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929A - 드릴용 가변 지그 - Google Patents

드릴용 가변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929A
KR20180026929A KR1020160113874A KR20160113874A KR20180026929A KR 20180026929 A KR20180026929 A KR 20180026929A KR 1020160113874 A KR1020160113874 A KR 1020160113874A KR 20160113874 A KR20160113874 A KR 20160113874A KR 20180026929 A KR20180026929 A KR 20180026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ing
pair
support
cradle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230B1 (ko
Inventor
탁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피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피엠
Priority to KR1020160113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2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6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23B47/287Jigs for drilling plate-like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4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adjustable in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47/00Details of drilling jigs
    • B23B2247/10Jigs for drilling inclined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드릴용 가변 지그는 판 형상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 및 전후방향 일단과 상기 지지대의 전후방향 일단이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하면이 받쳐지고, 상면 전방에 서로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작업물의 일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가 설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드릴용 가변 지그는 작업물이 상하좌우로 유동되도록 하는데 특히 상하방향의 각도까지 세밀히 제어될 수 있어 하나의 지그만으로도 작업물에 다양한 각도로 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릴용 가변 지그{VARIABLE JIG FOR DRILLING}
본 발명은 드릴용 가변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릴을 이용하여 작업물에 홀이 형성되게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지그가 상하방향으로 각도 및 높이가 가변될 수 있고, 작업물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드릴용 가변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산업분야에서 각종 부품이나 제품을 생산할 때 작업물을 드릴 머신 등을 이용하여 홀 가공, 연삭 및 절삭 가공 등을 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물에 홀 가공, 연삭 및 절삭 가공 등을 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지그에 작업물을 배치시켜 작업한다.
작업물에 홀 가공 등을 할 때에는 작업물에서 홀이 형성될 각도 및 위치가 중요할 수 있다. 작업물의 위치와 각도가 달라짐에 따라 원하는 제품이 생산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때문이다.
따라서 산업분야에서는 작업물이 배치되는 지그의 각도 조절 및 위치 조절이 중요하다. 하지만 시중의 일반적인 지그는 각도가 고정되어 있고 작업물을 지지하는 장치가 고정되게 형성되어서, 작업물에 다양한 각도로 홀을 가공하고자 하거나, 다른 위치에 홀을 가공하고자 할 때에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물에 홀이 형성되는 각도 및 위치를 상이하게 형성시키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지그를 제작해야 하는 비용적, 시간적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국 등록 특허 제 1504460 호 '이중각도 가공용 지그 베이스'는 고정판 일측과 회전판 일측이 서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고정판 타측과 상기 회전판 타측에는 각도설정나사와 체결탭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설정나사가 상측으로 소정높이 이동되면 상기 체결탭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 사이가 이격되면서 상하방향으로 각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의 선행 기술은 상기 체결탭과 상기 각도설정나사가 결합되었을 때와 분리되었을 때의 2가지 경우로만 상하방향 각도가 가변되는 지그에 대한 것으로써 가변되는 상하방향의 각도가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상하방향 각도의 가변이 자유롭고, 지그에 배치되는 작업물의 위치를 좌우로 가변되게 형성된 지그에 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504460 B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그에 배치된 작업물이 좌우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하로도 이동되도록 조절 가능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그에 배치된 작업물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작업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지그의 이송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드릴용 가변 지그는 판 형상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 및 전후방향 일단과 상기 지지대의 전후방향 일단이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하면이 받쳐지고, 상면 전방에 서로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작업물의 일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가 설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상면 좌우방향 양단 각각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 및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높이조절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되, 서로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가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너트에 의해 하면이 받쳐지며, 상기 높이조절볼트에 체결되는 상기 높이조절너트의 상하방향 위치에 따라 상하방향 기울기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일단은 상기 지지대 상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거치대 하면을 지지하고, 상하로 길이 가변이 가능한 턴버클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하면에서 상측으로 여러개의 걸림턱이 형성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턴버클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거치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일단은 상기 지지대 상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거치대 하면을 지지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하면에 상측으로 여러개의 걸림턱이 형성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유압실린더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거치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대는, 상면에 여러개의 지지부고정홀이 형성되며, 상면에 돌출 설치되되, 상기 지지부고정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며, 작업물의 타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대는, 상면에서 좌우방향 양단에 각각 이송용 줄이 걸어지기 위한 한 쌍의 고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용 가변 지그는,
1) 작업물이 상하좌우로 유동되도록 하는데 특히 상하방향의 각도까지 세밀히 제어될 수 있어 하나의 지그만으로도 작업물에 다양한 각도로 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2) 지그에 배치되는 작업물의 불필요한 유동을 제한함으로써 홀 가공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3) 작업자가 지그를 이송시킬 때 활용할 수 있는 고리를 설치함으로써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릴용 가변 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방향 각도가 가변된 드릴용 가변 지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물이 거치된 드릴용 가변 지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턴버클이 설치된 드릴용 가변 지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압실린더가 설치된 드릴용 가변 지그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드릴용 가변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드릴용 가변 지그는 드릴 머신에 의해 홀 가공이 요구되는 작업물에 홀 가공작업이 됨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작업대와 같은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각도가 가변될 수 있고, 상기 작업물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릴용 가변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하방향 각도가 변화된 드릴용 가변 지그를 나타낸 변화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드릴용 가변 지그(100)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드릴용 가변 지그(100)는 크게 판 형상의 지지대(110), 상기 지지대(11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120),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12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체결된 한 쌍의 높이조절너트(130) 및 홀 가공이 필요한 작업물(20)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지지대(110)를 설명하면, 지지대(110)는 판 형상으로써 상면에는 상기 높이조절볼트(1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대(110)의 전후방향 일단과 상기 거치대(140)의 전후방향 일단이 힌지(10)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볼트(120)에 대해 설명하겠다. 상기 높이조절볼트(12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110) 상면의 좌우방향 양단 각각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120)는 일반적인 볼트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높이조절너트(130)가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너트(130)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120) 각각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너트(130)는 일반적인 너트형상과 같은 것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과 도 2의 상하방향 각도 차이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너트(130)는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120)에 체결되는 상하방향 위치에 따라 상기 거치대(140)의 상하방향 기울기 각도가 가변되게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상기 거치대(140)에 관한 설명 이후에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인 거치대(14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거치대(140)는 판 형상으로, 홀 가공이 필요한 상기 작업물(20)이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거치대(140)의 전후방향 일단은 상기 지지대(110)의 전후방향 일단과 힌지(10)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140)의 하면은 상기 높이조절볼트(120)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된 상기 높이조절너트(130)에 의해 받쳐지면서 상하방향으로 각도를 형성하여 비스듬히 설치된다. 그리고 비스듬히 설치된 상기 거치대(140)의 상면에 상기 작업물(20)이 올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140)의 구성으로는 크게 한 쌍의 관통홀(141)과 한 쌍의 롤러(142)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관통홀(141)에 대해 설명하겠다. 관통홀(141)은 상기 거치대(14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드릴용 가변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드릴용 가변 지그는 드릴 머신에 의해 홀 가공이 요구되는 작업물에 홀 가공작업이 됨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작업대와 같은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각도가 가변될 수 있고, 상기 작업물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릴용 가변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하방향 각도가 변화된 드릴용 가변 지그를 나타낸 변화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드릴용 가변 지그(100)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드릴용 가변 지그(100)는 크게 판 형상의 지지대(110), 상기 지지대(11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120),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12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체결된 한 쌍의 높이조절너트(130)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수단 및 홀 가공이 필요한 작업물(20)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지지대(110)를 설명하면, 지지대(110)는 판 형상으로써 상면에는 상기 높이조절볼트(1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대(110)의 전후방향 일단과 상기 거치대(140)의 전후방향 일단이 힌지(10)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대해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은 높이조절볼트(120)와 높이조절너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높이조절볼트(120)에 대해 설명하겠다. 상기 높이조절볼트(12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110) 상면의 좌우방향 양단 각각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120)는 일반적인 볼트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높이조절너트(130)가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너트(130)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120) 각각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너트(130)는 일반적인 너트형상과 같은 것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과 도 2의 상하방향 각도 차이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너트(130)는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120)에 체결되는 상하방향 위치에 따라 상기 거치대(140)의 상하방향 기울기 각도가 가변되게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상기 거치대(140)에 관한 설명 이후에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인 거치대(14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거치대(140)는 판 형상으로, 홀 가공이 필요한 상기 작업물(20)이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거치대(140)의 전후방향 일단은 상기 지지대(110)의 전후방향 일단과 힌지(10)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140)의 하면은 상기 높이조절볼트(120)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된 상기 높이조절너트(130)에 의해 받쳐지면서 상하방향으로 각도를 형성하여 비스듬히 설치된다. 그리고 비스듬히 설치된 상기 거치대(140)의 상면에 상기 작업물(20)이 올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140)의 구성으로는 크게 한 쌍의 관통홀(141)과 한 쌍의 롤러(142)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관통홀(141)에 대해 설명하겠다. 관통홀(141)은 상기 거치대(14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관통홀(141) 각각에는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120)가 각각 관통된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40)의 하면은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120)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된 한 쌍의 높이조절너트(130)에 의해 받쳐진다. 그리고 한 쌍의 높이조절너트(130)가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120)에서 체결되는 상하 위치에 따라 상기 거치대(140)가 상기 힌지(10)와의 결합을 기준으로 수평면과 이루는 상하방향의 각도가 달라진다. 또한 상하방향 각도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거치대(140)의 전후방향 타단이 위치되는 높이가 가변된다. 그리고 한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된 상기 높이조절볼트(120)를 관통시키기 위해서 상기 관통홀(141)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거치대(140)의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142)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한 쌍의 롤러(142)는 상기 거치대(140) 상면 전방에 서로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설치된 한 쌍의 롤러(142)는 상기 작업물(20)의 일측을 지지한다. 다시말해, 상기 작업물(20)의 일측이 상기 한 쌍의 롤러(142)에 의해 받쳐지면서 중력에 의해 상기 거치대(140)의 전방으로 상기 작업물(20)이 쏠려 내려가지 않도록 받치는 기능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롤러(142)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토록 설치된 것으로, 상기 일측이 지지된 작업물(2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롤러(142)가 상기 작업물(2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한 거리는 소정의 거리일 수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도 상기 한 쌍의 롤러(142) 모두에게 지지되는 범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물(20)의 크기에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범위는 각기 다를 수 있다.
도 3은 상기 거치대(140)에 추가된 구성들을 포함하여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거치대(140) 상면에 상기 작업물이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거치대(14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거치대(140)의 상면에는 여러개의 지지부고정홀(146)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지지부(143)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143)는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도 4와 같이, 상기 작업물(20)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부(143)는 홀 형상인 지지부고정홀(146)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43)는 거치대(140)에 배치되는 작업물의 크기 및 형상을 고려하여 이동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여러개의 지지부고정홀(146) 중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43)의 형상으로는 사각, 원형, 막대형상, 판 형상 등 다양하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43)는 한 쌍을 이루어 설치될 수 도 있고, 여러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거치대(140) 상면에는 좌우방향 양단 각각에 한 쌍의 고리(14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고리(144)는 상기 드릴용 가변 지그(100)의 배치 지점을 변화시키고자 할 때, 상기 드릴용 가변 지그(100)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고리(144) 각각에 이송용 줄(30)이 걸어지도록 하여, 상기 이송용 줄(30)이 어떠한 사물 또는 사람에 의해 끌어당겨짐으로써 상기 드릴용 가변 지그(100) 또한 끌어당겨져 위치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턴버클(150)이 설치된 드릴용 가변 지그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드릴용 가변 지그를 설명하겠다.
드릴용 가변 지그는 상기 높이조절수단으로 턴버클(15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턴버클(150)이란 시중의 일반적인 턴버클(150)과 같은 것이다. 양 끝에 암나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암나사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볼트로 구성된 것으로, 몸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볼트가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면서 상하로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턴버클(150)은 일단이 지지대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거치대(140) 하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턴버클(150)이 상하로 길이가 가변되면서 이와 동시에 거치대(140)도 상하방향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대(140)는 하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진 가이드홈(145)이 상측으로 추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145)은 소정의 간격으로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턴버클(150)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홈(145)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면서 거치대(14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유압실린더(160)가 설치된 드릴용 가변 지그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드릴용 가변 지그를 설명하겠다.
드릴용 가변 지그는 상기 높이조절수단으로 유압실린더(16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압실린더(160)란 일반적인 유압실린더(160)와 같은 것으로, 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압실린더(160)는 일단이 지지대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거치대(140)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압으로 실린더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피스톤을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고, 피스톤이 상측으로 이동되면 거치대(140) 또한 상측으로 이동되며, 각도가 가변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피스톤이 하측으로 이동되면 거디채 또한 하측으로 이동되며 각도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대(140)는 하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진 가이드홈(145)이 상측으로 추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145)은 소정의 간격으로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압실린더(160)의 타단이 상기 가이드홈(145)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거치대(140)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이외에도 높이조절수단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릴용 가변 지그(100)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드릴용 가변 지그
110: 지지대
120: 높이조절볼트
130: 높이조절너트
140: 거치대
141: 관통홀
142: 롤러
143: 지지부
144: 고리
145: 가이드홈
146: 지지부고정홀
150: 턴버클
160: 유압실린더
10: 힌지
20: 작업물
30: 이송용 줄

Claims (6)

  1. 판 형상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 및
    전후방향 일단과 상기 지지대의 전후방향 일단이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하면이 받쳐지고, 상면 전방에 서로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작업물의 일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가 설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용 가변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상면 좌우방향 양단 각각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 및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높이조절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되, 서로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가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너트에 의해 하면이 받쳐지며, 상기 높이조절볼트에 체결되는 상기 높이조절너트의 상하방향 위치에 따라 상하방향 기울기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용 가변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일단은 상기 지지대 상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거치대 하면을 지지하고, 상하로 길이 가변이 가능한 턴버클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하면에서 상측으로 여러개의 걸림턱이 형성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턴버클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거치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용 가변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일단은 상기 지지대 상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거치대 하면을 지지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하면에 상측으로 여러개의 걸림턱이 형성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유압실린더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거치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용 가변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면에 여러개의 지지부고정홀이 형성되며,
    상면에 돌출 설치되되, 상기 지지부고정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며, 작업물의 타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용 가변 지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면에서 좌우방향 양단에 각각 이송용 줄이 걸어지기 위한 한 쌍의 고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용 가변 지그.
KR1020160113874A 2016-09-05 2016-09-05 드릴용 가변 지그 KR101872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74A KR101872230B1 (ko) 2016-09-05 2016-09-05 드릴용 가변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74A KR101872230B1 (ko) 2016-09-05 2016-09-05 드릴용 가변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929A true KR20180026929A (ko) 2018-03-14
KR101872230B1 KR101872230B1 (ko) 2018-06-28

Family

ID=61660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874A KR101872230B1 (ko) 2016-09-05 2016-09-05 드릴용 가변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23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2286A (zh) * 2018-08-01 2018-12-07 苏州穹力机械科技有限公司 可调角度式夹具
CN109277928A (zh) * 2018-09-29 2019-01-29 山西江淮重工有限责任公司 圆锥曲面上七星孔的定位加工工装及定位加工方法
CN110118669A (zh) * 2019-05-22 2019-08-13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一种用于岩石力学实验室内定角度钻取岩心的装置
CN110530593A (zh) * 2019-09-04 2019-12-03 华侨大学 一种可变角度的用于倾斜冲击试验的夹具
CN111002062A (zh) * 2019-12-16 2020-04-14 深圳市鸿荣兴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式钻孔机
CN111120488A (zh) * 2019-12-30 2020-05-08 东台市展新不锈钢紧固件制造有限公司 一种角度可调式不锈钢紧固件
CN112894407A (zh) * 2021-01-26 2021-06-04 张贤魁 一种多工位钻斜孔夹具
CN114211277A (zh) * 2021-12-30 2022-03-22 广东井和精密机械加工有限公司 一种曲轴斜油孔钻孔装置及其加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499U (ko) * 1995-10-31 1997-05-23 생산라인의 운반용 지그
KR20010036936A (ko) * 1999-10-12 2001-05-07 오풍영 강교 스틸 박스 용접 시스템
KR20130002157A (ko) * 2011-06-28 2013-01-07 경기산업(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정렬 지그
KR101504460B1 (ko) 2014-11-12 2015-03-19 백인행 이중각도 가공용 지그 베이스
KR101587777B1 (ko) * 2014-07-25 2016-01-21 (주)솔텍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499U (ko) * 1995-10-31 1997-05-23 생산라인의 운반용 지그
KR20010036936A (ko) * 1999-10-12 2001-05-07 오풍영 강교 스틸 박스 용접 시스템
KR20130002157A (ko) * 2011-06-28 2013-01-07 경기산업(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정렬 지그
KR101587777B1 (ko) * 2014-07-25 2016-01-21 (주)솔텍 공작물의 각도 변환 고정장치
KR101504460B1 (ko) 2014-11-12 2015-03-19 백인행 이중각도 가공용 지그 베이스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2286A (zh) * 2018-08-01 2018-12-07 苏州穹力机械科技有限公司 可调角度式夹具
CN109277928A (zh) * 2018-09-29 2019-01-29 山西江淮重工有限责任公司 圆锥曲面上七星孔的定位加工工装及定位加工方法
CN109277928B (zh) * 2018-09-29 2023-08-01 山西江淮重工有限责任公司 圆锥曲面上七星孔的定位加工工装及定位加工方法
CN110118669A (zh) * 2019-05-22 2019-08-13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一种用于岩石力学实验室内定角度钻取岩心的装置
CN110118669B (zh) * 2019-05-22 2020-02-14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一种用于岩石力学实验室内定角度钻取岩心的装置
CN110530593A (zh) * 2019-09-04 2019-12-03 华侨大学 一种可变角度的用于倾斜冲击试验的夹具
CN110530593B (zh) * 2019-09-04 2024-02-02 华侨大学 一种可变角度的用于倾斜冲击试验的夹具
CN111002062A (zh) * 2019-12-16 2020-04-14 深圳市鸿荣兴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式钻孔机
CN111002062B (zh) * 2019-12-16 2022-01-25 深圳市鸿荣兴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式钻孔机
CN111120488A (zh) * 2019-12-30 2020-05-08 东台市展新不锈钢紧固件制造有限公司 一种角度可调式不锈钢紧固件
CN112894407A (zh) * 2021-01-26 2021-06-04 张贤魁 一种多工位钻斜孔夹具
CN114211277A (zh) * 2021-12-30 2022-03-22 广东井和精密机械加工有限公司 一种曲轴斜油孔钻孔装置及其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230B1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230B1 (ko) 드릴용 가변 지그
US9545704B2 (en) Through cutting mill steady rest
CN104249196B (zh) 履带板销孔加工设备
KR101542952B1 (ko) 형강 가공 드릴용 고정 지그
CN203831092U (zh) 钻孔加工设备
US9393656B1 (en) Riser for use with a gripping device
KR101504460B1 (ko) 이중각도 가공용 지그 베이스
KR20180001336A (ko) 딥홀 가공장치
KR101807827B1 (ko) 심압대 개조 선반의 파이프위치조절장치 및 파이프위치 조절장치를 이용한 파이프 가공방법
KR101750864B1 (ko) 철재빔 홀 가공 드릴용 고정장치
CN103586716A (zh) 卧式数控双头铣后桥壳平面夹具
KR20120133939A (ko) 포터블 보링 머신
KR200477761Y1 (ko) 펌프 베이스 홀 가공장치
KR101289788B1 (ko) 공작기계용 경사조절베드의 클램핑 장치
CN209954079U (zh) 一种汽车仪表盘支架焊接定位工装
CN206056437U (zh) 一种孔位置度快速检测定位组件
CN206997969U (zh) Ito圆筒靶材线切割支撑工装
JP2017094405A (ja) ローディング装置の軸合わせ構造
CN216178636U (zh) 一种cnc五金加工车床用快速定位夹具
US11772219B2 (en) Load lifting device and method of lifting load
CN215146992U (zh) 一种摄像头转动轴加工工装
CN205702517U (zh) 一种可调整高度的车床刀架
KR101606194B1 (ko) 드릴의 선단각 가공용 고정 장치
KR102315168B1 (ko) Cnc 장치용 클램핑 시스템
KR101921020B1 (ko) 맞춤형 드릴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