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694B1 - 하지 진동 장치 및 고관절의 자극 방법 - Google Patents

하지 진동 장치 및 고관절의 자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694B1
KR101588694B1 KR1020137010050A KR20137010050A KR101588694B1 KR 101588694 B1 KR101588694 B1 KR 101588694B1 KR 1020137010050 A KR1020137010050 A KR 1020137010050A KR 20137010050 A KR20137010050 A KR 20137010050A KR 101588694 B1 KR101588694 B1 KR 101588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ccentric cam
heel
motor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0554A (ko
Inventor
키쿠노리 츠카사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엠케이알-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엠케이알-제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엠케이알-제이
Publication of KR20150010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4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18C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 A61H2201/1678Means for angularly oscillating massag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과제] 하지 말단인 하퇴부를 이완시킨 채 하지 기단인 고관절에 자극을 가하여 소위 다리 떨기 운동을 할 수 있는 하지 진동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발바닥(4)의 발뒤꿈치부(41)를 올려놓을 수 있게 된 동작판(2)이 모터(3)와 연동되어 설치되고, 동작판(2)은 발가락끝부(42)가 올려놓여지는 바닥면(G)에 대하여 4㎝ 이하의 높이 위치를 하한 위치로 하여서 상기 모터(3)의 구동력에 의해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이 상하동하도록 구성되어서 이루어지는 하지 진동 장치(1)이다. 모터(3)는 출력축(32)에 편심 캠(34)이 설치되고, 이 편심 캠(34) 상에는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피벗 장착된 회동판(6)이 접촉되어서 이루어지고, 동작판(2)은 하우징(50)을 설치한 바닥면(G)에 발바닥(4)을 올려놓았을 때에 발뒤꿈치부(41)를 바닥면(G)으로부터 4㎝ 이하 높이의 하한 위치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우징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판(6)의 타단에 연결되어 편심 캠(34)의 회전에 의해 회동판(6)이 피벗 장착된 일단을 지점으로 해서 상하로 회동함으로써 상하동한다.

Description

하지 진동 장치 및 고관절의 자극 방법{THE INFERIOR LIMB VIBRATING DEVICE AND THE STIMULATION APPROACH OF THE HIP JOINT}
본 발명은 지면에 가만히 놓아둔 발가락끝부에 대하여 발뒤꿈치부를 상하동시키는 소위 다리 떨기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하지 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위 다리 떨기를 자동적으로 행해서 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건강 기구로서 발바닥 전체를 얹도록 형성된 발 얹음부의 하면에 롤러를 설치하고, 이 롤러를 회전시켜서 발 얹음부를 상하로 진폭 시키도록 구성한 발 건강 기구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11-194051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발 건강 기구의 경우 발 얹음부에 의해 발바닥 전체가 지지되어 버리므로 하지를 이완시킬 수 없어 원활한 다리 떨기 운동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발 얹음부의 하면에 설치한 롤러에 의해 발 얹음부를 상하로 진폭시키고 있으므로 운동 개시 상태에서 이미 발뒤꿈치부를 들어올린 까치발 상태가 되어 발바닥이 과도하게 저굴된 상태가 되므로 역시 하지를 이완시킬 수 없어 원활한 다리 떨기 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하지 말단인 하퇴부를 이완시킨 채 하지 기단인 고관절에 자극을 가하여 소위 다리 떨기 운동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하지 진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지 진동 장치는 발바닥의 발뒤꿈치부를 올려놓을 수 있게 이루어진 동작판이 모터와 연동되어 설치되고, 동작판은 발가락끝부가 올려놓여지는 발가락끝 올려놓음면에 대하여 4㎝ 이하의 높이 위치를 하한 위치로 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이 상하동하도록 구성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지 진동 장치에 있어서 모터는 출력축에 편심 캠이 설치되고, 이 편심 캠 상에는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피벗 장착된 회동판이 접촉되어 이루어지고, 동작판은 하우징을 설치한 바닥면에 발바닥을 올려놓았을 때에 발뒤꿈치부를 이 바닥면에서부터 4㎝ 이하 높이의 하한 위치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우징 측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회동판의 타단에 연결되어 편심 캠의 회전에 의해 회동판이 피벗 장착된 일단을 지점으로 해서 상하로 회동함으로써 상하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지 진동 장치에 있어서 동작판은 상하동했을 때의 하한 위치에 있어서는 그 하측에 1㎝ 이상의 간극을 형성하고, 상한 위치에 있어서는 바닥면으로부터 10㎝ 이하의 높이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하지 진동 장치에 있어서 동작판은 상하동했을 때의 하한값과 상한값의 고저차가 2㎝±1㎝로 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관절 자극 방법은 앉은 자세에서 가만히 놓아둔 발바닥의 발가락끝부에 대하여 발바닥의 발뒤꿈치부를 상하동시키는 하지 진동 장치에 의해 상하로 타동 운동시켜 하지를 이완시킨 채 하지의 기단부인 고관절을 자극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관절의 자극 방법에 있어서 발바닥은 발관절에 부담이 가해지지 않도록 수평에 대하여 20도 이하로 배굴한 상태부터 45도 이하로 저굴한 상태까지의 범위 중 원하는 각도 영역의 범위에서 발가락끝부에 대하여 발뒤꿈치부를 상하동시킨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뒤꿈치부를 올려놓는 동작판은 발가락끝부가 올려놓여지는 발가락끝 올려놓음면에 대하여 4㎝ 이하의 높이 위치를 하한 위치로 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이 상하동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발바닥이 과도하게 저굴하지 않고 소위 다리 떨기 운동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하지 전체를 이완시킨 채 다리 떨기 운동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어 하지의 기단부인 고관절을 유효하게 자극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지 진동 장치의 전체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지 진동 장치의 전체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지 진동 장치의 전체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지 진동 장치의 회동판을 들어올려서 편심 캠을 노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하지 진동 장치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하한 위치 및 상한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5의 (a) 및 (b)에 있어서의 사용자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지 진동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지 진동 장치(1)를 나타내고, 도 4는 동일한 하지 진동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도 5 및 도 6은 동일한 하지 진동 장치(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하지 진동 장치(1)는 동작판(2)이 모터(3)와 연동되어 설치되어 이 동작판(2)의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이 상하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동작판(2)은 발바닥(4)의 발뒤꿈치부(41)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을 갖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의 일단 가장자리에는 상방으로 세움편(22)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세움편(22)은 동작판(2)의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에 발뒤꿈치부(41)를 얹었을 때에 발뒤꿈치부(41)의 스토퍼가 된다. 동작판(2)의 적어도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은 발바닥(4)의 발뒤꿈치부(41)를 올려놓았을 때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 미끄럼 방지 가공으로서는 홈 가공이나 엠보싱 가공 등 표면에 요철을 형성해서 미끄럼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어도 좋고, 고무제, 수지제, 포제의 미끄럼 방지재를 붙이는 것이어도 좋다.
모터(3)는 기판(5) 상에 고정되어 기어 박스(31)를 통해 출력축(32)에 회전력을 구동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출력축(32)의 선단은 베어링(33)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이 베어링(33)과 상기 기어 박스(31) 사이의 출력축(32) 부분에 편심 캠(3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편심 캠(34)으로서는 예를 들면 직경 약 2㎝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으로부터 약 3㎜ 편심된 위치에서 출력축(32)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심 캠(34)은 그 상방으로부터 회동판(6)이 접촉된다. 이 회동판(6)은 편심 캠(34)에 접촉되는 편심 캠 접촉부(61)와 동작판(2)이 고정되는 동작판 고정부(62)가 단차부(63)를 통해 단차를 형성하도록 긴 판 형상의 강판을 굴곡 형성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회동판(6)의 편심 캠 접촉부(61)는 편심 캠(34)과 접촉하는 부분에 접촉판(61a)이 설치되어 보강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이 편심 캠(34)의 상방으로부터 접촉판(61a)이 접촉되도록 편심 캠(34)에 회동판(6)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 회동판(6)의 편심 캠 접촉부(61)측의 단부는 기판(5)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브래킷(51)의 선단과 회동 가능하게 피벗 장착되어서 힌지부(6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회동판(6)은 동작판 고정부(62)측의 단부로부터 동작판(2)이 돌출되도록 동작판 고정부(62) 상에 동작판(2)이 고정된다. 이 고정 상태에서 회동판(6)의 단차부(63)와 동작판(2)의 세움편(22)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으로부터 세움편(22)측만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모터(3)를 포함하는 모든 구동 기구가 하우징(50)에 수납된다. 단, 기판(5)은 동작판(2)의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에 발바닥(4)의 발뒤꿈치부(41)를 올려놓았을 때에 안정되도록 이 동작판(2)의 하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바닥(4)의 발뒤꿈치부(41)를 동작판(2)의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에 올려놓았을 때에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이 기울어져 바닥면(G)에 접촉하지 않도록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의 세움편(22)측으로부터 대향하는 단부까지의 거리(a)의 1/3, 바람직하게는 절반 이상의 거리(b)에 걸쳐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회동판(6)은 모터(3)로부터 구동 전달되는 편심 캠(34)의 회전에 따라 힌지부(64)를 지점으로 해서 회동하고, 이 회동판(6)에 의해 동작판 고정부(62)에 고정된 동작판(2)이 상하동하게 된다. 이때, 상하동의 진폭은 편심 캠(34)의 편심 상태나, 회동판(6)의 길이나, 편심 캠(34)에 접촉시키는 회동판(6)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동작판(2)이 가장 낮은 하한 위치(PL)가 되도록 회동판(6)과 편심 캠(34)이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동작판(2)의 하측에는 연장된 기판(5)과의 사이에 1㎝ 이상의 간극(DL)이 형성되도록 하한 위치(PL)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간극(DL)이 1㎝ 미만이 되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간극(DL)이 1㎝ 이상으로 됨으로써 동작판(2)의 하측에 아이가 실수로 손가락을 넣어서 다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의 간극(DL)을 형성해 두는 것이 보다 안전하다. 단, 이 간극(DL)을 지나치게 크게 설정하면 동작판(2)의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에 발바닥(4)의 발뒤꿈치부(41)를 얹은 상태에서 바닥면(G)에 올려놓여지는 발가락끝부(42)에 대하여 발뒤꿈치부(41)의 하한 위치(PL)가 높아진 저굴 상태가 되고, 여기서부터 더욱 저굴되게 되어 하퇴부로의 부하가 증가해버린다. 따라서, 발바닥(4)의 발가락끝부(42)가 올려놓아지는 바닥면(G)에 대하여 발뒤꿈치부(41)가 4㎝ 이하의 높이 범위가 되도록 동작판(2)의 하한 위치(PL)는 설정된다. 동작판(2)을 2㎜의 두께로 형성한 것으로 하고 상기한 하한 위치(PL)는 바닥면(G)으로부터 12㎜ 이상 4㎝ 이하의 높이 범위가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이 상한 위치(PH)는 동작판(2)이 가장 높은 상한 위치(PH)가 되도록 회동판(6)과 편심 캠(34)이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바닥(4)의 발가락끝부(42)가 올려놓여지는 바닥면(G)과의 사이가 10㎝ 이하의 거리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것은 10㎝를 초과하면 발바닥(4)의 저굴이 지나치게 강해져서 하퇴부로의 부하가 증가해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동작판(2)이 가장 낮은 하한 위치(PL)가 되도록 회동판(6)과 편심 캠(34)이 접촉하고 있는 상태와 동작판(2)이 가장 높은 상한 위치(PH)가 되도록 회동판(6)과 편심 캠(34)이 접촉하고 있는 상태의 차(PH-PL), 즉 진폭은 6㎝ 이하,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 진폭은 6㎝를 초과하면 일회의 진폭으로 저굴되는 발바닥(4)의 부하가 커져 고령자 등은 발가락끝부(42)를 바닥면(G)에 올려놓을 수 없고, 동작판(2)의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에 발바닥(4) 전체를 얹게 되어버린다. 물론, 이러한 사용 형태로 되어도 좋지만, 이 경우 발바닥(4) 부근의 움직임이 없어져 버리므로 소위 다리 떨기 운동으로서는 충분하지 않게 되어버림과 아울러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하여 모터(3)에의 부담이 커져 버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해서 구성되는 하지 진동 장치(1)는 외부 전원을 취해서 모터(3)를 작동시키는 것이어도 좋고, 하우징(5) 내에 설치한 배터리(도시 생략)에 충전해서 모터(3)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하지 진동 장치(1)는 소위 다리 떨기 운동을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착석하는 의자(7)의 발밑에 설치해서 사용한다. 이때, 의자(7)로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의자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가정에서 사용하는 의자나, 직장에서 사용하는 의자, 장거리 버스, 승용차, 비행기, 열차 등 교통 기관의 좌석, 영화관이나 음악홀 등의 각종 시설의 좌석, 음식점의 좌석 등 모든 장소에 있어서 의자(7)의 발밑에 두고서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이 하지 진동 장치(1)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 하지 진동 장치(1)는 사용자(U)가 착석하는 의자(7)의 발밑에 설치해 둔다. 그리고, 동작판(2)의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에 발바닥(4)의 발뒤꿈치부(41)를 얹고 모터(3)를 작동시킨다.
이 모터(3)의 작동은 전원 코드(도시 생략)의 도중이나 하우징(5)에 설치된 스위치(도시 생략)의 온오프에 의해 행하는 것이어도 좋고, 모터(3)의 제어 회로(도시 생략)를 별체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원격 조작하도록 구성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모터(3)의 작동은 일정한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이어도 좋고, 스위치(도시 생략)나 리모트 컨트롤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어도 좋다.
상기한 모터(3)의 작동에 의해 발가락끝부(42)가 올려놓여진 바닥면(G)에 대하여 동작판(2)의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이 상하동하기 때문에 발뒤꿈치부(41)는 그 상하동(P)에 의해 올라갔다 내려가 소위 다리 떨기 운동을 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동작판(2)의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은 발가락끝부(42)가 올려놓여지는 바닥면(G)에 대하여 하한 위치(PL)에서의 높이를 4㎝ 이하로 하고 있기 때문에 운동 개시 상태에서 발바닥(4)이 과잉으로 저굴된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G)에 대하여 상한 위치(PH)에서의 높이를 10㎝ 이하로 함으로써 발바닥(4)을 적당히 저굴시키면서 소위 다리 떨기 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단, 모터(3)의 회전수가 지나치게 높으면 동작판(2)의 상하동(P)에 발뒤꿈치부(41)가 추종할 수 없어, 동작판(2)에 의해 발뒤꿈치부(41)를 타격하게 됨과 아울러 발가락끝부(42)를 바닥면(G)에 올려놓아 둘 수 없게 되어버린다. 한편, 모터(3)의 회전수가 낮아지면 동작판(2)의 상하동에 발뒤꿈치부(41)가 추종할 수 있지만 너무 지나치게 회전수가 낮아지면 소위 다리 떨기 운동의 횟수가 적어져 버린다. 따라서, 이 모터(3)의 회전수로서는 1분 동안에 5회∼150회, 바람직하게는 30회∼120회, 더욱 바람직하게는 60회∼90회 정도의 상하동(P)을 행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 소위 다리 떨기 운동에 의한 자극은 하지 말단인 발바닥(4)을 반복되는 저굴 운동에 의해 자극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하지 기단인 고관절을 유효하게 회동(T)시켜서 자극할 수 있어 하지 전체를 진동 자극할 수 있다.
따라서, 적극적으로 운동을 할 수 없는 고령자라도 고관절을 유효하게 푸는 것이 가능해 지고, 하지의 가동 영역을 개선해서 보행을 용이하게 하거나 혈행을 좋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고령자가 아니어도 예를 들면 장거리 버스나 비행기, 열차 좌석의 발밑에 이 하지 진동 장치(1)를 설치해서 사용함으로써 소위 이코노미 증후군의 발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지 진동 장치(1)는 동작판(2)의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에 발바닥(4)의 발뒤꿈치부(41)를 얹고 발바닥(4)이 저굴되도록 사용함으로써 고관절을 유효하게 회동(T)시켜서 자극을 가하도록 하고 있지만, 동작판(2)의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에 발바닥(4)의 발가락끝부(42)를 얹고 발바닥(4)이 배굴되도록 사용함으로써 발바닥(4)의 배굴에 의한 자극만을 가하도록 하는 것이어도 좋다. 단, 배굴로 사용할 경우 일반인의 배굴 각도는 저굴 각도의 2/3 정도, 즉 수평 상태의 발바닥(4)으로부터의 저굴 각도 약 45도에 대하여 배굴 각도 약 20도 정도이므로 진폭의 설정은 4㎝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로 설정한 하지 진동 장치(1)를 구성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작판(2)의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21)에 발바닥(4)의 발뒤꿈치부(41)를 얹고 발바닥(4)이 저굴되도록 상하동(P)시켜서 소위 다리 떨기 운동을 행할 경우도, 상기한 저굴 각도 약 45도부터 배굴 각도 약 20도의 범위 중 원하는 각도 범위에서 발뒤꿈치부(41)가 상하동(P)하도록 해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어느 위치에서 발뒤꿈치부(41)를 상하동(P)시키도록 구성된 하지 진동 장치(1)를 이용하는 것이어도 좋다. 단, 저굴 한계 부근(45도)이나 배굴 한계 부근(20도)에서 발뒤꿈치부(41)를 상하동(P)시키도록 구성된 하지 진동 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 발바닥(4)이나 하퇴부에 부하가 가해지므로 발바닥(4)이 수평 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간 저굴된 상태에서부터 더욱 저굴되는 방향으로 상하동(P)시키도록 하여 소위 다리 떨기 운동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지는 앉은 자세라면 특별히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수직 상태로 유지해 둘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서 전굴 또는 후굴된 상태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지 진동 장치(1)는 발바닥(4)의 발가락끝부(42)를 바닥면(G)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발가락끝부(42)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기판(5)이 연장되어서 발가락끝 올려놓음부(52)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발바닥(4)의 발가락끝부(42)는 바닥면(G)이 아닌 발가락끝 올려놓음부(52)의 표면에 올려놓여지게 되므로 상기한 간극(DL), 하한 위치(PL), 상한 위치(PH)는 바닥면(G)으로부터의 거리가 아니고, 발가락끝 올려놓음부(52)의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기준이 된다. 또한, 이 발가락끝 올려놓음부(52)에는 발가락끝부(42)를 고정하는 스트랩(도시 생략) 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소위 다리 떨기 운동 중에 발가락끝부(42)가 뜨지 않도록 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지 진동 장치(1)는 모터(3)에 의해 편심 캠(34)을 회전시키고, 이 편심 캠(34)의 회전에 의해 회동판(6)을 상하로 회동시켜서 상기 회동판(6)에 고정한 동작판(2)을 상하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이 동작판(2)의 상하동을 만들어내는 구동 전달 기구로서는 특별히 이와 같은 구성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기어를 이용한 구동 전달이나, 스프로킷에 의한 체인 구동이나 벨트 구동에 의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며, 명세서 본문에는 하등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한 하지 진동 장치는 의자나 좌석이 있는 각종 환경에 있어서 건강 증진에 사용된다.
1 : 하지 진동 장치 2 : 동작판
21 :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 3 : 모터
32 : 출력축 34 : 편심 캠
4 : 발바닥 41 : 발뒤꿈치부
42 : 발가락끝부 5 : 기판
52 : 발가락끝 올려놓음부 6 : 회동판
G : 바닥면 U : 사용자
P : 상하동 S : 회동

Claims (6)

  1. 발바닥의 발뒤꿈치부를 올려놓을 수 있게 된 동작판이 모터와 연동되어 설치되고, 동작판은 발가락끝부가 올려놓여지는 발가락끝 올려놓음면에 대하여 4㎝ 이하의 높이 위치를 하한 위치로 하여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발뒤꿈치부 올려놓음면이 상하동하도록 구성되어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는 출력축에 편심 캠이 설치되고, 이 편심 캠 상에는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피벗 장착된 회동판이 접촉되어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판은 하우징을 설치한 바닥면에 발바닥을 올려놓았을 때에 발뒤꿈치부를 이 바닥면에서부터 4㎝ 이하 높이의 하한 위치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우징 측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회동판의 타단에 연결되어 편심 캠의 회전에 의해 회동판이 피벗 장착된 일단을 지점으로 해서 상하로 회동함으로써 상하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진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판은 상하동했을 때의 하한 위치에 있어서는 그 하측에 1㎝ 이상의 간극을 형성하고, 상한 위치에 있어서는 바닥면으로부터 10㎝ 이하의 높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진동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판은 상하동했을 때의 하한값과 상한값의 고저차가 2㎝±1㎝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진동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7010050A 2012-05-15 2013-02-21 하지 진동 장치 및 고관절의 자극 방법 KR101588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1745 2012-05-15
JP2012111745A JP5166624B1 (ja) 2012-05-15 2012-05-15 下肢振動装置
PCT/JP2013/054320 WO2013172069A1 (ja) 2012-05-15 2013-02-21 下肢振動装置および股関節の刺激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554A KR20150010554A (ko) 2015-01-28
KR101588694B1 true KR101588694B1 (ko) 2016-01-27

Family

ID=4813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050A KR101588694B1 (ko) 2012-05-15 2013-02-21 하지 진동 장치 및 고관절의 자극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364710B2 (ko)
EP (1) EP2777676B1 (ko)
JP (1) JP5166624B1 (ko)
KR (1) KR101588694B1 (ko)
CN (1) CN103417354B (ko)
AU (1) AU2013260878B2 (ko)
CA (1) CA2870395C (ko)
ES (1) ES2579752T3 (ko)
HK (1) HK1202411A1 (ko)
MY (1) MY173492A (ko)
SG (1) SG11201403947UA (ko)
TW (2) TWM447251U (ko)
WO (1) WO2013172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4729B (zh) * 2014-12-24 2016-04-06 李宁体育(上海)有限公司 脚趾垫体结构
CN105193580A (zh) * 2015-08-14 2015-12-30 广西大学 一种抖动瘦手装置
JP6104438B1 (ja) * 2016-07-08 2017-03-29 広信 松原 トレーニング指導器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トレーニング指導方法
CN106420223A (zh) * 2016-11-01 2017-02-22 广西大学 可调卧床病人腿部抬升的高度和频率的腿部训练康复仪
JP6276439B1 (ja) * 2017-02-22 2018-02-07 株式会社Mkr−J 膝関節刺激装置
US20190183406A1 (en) * 2017-12-20 2019-06-20 Jose Antonio ADAM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epsis Using a Simulated Exercise Device
KR102003158B1 (ko) * 2018-02-23 2019-07-23 노태진 신체 스트레칭 침대
KR102382357B1 (ko) * 2019-09-03 2022-04-05 고택성 케겔운동기구
KR102606960B1 (ko) * 2021-08-18 2023-11-29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손목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JP7160419B1 (ja) * 2022-03-07 2022-10-25 株式会社トップラン 訓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5301A1 (fr) 2001-11-30 2003-06-05 Eroica Corporation Systeme permettant d'ameliorer la sante
JP2005205133A (ja) 2004-01-21 2005-08-04 Sadamu Mizobuchi 足首屈伸装置
JP2007268140A (ja) 2006-03-31 2007-10-18 Toto Ltd 歩行訓練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1693A (en) * 1934-01-13 1936-05-26 Fred S Boltz Arch corrector for the feet
JPS6272378A (ja) * 1985-09-25 1987-04-02 松下電工株式会社 足首トレ−ニング装置
JPH07111663B2 (ja) * 1993-12-28 1995-11-29 コナミ株式会社 操作用フットペダル
JP2002143269A (ja) * 2000-11-08 2002-05-21 Shinko Denshi Kk 足首・足指運動用健康器
US6494816B1 (en) * 2001-02-15 2002-12-17 Pasquale A. Corrado Foot, leg and lower body exercise system
US6878102B1 (en) * 2001-08-21 2005-04-12 Luis Alberto Commisso Leg-ankle-foot exercise assembly
DE10358054A1 (de) * 2003-12-11 2005-07-14 Kuno Nell Fuss- und Wadenmuskeltrainer insbesondere für den Einbau in Fahrzeuge
CN2696676Y (zh) * 2004-03-25 2005-05-04 王春辉 脚踏按摩健身器
TWI295183B (en) * 2005-12-20 2008-04-01 Ind Tech Res Inst Apparatus for multi-joint lower limb exercise
US7883451B2 (en) * 2006-04-14 2011-02-08 Treadwell Corporation Methods of applying treadle stimulus
JP2011194051A (ja) * 2010-03-19 2011-10-06 Mkr-J:Kk 足の健康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5301A1 (fr) 2001-11-30 2003-06-05 Eroica Corporation Systeme permettant d'ameliorer la sante
JP2005205133A (ja) 2004-01-21 2005-08-04 Sadamu Mizobuchi 足首屈伸装置
JP2007268140A (ja) 2006-03-31 2007-10-18 Toto Ltd 歩行訓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36759A (ja) 2013-11-28
CN103417354B (zh) 2016-01-20
CA2870395C (en) 2016-10-18
US9364710B2 (en) 2016-06-14
EP2777676A1 (en) 2014-09-17
JP5166624B1 (ja) 2013-03-21
WO2013172069A1 (ja) 2013-11-21
TWI606817B (zh) 2017-12-01
TWM447251U (zh) 2013-02-21
US20140057759A1 (en) 2014-02-27
CN103417354A (zh) 2013-12-04
AU2013260878A1 (en) 2014-12-04
KR20150010554A (ko) 2015-01-28
EP2777676A4 (en) 2015-06-17
HK1202411A1 (zh) 2015-10-02
TW201345513A (zh) 2013-11-16
EP2777676B1 (en) 2016-03-30
AU2013260878B2 (en) 2015-10-08
MY173492A (en) 2020-01-29
SG11201403947UA (en) 2014-09-26
CA2870395A1 (en) 2013-11-21
ES2579752T3 (es)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694B1 (ko) 하지 진동 장치 및 고관절의 자극 방법
KR101325066B1 (ko) 뇌졸중 환자의 보행재활 치료용 로봇
WO2018154986A1 (ja) 膝関節刺激装置
JP6080332B1 (ja) 運動器具
KR20100093911A (ko) 다리 안마기
US20080269026A1 (en) Compact Ankle Exerciser
CN104352335A (zh) 一种偏瘫康复理疗仪
JP4202050B2 (ja) 歩行模擬刺激型健康増進機
JP5986239B2 (ja) 膝関節刺激装置
KR20210072174A (ko) 운동용 의자
JP5986240B2 (ja) 下肢刺激装置
JP2020110377A (ja) 運動器具
JP6650673B2 (ja) マッサージ機
KR102672840B1 (ko) 전동 재활 벤치
CN211610437U (zh) 一种具有腿部支撑的多功能病床
JP5966163B2 (ja) 足を動かすことが出来る車椅子のフットレスト
JP2005160902A (ja) 足関節及び腰関節用運動器具
KR20240074472A (ko) 중력 가속도 진동 훈련기
KR200474027Y1 (ko) 마사지벨트가 구비된 침대
CN204379704U (zh) 一种膝盖关节康复训练装置
KR200357432Y1 (ko) 좌석식 벨트마시지장치
KR102263758B1 (ko) 훈련자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 훈련 장치
JP2019083827A (ja) 自動踵上げ下げ運動装置
JP2015226609A (ja) 足首関節運動装置
BR102016021268A2 (pt) Apoio para pés com movimentação eletrôn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