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074B1 -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074B1
KR101585074B1 KR1020120126919A KR20120126919A KR101585074B1 KR 101585074 B1 KR101585074 B1 KR 101585074B1 KR 1020120126919 A KR1020120126919 A KR 1020120126919A KR 20120126919 A KR20120126919 A KR 20120126919A KR 101585074 B1 KR101585074 B1 KR 101585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roasted
seed extract
melon se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158A (ko
Inventor
강영화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6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074B1/ko
Publication of KR20140060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61K36/428Trichosant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은 다양한 암 세포주에서 우수한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어,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roasted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seed extract for treating or preventing cancer}
본 발명은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나, 지나치게 서구화된 식문화 및 식습관으로 인하여 비만 인구의 증가 및 심혈관계 질환 등 만성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암은 현대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그 원인이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은 채 발생률과 사망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암 발생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과 면역학적 요인, 호르몬 요인, 개인적 스트레스, 담배, 직업성 발암물질, 환경오염 등 다양한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Kim, 1998; Mclintire and Cioppa, 1984). 최근에는 이러한 암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물질을 식품 중에서 찾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Jin and Song, 2012; Murakami and Ohigashi, 2007), 많은 연구자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천연물 유래 의약품이나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해 천연물에 관심을 갖고 항암활성 소재를 개발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Chang and Yoo, 2006; Isabelle et al., 2008). 또한 최근 들어 종자의 중요성이 증대하면서 종자의 영양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질병을 예방 및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기능성 자원으로 인식되어, 종자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가 최근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참외(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는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하여 중국, 한국 및 일본 등에서 재배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 이전부터 참외가 재배된 것으로 추정되며, 각 지방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품종의 재래종 참외가 재배되었다. 여름철 대표적인 과일로 생산되는 참외는 다른 과채류에 비해 열량과 비타민이 많아서 식품학적 가치가 높은 편이다. 약리작용으로는 진해, 거담 작용, 완하 작용, 이뇨작용 및 변비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민간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참외의 항암 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특히 참외 종자의 항암 활성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항암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한 결과, 볶음 처리한 참외 종자 추출물이 우수한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은 다양한 암 세포주에서 우수한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어,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 은 일반 참외 종자 추출물 (H-Raw (헥산 추출물), E-Raw (에탄올 추출물)) 및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H-250℃, 120min (헥산 추출물), E-250℃, 120min (에탄올 추출물))의 항암 활성을 크리스탈 바이올렛 어세이를 통해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물, 헥산 또는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 간암 세포주 (HepG2)에서의 항암 활성을 MTT 어세이를 통해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물, 헥산 또는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 유방암 세포주 (MCF-7)에서의 항암 활성을 MTT 어세이를 통해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물, 헥산 또는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 폐암 세포주 (A549)에서의 항암 활성을 MTT 어세이를 통해 확인한 도이다.
도 5는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물, 헥산 또는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 대장암 세포주 (HT-29)에서의 항암 활성을 MTT 어세이를 통해 확인한 도이다.
도 6은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물, 헥산 또는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 위암 세포주 (AGS)에서의 항암 활성을 MTT 어세이를 통해 확인한 도이다.
도 7은 볶은 참외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다양한 암 세포주에서의 항암 활성을 MTT 어세이를 통해 확인한 도이다.
도 8은 볶은 참외 종자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 분획물)의 인간 간암 세포주 (HepG2)에서의 항암 활성을 MTT 어세이를 통해 확인한 도이다.
도 9는 볶은 참외 종자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 분획물)의 인간 유방암 세포주 (MCF-7)에서의 항암 활성을 MTT 어세이를 통해 확인한 도이다.
본 발명은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먼저, 참외 종자를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한다. 참외 종자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참외 종자를 100 내지 300 ℃에서 30분 내지 10시간 동안 볶음 처리한 후 분쇄한다. 상기 분쇄된 볶은 참외 종자에 적당한 양의 용매를 가하고 완전히 침지되도록 하여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수득한다. 추출 방법은 실온에서 함침하거나 가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또한, 상기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순차 분획하여 볶은 참외 종자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용매를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이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여 최종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은 다양한 암 세포주에서 우수한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어,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암은 일반적인 암 질환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위암, 결장암, 유방암, 폐암, 간암, 비소세포성폐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 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대장암, 소장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 식도암, 소장암, 임파선암, 방광암, 담낭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혈액암, 뇌암, 중추신경계 종양, 1차 중추신경계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또는 뇌하수체 선종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유방암, 위암, 대장암, 폐암 및 간암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과 함께 암의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또한,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1 mg/kg 내지 1000 mg/kg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질병의 예방 및 개선, 생체방어, 면역, 병후의 회복, 노화 억제 등 생체조절기능을 가지는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 장기적으로 복용하였을 때 인체에 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은 암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1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본 발명에 이용된 참외 종자는 성주군에서 폐기되고 있는 비상품과 및 발효과에서 얻은 것으로 성주군에서 재배되고 있는 대표 품종인 오복 꿀 참외 종자와 칠성 꿀 참외 종자 등의 혼합 종자이다.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참외 종자를 자연건조한 후 볶음 기계를 이용하여 250℃에서 120분간 볶음처리를 한 후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한 참외 종자를 둥근 플라스크에 각 10 g씩 넣고, 환류 냉각장치가 된 수직 추출기에서 헥산 유기용매로 3시간 2회 탈지하여 볶은 참외 종자 헥산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헥산 탈지 과정 후 에탄올 유기용매로 3시간씩3회 연속 추출하여 볶은 참외 종자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증류수를 이용하여 볶은 참외 종자를 3시간 3회 추출하여 볶은 참외 종자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각각의 추출액은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액은 회전식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5℃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또한, 볶은 참외 종자 분획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볶은 참외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과 부탄올(n-butanol)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의 항암 활성 측정
1-1. 크리스탈 바이올렛 어세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의 항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예비 실험으로 생쥐 간암 세포주인 hepa1c1c7을 이용하여 Drysdale et al .(1986)의 방법에 따라 크리스탈 바이올렛 어세이를 실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Hepa1c1c7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1 × 10⁴ 농도로 각 웰에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 (50, 100, 200 μg/ml)로 가하고 다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0.2% 크리스탈 바이올렛/2% EtOH 용액을 첨가하고 10분간 염색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각 웰에 0.5% SDS/50% EtOH을 가한 후 6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볶음 처리를 하지 않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볶음 처리한 참외 종자의 헥산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볶음처리 하지 않은 참외 종자 추출물보다 항암 활성이 현저하게 높게 확인되었다.
1-2. MTT 어세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의 항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Martin et al.(1993)의 방법에 따라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어세이를 실시하였다. 인체 유래 5종 암 세포주(MCF-7(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인간 유방암 세포주), AGS(human stomach cancer cell line, 인간 위암 세포주), HT-29(human colon cancer cell line, 인간 대장암 세포주), A549(human lung cancer cell line, 인간 폐암 세포주), HepG2(human liver cancer cell line, 인간 간암 세포주))는 한국 세포주 은행(KCLB)에서 구입하였으며, 모든 암 세포는 10% FBS(fetal bovine serum), 1% 항생제 (100 unit/ml penicillin, 100 μg/ml streptomycin)를 첨가한 RPMI 1640 또는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 CO2 및 37℃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먼저 각각의 배양된 암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2×10⁴ cell/ml 농도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물 추출물, 헥산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50, 100, 200 μg/ml)로 각 웰에 첨가하고 5% CO2 및 37℃ 조건의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MTT 용액을 첨가한 후,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여 생성된 포르마잔 결정을 DMSO(dimethylsulfoxide)에 녹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의 세포수를 100%로 하여 상대적인 세포 증식 억제율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중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암 활성을 보였으며, 물 추출물이 가장 낮은 항암 활성을 보였다. 특히, 볶은 참외 종자 에탄올 추출물은 간암 세포주 (HepG2)와 유방암 세포주 (MCF-7)에서 우수한 항암활성을 보였다.
상기 실험을 통해 항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볶은 참외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암 활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기 위하여, 인체 유래 5종 암 세포주 (MCF-7, A549, HT-29, HepG2, AGS) 및 생쥐 간암 세포주 (Hepa1c1c7)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MTT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볶은 참외 종자 에탄올 추출물은 200 μg/ml의 농도에서 Hepa1c1c7 세포에 대하여 40%, HepG2 세포에 대하여 62%, MCF-7 세포에 대하여 63%, A549 세포에 대하여 77%, HT-29 세포에 대하여 84%, AGS 세포에 대하여 87%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볶은 참외 종자 분획물의 항암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볶은 참외 종자 분획물의 항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볶은 참외 종자 에탄올 추출물, 볶은 참외 종자 부탄올 분획물 및 볶은 참외 종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이용하여 실험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MTT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극성 분획물인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극성 분획물인 부탄올 분획물 보다 간암 세포주 (HepG2)와 유방암 세포주 (MCF-7)에서 우수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캡슐제의 제조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 ·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식품 조성물의 제조
2-1. 건강식품의 제조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2. 건강음료의 제조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 100 mg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7)

  1.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위암, 대장암, 폐암 및 간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은 볶은 참외 종자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은 볶은 참외 종자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로 분획한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은 참외 종자를 100 내지 300 ℃에서 30분 내지 10시간 동안 볶음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삭제
  7.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위암, 대장암, 폐암 및 간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20126919A 2012-11-09 2012-11-09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85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919A KR101585074B1 (ko) 2012-11-09 2012-11-09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919A KR101585074B1 (ko) 2012-11-09 2012-11-09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158A KR20140060158A (ko) 2014-05-19
KR101585074B1 true KR101585074B1 (ko) 2016-01-13

Family

ID=5088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919A KR101585074B1 (ko) 2012-11-09 2012-11-09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3043A (zh) * 2014-06-18 2014-09-17 张财 一种治疗肺癌的外用中药
CN104337988A (zh) * 2014-11-05 2015-02-11 刘新霞 一种治疗表证期肺痈病的中药组合物
CN104922392A (zh) * 2015-05-27 2015-09-23 广州金域医学检验中心有限公司 一种治疗非小细胞肺癌的中药组合物及其检测方法
CN105288365B (zh) * 2015-10-19 2019-04-30 中国中医科学院广安门医院 一种用于非小细胞肺癌术后康复治疗的中药组合物及其用途
KR102644179B1 (ko) * 2023-11-07 2024-03-08 주식회사 바이오셀 근 기능 개선 및 소화 흡수력을 개선한 단백질 보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ora, R. et al., Research Journal of Phytochemistry, 2011, 5(3), 146-155
김혜숙 등,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009, 18(4), 448-453*
김혜숙 등, 원예과학기술지, 2011, 29(별호 2), 1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158A (ko) 201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074B1 (ko) 볶은 참외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383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1739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0967814B1 (ko) 자초추출물로부터 분리되는 시코닌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90842B1 (ko)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에 유효한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KR20120112137A (ko)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우웨이지수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95167A (ko) 호노키올 및 마그놀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5061B1 (ko)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10159A (ko) 꽃대가 올라온 상추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청 조성물
KR101483585B1 (ko) 황기, 오미자 및 길경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1548B1 (ko) 대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8413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0417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06126B1 (ko)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51545A (ko) 오디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1397B1 (ko) 가시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유도 조혈 독성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60150619A (ko) 호노키올 및 마그놀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91160A (ko) 사철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70076587A (ko) 모노테르페닐 마그놀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후박 분획물의 제조방법
KR20180118412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51883B1 (ko) 왕겨 추출물의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US20220354920A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by using goji berries, mulberries and jujubes
JP5362976B2 (ja) 血流改善剤
KR20170092975A (ko) 김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95186B1 (ko) 당뇨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