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217B1 - 난연성 면상체 및 상기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및 상기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면상체 및 상기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및 상기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217B1
KR101588217B1 KR1020147007587A KR20147007587A KR101588217B1 KR 101588217 B1 KR101588217 B1 KR 101588217B1 KR 1020147007587 A KR1020147007587 A KR 1020147007587A KR 20147007587 A KR20147007587 A KR 20147007587A KR 101588217 B1 KR101588217 B1 KR 101588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ame retardant
resin layer
thermoplastic resin
ev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8631A (ko
Inventor
후사키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요시다후사 오리모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3/06113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4073226A1/ja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후사 오리모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후사 오리모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8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of carp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D06N3/0063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e.g. metals, carbon fibres, Na2CO3, metal layers; Post-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7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3/00Macromolecular materials of the coating layers
    • D06N2203/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N2203/045Vinyl (co)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06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thermal properties
    • D06N2209/067Flame resistant, fire resistant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및 내화성은 물론 내염성을 구비함으로써,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기능을 향상시키면서 최적의 쿠션성 및 유연성이나 신축성을 구비한 완전히 새로운 난연성 면상체 및 상기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및 상기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난연성 면상체는,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등에 이용가능한 가요성 면상본체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 등의 무기물이 함유되며 동시에 아세틸기 또는 저온특성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한 열가소성 수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연성 면상체 및 상기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및 상기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제조방법 {FLAME RETARDANT PLANAR ELEMENT AND FLOOR COVERING HARDLY GENERATING HAZARDOUS GAS USING THE FLAME RETARDANT PLANAR ELEMENT,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FLOOR COVERING HARDLY GENERATING HAZARDOUS GAS}
본 발명은, 전차(電車), 자동차 등의 각 회사 차량 등의 내장재, 가구나 건축물의 벽재나 천장재에 한정되지 않고, 깔개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선박, 항공기 등의 바닥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건축물의 바닥의 사용에 적합하며, 내염성(耐炎性)과 난연성(難燃性)을 구비하면서 또한 가열되어도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난연성 면상체(面狀體) 및 이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및 이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라 함은 발연성(發煙性)·연소독성(燃燒毒性) 시험의 시험방법으로 인정된 깔개를 말한다.
최근, 화재발생에 의한 피해를 크게 감소시키기 위해서, 가옥, 가구, 깔개 등에 난연성 및 내화성(耐火性)의 소재가 사용되고 있고, 특히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난연내화성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선박 등과 같이 대피할 곳이 없는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사상자가 다수 발생하는 대재해로 발전하여 심각한 사태에 빠지기 때문에, 난연성 및 내화성은 물론 내염성 및 유해가스 발생에 대해서도 엄격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고, 이에 따라 본원 발명자는 특허 제 4351220호를 개발하여 난연성 및 내화성은 물론 내염성이 우수하고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를 개발했다.
즉, 관련된 발명은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로서, 배킹재층(backing材層)과 표피재층(表皮材層)을 접착재층을 통하여 접착시키고, 또한 상기 배킹재층이 산화아크릴섬유 및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혼면(混綿)한 부직섬유 집합체(不織纖維集合體)로 이루어진 것이고, 그 배합비율은 중량비로서 산화아크릴섬유 30∼80%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20∼70%로 하고, 상기 접착재층이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멀티필라멘트사(multifilament絲)로 이루어지는 평직(平織)의 메시지(mesh地: mesh fabric)를 내재시킨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非晶性 olefin 重合體 組成物)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피재층이 폴리에스테르 섬유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1차기포(一次基布)의 표면에 양모 100%의 파일사(pile yarn)에 의하여 파일(pile)을 형성하고 그 이면(裏面)에 실 빠짐 방지를 위해서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표피재층의 표면에 액상불연재를 부착시켜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는, 소재 전체가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재질로 이루어져서 난연성 및 내화성은 물론 내염성을 구비함으로써,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를 시장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들 깔개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기술로서는, 유기인 화합물(有機燐 化合物) 등의 난연화제(難燃化劑)를 수지에 도포하는 방법이나 수지재료에 폴리붕산나트륨(poly 硼酸 natrium)을 혼련(混練)하는 기술이 있다.
일본국 특허 제 4351220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7-10965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 2010-24281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제 4351220호 공보에 개시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는, 난연성 및 내화성은 물론 내염성을 구비함으로써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렵다고 하는 각별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지만, 깔개인 이상 사람의 보행시에 보다 양호한 쿠션성(cushion性)을 구비해야 한다는 점을 간과할 수는 없다. 여기서, 상기한 깔개의 쿠션성은, 표피재층과 배킹재층의 부직섬유 집합체가 담당하게 되는데, 표피재층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1차기포의 표면에 양모 100%의 파일 사(pile絲)에 의하여 파일을 형성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쿠션성은 구비되지만, 특히 난연성 및 내화성은 물론 내염성을 구비함으로써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렵다고 하는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최적의 쿠션성까지 구비한 배킹재층에 대해서는 그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는, 이를 사용시에 절단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타일카펫(tile carpet)으로 사용하는 경우이거나 절단해서 소정 폭 및 소정 길이의 장척(長尺)의 카펫(carpet)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조공장 등으로부터 시공현장 등으로의 운반시뿐만이 아니라 시공현장에서 실제 시공장소로의 반입 등의 이동시 등에 만곡상태(彎曲狀態)로 만들 수 있거나 또는 감을 수 있도록 유연성을 구비하고 있는 쪽이 당연히 작업성이 좋다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시공시에도 어느 정도의 유연성이나 신축성이 없으면 박리(剝離)되기 쉽다는 문제도 발생하게 되므로, 배킹재층이 충분한 난연성 및 내화성은 물론 내염성을 구비함으로써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렵다는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유연성이나 신축성이 있는, 완전히 새로운 배킹재층을 구비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에 있어서, 유기인 화합물 등의 난연화제를 수지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인화합물이 수지에 대한 부착성이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수지재료에 폴리붕산나트륨을 혼련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염화비닐 수지나 올레핀 수지에 폴리붕산나트륨을 혼련할 때의 혼련온도(150℃ 이상)에서 폴리붕산나트륨의 일부가 발포화(發泡化)해 버리는 문제가 있고, 이뿐만 아니라 수지재료에 따라서는 구조중에 수산기가 적어서 폴리붕산나트륨과의 친화성이 약하여 도포나 코팅에서의 부착량이 적어져서 난연효과가 불충분해지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도 발생하고 있었다.
결국,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난연효과가 충분한 난연성 면상체 및 상기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하면서 쿠션성을 구비하고 또한 유연성이나 신축성도 구비한 완전히 새로운, 난연성 면상체 및 상기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및 상기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여 이하의 수단을 강구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난연성 면상체에 의하면,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A) 등에 이용가능한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 등의 무기물이 함유되고, 또한 아세틸기 또는 저온특성의 적어도 어느 일방을 구비한 열가소성 수지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의 난연성 면상체에 의하면, 열가소성 수지층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EVA계 에멀션을 도포 건조시킨 도포층,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EVA계 수지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의 난연성 면상체에 의하면,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EVA계 에멀션 도포층이 설치되었을 때, 상기 EVA계 에멀션 도포층에 EVA계 수지층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난연성 면상체에 의하면,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에 열가소성 수지층이 설치되었을 때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과 대하는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에 파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 기재의 난연성 면상체에 의하면, 파일이 형성된 면과 대하는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에는 다른 가요성 면상본체가 적층되어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다른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EVA계 에멀션 도포층 또는 EVA계 수지층의 적어도 어느 일방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 기재의 난연성 면상체에 의하면, 열가소성 수지층에 배킹재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7 기재의 난연성 면상체에 의하면, 열가소성 수지층 또는 배킹재층의 어느 하나에는 난연성 면상체의 오그라듦 또는 휘어짐의 적어도 어느 일방을 억제하는 억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8 기재의 난연성 면상체에 의하면, 가요성 면상본체, 열가소성 수지층 또는 배킹재층의 어디인가에는, 방진수단(防振手段) 또는 흡음수단(吸音手段)의 적어도 어느 일방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9 기재의 난연성 면상체에 의하면, 난연성 면상체에 방사선 차폐물질(放射線 遮蔽物質)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0 기재의 난연성 면상체에 의하면, 배킹재층이, 피치계 탄소섬유(pitch系 炭素纖維) 또는 PAN계 탄소섬유(PAN系 炭素纖維)의 적어도 어느 일방과,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혼면한 부직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고, 또한 배합비율이, 상기 피치계 탄소섬유 또는 PAN계 탄소섬유의 적어도 어느 일방이 30∼80중량%,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20∼70중량%이며, 또한 각 섬유의 굵기가 2.0∼16.0dtex이고 커트 길이가 20∼160mm인 범위에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청구항 11 기재의 난연성 면상체에 의하면, 배킹재층(10)의 중량이 0.01∼1.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2 기재의 난연성 면상체에 의하면, 배킹재층(10)이, 니들 펀치(needle punch) 등의 공정을 통하여, 두께를 3.0∼15.0mm의 범위로 한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3 기재의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A)에 의하면, 파일(22)이 형성된 난연성 면상체를 1차기포(21)로서 사용하는 표피재층(20)으로 하고, 또한 상기 표피재층(20)과 상기 배킹재층(10)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 및/또는 다른 접착재층(30)을 통하여 적층되어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 및/또는 다른 접착재층(30)이, 평직의 메시지를 내재시키거나 또는 내재시키지 않고 상기 표피재층(20)을 형성하는 난연성 면상체와 상기 배킹재층(10)과를 일체화시키는 구성으로 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4 기재의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섬유의 굵기가 2.0∼16.0dtex이고 커트 길이가 20∼160mm인 범위에서 형성된 피치계 탄소섬유 또는 섬유의 굵기가 2.0∼16.0dtex인 커트 길이가 20∼160mm 범위에서 형성된 PAN계 탄소섬유의 적어도 어느 일방과, 섬유의 굵기가 2.0∼16.0dtex 커트 길이가 20∼160mm 범위에서 형성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의 배합비율을, 상기 피치계 탄소섬유 또는 PAN계 탄소섬유의 적어도 어느 일방을 30∼80중량%,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20∼70중량%로 혼면해서 부직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배킹재층(10)을 형성하는 공정과,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을 사용해서 형성된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EVA계 에멀션을 도포 건조시킨 EVA계 에멀션 도포층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EVA계 수지층의 적어도 어느 일방을 구비한 난연성 면상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난연성 면상체를 1차기포(21)로서 사용하기 위해, 상기 난연성 면상체의 일면측의 표면에 파일사에 의하여 파일(22)을 형성해서 표피재층(20)을 형성하는 공정과, 표피재층(20)으로서 형성된 난연성 면상체의 이면에 상기 난연성 면상체에 설치된 EVA계 수지층을 접착재층으로 하기 위해 상기 배킹재층(10)과의 사이에, 평직의 메시지를 삽입시키거나 또는 삽입시키지 않고 상기 배킹재층(10)과 상기 표피재층(20)을 형성하는 난연성 면상체를 쌓아서 가압, 가열해서 중합접착하는 공정 또는 상기 파일(22)이 형성된 난연성 면상체의 이면에 실 빠짐 방지를 위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또는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의 적어도 어느 일방을 사용한 접착제를 도포해서 표피재층(20)을 형성한 후, 상기 배킹재층(10)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또는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의 적어도 어느 일방을 사용한 페이스트 모양체를 코팅(접착재층(30))한 후, 평직의 메시지를 쌓고, 그 후 이것을 가열하고, 그 후 그 위에 상기 표피재층(20)을 형성하는 난연성 면상체를 쌓아서 가압가열해서 중합접착하는 공정의 어느 하나의 공정을 거친 후, 소정의 치수로 절단함으로써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15 기재의 난연성 면상체에 사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층에 의하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 및/또는 에멀션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아세틸기 또는 저온특성의 적어도 어느 일방을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 등의 무기물이 함유되고 또한 소정의 두께를 구비하는 시트상(sheet狀) 또는 액상(液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6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층에는, 시트상 또는 매트(mat) 모양으로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층의 굴곡시(屈曲時) 또는 압인시(押引時) 등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균열이나 분단 등의 파손을 저지하기 위한 보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난연성 면상체는,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A) 등에 이용가능한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 등의 무기물이 함유되고 또한 아세틸기 또는 저온특성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한 열가소성 수지층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열가소성 수지 중에 아세틸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폴리붕산나트륨 및 가요성 면상본체의 양쪽에 수소결합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우수한 난연성을 구비하는 난연성 면상체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이, 통상적으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등의 배킹재 등에 사용되고 있는, 예를 들면 염화비닐 등보다 낮은 저온특성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폴리붕산나트륨을 발포화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열가소성 수지와 혼련(混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폴리붕산나트륨 등의 무기물을 이용함으로써 환경에 손상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 등을 유발하는 유해한 화학물질도 발생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
열가소성 수지층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EVA계 에멀션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EVA계 에멀션 도포층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EVA계 수지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경우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EVA:ethylene-vinylacetate copolymer)가 저온특성이 우수하며 비중이 낮고 충격강도가 높으며 유연하고 무독성일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배킹재 등에 사용되고 있는, 예를 들면 염화비닐 등보다 낮은 저온특성이 있으므로 폴리붕산나트륨을 발포화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혼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는, 아세틸기를 구비하고 있어서, 폴리붕산나트륨 및 가요성 면상본체(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부직포 등으로 형성했을 경우 등)의 양쪽에 수소결합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우수한 난연성을 구비하는 난연성 면상체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붕산나트륨 등의 무기물을 이용함으로써 환경에 손상을 주지 않고 새집증후군 등을 유발하는 유해한 화학물질도 발생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
난연성 면상체에 있어서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EVA계 에멀션 도포층이 형성되었을 때, 상기 EVA계 에멀션 도포층에 EVA계 수지층이 적층된 경우에는, 난연성 면상체의 난연성의 정도를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난연성 면상체에 있어서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에 열가소성 수지층이 형성되었을 때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과 대면하는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에 파일을 형성함으로써, 난연성이 우수한 난연성 면상체를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등의 1차기포(primary foundation cloth)로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에 파일이 형성된 면과 대면하는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에는 다른 가요성 면상본체가 적층되고, 게다가 상기 다른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EVA계 에멀션 도포층 또는 EVA계 수지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된 경우에, 상기 난연성 면상체를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등의 1차기포로서 이용하면, 난연성 면상체의 인장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치수로 절단할 때에 절단에 대한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난연성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의 열가소성 수지층에 배킹재층이 적층된 경우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EVA계 에멀션 도포층 또는 EVA계 수지층)이 난연화작용(難然化作用) 및 접착작용을 촉진하는 기능을 하게 하면서, 이반(離反)하기 어려운 배킹재층을 구비한 난연성 면상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의 가요성 면상본체, 열가소성 수지층 또는 배킹재층 중의 어느 하나에, 난연성 면상체의 오그라듦 또는 휘어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억제하는 억제수단이 구비된 경우에는, 벽, 천장, 바닥 등 모든 장소에 소정의 치수로 절단된 난연성 면상체를 접착제 등을 통하여 틈이 없이 나란하게 부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의 가요성 면상본체, 열가소성 수지층 또는 배킹재층 중의 어느 하나에, 방진수단 또는 흡음수단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 경우에는, 방진이나 정숙함이 요망되는 개개의 장소에 난연성 면상체를 접착제 등을 통하여 부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에는 방사선 차폐물질이 함유되어 있어도 좋은데, 예를 들면 EVA 수지는 텅스텐, 납 등의 방사선 차폐물질과의 혼합성이 우수하므로, 이들 방사선 차폐물질을 EVA계 수지층에 함유시키면, 난연성 이외에 방사선의 차폐성이라는 부가가치를 구비한 난연성 면상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에 형성되는 배킹재층이, 피치계 탄소섬유 또는 PAN계 탄소섬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등의 부직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고, 게다가 그 배합비율이 상기 피치계 탄소섬유 또는 PAN계 탄소섬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30∼80중량%,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20∼70중량%이며, 또한 각 섬유의 굵기가 2.0∼16.0dtex이고 커트 길이가 20∼160mm 범위로 형성되는 경우, 난연성 및 내화성은 물론 내염성을 구비함으로써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렵다고 하는 기능을 구비하면서 최적의 쿠션성도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에 형성되는 배킹재층(10)의 중량이 0.01∼1.5kg/㎡인 경우에는, 상기 배킹재층(10) 자체에 유연성을 구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에 형성된 배킹재층(10)을, 니들 펀치 등의 공정을 통하여 그 두께를 3.0∼15.0mm의 범위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킹재층(10) 자체에 유연성과 신축성이 함께 구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하는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A)에 의하면, 상기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A)는, 파일(22)이 형성된(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제 부직포로 이루어진 1차기포의 표면에 양모 100%의 파일사를 형성) 난연성 면상체를 1차기포(21)로서 사용하는 표피재층(20)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표피재층(20)과 상기 배킹재층(10)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 및/또는 다른 접착재층(30)을 통하여 적층되고, 게다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 및/또는 다른 접착재층(30)(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또는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해서 형성된 것 등)이, 평직의 메시지(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멀티필라멘트사로부터 형성된 것 등)를 내재하거나 또는 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표피재층(20)을 형성하는 난연성 면상체와 상기 배킹재층(10)을 일체화시키도록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A)에 의하면, 내염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열고정성(熱固定性, heat setting)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내열온도가 150℃∼200℃인 높은 내열성을 구비함으로써 높은 난연성·내염성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직접 화염에 노출되어도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게다가 순식간에 스스로 소화(消火)하여 불길이 타오르지 않도록 되고, 또한 이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A) 자체도 불타지 않으므로, 가령 발화를 일으킨 경우에도 배킹재 자체의 연소·용융에 의한 손상이 경미하게 된다. 또한, 물에 강한 양호한 접착성을 구비하면서도 인장강도, 절단에 대한 치수안정성과 같은 우수한 내구성을 구비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A)는, 최적의 쿠션성과 함께, 가령 사용시에 절단가공을 실시하여 타일카펫으로서 사용하거나 절단해서 소정 폭 및 소정 길이를 갖는 장척의 카펫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조공장 등으로부터 시공현장 등으로의 운반시뿐만 아니라 시공현장에서 실제 시공장소로의 반입 등의 이동시 등에 만곡상태로 만들 수 있거나 또는 감을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시에 있어서 박리되기 어렵게 되도록 하기 위한 유연성이나 신축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 및/또는 에멀션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아세틸기 또는 저온특성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 등의 무기물을 함유함과 아울러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시트상(sheet狀) 또는 액상(液狀)인 경우에는, 반드시 가요성 면상본체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상으로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층을, 벽, 마루, 차, 기차, 항공기 등의 다종다양(多種多樣)한 플로어용 깔개 및/또는 내장재 등으로 사용한 모든 개소(個所)에서, 환경손상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새집증후군 등을 유발하는 유해한 화학물질도 발생되지 않는 난연부재로서 직접 이용하거나, 또는 난연 스프레이나 난연성 접착제 등으로서 다종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에는, 시트상으로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층의 굴곡시(屈曲時) 또는 압인시(押引時) 등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균열이나 분단(分斷) 등의 파손을 저지하기 위한 보강수단(補强手段)이 구비됨으로써, 생산시 뿐만 아니라 다종다양한 장소에서의 시공시 등에 있어서, 특히 인장력에 대하여 강도가 부족한 열가소성 수지층의 강도를 높여서 불량품이 매우 적은 열가소성 수지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난연성 면상체 및 상기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및 상기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제조방법의 일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여기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에멀션을 도포하여 건조한 층을 EVA계 에멀션 도포층이라 표현하고, 또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수지를 EVA계 수지층이라고 표현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A)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상기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A)의 1차기포(21)로서도 이용가능한 난연성 면상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난연성 면상체는 특별히 그 재질이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부직포로 형성된 가요성 면상본체(可撓性 面狀本體)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 중의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 등의 무기물이 함유됨과 아울러 아세틸기 또는 저온특성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한 열가소성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특별히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 등이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열가소성 수지중에 아세틸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폴리붕산나트륨 및 가요성 면상본체의 양쪽에 수소결합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우수한 난연성을 구비하는 난연성 면상체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이, 통상적으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등의 배킹재 등에 사용되고 있는, 예를 들면 염화비닐 등보다 낮은 저온특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폴리붕산나트륨을 발포화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열가소성 수지와 혼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EVA계 에멀션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EVA계 에멀션 도포층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EVA계 수지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된 경우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EVA:ethylene-vinylacetate copolymer)는 저온특성이 우수하며 비중이 낮고 충격강도가 높으며 유연하고 무독성일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배킹재 등에 사용되고 있는, 예를 들면 염화비닐 등보다 낮은 저온특성에 의하여, 폴리붕산나트륨을 발포화시키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혼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는 아세틸기를 구비함으로써, 폴리붕산나트륨 및 가요성 면상본체(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부직포 등으로 형성했을 경우 등)의 양쪽에 수소결합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우수한 난연성을 구비하는 난연성 면상체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붕산나트륨 등의 무기물을 이용함으로써 환경에 손상을 주지 않고 새집증후군 등을 유발하는 유해한 화학물질도 발생되지 않는 커다란 이점도 있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에 있어서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의 적어도 어느 한 쪽에 EVA계 에멀션 도포층이 형성되었을 때에, 상기 EVA계 에멀션 도포층에 EVA계 수지층이 적층된 경우에는, 난연성 면상체의 난연성의 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에 있어서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에 열가소성 수지층이 형성되었을 때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과 대면하는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에 파일을 형성함으로써, 난연성이 우수한 난연성 면상체를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등의 1차기포로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에 있어서 파일이 형성된 면과 대면하는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에는 다른 가요성 면상본체가 적층되고, 아울러 상기 다른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EVA계 에멀션 도포층 또는 EVA계 수지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된 경우에, 상기 난연성 면상체를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등의 1차기포로서 이용하면, 난연성 면상체의 인장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치수로 절단함에 있어서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난연성을 더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의 열가소성 수지층에 배킹재층이 적층된 경우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EVA계 에멀션 도포층 또는 EVA계 수지층)이 난연화작용(難然化作用) 및 접착작용을 촉진하는 기능을 하게 하면서, 이반(離反)하기 어려운 배킹재층을 구비한 난연성 면상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의 가요성 면상본체, 열가소성 수지층 또는 배킹재층 중의 어느 하나에, 난연성 면상체의 오그라듦 또는 휘어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억제하는 억제수단이 구비된 경우에는, 벽, 천장, 바닥 등의 모든 장소에 소정의 치수로 절단된 난연성 면상체를 접착제 등을 통하여 틈이 없이 나란하게 부설(敷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난연성 면상체의 오그라듦 또는 휘어짐이라는 것은, 바닥 등에 도포된 접착제가 주로 난연성 면상체의 배킹재층에 흡수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므로, 예를 들면 접착제가 배킹재층에 흡수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가령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 시트를 부착해도 좋고, 구체적인 난연성 면상체에 있어서 오그라듦, 휘어짐 등을 억제하는 억제수단의 구체적인 재질, 구성 등은 결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의 가요성 면상본체, 열가소성 수지층 또는 배킹재층 중의 어느 하나에, 방진수단 또는 흡음수단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EVA계 수지층에 있어서 아세트산비닐의 함유량을 증가시킨 경우에는, 탄성과 유연성이 향상되고, 방진성(防振性)이나 흡음성(吸音性)을 다소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인 방진수단이나 흡음수단은 일절 한정되지 않지만,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 경우에는 방진이나 정숙함이 요망되는 개개의 장소에 난연성 면상체를 접착제 등을 통하여 부설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에 방사선 차폐물질이 함유되어 있어도 좋은데, 예를 들면 EVA 수지는, 텅스텐, 납 등의 방사선 차폐물질과의 혼합성이 우수하므로, 이들 방사선 차폐물질을 EVA계 수지층에 함유시키면, 난연성 이외에 방사선의 차폐성이라는 부가가치가 있는 난연성 면상체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 및/또는 에멀션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아세틸기 또는 저온특성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아울러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 등의 무기물을 함유함과 동시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시트상(sheet狀) 또는 액상(液狀)인 경우에는, 반드시 가요성 면상본체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상으로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층을, 벽, 마루, 차, 기차, 항공기 등의 다종다양한 플로어용 깔개 및/또는 내장재 등으로 사용한 모든 개소에서, 환경손상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새집증후군 등을 유발하는 유해한 화학물질도 발생되지 않는 난연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에멀션의 경우에는 난연 스프레이나 난연성 접착제 등으로 다종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어서, 범용성 및 응용성이 극히 우수한 상품으로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에, 시트상 또는 매트 모양으로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층의 굴곡시 또는 압인시 등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균열이나 분단(分斷) 등의 파손을 저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수지 메시시트(樹脂 mesh sheet) 등이나 다른 수지 등의 재료를 사용한 시트체(sheet體) 등의 보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생산시뿐만 아니라 다종다양한 장소에서의 시공시 등에 있어서, 특히 인장력에 대한 강도가 부족한 열가소성 수지층의 강도를 높여서 불량품이 매우 적은 열가소성 수지층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 난연성 면상체의 가요성 면상본체, 열가소성 수지층 또는 배킹재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실시형태에 있어서, EVA계 에멀션은, 고형분(固形分) 5∼80%, 바람직하게는 10∼60%의 EVA 에멀션에 대하여 폴리붕산나트륨의 분말을 혼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폴리붕산나트륨의 분말은, 상품명 「파이레스B 리퀴드」(주식회사 트러스트 라이프 제품)의 수용액으로부터 스프레이 드라이법(spray dry法)이나 프리즈 드라이법(freeze dry法)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파이레스B 리퀴드는 폴리붕산나트륨의 농도를 붕산 또는 붕사(硼砂) 단독의 용해도(20℃) 이상으로 진하게 한 수용액이며, 폴리붕산나트륨 분말의 혼합량은 EVA 에멀션(고형분)에 대하여 60∼150 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EVA계 수지는, EVA 수지에 폴리붕산나트륨 분말을 150℃ 이하에서 혼련한 후에 시트재로 형성한 것을 사용한다. 폴리붕산나트륨 분말의 첨가량은 EVA 수지에 대하여 5∼12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0∼100%의 범위로 한다.
EVA 수지는 수지중에 아세트산비닐의 배합비율이 높아짐에 따라서 융점이 낮아진다.
EVA 수지중에 아세트산비닐의 배합비율이 질량으로 10%인 경우에는 융점이 94℃였다.
또한, 상기 비율이 33%일 때에는 융점이 61℃였다.
EVA 수지와 폴리붕산나트륨의 혼련공정을 고려하면, EVA 수지중에 아세트산비닐의 배합비율은 10∼40 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카펫 등은 표면에 파일을 구비하는 1차기포에 스티렌부타디엔 중합체(SBR)를 접착층으로 하여 배킹재를 적층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EVA계 수지층은, 연기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환경을 손상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새집증후군 등을 유발하는 유해한 화학물질도 발생하지 않는, 난연부재로서 뿐만 아니라 접착성 수지로서도 우수하다.
여기에서, 표면에 파일을 형성해서 1차기포로서 이용할 수 있는 난연성 면상체의 이면(裏面)에, EVA계 에멀션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EVA계 에멀션 도포층 또는 EVA계 수지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배킹재층을 적층해도 좋다.
이에 따라 EVA 수지와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부분이 난연화작용 및 접착작용의 기능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에 파일을 형성한 난연성 면상체를 1차기포로 형성하고 그 이면에 다른 가요성 면상본체를 구비하는 난연성 면상체를 2차기포로서 적층해도 좋은데, 이 경우에는 난연성 면상체 자체의 인장강도 등이 향상되고, 특히 카펫 등의 깔개 등에 이용할 때에 절단에 대한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 파일은 울사(wool絲)를 사용했지만, 나일론사, 폴리에스테르사, 폴리프로필렌사 등이더라도 좋고, 또한 1차기포로서 사용한 난연성 면상체의 가요성 면상본체도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지만, 폴리에스테르로 된 기포, 탄소섬유계로 된 기포,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기포 등이더라도 좋으며, 그 재질 등도 일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내장재가 장척의 깔개 등인 경우에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주트(jute)를 배킹재로 이용하더라도 좋고, 또 마(麻)와 면(綿)의 혼방재(混紡材)를 배킹재로 이용하더라도 좋으며, 배킹재의 구체적인 재료나 제조방법 등도 일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내장재(內莊材)가 타일 모양의 깔개 등인 경우에는, 2차기포(二次基布)로서 유리섬유 부직포 또는 메시(mesh) 모양의 유리섬유 네트나 폴리에스테르계의 네트를 사용해도 좋고, 2차기포의 구체적인 재질, 재료 등도 일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차기포에 상기 1차기포에 사용한 난연성 면상체와 상이한 다른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해도 좋음은 말할 것도 없다.
2차기포로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EVA계 수지층을 가열하여 적층할 때에 상호간의 EVA계 수지가 서로 용융되어 침투함으로써, EVA계 수지층이 강화된 섬유로서 기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타일 모양의 깔개의 경우에는 내염화 섬유 부직포를 배킹재층으로서 적층해도 좋음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 등의 무기물을 아세틸기 또는 저온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한 열가소성 수지층에 혼합할 때에 전분을 2∼5% 혼합해도 좋은데, 전분은 폴리붕산나트륨을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등에 부착시키는 경우의 밀착성 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EVA 수지에 있어서, 폴리붕산나트륨 이외에 난연화제로서 폴리붕산나트륨의 5∼30%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을 가하여도 좋고, 또 EVA 수지의 개질제(改質劑)인 탄산칼슘을 1∼50% 혼합해도 좋은데, 어느 경우에나 난연성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EVA 수지는 텅스텐, 납 등의 방사선 차폐물질과의 혼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들 방사선 차폐물질을 EVA계 수지층에 함유시키면 난연성 이외에 방사선의 차폐성을 구비한 내장재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EVA 수지중에 EVA 수지와 동일한 질량의 텅스텐 분말을 혼합한, 두께 1mm의 시트를 사용해서 오염된 토양에서 계측(計測)을 하였더니, 방사선량이, 시트를 사용하기 전에 11.0μSv/h로부터 사용한 후에 5.0μSv/h로, 약 55% 감소된 것이 입증되었다.
텅스텐 분말은 EVA 수지 질량에 대하여 10∼500%로 혼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50∼400%의 범위가 좋다.
또한, 이들 금속분말을 혼합하면 방진(防振), 흡음(吸音)(방음(防音), 차음(遮音))의 효과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장척의 내장재는 터프티드(tufted) 공정을 거쳐서 표면에 파일이 형성된 기포의 이면에 EVA계 에멀션을 도포하여 건조시키거나, 이 기포의 이면에 용융된 EVA계 수지 시트를 적층 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그 이면에 배킹재를 가열하여 적층하더라도 좋고, 타일 내장재는 터프티드 공정을 거쳐서 표면에 파일이 형성된 1차기포와 그 이면에 2차기포 및 EVA계 수지층을 쌓은 후 가열하여 적층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배킹재층을 쌓아서 가열하여 적층하고, 이를 소정 치수의 타일 모양으로 절단하여 형성되는 것이지만, 이 때에 1차기포로 EVA계 에멀션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것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 난연성 면상체에 관한 시험결과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우선, 파일 소재로서 울사(wool絲)를 사용하고,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가요성 면상본체)의 이면에, 고형분 50%의 EVA 에멀션에 대하여 이 고형분과 거의 동일한 질량의 폴리붕산나트륨의 분말을 첨가한 EVA계 에멀션을 도포한 후 건조시킨 시험편 A(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를 준비했다. 이 시험편 A를 단면이 수직이 되는 모양으로 수하(垂下)하여 1300℃의 버너의 불꽃에 직접적으로 닿게 하였는데, 폴리붕산나트륨이 발포하고 탄화(炭化)가 확인되지만 착화(着火)하는 데에는 이르지 않았다.
또한, 표면에 나일론사의 나일론 파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시험편 A와 동일한 시험편 B(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를 준비해서, 상기 시험편 A와 마찬가지로 1300℃의 버너의 불꽃에 직접적으로 닿게 하였는데, 폴리붕산나트륨이 발포하고 탄화가 확인되지만 착화하는 데에는 이르지 않았다.
따라서, EVA 수지에 폴리붕산나트륨을 첨가하여 혼련시킴으로써 불연성 수지가 되고, EVA 수지는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의 배합비율에 따라서 물성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EVA 수지는 깔개 등의 기포(가요성 면상본체)와 조합시킴으로써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붕산나트륨을 첨가한, 불연기능을 갖는 EVA 수지는, 불연성 수지재료로서 불연수지성형품, 고전압전선 불연피복재, 불연기기재료, 건축재료인 새시(sash) 등의 불연자재, 불연접착제로서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는, 필름, 시트 모양으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표면 코트용 불연재료, 불연필름재료, 나아가 불연섬유를 강화시킴으로써 강화불연시트, 불연천장막재, 불연텐트용 천, 불연덮개용 천, 용단용 보호시트(溶斷用 保護sheet), 불연옷감(不燃cloth) 등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는 커다란 효과가 있다.
또한, 폴리붕산나트륨에는 중성자선(中性子線)의 차폐작용이 있으므로 텅스텐 등의 감마선(gamma ray)을 차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유연성이 있는 시트로서, 예를 들면 오염된 토양 등에 있어서 각종 공장 등의 배관 등에 방사선차폐용으로 감겨서 사용되는 자재, 방사선 관리실 등의 방사선차폐 불연자재, 내재된 불연섬유를 사용하여 인장강도를 높인 방사선차폐 불연시트자재, 방사선차폐 의복용 불연자재, 방사선차폐 불연옷감, 수지성형에 의한 방사선차폐 불연자재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EVA 에멀션에 폴리붕산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난연화 에멀션으로서도 이용가능하며, 따라서 내장재에 적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난연 스프레이나 접착제 등의 다종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하다.
이하,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제조방법은, 이하의 각 공정으로부터 배킹재층,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한 표피재층 등을 형성하면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를 제조하는 것이다.
우선, 섬유의 굵기가 2.0∼16.0dtex이고 커트 길이가 20∼160mm의 범위로 형성된 피치계 탄소섬유 또는 섬유의 굵기가 2.0∼16.0dtex이고 커트 길이가 20∼160mm의 범위로 형성된 PAN계 탄소섬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섬유의 굵기가 2.0∼16.0dtex이고 커트 길이가 20∼160mm의 범위로 형성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상기 피치계 탄소섬유 또는 PAN계 탄소섬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30∼80중량%,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20∼70중량%의 배합비율로 혼면한 부직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진 배킹재층(10)을 형성하는 공정과, 폴리에스테르 섬유(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가요성 면상본체를 1차기포(21)로서 이용하기 위해서 그 일면측 또는 타면측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EVA계 에멀션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EVA계 에멀션 도포층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EVA계 수지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한 난연성 면상체(1차기포(21))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난연성 면상체를 1차기포(21)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난연성 면상체에 있어서 일면측의 표면에 파일사(양모 100%)에 의하여 파일(22)을 형성하여 표피재층(20)을 형성하는 공정과, 표피재층(20)으로서 형성된 난연성 면상체의 이면에서 상기 난연성 면상체에 형성된 EVA계 수지층을 접착재층으로 사용하여, 상기 배킹재층(10)과의 사이에 평직의 메시지(mesh地)(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멀티필라멘트사 등으로부터 형성되었다)를 개재시키거나 또는 개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킹재층(10)과 상기 표피재층(20)을 형성하는 난연성 면상체를 서로 쌓아서 가압, 가열하여 중합접착(重合接着)하는 공정이나, 또는 상기 파일(22)이 형성된 난연성 면상체의 이면에 실 빠짐 방지를 위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共重合體 組成物) 또는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非晶性 olefin 重合體 組成物)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한 접착제를 도포해서 표피재층(20)을 형성한 후, 상기 배킹재층(10)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또는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한 페이스트 모양의 물질을 코팅(접착재층(30))한 후, 평직의 메시지(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멀티필라멘트사 등으로부터 형성되었다)를 쌓은 후 가열하고, 그 후 그 위에 상기 표피재층(20)을 형성하는 난연성 면상체를 쌓아놓고 가압, 가열해서 중합접착하는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거친 후, 소정의 치수로 절단함으로써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소재 전체가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재질의 것이고, 난연성 및 내화성은 물론 내염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배킹재층(10)이 탄소섬유 또는 산화아크릴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혼면하여 부직섬유 집합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열고정성(熱固定性, heat setting)이 향상되고 고밀도가 되므로 배킹재로서의 강도가 높아진다.
또한, 접착재층(30)이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멀티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진 평직의 메시지를 내재하고,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32) 또는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에 강한 양호한 접착성도 구비하면서 인장강도와 절단에 대한 치수안정성이 좋아서 우수한 내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표피재층(20)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섬유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1차기포의 표면에 양모 100%의 파일사에 의하여 파일을 형성하고, 그 이면에 실 빠짐 방지를 위한 접착제를 도포한 경우에는, 쿠션성이 풍부한 표피재층이 얻어지고 또한 표피재층(20) 전체가 견고하게 일체화되기 때문에, 실 빠짐이나 파단(破斷)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배킹재층(10)은, 가열에 의한 탄소화 처리로 얻어지는 탄소섬유 또는 산화아크릴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혼면한 부직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며, 그 배합비율은, 상기 탄소섬유 또는 산화아크릴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30∼80중량%,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20∼70중량%이며, 또한 각 섬유의 굵기가 2.0∼16.0dtex이고 커트 길이가 20∼160mm의 범위로 형성되는 경우, 난연성 및 내화성은 물론 내염성을 구비함으로써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기능을 구비하면서 최적의 쿠션성도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킹재층(10)의 중량이 0.01∼1.5㎏/㎡인 경우에는 상기 배킹재층(10) 자체에 유연성이 구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킹재층(10)을 니들 펀치 등의 공정을 통하여 그 두께를 3.0∼15.0mm의 범위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킹재층(10) 자체에 유연성과 신축성이 함께 구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배킹재층(10)은 피치계 탄소섬유 또는 PAN계 탄소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열접착성 섬유를 포함한다)를 혼면한 부직섬유 집합체인데, 상기 배킹재층(10)에 사용되는 탄소섬유로 가령 PAN계 탄소섬유(산화아크릴섬유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의 전구체(precursor) 섬유를 산화성 분위기 중에서 가열처리 해서 얻어지는 것이다)를 사용한 경우에는, 배킹재가 발화되어도 배킹재 자체의 연소·용융에 의한 손상은 경미하며 또한 산화아크릴섬유가 적절한 강도와 신장도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에 있어서 강도, 유연성 및 신축성을 구비한 부직섬유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AN계 탄소섬유를 대신하여 피치계 탄소섬유(석유, 석탄, 콜타르(coal tar) 등의 부생성물(副生成物))를 사용한 경우에도, 배킹재 자체의 연소·용융에 의한 손상은 경미하게 될 수 있다.
즉, 배킹재층(10)은 피치계 탄소섬유 또는 PAN계 탄소섬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혼면한 부직섬유 집합체라면 좋다.
상기 부직섬유 집합체는 열고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산화아크릴섬유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혼면한 것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제조공정에 있어서 니들링(needling)(니들 펀치 등의 가공)의 후속공정에서 가열후 가압하여 냉각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수축되고 뒤얽혀서 열고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프레스 후의 밀도를 높게 유지하고 치수안정성과 함께 난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아크릴섬유만으로는 강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단독으로는 높은 밀도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높은 강성을 구비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혼면함으로써, 부직섬유 집합체가 필요한 밀도로 유지되어 배킹재로서의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열접착성 섬유를 포함한다)를 사용하면, 충분한 열고정성을 얻을 수 있고 동시에 비교적 높은 내열성을 가진다는 점 때문에, 배킹재의 내열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열온도가 150℃∼200℃인 비교적 높은 내열성을 구비하는 배킹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산화아크릴섬유와 혼면하는 섬유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를 대신하여 아라미드 섬유(aramid 纖維)를 사용해도 좋다.
상기 산화아크릴섬유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의 배합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산화아크릴섬유 30∼80%,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20∼70%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정도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배합비율을 억제하면, 내염성을 그다지 저하시키지 않고 열고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배킹재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킹재를 사용해서 깔개(A)의 배킹재층(10)을 구성하면, 높은 난연성·내염성을 구비하고 있어서 직접 화염에 노출되어도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순식간에 스스로 소화(消火)하여 불길이 타오르지 않도록 되고, 타오르지 않으므로 발화를 일으켜도 배킹재 자체의 연소·용융에 의한 손상이 경미하게 된다.
또한, 난연성 면상체를 1차기포(21)로서 사용하기 위해 상기 난연성 면상체의 일면측의 표면에 파일사(양모100%)에 의하여 파일(22)을 형성하여 표피재층(20)을 형성하고, 그 후 표피재층(20)으로서 형성된 난연성 면상체의 이면에 상기 난연성 면상체에 형성된 EVA계 수지층을 접착재층으로 사용하여, 상기 배킹재층(10)과의 사이에 평직의 메시지(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멀티필라멘트사 등으로부터 형성되었다)를 개재하거나 또는 개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킹재층(10)과 상기 표피재층(20)을 형성하는 난연성 면상체를 쌓아놓고 가압, 가열해서 중합접착한 후, 소정의 치수로 절단함으로써, 재료비용을 낮추면서도 제조공정이 용이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치지 않고, 파일(22)이 형성된 난연성 면상체의 이면에 실 빠짐 방지를 위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또는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한 접착제를 도포해서 표피재층(20)을 형성한 후, 상기 배킹재층(10)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또는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한 페이스트 모양의 물질를 코팅(접착재층(30))한 후 평직의 메시지(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멀티필라멘트사로부터 형성되었다)를 쌓은 후 이것을 가열하고, 그 후 그 위에 상기 표피재층(20)을 형성하는 난연성 면상체를 쌓아놓고 가압, 가열해서 중합접착한 후, 소정의 치수로 절단함으로써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접착재층(30)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멀티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는 메시지(31)를 내재시킨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32) 또는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했지만, 연소시에 유독가스의 발생이 적은 접착재료로서, 예를 들면 주폴리머(主polymer)인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와 함께 부폴리머(副polymer)로서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結晶性 polypropylene)이나 점착부여제(粘着附與劑), 용융점도저하제(溶融粘度低下劑) 및 충전제를 포함시킨 조성물이 바람직하며, 또한 난연제나 착색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서 배합해도 좋다.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로서는 APAO(비결정질 폴리올레핀), APP(비결정질 폴리프로필렌), 비정성 부텐 중합체 등이 있다. 또한, 중합체 조성물 중에는, 주폴리머인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와 함께 부폴리머로서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할로겐 원소를 가지지 않는 다른 수지성분을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폴리머에 더하여 지방족계 석유수지와 같은 점착부여제, 왁스와 같은 용융점도저하제, 각종 충전제, 각종 난연제 등의 여러가지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혼입해도 좋다.
상기 접착제층(30)에 내재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인장강도가 높고 또한 신장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강도가 높고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깔개(A)를 얻을 수 있지만, 접착재층(30)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32)을 사용한 경우에는 물에 극히 강한 접착제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31)로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멀티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진 평직을 사용함으로써 가로 및 세로의 어디에 대해서도 높은 강도와 치수안정성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는 접착제층(30)에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멀티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는 메시지(31)를 한 개 층만 내재시키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층의 메시지를 내재시켜서 접착제층을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깔개(A)의 접착재층을 구성하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32) 또는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접착성이 양호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멀티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는 메시지(31)에 의하여 물에 강하고, 인장강도도 크며, 치수안정성이 좋고, 내구성이 증대된 깔개(A)가 얻어진다.
표피재층(20)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제 부직포로 이루어진 가요성 면상본체를 구비하는 난연성 면상체를 1차기포(21)로서 사용하며, 동시에 표면에 양모 100%의 파일사에 의하여 파일(22)이 형성되고, 그 이면에 실 빠짐 방지를 위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32) 또는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접착제(23)가 도포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이 표피재층(20)의 표면에 붕산이온 중합체의 나트륨염 등을 조성물로 하는 불연제를 스프레이 등에 의하여 부착시켜도 좋다.
위와 같이 깔개(A)의 표피재층(20)을 구성하면, 쿠션성이 풍부한 표피재층이 얻어지고, 또한 표피재층 전체가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실 빠짐이나 파단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한층 더 불연성이 향상되고, 난연성, 내화성 및 내염성이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A)에 의하면, 내염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열고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내열온도가 150℃∼200℃인 높은 내열성을 구비함으로써 높은 난연성·내염성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직접 화염에 노출되어도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게다가 순식간에 스스로 소화(消火)하여 불길이 타오르지 않도록 되고, 또한 이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A) 자체도 불타지 않으므로, 가령 발화를 일으킨 경우에도 배킹재 자체의 연소·용융에 의한 손상이 경미하게 된다. 또한, 물에 강한 양호한 접착성을 구비하면서도 인장강도, 절단에 대한 치수안정성과 같은 우수한 내구성을 구비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A)에는, 최적의 쿠션성과 함께, 가령 사용시에 절단가공을 실시하여 타일카펫으로서 사용하거나 절단해서 소정 폭 및 소정 길이를 갖는 장척의 카펫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조공장 등으로부터 시공현장 등으로의 운반시뿐만 아니라 시공현장에서 실제의 시공장소로의 반입 등과 같은 이동시 등에 만곡상태로 만들 수 있거나 또는 감을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시에 있어서 박리되기 어렵게 되도록 하기 위한 유연성이나 신축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발연성·연소 독성의 시험방법 및 측정된 유독가스의 시험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시험방법
시험은, 국제해사기관(IMO)의 「화재시험방법의 적용에 관한 국제 코드(해상안전위원회결의MSC61(67))」의 파트 2 「연기와 독성시험」에 따라 실시했다. 연기의 발생시험은, ISO 5659:1994의 파트 2에 따라 실시했다. 독성가스의 분석은, FTIR(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법)을 사용했다. 시험체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요시다후사 오리모노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품명: 표면 마루깔기재, 형식: YF타일W, 치수: 가로·세로 75mm)를 사용했다.
시험결과
시험결과 및 상기 시험방법에 규정되어 있는 기준값을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시험체는 화재시험방법 코드의 파트 2의 판정기준을 따르고, 이 기준에 규정되어 있는 각 재료의 발연성 및 독성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표 1]
Figure 112014027502634-pct00001
주 1. 표 1에 있어서, N.D.는 Not Detected의 약자로서 검출될 수 없었다라는 것을 나타낸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면상체 및 상기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는, 난연성, 내화성 및 내염성이 우수하므로, 일반가정에 있어서 불을 취급하는 장소나, 발화가 발생하는 공장 내부는 물론, 특히 선박, 고층건축물, 항공기, 자동차 등, 방화에 대한 기준이 엄격한 장소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A…깔개, 10…배킹재층, 20…표피재층, 21…1차기포, 22…파일, 23…접착제, 30…접착재층, 31…메시지, 32…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Claims (16)

  1.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A)에 이용가능한 가요성 면상본체(可撓性 面狀本體)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一面側) 또는 타면측(他面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poly 硼酸 natrium)의 무기물이 함유됨과 아울러 아세틸기(acetyl基) 및 염화비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저온특성을 구비하고, 또한 탄산칼슘이 혼합된 열가소성 수지층(熱可塑性樹脂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면상체(難燃性面狀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acetic acid vinyl 共重合體)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EVA계 에멀션(EVA系 emulsion)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EVA계 에멀션 도포층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EVA계 수지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면상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EVA계 에멀션 도포층이 형성되었을 때에, 상기 EVA계 에멀션 도포층에 EVA계 수지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면상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에 열가소성 수지층이 형성되었을 때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과 대면하는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에 파일(pil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면상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이 형성된 면과 대면하는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에는 다른 가요성 면상본체가 적층되고, 또한 상기 다른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EVA계 에멀션 도포층 또는 EVA계 수지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면상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에는 배킹재층(backing材層)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면상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면상본체, 열가소성 수지층 또는 배킹재층 중의 어느 하나에는, 난연성 면상체의 오그라듦 또는 휘어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억제하는 억제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면상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면상본체, 열가소성 수지층 또는 배킹재층 중의 어느 하나에는, 방진수단(防振手段) 또는 흡음수단(吸音手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면상체.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면상체에는 방사선 차폐물질(放射線 遮蔽物質)인 텅스텐 분말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면상체.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재층이, 피치계 탄소섬유(pitch系 炭素纖維) 또는 PAN계 탄소섬유(PAN系 炭素纖維)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polyester系 纖維)의 부직섬유 집합체(不織纖維 集合體)로 이루어지고,
    또한 배합비율이, 상기 피치계 탄소섬유 또는 PAN계 탄소섬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30∼80중량%이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20∼70중량%이며,
    또한 각 섬유의 굵기가 2.0∼16.0dtex이고 커트 길이가 20∼160mm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면상체.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재층(10)의 중량이 0.0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면상체.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재층(10)이 니들 펀치의 공정을 통하여 그 두께가 3.0∼15.0mm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면상체.
  13. 제4항에 기재된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하는,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A)로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에는 배킹재층이 적층되고,
    파일(22)이 형성된 난연성 면상체를 1차기포(一次基布)(21)로서 사용하는 표피재층(表皮材層)(20)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표피재층(20)과 상기 배킹재층(10)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 및/또는 다른 접착재층(30)을 통하여 적층되고,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 및/또는 다른 접착재층(30)이, 평직(平織)의 메시지(mesh地: mesh fabric)를 내재하거나 또는 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표피재층(20)을 형성하는 난연성 면상체와 상기 배킹재층(10)을 일체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14. 섬유의 굵기가 2.0∼16.0dtex이고 커트 길이가 20∼160mm의 범위로 형성된 피치계 탄소섬유 또는 섬유의 굵기가 2.0∼16.0dtex이고 커트 길이가 20∼160mm의 범위로 형성된 PAN계 탄소섬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섬유의 굵기가 2.0∼16.0dtex이고 커트 길이가 20∼160mm의 범위로 형성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상기 피치계 탄소섬유 또는 PAN계 탄소섬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30∼80중량%,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20∼70중량%의 배합비율로 혼면(混綿)한 부직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진 배킹재층(10)을 형성하는 공정과,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해서 형성된 가요성 면상본체의 일면측 또는 타면측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EVA계 에멀션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EVA계 에멀션 도포층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이 함유된 EVA계 수지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열가소성 수지층을 구비한 난연성 면상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난연성 면상체를 1차기포(21)로서 사용하기 위해, 상기 난연성 면상체의 일면측의 표면에 파일사(pile絲)에 의해서 파일(22)을 형성하여 표피재층(20)을 형성하는 공정과,
    표피재층(20)으로서 형성된 난연성 면상체의 이면(裏面)에서 상기 난연성 면상체에 형성된 EVA계 수지층을 접착재층으로 사용하여, 상기 배킹재층(10)과의 사이에 평직의 메시지를 개재시키거나 또는 개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킹재층(10)과 상기 표피재층(20)을 형성하는 난연성 면상체를 쌓아서 가압, 가열하여 중합접착(重合接着)하는 공정이나, 또는 상기 파일(22)이 형성된 난연성 면상체의 이면에 실 빠짐 방지를 위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共重合體 組成物) 또는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非晶性 olefin 重合體 組成物)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한 접착제를 도포해서 표피재층(20)을 형성한 후, 상기 배킹재층(10)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또는 비정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한 페이스트 모양의 물질을 코팅(접착재층(30))한 후, 평직의 메시지를 쌓은 후 가열하고, 그 후 그 위에 상기 표피재층(20)을 형성하는 난연성 면상체를 쌓아서 가압, 가열해서 중합접착하는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거친 후,
    소정의 치수로 절단함으로써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를 제조하며,
    상기 난연성 면상체의 열가소성 수지층이, 염화비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저온특성을 구비하고 또한 탄산칼슘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제조방법.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난연성 면상체에 사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층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아세틸기 및 염화비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저온특성을 구비하고 또한 탄산칼슘이 혼합됨과 아울러, 적어도 폴리붕산나트륨의 무기물을 함유하고, 또한 소정의 두께를 구비하는 시트상(sheet狀) 또는 액상(液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층.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에는, 시트상으로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층의 굴곡시(屈曲時) 또는 압인시(押引時)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균열이나 분단(分斷)의 파손을 저지하기 위한 보강수단(補强手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층.
KR1020147007587A 2012-11-08 2013-11-08 난연성 면상체 및 상기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및 상기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제조방법 KR101588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60320 2012-11-08
JP2012260320 2012-11-08
PCT/JP2013/061137 WO2014073226A1 (ja) 2012-11-08 2013-04-08 有害ガス難発生敷物等用のバッキング材層及び該バッキング材層を有した有害ガス難発生敷物並びに有害ガス難発生敷物の製造方法
WOPCT/JP2013/061137 2013-04-08
JP2013243305A JP6634643B2 (ja) 2012-11-08 2013-11-07 有害ガス難発生敷物用の難燃性面状体
JPJP-P-2013-243305 2013-11-07
PCT/JP2013/080842 WO2014073710A1 (ja) 2012-11-08 2013-11-08 難燃性面状体及び該難燃性面状体を用いた有害ガス難発生敷物並びに該有害ガス難発生敷物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631A KR20140078631A (ko) 2014-06-25
KR101588217B1 true KR101588217B1 (ko) 2016-01-25

Family

ID=5068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587A KR101588217B1 (ko) 2012-11-08 2013-11-08 난연성 면상체 및 상기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및 상기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754373B1 (ko)
KR (1) KR101588217B1 (ko)
AU (1) AU2013314173B2 (ko)
WO (1) WO2014073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065015U (zh) * 2017-07-06 2018-11-09 上海卡比特家饰地毯有限公司 一种地毯
FR3078285B1 (fr) * 2018-02-27 2023-09-08 Gerflor Structure multicouche pour la realisation d'un revetement de sol
IT201900008217A1 (it) * 2019-06-06 2020-12-06 Agotex S R L Substrato composito termoisolante ininfiammabile per autoveicoli e metodo di produzione
CN113183569B (zh) * 2021-04-13 2023-05-05 诺奥(福建)环保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双层pvc复合方块毯及其生产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1187A1 (ja) 2003-06-27 2005-01-06 Takayasu Co., Ltd. 難燃性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51220B2 (ja) 2006-02-24 2009-10-28 吉田房織物株式会社 有害ガス難発生敷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93976B1 (ko) 2011-12-13 2012-10-24 유한회사 고보우사이까 붕소계 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연자재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3037A (ja) * 1984-09-28 1986-04-26 五洋紙工株式会社 カップ用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カツプの製造方法
US4689256A (en) * 1986-08-29 1987-08-25 Compo Industries, Inc. Flame retardant tufted carpet tile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JPH0790252B2 (ja) 1991-05-29 1995-10-04 川崎製鉄株式会社 H形鋼のフランジ冷却装置
JP3428095B2 (ja) 1993-10-13 2003-07-22 鈴木総業株式会社 ヤシ繊維利用資材
US20030102463A1 (en) * 2001-03-12 2003-06-05 Smith David M. Radiation shielding
US20080090477A1 (en) * 2004-12-17 2008-04-17 Balthes Garry E Fire Retardant Panel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3937041B2 (ja) * 2004-12-22 2007-06-27 吉田房織物株式会社 有害ガス難発生カーペット
US20060182940A1 (en) * 2005-02-14 2006-08-17 Hni Technologies Inc. Fire-resistant fiber-containing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07143302A1 (en) * 2006-05-31 2007-12-13 Hni Technologies Inc. Fiber-containing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10024281A (ja) * 2008-07-16 2010-02-04 Campo Tecnico:Kk ポリホウ酸ナトリウム難燃性樹脂組成物
JP4450433B2 (ja) * 2008-07-23 2010-04-14 吉田房織物株式会社 難燃化又は不燃化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1187A1 (ja) 2003-06-27 2005-01-06 Takayasu Co., Ltd. 難燃性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51220B2 (ja) 2006-02-24 2009-10-28 吉田房織物株式会社 有害ガス難発生敷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93976B1 (ko) 2011-12-13 2012-10-24 유한회사 고보우사이까 붕소계 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연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314173A1 (en) 2014-05-22
EP2754373A1 (en) 2014-07-16
WO2014073710A1 (ja) 2014-05-15
EP2754373A4 (en) 2015-11-04
KR20140078631A (ko) 2014-06-25
EP2754373B1 (en) 2019-12-25
AU2013314173B2 (en)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4643B2 (ja) 有害ガス難発生敷物用の難燃性面状体
CN102529221B (zh) 防火弹性绝缘体
KR101588217B1 (ko) 난연성 면상체 및 상기 난연성 면상체를 사용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 및 상기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깔개의 제조방법
DK2345535T3 (en) Fire protection system for extended polymers
JP5057506B2 (ja) ノンハロゲン系車両用防水床シート
EP1448841B1 (en) Textile products having flame retardant properti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N203876304U (zh) 积层构件
JP6192094B2 (ja) 難燃性カーペット
EP2522502A1 (en) Reinforcing and flame protection lamination for cellular polymers
KR100643003B1 (ko)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난연성 벽지
TWI647105B (zh) 阻燃性面狀體及使用該阻燃性面狀體的不易產生有害氣體的墊子
JP2019001140A (ja) 防耐火バサルトシート
JP2002115348A (ja) 耐火性防音床
JP2014040689A (ja) 難燃・不燃性内装材
JPH0712492Y2 (ja) 防火シ−ル用テ−プ又はシ−ト
EP0419560A1 (en) COATED TEXTILE PRODUCT.
JP2011038366A (ja) 防音材料
JP2002173995A (ja) 耐火性防音床
Horrocks University of Bolton, Bolton, United Kingdom
JP5051559B1 (ja) 交通機関用難燃性内装材
JP2014523976A (ja) パターン形成難燃性可撓性基材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