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739B1 -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739B1
KR101584739B1 KR1020150120298A KR20150120298A KR101584739B1 KR 101584739 B1 KR101584739 B1 KR 101584739B1 KR 1020150120298 A KR1020150120298 A KR 1020150120298A KR 20150120298 A KR20150120298 A KR 20150120298A KR 101584739 B1 KR101584739 B1 KR 101584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ransparent
anode
anode electrode
electro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15012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상호간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투명레진을 통해 접착되는 제1 및 제2 투명판; 제1 및 제2 투명판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발광 제어되는 복수개의 발광소자; 제1 및 제2 투명판 중 어느 하나에 도포되어 발광소자의 전극과 통전되어 발광소자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투명전극층; 및 제1 및 제2 투명판의 일측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투명전극층에 각각 부착되어 발광소자에 각각의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도테이프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발광소자는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이 서로 다른 높이에 구성되고, 복수개의 투명전극층은 제1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1 애노드전극층, 제2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2 애노드전극층, 제3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3 애노드전극층 및 캐소드전극들에 공통 연결되는 캐소드전극층을 포함하며, 각 전극층 사이에는 절연층이 구성되는 투명전광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Transparent display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소자의 복수개의 애노드전극과 공통 캐소드전극이 높이 차이를 가지는 상태에서 복수개의 투명전극층이 적층된 후 각 투명전극층에 패턴 형성되는 배선전극이 상기 발광소자의 해당 전극에 연결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명전광판은 미적 감각의 부여를 위해 투명전극에 다수개의 발광소자를 부착하고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로 발광시켜 투명전극에서 문자나 도형을 표시하고, 더 나아가 동영상까지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 투명전극에 통산 2전극 내지 4전극을 가지는 발광소자가 적용되었다.
여기서, 종래의 투명전광판은, 등록특허 10-1188747호 등에 안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어 그 사이에 충진되는 투명레진에 의하여 접착되는 한 쌍의 투명판과, 상기 한 쌍의 투명판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과 통전되도록 상기 한 쌍의 투명판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되는 투명전극과, 상기 투명판의 일측 끝단에서 상기 투명전극 별로 각각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도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소자의 애노드전극은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전극은 상기 하나 이상의 애노드 전극에 각각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애노드연결전극과, 상기 다수개의 발광소자에 각각 형성되는 캐소드 전극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단일의 캐소드연결전극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종래의 투명전광판은, 다수개의 발광소자의 캐소드전극에 연결되는 투명전극이 공통으로 형성됨에 따라 다수개의 발광소자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투명전극의 배선설계가 매우 용이하고 공정이 단축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의 투명전광판은, 상기 한 쌍의 투명판 중 어느 하나에 투명전극이 도포된 후, 다수개의 발광소자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애노드전극배선이 분할 구획된 후 나머지 영역이 캐소드전극배선으로 활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투명전극판은, 상기 투명전극이 한 쌍의 투명판 중 어느 하나의 투명판에 단층으로 도포된 후 상기 복수개의 애노드전극배선이 해당 패턴을 가지도록 분할 구획되고 있기 때문에, 투명판에 구성되는 발광소자의 개수가 많은 경우 각 발광소자의 애노드전극 개수 만큼 애노드전극배선 개수가 구획되어야 한다.
따라서 단층으로 도포된 투명전극에 다수의 애노드전극배선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독립적인 발광 제어를 위해서 중첩되지 않고 독립 배선이 이루어져 하므로, 복잡한 배선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투명전극을 절연시키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애노드전극배선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도테이프가 부착되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투명전극이 단층으로 구성된 상태에서 애노드전극배선의 개수가 무수히 많은 경우 투명판의 일측부에 위치되는 애노드전극배선의 연결단의 면적이 대단히 협소하여 전도테이프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해당 면적을 벗어나는 경우 이웃한 전극과 단락된 상태를 가지게 되어 독립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이 투명판을 거쳐 외부로 확산되면서 방출되는데, 이때, 상기 투명판의 경우 단순히 투명한 색상을 가지는 유리나 합성수지가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발광소자가 위치된 부위는 그렇지 않은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빛의 밝기가 강하여 투명판의 전면적을 통해 방출되는 빛의 양이 균일하지 못하여 광균일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소자의 복수개의 애노드전극과 공통 캐소드전극이 높이 차이를 가지는 상태에서 복수개의 투명전극층이 적층된 후 각 투명전극층에 패턴 형성되는 배선전극이 상기 발광소자의 해당 전극에 연결되도록 하여 투명전극층의 배선전극에 각각 부착되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도테이프의 부착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각 투명전극층의 배선전극 패턴이 단조롭게 설계되어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호간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투명레진을 통해 접착되는 제1 및 제2 투명판; 제1 및 제2 투명판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발광 제어되는 복수개의 발광소자; 제1 및 제2 투명판 중 어느 하나에 도포되어 발광소자의 전극과 통전되어 발광소자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투명전극층; 및 제1 및 제2 투명판의 일측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투명전극층에 각각 부착되어 발광소자에 각각의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도테이프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발광소자는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이 서로 다른 높이에 구성되고, 복수개의 투명전극층은 제1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1 애노드전극층, 제2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2 애노드전극층, 제3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3 애노드전극층 및 캐소드전극들에 공통 연결되는 캐소드전극층을 포함하며, 각 전극층 사이에는 절연층이 구성되는 투명전광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투명판 중 어느 하나에 캐소드전극층이 도포되는 단계와; 캐소드전극층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이 도포되고 제3 애노드전극층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 각각의 제3 애노드전극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와; 제3 애노드전극층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이 도포되고 제2 애노드전극층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 각각의 제2 애노드전극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와; 제2 애노드전극층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이 도포되고 제1 애노드전극층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 각각의 제1 애노드전극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와; 가장 하측단에 캐소드전극이 위치되고 그 상측에 제3 애노드전극이 위치되며 제3 애노드전극의 상측에 제2 애노드전극과 제1 애노드전극이 순차적으로 이격 위치된 각각의 발광소자들이 해당 위치에 배치된 후 투명판에 접착되어 제1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전극배선이 연결되고 제2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전극배선이 연결되며 제3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전극배선이 연결되고 캐소드전극들에 캐소드전극층이 공통 연결되는 단계와; 제1 애노드전극층 내지 제3 애노드전극층 및 캐소드전극층의 상하좌우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위치된 전극배선들의 연결단에 각 전도테이프가 부착되는 단계와; 제1 및 제2 투명판 중 상기 구성부들이 구성된 어느 하나의 상측에 투명레진이 도포된 후 그 상측에 다른 하나의 투명판이 위치되어 접착 및 경화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전광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소자의 복수개의 애노드전극과 공통 캐소드전극이 높이 차이를 가지는 상태에서 복수개의 투명전극층이 적층된 후 각 투명전극층에 패턴 형성되는 배선전극이 상기 발광소자의 해당 전극에 연결되도록 하여 투명전극층의 배선전극에 각각 부착되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도테이프의 부착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각 투명전극층의 배선전극 패턴이 단조롭게 설계되어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광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투명전광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투명전광판을 나타낸 측단면도; 및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도 1의 투명전광판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배선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투명전광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투명전광판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도 1의 투명전광판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배선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광판은, 상호간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투명레진을 통해 접착되는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발광 제어되는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도포되어 발광소자(130)의 전극과 통전되어 발광소자(130)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투명전극층(140) 및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의 일측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투명전극층(140)에 각각 부착되어 발광소자(130)에 각각의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도테이프(150)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발광소자(130)는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131,132,133)과 캐소드전극(134)이 서로 다른 높이에 구성되고, 복수개의 투명전극층(140)은 제1애노드전극(131)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141a)이 패턴 형성된 제1 애노드전극층(141), 제2애노드전극(132)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142a)이 패턴 형성된 제2 애노드전극층(142), 제3애노드전극(133)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143a)이 패턴 형성된 제3 애노드전극층(143) 및 캐소드전극(134)들에 공통 연결되는 캐소드전극층(144)을 포함하며, 각 전극층 사이에는 절연층(145)이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투명전광판은,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의 내부 또는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의 외면에 구성되어 발광소자(130)들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의 외부로 균일하게 투과되도록 하여 광균일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확산층(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은, 상호간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투명레진을 통해 접착되는 판넬부재로, 상호 대향되어 그 사이에 투명레진이 충전되어 상호간 접착되며, 투명한 재질과 색상의 유리판과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소자(130)는,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발광 제어되는 발광체로,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복수개의 발광소자(130)가 전도성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고,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131,132,133)과 캐소드전극(134)이 구성되는 4전극 발광소자이며, 상기 전극들은 서로 다른 높이에 구성되며, 일예로, 가장 하측단에 캐소드전극(134)이 위치되고, 그 상측에 제3 애노드전극(133)이 위치되며, 제3 애노드전극(133)의 상측에 제2 애노드전극(132)과 제1 애노드전극(131)이 순차적으로 이격 위치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131,132,133)은 양의 전원이 연결되고 캐소드전극(134)은 음의 전원이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소자(130)는, 발광체의 가장 하측단에 캐소드전극(134)이 위치되고, 그 상측에 제3 애노드전극(133)이 위치되며, 제3 애노드전극(133)의 상측에 제2 애노드전극(132)과 제1 애노드전극(131)이 순차적으로 이격 위치됨을 통하여, 빛이 상측면과 하측면을 통해 방출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모두를 향해 빛이 발산되도록 하는 양면 LED로 기능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투명전극층(140)은,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도포되어 발광소자(130)의 전극과 통전되어 발광소자(130)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전극배선용 전도층으로,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중 다른 하나와 대향되는 어느 하나의 일면에 도포되는 전도성 물질인 ITO, IZO 및 액상폴리머 중 어느 하나가 절연되면서 복수개의 층으로 도포되어 형성되며, 제1애노드전극(131)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141a)이 패턴 형성된 제1 애노드전극층(141), 제2애노드전극(132)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142a)이 패턴 형성된 제2 애노드전극층(142), 제3애노드전극(133)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143a)이 패턴 형성된 제3 애노드전극층(143) 및 공통 캐소드전극(134)들에 공통 연결되는 캐소드전극층(144)을 포함하며, 각 전극층 사이에는 절연층(145)이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투명전극층(140)은, 일예로,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캐소드전극층(144)이 도포되고, 그 후, 캐소드전극층(144)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된 후 제3 애노드전극층(143)이 도포되며, 그 후, 제3 애노드전극층(143)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된 후 제2 애노드전극층(142)이 도포되며, 마지막으로 제2 애노드전극층(142)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된 후 제1 애노드전극층(141)이 도포되며, 이때, 제1 애노드전극층(141) 내지 제3 애노드전극층(143)에는 각각 전극배선(141a 내지 141c)이 패턴 형성되는데, 각 층의 전극배선들은, 복수개의 발광소자(130)들에 구성된 각각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애노드전극들에 연결되도록 하는 단조로운 패턴이 설계된 후 물리적 분할방식이나 화학적 에칭 등의 공지의 방법을 통하여 전기적 회로로 패턴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캐소드전극층(144)이 도포된 상태에서, 캐소드전극층(144)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되고 이어서, 제3 애노드전극층(143)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각각의 제3 애노드전극(133)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143a)이 패턴 형성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3 애노드전극층(143)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되고 이어서, 제2 애노드전극층(142)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각각의 제2 애노드전극(132)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142a)이 패턴 형성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2 애노드전극층(142)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되고 이어서, 제1 애노드전극층(141)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각각의 제1 애노드전극(131)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141a)이 패턴 형성된다.
이때, 캐소드전극층(144)은, 복수개의 발광소자(130)의 하측단에 위치된 캐소드전극(134)에 공통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애노드전극층들에 비하여 별도의 패턴 형성된 배선전극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여기서, 제1 애노드전극층(141) 내지 제3 애노드전극층(143) 및 캐소드전극층(144)의 상하좌우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상기 전극배선들의 연결단이 위치되고, 이 연결단에는 각 전도테이프(150)가 부착되어 콘트롤러(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동작전원이 공급되어 복수개의 발광소자(130)의 점멸이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투명전극층(140)에 의하면,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131,132,133)과 캐소드전극(134)이 서로 다른 높이에 구성되는 복수개의 발광소자(130)가 투명판에 배치되는 경우, 제1애노드전극(131)들에 제1 애노드전극층(141)에 패턴 형성되는 전극배선(141a)이 각각 연결되도록 하고, 제2애노드전극(132)들에 제2 애노드전극층(142)에 패턴 형성되는 전극배선(142a)이 각각 연결되도록 하며, 제3애노드전극(133)들에 제3 애노드전극층(143)에 패턴 형성되는 전극배선(143a)이 각각 연결되도록 하고, 캐소드전극(134)들에 캐소드전극층(144)이 공통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각 애노드전극층에 해당 애노드전극에 연결되기 위한 전극배선만 형성되므로, 그 전극배선의 개수가, 종래와 같이 투명전극이 단층으로 구성될 때에 비해, 1/3로 줄어들게 되어 단조로운 패턴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전극배선의 패턴 형성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애노드전극에 연결되는 전극배선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전도테이프(150)가 부착되는 경우 전극배선의 개수가, 종래와 같이 투명전극이 단층으로 구성될 때에 비해, 1/3로 줄어들게 되어 어느 일측에 배열되는 배선전극의 연결단이 넓은 면적을 가지면서 구분 구획되어 전도테이프(150)의 부착 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고 인접한 연결단과 단락되는 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다.
확산층(미도시)은,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의 내부 또는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의 외면에 구성되어 발광소자(130)들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의 외부로 균일하게 투과되도록 하여 광균일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확산수단으로, 상기 투명판이 유리판일 경우에는 PC, PMMA, 아크릴, 에폭시, PET 또는 멜라민 수지와 같은 약 5mm 정도의 두께의 투명한 광투과성판넬로 구성되어 부착되고 그 내부에 빛의 산란을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기포들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판이 PC, PMMA, 아크릴, 에폭시, PET 또는 멜라민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합성수지인 경우 그 내부에 빛의 산란을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기포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포는 광투과성판넬 또는 투명판의 제조시 압출 또는 사출에 의해 성형되거나 발포 압출이나 발포 사출 등과 같은 발포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투과성판넬 또는 투명판에 형성되는 단위부피당 기포의 수와 크기(직경)는, 확산성 및 투과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와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단위부피당 기포의 수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광이 잘 투과되지 않아 광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단위부피당 기포의 수가 너무 적은 경우에는 광의 산란 정도가 낮아 확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포의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광확산도는 좋을 수 있으나 광투과율이 현저하게 낮아져 전체적으로 휘도 특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발생하므로, 빛의 투과도와 확산도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기포의 크기가 60㎛ 내지 700㎛ 범위 내인 것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포의 크기가 700㎛ 이상이 되면 빛의 투과율은 좋아지지만 빛의 확산도가 저하되고, 반대로 기포의 크기가 60㎛ 이하가 되면 빛의 확산도는 좋아지지만 빛의 투과율이 저하되어 휘도가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기포의 크기가 60㎛ 이상이 되면 일반 사람이 현미경과 같은 장치의 도움 없이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을 정도인데, 상기 기포가 이보다 작을 경우에는 기포를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우며, 기포의 크기가 60㎛ 이하이면서 기포 함유량이 5% 이상일 경우 확산판 전체가 백색이 아닌 회색에 가까운 색을 띠게 되어,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등과 같은 고정밀 확산용도로는 사용될 수 있으나 광투과 부재로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하게 된다. 즉, 투명판이 회색을 띠게 되면, 색재현률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광투과 부재 등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기포의 크기가 60㎛ 내지 700㎛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기포 함유량이 대략 4% 내지 20%인 것이 우수한 휘도 특성과 광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기포 크기가 60~700㎛ 범위이지만 기포 함유량이 4% 이하일 경우에는, 광확산성이 낮아 광투과 부재로는 부적합하게 된다.
따라서 확산층(미도시)를 광투과 부재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포의 크기가 60㎛ 내지 700㎛ 범위에서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확산층(미도시)은, 상기 기포로 인하여 무게가 경감되고 제작 비용도 저렴하여 대형으로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기포는 전방에 배열되는 것들과 후방에 배열되는 것들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가령 확산층(미도시)의 후방에 배열되는 기포들이 확산층(미도시)의 전방에 배열되는 기포들보다 그 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발광소자(130)로부터 빛이 제공될 때 확산층(미도시)의 전방으로 진행하는 빛이 큰 기포를 만나면서 쉽게 투과되어 우수한 휘도 특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광투과성판넬 또는 투명판의 전방에 배열되는 기포와 후방에 배열되는 기포들의 평균 크기가 다를 경우 확산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투과성이 더욱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기포의 크기와 함유량 및 기포의 배열 크기 등은, 다양한 조건을 토대로 반복적인 실험 등을 통해서 측정된 결과들을 통계 처리하여 수치화 한 것이다.
따라서 확산층(미도시)에 의하면, 복수개의 발광소자(130)로부터 발생된 빛이 투명판(110,120)을 투과시 기포에 의해 산란 및 확산되면서 투명판(110,120)의 전면(全面)에 걸쳐 균일하게 투광됨과 더불어, 높은 광투과도와 균일한 광량 및 우수한 휘도 특성을 가지게 되어 광고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투명전광판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광판 제조방법은,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캐소드전극층(144)이 도포되는 단계와, 이후, 캐소드전극층(144)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되고 제3 애노드전극층(143)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각각의 제3 애노드전극(133)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143a)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와, 이후, 제3 애노드전극층(143)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되고 제2 애노드전극층(142)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각각의 제2 애노드전극(132)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142a)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와, 이후, 제2 애노드전극층(142)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되고 제1 애노드전극층(141)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각각의 제1 애노드전극(131)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141a)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와, 가장 하측단에 캐소드전극(134)이 위치되고 그 상측에 제3 애노드전극(133)이 위치되며 제3 애노드전극(133)의 상측에 제2 애노드전극(132)과 제1 애노드전극(131)이 순차적으로 이격 위치된 각각의 발광소자(130)들이 해당 위치에 배치된 후 투명판에 접착되어 제1애노드전극(131)들에 각각 전극배선(141a)이 연결되고 제2애노드전극(132)들에 각각 전극배선(142a)이 연결되며 제3애노드전극(133)들에 각각 전극배선(143a)이 연결되고 캐소드전극(134)들에 캐소드전극층(144)이 공통 연결되는 단계와, 제1 애노드전극층(141) 내지 제3 애노드전극층(143) 및 캐소드전극층(144)의 상하좌우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위치된 전극배선들의 연결단에 각 전도테이프(150)가 부착되는 단계와,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중 상기 구성부들이 구성된 어느 하나의 상측에 투명레진이 도포된 후 그 상측에 다른 하나의 투명판이 위치되어 접착 및 경화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애노드전극층(143)이 도포된 후 전극배선(143a)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와, 제2 애노드전극층(142)이 도포된 후 전극배선(142a)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와, 제1 애노드전극층(141)이 도포된 후 전극배선(141a)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는, 모두 각 전극층에 해당 전극에 대해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들이 패턴 형성되기 때문에, 즉, 각 애노드전극층에 해당 애노드전극에 연결되기 위한 전극배선만 형성되므로, 그 전극배선의 개수가, 종래와 같이 투명전극이 단층으로 구성될 때에 비해, 1/3로 줄어들게 되어 단조로운 패턴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전극배선의 패턴 형성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각각의 애노드전극에 연결되는 전극배선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전도테이프(150)가 부착되는 경우 전극배선의 개수가, 종래와 같이 투명전극이 단층으로 구성될 때에 비해, 1/3로 줄어들게 되어 어느 일측에 배열되는 배선전극의 연결단이 넓은 면적을 가지면서 구분 구획되어 전도테이프(150)의 부착 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애노드전극에 연결되는 각각의 전극배선의 연결단에는 발광소자(130)의 발광체 사이즈에 대응되는 공간이 절연된 상태를 가지면서 식각 또는 절단 형성되고, 이에, 상기 전극층의 도포 및 전극배선의 패턴 형성 뒤 발광소자(130)가 상기 공간에 삽입 안착된 후 각 전극이 각 전극배선에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절연층(145)에도 상기 발광체 사이즈에 대응되는 공간이 식각 또는 절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에서와 같이, 캐소드전극층(144)에도 상기 공간이 식각 또는 절단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캐소드전극층(144)의 상측면에 도포되는 절연층(145)에만 상기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향상된 작업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애노드전극층(141) 내지 제3 애노드전극층(143) 및 캐소드전극층(144)의 상하좌우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위치된 전극배선들의 연결단에 각 전도테이프(150)가 부착되는 단계는, 캐소드전극층(144)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되고 제3 애노드전극층(143)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각각의 제3 애노드전극(133)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143a)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와, 제3 애노드전극층(143)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되고 제2 애노드전극층(142)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각각의 제2 애노드전극(132)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142a)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와, 제2 애노드전극층(142)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되고 제1 애노드전극층(141)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각각의 제1 애노드전극(131)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141a)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에서, 상기 절연층(145)의 도포 이전에 전도테이프(150)가 전극배선들의 연결단에 부착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애노드전극층(141)의 전극배선(141a)은 발광소자(130)의 제1 애노드전극(131)이 발광체의 좌측 상단에 위치됨에 따라 투명판의 좌측부에 전도테이프(150)에 연결되는 연결단이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제2 애노드전극층(142)의 전극배선(142a)은 발광소자(130)의 제2 애노드전극(132)이 발광체의 우측 중앙 상측에 위치됨에 따라 투명판의 상측부에 전도테이프(150)에 연결되는 연결단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제3 애노드전극층(143)의 전극배선(143a)은 발광소자(130)의 제3 애노드전극(133)이 발광체의 좌측 중앙 하측에 위치됨에 따라 투명판의 하측부에 전도테이프(150)에 연결되는 연결단이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발광소자(130)의 각각의 애노드전극들에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각각의 애노드전극층에 패턴 형성되기 때문에, 전극배선이 단조로운 패턴, 예를 들면, 연결단이 위치된 곳으로부터 해당 애노드전극까지 가장 짧은 거리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전극배선의 설계와 패터닝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전도테이프(150)가 부착될 전극배선의 연결단이 종래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어 부착 작업이 용이해져 작업성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애노드전극층별로 전도테이프(150)가 부착될 전극배선의 연결단 위치가 구분될 수 있어 독립 제어를 위한 각 애노드전극과 콘트롤러와의 컨넥팅 작업이 오인 혼동될 염려없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애노드전극(131)에 제2애노드전극(132)에 연결되어야 하는 컨넥터가 연결되는 등의 문제점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배선들의 경우 연결단으로부터 길이가 길어질수록 그 폭이 증가되도록 하여, 전원공급원으로부터 비교적으로 먼 위치에 배열된 발광소자(130)들에 전극배선의 면저항에 따라 구동전압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하여, 각 발광소자(130)들에 균일한 구동전압이 공급되도록 하여 균일한 광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전극배선은, 연결단이 배열 위치되는 투명판의 상측, 좌측 및 하측으로부터 대향측을 향하는 길이를 가지는 경우 제n번째 행렬의 발광소자에 연결되는 길이를 가지는 배선의 폭은, 제n+1번째 행렬의 발광소자에 연결되는 길이를 가지는 배선의 폭 보다 보다 1/4~1/3 정도 좁은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발광소자들의 개수가 많아질 경우 그 만큼 발광소자들의 행렬이 많아지게 되어 특정 전극의 경우 면저항이 그 길이 만큼 증가하게 되지만 그에 대응된 배선의 폭을 가지지 못하여 균일한 구동전압의 공급이 불가능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발광소자들의 개수가 많아질 경우 그 만큼 발광소자들의 행렬이 많아지게 되어 특정 전극의 경우 넓은 폭을 가지게 되어 결국 넓은 면적을 가지게 되고 이에, 단조로운 패턴의 설계가 불가능하게 되며, 이는 다양한 조건을 토대로 반복적인 실험 등을 통해서 측정된 결과를 통계 처리하여 수치화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투명판이 유리판일 경우에는 PC, PMMA, 아크릴, 에폭시, PET 또는 멜라민 수지와 같은 약 5mm 정도의 두께의 투명한 광투과성판넬로 구성되어 부착되고 그 내부에 빛의 산란을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기포들을 포함하는 확산층(미도시)가 더 구성되어,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의 내부 또는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의 외면에 구성되어 발광소자(130)들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의 외부로 균일하게 투과되도록 하여 광균일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소자(130)의 복수개의 애노드전극(131,132,133)과 공통 캐소드전극(134)이 높이 차이를 가지는 상태에서 복수개의 투명전극층(140)이 적층된 후 각 투명전극층(141,142,143,144)이 해당 패턴의 배선전극을 통해 발광소자(130)들의 전극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투명전극층(140)의 배선전극에 각각 부착되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도테이프(150)의 부착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각 투명전극층(141,142,143,144)의 배선전극 패턴이 단조롭게 설계되어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상호간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투명레진을 통해 접착되는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발광 제어되는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도포되어 발광소자(130)의 전극과 통전되어 발광소자(130)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투명전극층(140); 및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의 일측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투명전극층(140)에 각각 부착되어 발광소자(130)에 각각의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도테이프(150)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발광소자(130)는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131,132,133)과 캐소드전극(134)이 서로 다른 높이에 구성되고,
    복수개의 투명전극층(140)은 제1애노드전극(131)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141a)이 패턴 형성된 제1 애노드전극층(141), 제2애노드전극(132)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142a)이 패턴 형성된 제2 애노드전극층(142), 제3애노드전극(133)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143a)이 패턴 형성된 제3 애노드전극층(143) 및 캐소드전극(134)들에 공통 연결되는 캐소드전극층(144)을 포함하며, 각 전극층 사이에는 절연층(145)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의 내부 또는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의 외면에 구성되어 발광소자(130)들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의 외부로 균일하게 투과되도록 하여 광균일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확산층(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발광소자(130)는,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131,132,133)과 캐소드전극(134)이 구성되는 4전극 발광소자이며,
    하측단에 캐소드전극(134)이 위치되고,
    그 상측에 제3 애노드전극(133)이 위치되며,
    제3 애노드전극(133)의 상측에 제2 애노드전극(132)과 제1 애노드전극(131)이 순차적으로 이격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투명전극층(140)은,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중 다른 하나와 대향되는 어느 하나의 일면에 도포되는 전도성 물질인 ITO, IZO 및 액상폴리머 중 어느 하나가 절연되면서 복수개의 층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캐소드전극층(144)이 도포되는 단계와;
    캐소드전극층(144)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되고 제3 애노드전극층(143)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각각의 제3 애노드전극(133)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143a)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와;
    제3 애노드전극층(143)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되고 제2 애노드전극층(142)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각각의 제2 애노드전극(132)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142a)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와;
    제2 애노드전극층(142)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되고 제1 애노드전극층(141)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각각의 제1 애노드전극(131)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141a)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와;
    가장 하측단에 캐소드전극(134)이 위치되고 그 상측에 제3 애노드전극(133)이 위치되며 제3 애노드전극(133)의 상측에 제2 애노드전극(132)과 제1 애노드전극(131)이 순차적으로 이격 위치된 각각의 발광소자(130)들이 해당 위치에 배치된 후 투명판에 접착되어 제1애노드전극(131)들에 각각 전극배선(141a)이 연결되고 제2애노드전극(132)들에 각각 전극배선(142a)이 연결되며 제3애노드전극(133)들에 각각 전극배선(143a)이 연결되고 캐소드전극(134)들에 캐소드전극층(144)이 공통 연결되는 단계와;
    제1 애노드전극층(141) 내지 제3 애노드전극층(143) 및 캐소드전극층(144)의 상하좌우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위치된 전극배선들의 연결단에 각 전도테이프(150)가 부착되는 단계와;
    제1 및 제2 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투명레진이 도포된 후 그 상측에 다른 하나의 투명판이 위치되어 접착 및 경화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애노드전극층(141) 내지 제3 애노드전극층(143) 및 캐소드전극층(144)의 상하좌우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위치된 전극배선들의 연결단에 각 전도테이프(150)가 부착되는 단계는,
    캐소드전극층(144)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되고 제3 애노드전극층(143)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각각의 제3 애노드전극(133)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143a)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와, 제3 애노드전극층(143)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되고 제2 애노드전극층(142)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각각의 제2 애노드전극(132)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142a)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와, 제2 애노드전극층(142)의 상측에 투명레진의 절연층(145)이 도포되고 제1 애노드전극층(141)이 도포된 후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각각의 제1 애노드전극(131)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141a)이 패턴 형성되는 단계에서,
    상기 절연층(145)의 도포 이전에 전도테이프(150)가 전극배선들의 연결단에 부착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제조방법.
KR1020150120298A 2015-08-26 2015-08-26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84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298A KR101584739B1 (ko) 2015-08-26 2015-08-26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298A KR101584739B1 (ko) 2015-08-26 2015-08-26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739B1 true KR101584739B1 (ko) 2016-01-13

Family

ID=5517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298A KR101584739B1 (ko) 2015-08-26 2015-08-26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273B1 (ko) * 2016-07-27 2016-10-21 주식회사 태그솔루션 발광 효율이 향상된 led 인테리어 벽 및 그 제조 방법
KR101683771B1 (ko) 2016-03-22 2016-12-21 지스마트 주식회사 발광 면적의 확장이 가능한 투명전광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748B1 (ko) 2012-07-18 2012-10-09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88747B1 (ko) 2012-07-18 2012-10-10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78651B1 (ko) 2013-12-06 2015-01-05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의 레진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광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748B1 (ko) 2012-07-18 2012-10-09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88747B1 (ko) 2012-07-18 2012-10-10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78651B1 (ko) 2013-12-06 2015-01-05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의 레진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광판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771B1 (ko) 2016-03-22 2016-12-21 지스마트 주식회사 발광 면적의 확장이 가능한 투명전광판
KR101668273B1 (ko) * 2016-07-27 2016-10-21 주식회사 태그솔루션 발광 효율이 향상된 led 인테리어 벽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23123B1 (en) Array substrate,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101578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 diffusion
KR101535064B1 (ko) 표시 장치용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RU2680257C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модуль, светодиодная панель и светодиодный экран
KR101188747B1 (ko)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US8933871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9074758B2 (en) Interlocking light sheet tiles
KR101618861B1 (ko) 투명전광판 고정장치
WO2020227861A1 (zh) 发光驱动基板及其制作方法、发光基板和显示装置
TWI515496B (zh) 液晶顯示器及具有其之液晶顯示器裝置組
JP2015195413A (ja) 一体的に形成された一体成形発光ダイオード光ワイヤー及びその使用
EP2911140A1 (en) Transparent electronic display board capable of uniform optical output
CN110658651B (zh) 灯板、背光模组以及显示装置
KR20100092696A (ko) 발광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KR20110022507A (ko) 광학 어셈블리, 그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248292A1 (en) Lighting device
KR101584739B1 (ko)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739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30055203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5067913U (zh) 照明装置以及显示装置
CN106373987A (zh) Oled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
KR101584734B1 (ko)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CN111863862A (zh) 发光结构
CN104050887A (zh) 彩色透明电子显示板及其制造方法
KR20200071497A (ko) 마이크로led를 이용한 전자 장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