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790B1 - 기호성이 우수한 민트 홍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호성이 우수한 민트 홍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790B1
KR101587790B1 KR1020070110286A KR20070110286A KR101587790B1 KR 101587790 B1 KR101587790 B1 KR 101587790B1 KR 1020070110286 A KR1020070110286 A KR 1020070110286A KR 20070110286 A KR20070110286 A KR 20070110286A KR 101587790 B1 KR101587790 B1 KR 101587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peppermint
mixture
leaves
black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4270A (ko
Inventor
유랑국
백주현
정진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7011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790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08Oxidation;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2Isolation or recuperation of tea flavour or tea o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technology (AREA)
  • Tea And Coffe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호성이 우수한 민트 홍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홍차에 민트를 혼합하여 배전함으로써 홍차 특유의 쓴맛과 떫은맛을 제거하고 기존 홍차와는 다른 향미를 발현시켜 기호성을 증진시킨 민트 홍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홍차 * 민트 * 페퍼민트 * 허브차

Description

기호성이 우수한 민트 홍차 및 그 제조방법{Peppermint-black tea mixed tea with excellent preference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기호성이 우수한 민트 홍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홍차에 민트를 혼합하여 배전함으로써 홍차 특유의 쓴맛과 떫은맛을 제거하고 기존 홍차와는 다른 향미를 발현시켜 기호성을 증진시킨 민트 홍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홍차(紅茶)는 백차, 녹차 및 우롱차 보다 더 많이 발효된 차(Camellia Sinensis)의 일종이다. 홍차는 상기 차들 보다 향이 더 강하며, 카페인도 더 많이 함유되어 있다. 동양에서는 찻물의 빛이 붉기 때문에 홍차(紅茶, red tea)라고 부르지만, 서양에서는 찻잎의 검은 색깔 때문에 'black tea (흑차)'라고 부른다. 서양에서 'red tea'는 보통 남아프리카의 루이보스 차를 의미한다. 녹차는 그 향과 맛을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잃는 반면, 홍차는 수 년간 그 향이 보존된다. 따라서 홍차는 오래전부터 무역에 사용되었으며, 몽골, 티베트와 시베리아에서는 19세기까 지도 홍차 잎을 압축한 덩어리가 화폐로서 사용되기도 했다. 전통적으로 서양사회에 알려진 차는 홍차뿐이었으며, 녹차가 널리 퍼지고 있지만, 지금도 홍차는 서양에서 팔리는 차의 90퍼센트를 넘게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홍차는 녹차나 다른 우롱차 보다 카페인 함량이 높아 쓴맛이 많이 나고, 폴리페놀들이 서로 중합체를 이루어 떫은맛도 강한 편이다. 그렇기 때문에 예로부터 홍차에 우유를 넣어서 먹는 밀크티가 유행하였다.
민트의 정유는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정유의 주요 성분인 멘톨은 피부와 점막을 시원하게 해주고, 항균과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어서 고대 이집트에서는 식용과 약용 및 방향제로, 고대 그리스에서는 향수의 중요한 성분으로,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향수 외에도 원기 강화제와 목욕 첨가제로 사용하였다. 정신적 피로와 우울증 및 신경성 발작 등에 효과가 있으며, 더울 때에는 차갑게 해주고 추울 때에는 따뜻하게 해주는 성분이 점액의 유출을 막아줌으로써 해열과 발한을 돕는다. 그 외에도 감기, 천식, 기관지염, 콜레라, 폐렴, 폐결핵, 식중독 및 신경동 등에 효과가 있다.
국내 식용으로 사용되는 페퍼민트는 워터민트(Mentha aguatica)와 스피어민트(Mentha spicata)의 교잡종으로, 향기가 후추(pepper)의 톡 쏘는 성질과 닮았다고 하여 페퍼민트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원산지는 유럽이지만, 유럽을 비롯해 미국, 일본 및 중국 등에서도 자란다.
본 발명자들은 침출 시 홍차의 폴리페놀과 카테킨에 의한 떫은맛과 쓴맛이 기호도를 떨어뜨리는 것을 막고 후레시한 향을 부여함으로써 홍차의 떫은맛과 쓴맛을 줄이고자 노력한 결과, 민트와 홍차의 단순 혼합 블랜딩 보다는 혼합 후 배전 가공을 거침으로써 홍차 특유의 떫은맛과 쓴맛은 제거되고 후레시한 민트 향미가 강화되어 기존 홍차나 단순 혼합차와는 다른 기호성이 우수한 민트 홍차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홍차 고유의 떫은맛과 청취가 제거되고 후레시한 민트 향미가 가해진 기호성이 우수한 민트 홍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홍차 및 페퍼민트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배전한 후 수분이 총 중량의 2∼10 중량%가 되도록 건조하여 제조한 민트 홍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건조된 홍차 잎과 페퍼민트 잎을 혼합하는 혼합공정; 및 (b) 상기 홍차 잎과 페퍼민트 잎의 혼합물을 배전 처리하고 이와 동시에 배전된 혼합물의 전체 수분함량이 총 중량의 2∼10%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배전 및 건조 공정을 거치는 민트 홍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민트 홍차는 홍차 단독의 맛에 민트의 맛과 향을 부여하여 종전과 다른 후레시한 향과 맛을 음미할 수 있어 기호성이 우수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홍차에 민트를 혼합하고 배전처리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홍차 특유의 쓴맛과 떫은맛을 제거하고 기존 홍차와는 다른 향미를 발현시켜 기호성을 증진시킨 민트 홍차를 제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홍차 및 페퍼민트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배전하여 수분이 총 중량의 2∼10 중량%가 되도록 건조하여 제조한 민트 홍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건조된 홍차 잎과 페퍼민트 잎을 혼합하는 혼합공정; 및 (b) 상기 홍차 잎과 페퍼민트 잎의 혼합물을 배전 처리하고 이와 동시에 배전된 혼합물의 전체 수분함량이 총 중량의 2∼10%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배전 및 건조 공정을 거치는 민트 홍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민트 홍차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혼합공정
먼저, 건조된 홍차 잎에 페퍼민트 잎을 혼합한다.
상기 건조된 홍차 잎은 일반적인 홍차의 제조공정을 거친 것으로서, 찻잎을 수확한 후 일정시간 위조(발효)한 후 배전하고, 줄기를 선별하여 만든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페퍼민트 잎은 홍차와 잘 혼합하기 위하여 마쇄 및 분쇄공정을 거쳐 홍차와 비슷한 크기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입도분포가 10∼30 메쉬인 것이 95% 이상인 독일산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페퍼민트 잎의 혼합 비율은 홍차 중량의 50% 이하가 바람직하다. 페퍼민트 잎의 중량이 홍차 중량의 50% 이상일 때 홍차의 고유한 맛과 성분을 느낄 수가 없을 정도로 페퍼민트의 맛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페퍼민트 잎은 홍차 잎 중량의 10∼40 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호도를 고려하였을 때 20∼30 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2) 배전 및 건조공정
상기 1) 단계에서 혼합한 홍차 혼합물을 드럼식 배전기를 통해 배전한다. 이 때 사용하는 드럼식 배전기는 일본 가와사키(Kawasaki) 기공의 드럼식 로스터가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드럼식 로스터의 온도는 100∼200℃가 적절하나, 온도가 높을수록 적절한 품질 컨트롤이 힘들고 온도가 너무 낮으면 배전의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어,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홍차의 2차 가공 조건인 150℃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배전과 동시에 건조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배전된 혼합물의 수분함량이 2∼10% 수준이 되도록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함량이 2% 미만일 경우 과건조에 의한 향미 손실과 홍차 및 민트의 품질저하가 유발되며, 10% 초과할 경우에는 민트 홍차의 쓴맛 등의 이미(異味)를 제거하기 위한 원래 배전의 효과를 얻지 못하고, 민트 홍차의 수분 증가로 미생물 번식 등의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전 시 소요되는 시간은 5∼15분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홍차에 혼합하는 페퍼민트의 비율
홍차와 페퍼민트를 혼합할 때 기호도가 최적인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10kg의 건조된 홍차 잎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홍차 중량의 5∼60 중량%에 해당하는 페퍼민트 잎을 고루 혼합하였다. 이 혼합 홍차를 1.5g 씩 80℃(±1℃)의 온수 150ml에 넣고 2분간 우려낸 후 10인의 전문패널에게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페퍼민트 혼합량(홍차 중량에 대한 중량%)
5 10 20 30 40 50 60
기호도 + ++ +++ +++ ++ + +
(좋음:+++, 보통:++, 나쁨:+)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홍차 잎 중량에 대하여 20∼30 중량%의 페퍼민트 잎을 혼합하였을 때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 실시예 2] 혼합물의 배전 정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10kg의 건조된 홍차 잎에 홍차 중량의 10∼40 중량%에 해당하는 페퍼민트 잎을 혼합한 혼합물을 드럼식 배전기(가와사키 기공의 드럼식 로스터)로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0∼60분 동안 150℃에서 배전처리한 다음 제조된 민트 홍차를 1.5g씩 80℃(±1℃)의 온수 150ml에 넣고 2분간 우려낸 후, 10인의 전문패널에게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페퍼민트 혼합량
(수분함량)
가공시간(분)
0 5 10 15 20 30 60
10 중량% + +++ ++ + + + +
(수분함량) 8.2 6.3 5.9 5.1 4.8 4.2 2.1
20 중량% ++ +++ ++ + + + +
(수분함량) 8.7 7.2 6.1 5.5 5.0 4.5 2.5
30 중량% ++ ++ +++ ++ + + +
(수분함량) 8.4 7.0 6.4 5.8 5.2 4.1 2.9
40 중량% + ++ ++ +++ ++ + +
(수분함량) 8.3 6.9 6.2 5.6 5.0 4.1 2.4
(좋음:+++, 보통:++, 나쁨:+)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배전하지 않은 혼합물 보다 배전을 거친 후 기호도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페퍼민트의 혼합비율에 따라 최적의 가공조건이 차이가 있으며, 페퍼민트의 비율이 올라갈수록 최적 기호도를 나타내는 가공시간이 늘어났다. 상기 결과로부터 수분함량이 10% 이하이고, 배전 시간이 5∼15분 정도일 때 기호도 높은 민트 홍차를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홍차 잎 및 페퍼민트 잎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민트 홍차로서,
    상기 혼합물은, 이의 전체 수분 함량이 혼합물 총 중량의 6~8 중량%가 되도록 5~10분간 배전 및 건조된 것이고,
    상기 페퍼민트 잎은 홍차 잎 중량의 20~30 중량%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민트 홍차.
  2. 삭제
  3. (a) 건조된 홍차 잎에 페퍼민트 잎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혼합 공정; 및
    (b) 상기 홍차 잎과 페퍼민트 잎의 혼합물을 드럼식 배전기에서 배전처리하고 이와 동시에 배전된 혼합물의 전체 수분 함량이 혼합물 총 중량의 6~8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배전 및 건조 공정;
    을 포함하며,
    상기 페퍼민트 잎은 홍차 잎 중량의 20~30 중량%로 혼합되고,
    상기 배전 및 건조시 소요되는 시간은 5~10분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민트 홍차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070110286A 2007-10-31 2007-10-31 기호성이 우수한 민트 홍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587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286A KR101587790B1 (ko) 2007-10-31 2007-10-31 기호성이 우수한 민트 홍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286A KR101587790B1 (ko) 2007-10-31 2007-10-31 기호성이 우수한 민트 홍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270A KR20090044270A (ko) 2009-05-07
KR101587790B1 true KR101587790B1 (ko) 2016-01-25

Family

ID=4085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286A KR101587790B1 (ko) 2007-10-31 2007-10-31 기호성이 우수한 민트 홍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7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754A (ja) 2000-08-09 2002-02-19 Isamu Sakumoto ハーブティーの製造方法
WO2003017788A1 (fr) 2001-08-30 2003-03-06 Shin Mitsui Sugar Co., Ltd. Boisson contenant des aromes de fleurs ou d'herbes ou des extraits d'aromes de fleurs ou d'herbes
JP2005117968A (ja) 2003-10-16 2005-05-12 Handa:Kk 粉末茶
JP2005536994A (ja) 2002-07-19 2005-12-08 ズートツッカー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マンハイム/オクセンフルト イソマルツロースを含むインスタント飲料粉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754A (ja) 2000-08-09 2002-02-19 Isamu Sakumoto ハーブティーの製造方法
WO2003017788A1 (fr) 2001-08-30 2003-03-06 Shin Mitsui Sugar Co., Ltd. Boisson contenant des aromes de fleurs ou d'herbes ou des extraits d'aromes de fleurs ou d'herbes
JP2005536994A (ja) 2002-07-19 2005-12-08 ズートツッカー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マンハイム/オクセンフルト イソマルツロースを含むインスタント飲料粉末
JP2005117968A (ja) 2003-10-16 2005-05-12 Handa:Kk 粉末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270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699B1 (ko) 산야초 혼합 녹차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222513B (zh) 一种高香型绿茶的制备方法
CN102813025A (zh) 一种神秘果复合茶剂及其制备方法
KR100806754B1 (ko) 감국의 꽃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KR20100026487A (ko) 대추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 및 이 제조방법
CN101720825B (zh) 一种陈年铁观音茶的制作方法
KR101354010B1 (ko) 국화막걸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0172B1 (ko) 향미가 강화된 국화차 및 그 제조방법
CN111772003A (zh) 一种特殊口味乌龙茶及其制茶方法
KR101079172B1 (ko)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숙성 대추정과
KR101587790B1 (ko) 기호성이 우수한 민트 홍차 및 그 제조방법
CN107996760B (zh) 一种天麻红茶及其加工工艺
KR20140027772A (ko) 옥음차 제조 방법
KR101337893B1 (ko) 기호성이 우수한 민트 녹차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117018A (ko) 녹차 장아찌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차장아찌
KR101393481B1 (ko) 기호성이 우수한 홍삼 녹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93482B1 (ko) 국화꽃 녹차의 제조 방법
KR100441425B1 (ko) 녹차분을 이용한 녹차묵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하여 제조된 녹차묵
KR101459740B1 (ko) 기호성이 우수한 캔디향 홍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94907A (ko) 생약초 성분이 함유된 떡차의 제조 방법
KR102645613B1 (ko) 구기자 및 더덕을 이용한 발효 쌍화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28470B1 (ko) 갈대커피차 제조방법
KR102548785B1 (ko) 산양삼 및 산양도라지의 잎과 줄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차 조성물
KR100422380B1 (ko) 배초향 엽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14234B1 (ko) 침향을 함유한 커피차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126

Effective date: 2015120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