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777B1 -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777B1
KR101587777B1 KR1020140094921A KR20140094921A KR101587777B1 KR 101587777 B1 KR101587777 B1 KR 101587777B1 KR 1020140094921 A KR1020140094921 A KR 1020140094921A KR 20140094921 A KR20140094921 A KR 20140094921A KR 101587777 B1 KR101587777 B1 KR 101587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workpiece
upper plat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혁
Original Assignee
(주)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텍 filed Critical (주)솔텍
Priority to KR1020140094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4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adjustable in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2Arrangements for turning or tilting 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작물의 경사진 구멍 등을 가공하기 위해 공작물이 고정되는 고정장치를 회동되게 설치하여 공작물의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한 쌍의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고정장치에 고정되는 공작물이나 바이스 등의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간격을 조절 설치하여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의 각도 변환고정장치는 분할 형성되되, 하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판부를 제어하는 플레이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Fixed-angle conversion device of the workpiece}
본 발명은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작물의 경사진 구멍 등을 가공하기 위해 공작물이 고정되는 고정장치를 회동되게 설치하여 공작물의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한 쌍의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고정장치에 고정되는 공작물이나 바이스 등의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간격을 조절 설치하여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물의 경사가공을 위하여 고정하는 테이블은 여러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일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SP)이 그 대표적인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BP) 선단에 구비된 힌지(HG)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상판(UP)이 구비된다.
이렇게, 상기 상판(UP)은 마그네틱 프레이트(Magnetic Plate)로서, 후단에는 블럭게이지(BG)에 의해 각도를 셋팅할 수 있도록 게이지바(GB)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힌지(HG)의 하측에는 상기 상판(UP)과 대칭형으로 베이스 플레이트(BP)가 구비되는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BP)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UP)의 게이지바(GB) 하측으로 블럭게이지(BG)가 구비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판(UP)에는 자성을 발생시키기 위해 온,오프 스위치(SW)가 구비되어 상기 상판(UP)의 상측에 공작물을 구비시킨 후, 온,오프 스위치(SW)를 작동시켜 자성을 발생시켜 고정하고, 도시하지 않은 공작기계에 의해 가공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판(UP)에는 공작물을 바로 얹어서 가공할 수도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스(VS)에 고정하여 가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바이스는 마그네틱 플레이트의 자성에 의해 공작물의 고정이 가능하지만,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작기계의 타격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 플레이트에 심한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진동이 발생하면 정밀한 가공이 되어야 하는 공작물에 오차가 발생하여 가공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진동에 의해 게이지바가 얹혀진 다수의 블럭게이지가 이탈함으로써, 가공 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에 의해 진동이 심하지 않은 연마가공밖에 시행할 수 없으므로, 그 용도가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틱 플레이트 하측에 블럭게이지를 구비하지 않고는 각도조절이 불가능하였고, 정확한 각도를 셋팅하기 위해 일일히 다수의 블럭게이지를 구비시킴으로써,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64222호가 제시된바 있다.
그러나, 실용신안등록 제20-0264222호는 상판과 하판이 통체로 형성되어 이 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공작물 또는 바이스의 크기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판의 크기보다 작은 공작물 또는 바이스의 경우에만 상판에 고정시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상판보다 큰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이 공작물의 크기에 맞은 테이블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테이블에 공작물 또는 바이스를 결속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시 발생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판을 고정시키고 있는 볼트의 지지력이 떨어져 상판이 하부로 회동하여 불량이 발생하는 등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작물의 각도 변환고정장치가 서로 분리된 한 쌍이 구비되고, 이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에 고정되는 공작물 또는 바이스의 크기에 따라 간격을 조절한 후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작물 또는 바이스의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상판부에 설치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하판에 고정설치되는 플레이트부의 플레이트 외측부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 플레이트의 회동공에 결속되는 회동볼트에 플레이트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와셔를 구비함으로써, 이 경사면에 의해 상판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판이 하부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플레이트에 한 쌍의 회동공을 형성하여 상판을 한 쌍의 회동볼트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경사가 조절된 상판을 지지하게 되어 작업 중에 불량이 발생하는 등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는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는, 하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판부를 제어하는 플레이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하판부는 측부에는 다수개의 결속나사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한 쌍의 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하판의 상단 일측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구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개의 고정구를 관통하되, 다수개의 제1체결나사공이 형성된 힌지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는 한 쌍의 하판 상부 각각에 설치되되, 일측 하부에 고정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힌지핀의 제1체결나사공과 대응되는 제1체결공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다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측부에는 다수개의 회동공이 형성된 상판이 구비되며, 상기 상판의 하부 타측부에는 게이지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의 타측부에는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지바의 상부에는 제2체결공에 대응되는 제2체결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상판에 서로 대응되게 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한 쌍의 상판 중 어느 하나의 상판에 형성된 슬라이드공과 연통되는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상판 중 어느 하나의 상판에 형성된 슬라이드공에 결합되는 슬라이드축이 구비되고, 상기 절개홈에 끼워져 슬라이드축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는 하판부의 하판 외측부에 결합 고정되되, 상판부의 상판 측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회동나사공에 대응되게 다수개의 회동공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회동공을 관통하여 상판의 회동나사공에 결합 고정되는 회동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부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경사면은 상부 또는 하부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회동볼트에 끼워지는 와셔가 구비되되, 이 와셔는 플레이트의 제1경사면에 대응되게 제2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동공은 회동나사공의 회전 구간에 대응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가 서로 분리된 한 쌍이 구비되고, 이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에 고정되는 공작물 또는 바이스의 크기에 따라 간격을 조절한 후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작물 또는 바이스의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상판부에 설치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판에 고정설치되는 플레이트부의 플레이트 외측부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 플레이트의 회동공에 결속되는 회동볼트에 플레이트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와셔를 구비함으로써, 이 경사면에 의해 상판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판이 하부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에 한 쌍의 회동공을 형성하여 상판을 한 쌍의 회동볼트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경사가 조절된 상판을 지지하게 되어 작업 중에 불량이 발생하는 등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에를 보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를 보인 측면도이고,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100)는 공작기계의 베이스에 안착 고정되는 하판부(110)와, 상기 하판부(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단에 공작물 또는 바이스가 안착되는 상판부(210)와, 상기 하판부(110)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판부(210)의 위치를 제어하는 플레이트부(3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판부(110)는 서로 이격되어 공작기계의 베이스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판(11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하판(112)은 측부에 다수개의 결속나사공(114)이 형성되고, 상단 일측부에는 단턱홈(1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판(112)의 하부에는 베이스에 "T"자 형상의 블럭이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베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118)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하판(112)에 각각 형성된 단턱홈(116) 양측 끝단부에 안착되되, 하판(112)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구(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고정구(120)에는 관통공(122)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22)을 관통하는 힌지핀(130)이 구비되며, 이 힌지핀(130)에는 다수개의 제1체결나사공(1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판부(110)의 하판(112)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홈(118)에 "T"자 형상의 볼트 등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공작기계의 베이스에 결합 고정시키되, 상판부(210)에 안착되는 공작물 또는 바이스의 크기에 따라 한 쌍의 하판(112) 간격을 조절하여 베이스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210)는 한 쌍의 하판(112) 각각의 상부에 설치되되, 일측 하단부에는 고정구(120)에 안착되는 안착홈(214)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214) 상에는 힌지핀(130)의 제1체결나사공(132)에 대응되는 제1체결공(216)이 형성된 한 쌍의 상판(2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판(212)에 형성된 제1체결공(216)을 관통하여 힌지핀(130)에 형성된 제1체결나사공(132)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볼트(2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판(212)은 체결볼트(220)에 의해 고정구(120)에 결속된 힌지핀(130)에 결합 고정되어 힌지핀(130)을 중심으로 상판(212)이 회동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212)의 상부에는 고정볼트 등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공작물 또는 바이스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공(218)이 형성되고, 측부에는 한 쌍의 회동나사공(219)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작물 또는 바이스의 크기에 따라 상판(212)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공(218)에 고정볼트 등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나아가, 상기 상판(212)의 하부, 즉 안착홈(214)이 형성된 타측 하단부에는 게이지바(2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게이지바(230)가 설치되는 위치의 상판(212)에는 제2체결공(217)이 형성되고, 게이지바(230)에는 제2체결공(217)에 대응되어 체결볼트(220)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제2체결나사공(232)이 형성되며, 이 게이지바(230)가 밀착되는 상판(212)의 하부에는 게이지바(230)가 안전하게 안착되도록 고정홈(2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310)는 한 쌍의 하판(112), 즉 서로 대응되는 하판(112)의 외측부에 위치되게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3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312)의 외측면에는 상부로 갈수록 두께가 축소되는 테이퍼진 제1경사면(3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312)는 상판(212)의 측부에 형성된 회동나사공(219)에 대응되는 한 쌍의 회동공(3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공(316)은 상판(212)이 힌지핀(130)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상판(212)의 측부에 형성된 회동나사공(219)의 회전 궤도에 대응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플레이트(312)의 회동공(316)에 끼워져 상판(212)의 측부에 형성된 회동나사공(219)에 결합 고정되는 회동볼트(3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동볼트(320)의 조임에 따라 상판(212)이 힌지핀(130)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되어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판(212)의 경사각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동볼트(320)를 풀어 조절한 후 회동볼트(320)를 조여주게 되면 상판(212)은 경사각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312)의 회동공(316)에 끼워진 회동볼트(320)에 결속되어 플레이트(312)의 제1경사면(314)에 밀착되되, 제1경사면(314)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332)이 형성된 와셔(3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312)의 제1경사면(314)과 와셔(330)의 제2경사면(332)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판(212)을 지지함으로써, 상판(212)의 상부에서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판(212)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경 고정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100)는 먼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공작기계의 베이스에 하판(112)을 설치하되, 공작물 및 바이스의 크기에 맞도록 한 쌍의 하판(112)을 서로 이격시켜 베이스에 장착한다.
따라서, 상기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100)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공작물 또는 바이스의 크기에 따라 서로 간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상판부(210)에 공작물 또는 바이스를 설치함으로써, 공작물 또는 바이스의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상판부(210)에 공작물을 설치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공작기계의 베이스에 하판(112)을 장착시키는 고정수단은 통상적인 기술로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상기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100)를 공작기계의 베이스에 설치한 후 회동볼트(320)를 풀어주게 되면 상판(212)은 힌지핀(130)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판(212)의 경사각을 조절한 후 다시 회동볼트(320)를 조여주게 되면 상판(212)의 경사각이 조절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212)의 경사각을 조절한 상태에서 상판(212)의 상부에 구비된 공작물의 가공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플레이트(312)의 제1경사면(314)과 와셔(330)의 제2경사면(332)에 의해 방지되게 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312)의 제1경사면(314)에 와셔(330)의 제2경사면(332)이 서로 밀착되어 서로 지지함으로써, 상판(212)의 상부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판(212)이 하부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10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공작물의 크기 또는 바이스의 크기에 따라 설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공작물 또는 바이스의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상판(212)에 공작물을 설치하여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판(212)의 각도를 제어하는 플레이트(312)에 제1경사면(314)을 형성하고, 회동볼트(320)에 끼워지는 와셔(330)에 제2경사면(332)을 형성하여 제1,2경사면(314)(332)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판(212)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판(212)이 하강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에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312)의 외측부에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테이퍼진 제2경사면(3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312)에 결속되어 상판(212)의 회동나사공(219)에 결합 고정되는 회동볼트(320)에 구비된 와셔(330)에는 제1경사면(314)에 대응되게 제2경사면(3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312)에 형성된 제2경사면(314)과 와셔(330)에 형성된 제2경사면(332)이 회동볼트(320)에 의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판(212)의 상부에 공작물 또는 바이스를 장착한 후 가공작업을 수행할 때 상판(212)의 후부, 즉 힌지핀(130)이 결합된 방향을 중심으로 상판(212)의 상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부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플레이트(312)에 하부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314)과 와셔(330)에 형성된 제2경사면(332)이 밀착지지 되도록 함으로써, 상판(212)에 공작물 또는 바이스를 장착 후 작업시 발생하는 하중 및 가압력에 의해 힌지핀(130)을 중심으로 상판(212)의 전면이 상부로 들리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상판(212) 정면, 즉 하판(112)의 고정구(120)에 결합 되는 타측부에는 슬라이드공(2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상판(212) 중 어느 하나의 상판(212)에 형성된 슬라이드공(240)과 연통되는 절개홈(242)이 형성되되, 이 절개홈(242)은 상판(212)의 정면에 슬라이드공(240)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상판(212) 중 어느 하나의 상판(212)에 결합 고정되어 또 다른 하나의 상판(212)에 형성된 슬라이드공(24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슬라이드축(2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절개홈(242)이 형성된 슬라이드공(240)에 슬라이드축(250)을 결합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절개홈(242)에 끼워져 슬라이드축(250)에 나사 결합되어 슬라이드축(250)을 슬라이드 이동 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5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상판(212) 중 어느 하나의 상판(212)에 형성된 슬라이드공(240)에 결합된 슬라이드축(250)을 이동시켜 또 다른 하나의 상판(212)에 형성된 슬라이드공(240)에 결합시킨 후 고정볼트(252)를 조여주게 되면 한 쌍의 상판(212)이 슬라이드축(250)에 의해 서로 결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판(212)의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판(212)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때 가이드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 각도 변환 고정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한 쌍의 상판(212) 중 어느 하나의 상판(2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슬라이드축(250)을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축(250)이 타측 상판(212)에 형성된 슬라이드공(240)에 결속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252)를 이용하여 슬라이드축(250)을 고정시킴으로써, 상판(212)의 각도를 조절할 때 한 쌍의 상판(212)이 동시에 동작하게 되어 각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한 쌍의 상판(212) 사이 간격을 조절할 때 또한 슬라이드축(250)이 가이드역할을 하게 되어 용이하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110 : 하부판 112 : 하판
114 ; 결속나사공 116 : 단턱홈
118 : 고정홈 120 : 고정구
122 : 관통공 130 : 힌지핀
132 : 제1체결나사공 210 ; 상판부
212 : 상판 214 : 안착홈
215 : 고정홈 216 : 제1체결공
217 : 제2체결공 218 : 고정공
219 : 회동나사공 220 : 체결볼트
230 : 게이지바 232 : 제2체결나사공
240 : 슬라이드공 242 : 절개홈
250 : 슬라이드축 252 : 고정볼트
310 : 플레이트부 312 : 플레이트
314 : 제1경사면 316 : 회동공
320 : 회동볼트 330 : 와셔
332 : 제2경사면

Claims (11)

  1.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에 있어서,
    측부에는 다수개의 결속나사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한 쌍의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단 일측부에 구비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구와, 다수 개의 제1체결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고정구를 관통하는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판부와,
    일측 하부에 고정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힌지핀의 제1체결나사공과 대응되는 제1체결공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다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측부에는 다수개의 회동공이 형성되어 한 쌍의 하판 상부 각각에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 타측부에 구비되는 게이지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판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판부를 제어하는 플레이트부로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상판에 서로 대응되게 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한 쌍의 상판 중 어느 하나의 상판에 형성된 슬라이드공과 연통되는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상판 중 어느 하나의 상판에 형성된 슬라이드공에 결합되는 슬라이드축이 구비되고,
    상기 절개홈에 끼워져 슬라이드축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타측부에는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지바의 상부에는 제2체결공에 대응되는 제2체결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하판부의 하판 외측부에 결합 고정되되, 상판부의 상판 측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회동나사공에 대응되게 다수개의 회동공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회동공을 관통하여 상판의 회동나사공에 결합 고정되는 회동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부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경사면은 상부 또는 하부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볼트에 끼워지는 와셔가 구비되되, 이 와셔는 플레이트의 제1경사면에 대응되게 제2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공은 회동나사공의 회전 구간에 대응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KR1020140094921A 2014-07-25 2014-07-25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KR101587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21A KR101587777B1 (ko) 2014-07-25 2014-07-25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21A KR101587777B1 (ko) 2014-07-25 2014-07-25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777B1 true KR101587777B1 (ko) 2016-01-21

Family

ID=5530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921A KR101587777B1 (ko) 2014-07-25 2014-07-25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7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929A (ko) * 2016-09-05 2018-03-14 주식회사 디피엠 드릴용 가변 지그
CN110315370A (zh) * 2019-07-26 2019-10-11 卢小东 可变角度的坡口加工夹具
CN114310806A (zh) * 2021-12-20 2022-04-12 安徽省巢湖铸造厂有限责任公司 一种可调角度工作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5963A (ja) * 1995-02-15 1996-08-27 Citizen Watch Co Ltd 小型左右傾斜治具
KR200264222Y1 (ko) * 2001-11-28 2002-02-19 김정주 사인 테이블
JP2010036302A (ja) * 2008-08-05 2010-02-18 Mura Seisakusho:Kk 治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5963A (ja) * 1995-02-15 1996-08-27 Citizen Watch Co Ltd 小型左右傾斜治具
KR200264222Y1 (ko) * 2001-11-28 2002-02-19 김정주 사인 테이블
JP2010036302A (ja) * 2008-08-05 2010-02-18 Mura Seisakusho:Kk 治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929A (ko) * 2016-09-05 2018-03-14 주식회사 디피엠 드릴용 가변 지그
KR101872230B1 (ko) * 2016-09-05 2018-06-28 주식회사 디피엠 드릴용 가변 지그
CN110315370A (zh) * 2019-07-26 2019-10-11 卢小东 可变角度的坡口加工夹具
CN114310806A (zh) * 2021-12-20 2022-04-12 安徽省巢湖铸造厂有限责任公司 一种可调角度工作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418324U (zh) 一种多功能夹具
US8141828B2 (en) Insert plate leveling
KR20100012423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지그
KR20130029535A (ko) 경사면 가공용 클램핑 장치
CN101628382B (zh) 角度调节装置
KR101587777B1 (ko)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KR20160074941A (ko) 밀링 머신의 공작물 가공용 고정치구
KR101504460B1 (ko) 이중각도 가공용 지그 베이스
KR20120040994A (ko) 중장비용 엔진과 트랜스미션 결합을 위한 보조지그
KR200445996Y1 (ko) 평면가공이 편리한 밀링바이스
JP3162063U (ja) ワーク固定用治具
CN208758758U (zh) 一种30mw燃压机组火焰筒嵌入件电火花打孔组合夹具
KR20130008260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밀링머신용 바이스
JP2003181732A (ja) 工作機械の挟持部にスライド機構を有した挟持装置
KR20180137737A (ko) 파워바이스 더블 클램프용 지그
JP3197876U (ja) 工作機械の作業台水平誤差補償装置
JP2003001536A (ja) ワーク取付装置
KR20180068242A (ko) 가공 조립용 지그 테이블
CN103157840B (zh) 端面铣加工双面斜度工件的方法
CN109822366B (zh) 一种机床装夹工件用的快速定位机构及其应用
CN216882806U (zh) 一种下压式锁紧夹具
JP2000024857A (ja) 工作物固定装置及び工作物固定方法
CN206056437U (zh) 一种孔位置度快速检测定位组件
KR20230148946A (ko) 탁상형 드릴머신용 가공물 다방향 각도조절 받침장치
KR20160060330A (ko) 가변형 공작물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