800Å이며 미반응 모노머 함량이 100 ppm 이하인,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이고,
    시멘트는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는 초속경시멘트로, 메타카올린과 초속경시멘트와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 되는 양으로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는 것이며,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는 그 함량이 시멘트와의 총량에 대하여 10 내지 30중량%에 해당되는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14 내지 20 중량%, 잔골재 37 내지 47 중량%, 굵은골재 28 내지 39 중량%,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 2.5 내지 6.2 중량% 및 물 2.6 내지 6.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는 시드(seed)라텍스 20~30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19~50 중량%, 스티렌모노머 10~35 중량%, 폴리부타디엔 라텍스 10~20 중량%,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4~15 중량%,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0.8~3 중량%, 이타코닉산(itaconic acid) 0.9~3 중량% 및 퓨마릭산(fumaric acid) 0.9~3 중량%를 포함하는 라텍스의 주제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로서 음이온 유화제 0.2~0.5 중량부, 암포트릭(amphoteric) 안정제0.1~0.3 중량부, 반응개시제 1~5중량부, 분자량 조절제 0.5~2 중량부, 가교제 1~2 중량부를 반응기에 일괄 투입하여 상압 하에서 70 내지 90℃에서 7 내지 9 시간 동안 유화중합 및 그라프트 반응시켜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시드(seed)라텍스는 입자의 크기가 600Å∼1,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폴리부타디엔 라텍스는 입자경이 600~1,000 Å, 고형분의 함량이 38~41 중량%, 겔 함량이 70∼8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음이온 유화제는 소디움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소디움옥틸설페이트, 소디움톨루엔설포네이트, 포타슘스테아릴포스페이트 및 포타슘스테아레이트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9. 제 5항에 있어서,
    암포트릭(amphoteric) 안정제는 노닐페닐에테르슬폰산염 및 노닐폐닐에테르 암모늄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10. 제 5항에 있어서,
    반응개시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테트라 부틸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암모늄퍼설페이트, 포타슘퍼설페이트, 아세틸퍼옥사이드 및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중에서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11. 제 5항에 있어서,
    분자량 조절제는 n-도데실메르캅탄, t-도데실 메르캅탄 및 n-옥틸메르캅탄 중에서 1 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12. 제 5항에 있어서,
    가교제는 디비닐벤젠, 1,3-부탄디올 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아릴 아크릴레이트, 아릴 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코올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1 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150146379A 2015-10-21 2015-10-21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1590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379A KR101590490B1 (ko) 2015-10-21 2015-10-21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379A KR101590490B1 (ko) 2015-10-21 2015-10-21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490B1 true KR101590490B1 (ko) 2016-02-01

Family

ID=5535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379A KR101590490B1 (ko) 2015-10-21 2015-10-21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4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653B1 (ko) * 2016-03-28 2017-04-06 (주)콘텍이엔지 흡수율이 개선된 고기능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839594B1 (ko) * 2017-07-21 2018-03-16 정의우 반강성포장 및 폴리머 시멘트 개질제용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 및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20190010406A (ko) * 2018-03-09 2019-01-30 정의우 반강성 포장을 위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2196249B1 (ko) 2020-03-17 2020-12-31 (주)에이치에스드림텍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공법
KR102606774B1 (ko) * 2023-06-19 2023-11-29 상상시티(주)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1804A (ja) * 2005-06-23 2007-01-11 Emulsion Technology Co Ltd ポリマーセメント用アクリル樹脂エマルジョン、ポリマーセメント用アクリル樹脂エマルジョン組成物、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および防水層の形成方法
KR100871318B1 (ko) * 2007-05-29 2008-12-01 이봉규 콘크리트 개질제용 카르복실레이트 스티렌 부타디엔합성라텍스의 제조방법
KR101119237B1 (ko) * 2011-12-07 2012-03-21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덧씌우기 포장공법
KR101355400B1 (ko) * 2013-08-09 2014-01-28 주식회사 청호 내구성이 개선된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유지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1804A (ja) * 2005-06-23 2007-01-11 Emulsion Technology Co Ltd ポリマーセメント用アクリル樹脂エマルジョン、ポリマーセメント用アクリル樹脂エマルジョン組成物、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および防水層の形成方法
KR100871318B1 (ko) * 2007-05-29 2008-12-01 이봉규 콘크리트 개질제용 카르복실레이트 스티렌 부타디엔합성라텍스의 제조방법
KR101119237B1 (ko) * 2011-12-07 2012-03-21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덧씌우기 포장공법
KR101355400B1 (ko) * 2013-08-09 2014-01-28 주식회사 청호 내구성이 개선된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유지보수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653B1 (ko) * 2016-03-28 2017-04-06 (주)콘텍이엔지 흡수율이 개선된 고기능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839594B1 (ko) * 2017-07-21 2018-03-16 정의우 반강성포장 및 폴리머 시멘트 개질제용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 및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20190010406A (ko) * 2018-03-09 2019-01-30 정의우 반강성 포장을 위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1950638B1 (ko) 2018-03-09 2019-02-20 정의우 반강성 포장을 위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2196249B1 (ko) 2020-03-17 2020-12-31 (주)에이치에스드림텍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공법
KR102606774B1 (ko) * 2023-06-19 2023-11-29 상상시티(주)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490B1 (ko)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1950639B1 (ko) 방수성이 우수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1685141B1 (ko) 합성고무 라텍스 제조방법
KR100871318B1 (ko) 콘크리트 개질제용 카르복실레이트 스티렌 부타디엔합성라텍스의 제조방법
JP2017521519A (ja) 柔軟型セメント系防水材用の、ヒドロキシアルキル(メタ)アクリレート官能性モノマー単位を含む(メタ)アクリレートコポリマーの分散液
JP4930966B2 (ja) ポリマーセメント用アクリル樹脂エマルジョン、ポリマーセメント用アクリル樹脂エマルジョン組成物、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および防水層の形成方法
KR101839594B1 (ko) 반강성포장 및 폴리머 시멘트 개질제용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물 합성고무라텍스 및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2164527B1 (ko) 저온에서 우수한 경화를 가지는 라텍스 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94432B1 (ko) 하이브리드 합성고무 라텍스를 이용한 라텍스 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TW201922894A (zh) 改質液狀二烯系橡膠
KR101906103B1 (ko) 열화방지 및 염해방지에 우수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94430B1 (ko)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저온에서 우수한 경화를 가지는 라텍스 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KR100348758B1 (ko)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럭공중합체와 스티렌-부타디엔라텍스로 이루어진 아스팔트 개질제
JP4599895B2 (ja) 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JP2008081368A (ja) セメントモルタル用水性樹脂分散体及びその組成物
KR102052500B1 (ko) 인시츄 트리모달 고무 라텍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0638B1 (ko) 반강성 포장을 위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1676293B1 (ko) 콘크리트 혼화용 아크릴계 합성라텍스 및 이의 제조방법
JP433348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
JP4248949B2 (ja) セメント用水性樹脂分散体及びその組成物
KR20190135150A (ko) 에멀젼계 첨가제를 활용한 상온 재생 아스팔트 조성물
KR101665486B1 (ko) 콘크리트 혼화용 아크릴계 합성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에 의한 교면포장 및 보수공법
KR102136558B1 (ko) 아크릴 폴리머를 이용한 고성능 콘크리트 혼화제 조성물 및 그 혼화제 제조방법
KR102606774B1 (ko) 메타카올린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JP4509587B2 (ja) セメントモルタル用水性樹脂分散体及びその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