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861B1 - 투명전광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투명전광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861B1
KR101618861B1 KR1020150150403A KR20150150403A KR101618861B1 KR 101618861 B1 KR101618861 B1 KR 101618861B1 KR 1020150150403 A KR1020150150403 A KR 1020150150403A KR 20150150403 A KR20150150403 A KR 20150150403A KR 101618861 B1 KR101618861 B1 KR 101618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light emitting
electrode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150150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투명판 사이에 투명전극이 도포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발광소자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투명전광판; 투명전광판이 내부에 안착되고 투명전광판의 투명전극에 외부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드라이버기판이 고정되는 양면이 개방된 사각틀 형상 또는 일면이 개방된 서랍틀 형상을 가지며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해 구조물에 연결 고정되는 안착프레임; 및 안착프레임의 정면부를 커버하면서 안착프레임에 고정되어 투명전광판이 안착프레임에 안착 및 고정되도록 하는 사각틀 형상의 커버판넬을 포함하는 투명전광판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투명전광판 고정장치{Transparent display board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투명전광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전광판이 안착프레임에 안착된 상태에서 커버판넬에 의해 커버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고정장치가 해당 장소에 구성되는 구조물에 간편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투명전광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명전광판은 미적 감각의 부여를 위해 투명전극에 다수개의 발광소자를 부착하고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로 발광시켜 투명전극에서 문자나 도형을 표시하고, 더 나아가 동영상까지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 투명전극에 통산 2전극 내지 4전극을 가지는 발광소자가 적용되었다.
여기서, 종래의 투명전광판은, 등록특허 10-1188747호 등에 안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어 그 사이에 충진되는 투명레진에 의하여 접착되는 한 쌍의 투명판과, 상기 한 쌍의 투명판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과 통전되도록 상기 한 쌍의 투명판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되는 투명전극과, 상기 투명판의 일측 끝단에서 상기 투명전극 별로 각각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도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소자의 애노드전극은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전극은 상기 하나 이상의 애노드전극에 각각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애노드연결전극과, 상기 다수개의 발광소자에 각각 형성되는 캐소드전극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단일의 캐소드연결전극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투명전광판은, 등록특허 10-145931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 끝단에서 각각 하향 연장 및 고정되는 수직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투명전광판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발광소자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드라이버기판과, 상기 드라이버기판이 고정된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을 밀폐시키는 내부커버와, 상기 고정프레임과 투명전광판을 내측에 수용하여 상기 고정프레임과 투명전광판의 외측 테두리를 차폐시키고 전면이 노출되도록 고정시키는 외부커버 등을 포함하는 고정장치에 의해 주거용 및 사무용 건물 등에도 고정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투명전광판 고정장치의 경우, 상기와 같이 많은 개수의 구성부로 구성됨에 따라 투명전광판의 일면이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단계와, 투명전광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드라이버기판이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단계와, 고정프레임의 일측이 내부커버에 의해 밀폐되는 단계와, 고정프레임이 외부커버에 수용 및 고정되는 단계 등을 여러 단계를 통해 조립되고 있으며, 이에, 구성부의 제조와 조립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전광판이 안착프레임에 안착된 상태에서 커버판넬에 의해 커버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고정장치가 공원이나 지하철역 등 장소에 구성되는 구조물에 간편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투명전광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투명판 사이에 투명전극이 도포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발광소자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투명전광판; 투명전광판이 내부에 안착되고 투명전광판의 투명전극에 외부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드라이버기판이 고정되는 양면이 개방된 사각틀 형상 또는 일면이 개방된 서랍틀 형상을 가지며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해 구조물에 연결 고정되는 안착프레임; 및 안착프레임의 정면부를 커버하면서 안착프레임에 고정되어 투명전광판이 안착프레임에 안착 및 고정되도록 하는 사각틀 형상의 커버판넬을 포함하는 투명전광판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안착프레임은, 정면과 배면이 개방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부; 프레임부의 내측면 배면부위에 수직하게 소정폭으로 연장되어 투명전광판의 배면부분 가장자리가 안착되도록 하고 배면부위가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안착플랜지부;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개방 또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드라이버기판이 고정되어 투명전광판에 외부의 동작전원이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기판고정부; 및 프레임부의 정면부위에 소정길이 또는 소정간격으로 개방 또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커버판넬의 삽입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커버판넬이 프레임부의 정면부가 커버되도록 하는 커버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착프레임은, 안착플랜지부 대신에, 프레임부의 내측면 배면부위 전체가 마감되도록 하는 마감판넬부로 대체되는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
또한, 커버판넬은, 사각틀 형상을 가지는 커버부와; 커버부의 배면부위에 돌출 형성되고 커버결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부재를 통해 프레임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전광판이 안착프레임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 개방부위가 커버판넬에 커버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고정장치가 공원이나 지하철역 등 장소에 구성되는 구조물에 간편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광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투명전광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투명전광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투명전광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투명전광판을 나타낸 측단면도; 및
도 6은 도 3의 투명전광판에 있어서 전극배선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광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투명전광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투명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투명전광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투명전광판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투명전광판에 있어서 전극배선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광판 고정장치는, 다수개의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투명판 사이에 투명전극이 도포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발광소자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투명전광판(100), 투명전광판(100)이 내부에 안착되고 투명전광판(100)의 투명전극에 외부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드라이버기판(P)이 고정되는 양면이 개방된 사각틀 형상 또는 일면이 개방된 서랍틀 형상을 가지며 별도의 브라켓 등과 같은 연결부재를 통해 건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구성된 구조물(미도시)에 연결 고정되는 안착프레임(200) 및 안착프레임(200)의 정면부를 커버하면서 안착프레임(200)에 고정되어 투명전광판(100)이 안착프레임(200)에 안착 및 고정되도록 하는 사각틀 형상의 커버판넬(300)을 포함한다.
먼저, 안착프레임(200)은, 투명전광판(100)이 내부에 안착되고 드라이버기판(P)이 고정되는 사각틀 형상 또는 서랍틀 형상을 가지며 연결부재를 통해 구조물(미도시)에 연결 고정되는 안착 및 고정수단으로서, 정면과 배면이 개방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부(210), 프레임부(210)의 내측면 배면부위에 수직하게 소정폭으로 연장되어 투명전광판(100)의 배면부분 가장자리가 안착되도록 하고 배면부위가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안착플랜지부(220), 프레임부(210)의 내측면에 개방 또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드라이버기판(P)이 고정되어 투명전광판(100)의 투명전극 또는 전도테이프에 외부의 동작전원이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기판고정부(230) 및 프레임부(210)의 정면부위에 소정길이 또는 소정간격으로 개방 또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후술된 커버판넬(300)의 삽입부(320)가 삽입된 상태에서 프레임부(210)의 외측면 부위로부터 관통되는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커버판넬(300)이 프레임부(210)의 정면부(또는 개방부위)가 커버되도록 하는 커버결합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프레임(200)은, 상기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을 가지는 경우 투명전광판(100)의 정면과 배면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어 양면이 광고면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착플랜지부(220) 대신에, 프레임부(210)의 내측면 배면부위 전체가 마감되도록 하는 마감판넬부로 대체되어 전체적으로 서랍틀 형상을 가지는 경우, 커버결합부(240)가 형성되는 프레임부(210)의 정면부만이 노출되도록 하여 투명전광판(100)의 정면만 외부로 노출되는 광고면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착프레임(200)에 의하면, 투명전광판(100)의 두께 보다 조금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부(210)에 투명전광판(100)이 수용 및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플랜지부(220)와 드라이버기판(P)이 고정되도록 하는 기판고정부(230)가 일체로 구성되어 종래와 같이, 복수개의 구성부들이 결합되지 않도록 하여 제조비용과 조립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커버판넬(300)은, 안착프레임(200)의 정면부를 커버하면서 안착프레임(200)에 고정되어 투명전광판(100)이 안착프레임(200)에 안착 및 고정되도록 하는 사각틀 형상의 마감부재로서, 사각틀 형상을 가지는 커버부(310)와, 커버부(310)의 배면부위에 돌출 형성되고 커버결합부(240)에 삽입된 상태에서 프레임부(210)의 외측면 부위로부터 관통되는 결합부재를 통해 프레임부(210)에 결합되도록 하여 프레임부(210)의 개방부위가 커버부(310)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는 삽입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부(310)의 폭은 프레임부(210)의 정면부의 폭 길이에 안착플랜지부(220)의 폭 길이를 합한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이를 통하여, 프레임부(210)의 정면부위를 커버함과 동시에 안착플랜지부(220)의 폭에 대응되는 폭이 투명전광판(100)의 가장자리 부위(전도테이프와 드라이버기판을 연결하는 연결단 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실크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크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는 투명전광판(100)의 가장자리 부위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투명전광판(100)이 소정 크기로 가압되도록 하여, 프레임부(210)의 내측면에 유동이나 유격 없이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커버판넬(300)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안착프레임(200)에 투명전광판(100)이 안착된 상태에서 투명전광판(100)의 전도테이프가 드라이버기판(P)에 고정된 후 삽입부(320)가 커버결합부(240)에 삽입되고 결합부재를 통해 프레임부(210)에 결합시 커버부(310)가 프레임부(210)의 정면부가 커버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과 간편한 조립을 통하여 마감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투명전광판(100)은, 다수개의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투명판 사이에 투명전극이 도포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발광소자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광고수단으로서, 상호간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투명레진(160)을 통해 접착되는 제1 및 제2투명판(110,120), 제1 및 제2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발광 제어되는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제1 및 제2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의 투명판에 도포된 상태에서 각 발광소자(130)의 전극과 통전되어 발광소자(130)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투명전극(140) 및 제1 및 제2투명판(110,120)의 측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투명전극(140)의 연결단(미도시)에 부착되어 발광소자(130)에 각각의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도테이프(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발광소자(130)는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131,132,133)과 캐소드전극(134)이 서로 다른 위치에 구성되고, 투명전극(140)은 제1애노드전극(131)들에 각각 연결되는 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1애노드전극배선(141), 제2애노드전극(132)들에 각각 연결되는 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2애노드전극배선(142), 제3애노드전극(133)들에 각각 연결되는 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3애노드전극배선(143) 및 캐소드전극(134)들에 공통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캐소드전극배선(144)을 포함하고, 각 전극배선들 사이에는 절연홈(미부호)가 패턴 형성되고 캐소드전극배선(144)은 투명전극(140)의 면적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가상 또는 실상의 구획라인(D)에 구성된 금속 재질의 전도선(W)에 연결되어 전도선(W)을 기점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의 발광소자와 가장 먼 거리의 발광소자 사이의 거리 차이를 최소화하여 각 발광소자의 균일한 광출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투명전광판(100)은, 제1 및 제2투명판(110,120)의 내부 또는 제1 및 제2투명판(110,120)의 외면에 구성되어 발광소자(130)들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1 및 제2투명판(110,120)의 외부로 균일하게 투과되도록 하여 광균일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확산층(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투명판(110,120)은, 상호간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투명레진(160)을 통해 접착되는 판넬부재로, 상호 대향되어 그 사이에 투명레진(160)이 충전되어 상호간 접착되며, 투명한 재질과 색상의 유리판과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소자(130)는, 제1 및 제2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발광 제어되는 발광체로, 제1 및 제2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복수개의 발광소자(130)가 전도성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고,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131,132,133)과 캐소드전극(134)이 구성되는 4전극 발광소자이며, 상기 전극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 구성되며, 일예로, 하측단 상부 우측에 캐소드전극(134)이 위치되고, 그 좌측에 제1애노드전극(131)이 위치되며, 그 하측에 제2애노드전극(132)이 위치되고, 그 우측에 제3애노드전극(133)이 이격 위치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131,132,133)은 음의 전원이 연결되고 캐소드전극(134)은 양의 전원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소자(130)는, 발광체의 가장 하측단 가장자리에 상기 애노드전극(131 내지 133)과 캐소드전극(134)이 위치되는 것을 통하여, 빛이 상측면과 하측면을 통해 방출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1 및 제2투명판(110,120) 모두를 향해 빛이 발산되도록 하는 양면 LED로 기능될 수도 있다.
투명전극(140)은, 제1 및 제2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의 투명판에 도포된 상태에서 각 발광소자(130)의 전극과 통전되어 발광소자(130)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전극배선용 전도수단으로, 제1 및 제2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의 투명판에 전도성 물질인 ITO, IZO 및 액상폴리머 중 어느 하나가 도포되어 형성되며, 제1애노드전극(131)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1애노드전극배선(141), 제2애노드전극(132)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2애노드전극배선(142), 제3애노드전극(133)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3애노드전극배선(143) 및 공통 캐소드전극(134)들에 공통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캐소드전극배선(144)을 포함하며, 각 전극층 사이에는 절연홈(미부호)가 형성된다.
투명전극(140)은, 일예로, 제2투명판(120)에 전도성 물질이 단층으로 도포된 후, 가장자리 측단에 연결단(미도시)가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1애노드전극배선(141) 내지 제3애노드전극배선(143)이 절연홈(미부호)를 토대로 소정의 패턴을 가지면서 배선 형성되어 발광소자(130)의 제1애노드전극(131) 내지 제3애노드전극(133)들에 각각 연결되고, 이때, 잔여영역에 해당되는 발광소자(130)의 캐소드전극(134)에 연결되는 캐소드전극배선(144)으로 배선 형성되며, 각 전극배선들은, 복수개의 발광소자(130)들에 구성된 각각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지는 복수개의 전극들에 연결되도록 하는 패턴이 설계된 후 물리적 분할방식이나 화학적 에칭 등의 공지의 방법을 통하여 전기적 회로로 패턴 형성된다.
여기서, 투명판에 투명전극이 도포된 후 각 발광소자에 결선되도록 하는 것은, 등록특허 10-1188747호와 이의 종래기술에도 언급된 바와 같이,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투명전극(140)은, 제2투명판(120)에 전도성 물질이 도포된 후 해당 전극배선들이 복수개의 발광소자(130)들에 각각 연결되는 배선이 패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캐소드전극배선(144)은, 투명전극(140)의 전면적 중 제1 내지 제3애노드전극배선(141 내지 143)이 패턴 형성된 후 남은 잔여영역을 공통의 전극 배선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제2투명판(1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된 연결단(미도시)에 연결되는 전도테이프(150)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연결단(미도시)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된 발광소자(130)들의 캐소드전극(134)에는 자체 면저항으로 인하여 낮은 전압이 공급되고 이에, 연결단(미도시)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된 발광소자(130)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량이 적어지게 되어 불균일한 광출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도성 물질이 도포되어 투명전극(140)이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캐소드전극배선(144)에 한 포인트 즉, 투명판(120)의 일측부에 배치된 연결단(146)으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후 투명전극(140)의 전면적에 상기 동작전원이 도통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면저항 등으로 인하여 투명전극(140)의 전면적에 공급되는 전류량은 한계를 가지게 되어, 투명판(120)에 구성할 수 있는 발광소자(130)들이 개수가 한정될 수밖에 없고, 또한, 각 발광소자(130)들로부터 균일한 광출력이 발생되지 않아 광고효과가 저하된다.
이에, 본 발명의 투명전광판(100)은, 상기 캐소드전극배선(144)이 제2투명판(120)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가상 또는 실상의 구획라인(D)에 금속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기전도율이 높은 백금 재질의 전도선(W)에 연결되어 전도선(W)을 기점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의 발광소자와 가장 먼 거리의 발광소자 사이의 거리 차이가 전도선(W)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짧아지게 하고 이를 통하여, 캐소드전극배선(144)이 제2투명판(120)의 측단에 배열된 연결단(미도시)에 연결되는 것에 비해, 각 발광소자(130)들에 제공되는 동작전원이 증폭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배선의 폭을 증대시키는 패턴 설계 등을 반영하지 않고도 균일한 광출력을 가능하고 보다 많은 개수의 발광소자(140)가 구성되도록 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분할라인(D)은, 제1 및 제2투명판(110,120) 중 복수개의 발광소자(130)가 접착 구성되는 어느 하나에 물리적으로 형성되는 요홈 구조를 가지고, 내부 공간에 전도선(W)이 안착된 후 부분적 또는 개방부위가 전도성 접착제 등을 통해 접착되거나 실링되면서 캐소드전극배선(1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전도선(W)이 투명판에 소정 간격으로 요홈 형성되는 분할라인(D)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도성 접착제 등을 통해 실링되면서 캐소드전극배선(1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전도선(W)이 캐소드전극배선(144)의 상측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도성 접착제 등을 통해 부분적으로 접착시 전도성 물질의 열화 등으로 인하여 들뜸 현상이 방지되는 등의 문제를 가지는 것에 비해, 안정적인 전기적 도통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분할라인(D)에 인접한 캐소드전극배선(144)에 보다 많은 면적에 접촉된 상태를 가질 수 있어 전류량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분할라인(D)의 폭은 전도선(W)의 폭(1㎛ 내지 1mm)에 대응되고, 깊이는 전도선(W)의 폭에 1/3 내지 1/2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분할라인(D)의 폭이 상기 범위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공차로 인하여 형성 작업이 매우 불편함과 동시에 전도선(W)의 수용이 불가능하고 초과하는 경우에는 육안으로 쉽게 노출 및 식별되어 투명판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분할라인(D)의 깊이가 상기 범위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전도선(W)의 일부만이 수용되어 접착 작업시 전도선(W)이 구불구불하게 구성되어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도선(W) 전부가 수용되어 캐소드전극배선(144)과의 전기적 접촉 작업을 위해서 반드시 전도성 접착제 또는 전도성 테이프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육안으로 쉽게 노출 및 식별되어 투명판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분할라인(D)의 폭과 깊이(또는 두께)는, 다양한 조건을 토대로 반복적인 실험 등을 통해서 측정된 결과들을 통계 처리하여 수치화 한 것이며, 투명판의 제조 후 별도의 절삭 수단을 통해 요홈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외부에서 볼 때 육안으로 쉽게 식별되지 않도록 하여 심미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선(W)에 의하면, 투명판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부위에 구성된 상태에서 캐소드배선전극(144)에 넓은 접촉면적을 가지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도선(W)을 기점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의 발광소자와 가장 먼 거리의 발광소자 사이의 거리 차이가 짧아지게 하여 각 발광소자(130)들에 제공되는 동작전원이 증폭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하고 균일한 광출력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많은 개수의 발광소자(140)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투명전극(140)의 전면적을 복수개로 분할하는 구조를 가지면서 전도선(W)이 캐소드전극배선(144)에 선접촉됨으로써, 전도선(W)을 중심으로 캐소드전극배선(144)의 거리 또는 폭이 전도선(W)의 개수로 분할한 만큼 감소하게 되고, 이에, 전도성 물질이 도포되는 방식의 투명전극(140)의 면저항 문제로 인한 한계 즉, 전류량의 충분하지 못한 공급에 따른 발광소자(1300들의 불균일한 광출력을 방지할 수 있는 전류량 증폭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확산층(미도시)은, 제1 및 제2투명판(110,120)의 내부 또는 제1 및 제2투명판(110,120)의 외면에 구성되어 발광소자(130)들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1 및 제2투명판(110,120)의 외부로 균일하게 투과되도록 하여 광균일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확산수단으로, 상기 투명판이 유리판일 경우에는 PC, PMMA, 아크릴, 에폭시, PET 또는 멜라민 수지와 같은 약 5mm 정도의 두께의 투명한 광투과성판넬로 구성되어 부착되고 그 내부에 빛의 산란을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기포들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판이 PC, PMMA, 아크릴, 에폭시, PET 또는 멜라민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합성수지인 경우 그 내부에 빛의 산란을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기포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포는 광투과성판넬 또는 투명판의 제조시 압출 또는 사출에 의해 성형되거나 발포 압출이나 발포 사출 등과 같은 발포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투과성판넬 또는 투명판에 형성되는 단위부피당 기포의 수와 크기(직경)는, 확산성 및 투과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와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단위부피당 기포의 수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광이 잘 투과되지 않아 광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단위부피당 기포의 수가 너무 적은 경우에는 광의 산란 정도가 낮아 확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포의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광확산도는 좋을 수 있으나 광투과율이 현저하게 낮아져 전체적으로 휘도 특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발생하므로, 빛의 투과도와 확산도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기포의 크기가 60㎛ 내지 700㎛ 범위 내인 것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포의 크기가 700㎛ 이상이 되면 빛의 투과율은 좋아지지만 빛의 확산도가 저하되고, 반대로 기포의 크기가 60㎛ 이하가 되면 빛의 확산도는 좋아지지만 빛의 투과율이 저하되어 휘도가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기포의 크기가 60㎛ 이상이 되면 일반 사람이 현미경과 같은 장치의 도움 없이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을 정도인데, 상기 기포가 이보다 작을 경우에는 기포를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우며, 기포의 크기가 60㎛ 이하이면서 기포 함유량이 5% 이상일 경우 확산판 전체가 백색이 아닌 회색에 가까운 색을 띠게 되어,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등과 같은 고정밀 확산용도로는 사용될 수 있으나 광투과 부재로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하게 된다. 즉, 투명판이 회색을 띠게 되면, 색재현률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광투과 부재 등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기포의 크기가 60㎛ 내지 700㎛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기포 함유량이 대략 4% 내지 20%인 것이 우수한 휘도 특성과 광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기포 크기가 60~700㎛ 범위이지만 기포 함유량이 4% 이하일 경우에는, 광확산성이 낮아 광투과 부재로는 부적합하게 된다.
따라서 확산층(미도시)을 광투과 부재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포의 크기가 60㎛ 내지 700㎛ 범위에서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확산층(미도시)은, 상기 기포로 인하여 무게가 경감되고 제작 비용도 저렴하여 대형으로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기포는 전방에 배열되는 것들과 후방에 배열되는 것들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가령 확산층(미도시)의 후방에 배열되는 기포들이 확산층(미도시)의 전방에 배열되는 기포들보다 그 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발광소자(130)로부터 빛이 제공될 때 확산층(미도시)의 전방으로 진행하는 빛이 큰 기포를 만나면서 쉽게 투과되어 우수한 휘도 특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광투과성판넬 또는 투명판의 전방에 배열되는 기포와 후방에 배열되는 기포들의 평균 크기가 다를 경우 확산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투과성이 더욱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기포의 크기와 함유량 및 기포의 배열 크기 등은, 다양한 조건을 토대로 반복적인 실험 등을 통해서 측정된 결과들을 통계 처리하여 수치화 한 것이다.
따라서 확산층(미도시)에 의하면, 복수개의 발광소자(130)로부터 발생된 빛이 투명판(110,120)을 투과시 기포에 의해 산란 및 확산되면서 투명판(110,120)의 전면(全面)에 걸쳐 균일하게 투광됨과 더불어, 높은 광투과도와 균일한 광량 및 우수한 휘도 특성을 가지게 되어 광고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선(W)이 구성되는 구획라인(D)은, 요홈 구조를 가지고 그 내부에 전도선(W)이 안착 수용된 후 캐소드전극배선(1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실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넓은 면적이 캐소드전극배선(144)에 접속되도록 하여 캐소드전극배선(144)에 흐르는 전류량이 극대화되도록 하여 보다 많은 발광소자(130)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균일한 광출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판이 유리판일 경우에는 PC, PMMA, 아크릴, 에폭시, PET 또는 멜라민 수지와 같은 약 5mm 정도의 두께의 투명한 광투과성판넬로 구성되어 부착되고 그 내부에 빛의 산란을 위해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기포들을 포함하는 확산층(미도시)가 더 구성되어, 제1 및 제2투명판(110,120)의 내부 또는 제1 및 제2투명판(110,120)의 외면에 구성되어 발광소자(130)들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1 및 제2투명판(110,120)의 외부로 균일하게 투과되도록 하여 광균일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투명전광판(100)에 의하면, 투명판에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소자(130)의 공통 전극인 캐소드전극(134)에 연결되는 캐소드전극배선(144)의 면적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가상 또는 실상의 구획라인(D)에 금속 재질의 전도선(W)이 구성되도록 하여 전도선(W)을 기점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의 발광소자와 가장 먼 거리의 발광소자 사이의 거리 차이를 최소화하여 각 발광소자의 균일한 광출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투명전광판(100)은, 상호간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투명레진을 통해 접착되는 제1 및 제2 투명판, 제1 및 제2 투명판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발광 제어되는 복수개의 발광소자, 제1 및 제2 투명판 중 어느 하나에 도포되어 발광소자의 전극과 통전되어 발광소자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투명전극층 및 제1 및 제2 투명판의 일측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투명전극층에 각각 부착되어 발광소자에 각각의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도테이프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발광소자는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이 서로 다른 높이에 구성되고, 복수개의 투명전극층은 제1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1 애노드전극층, 제2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2 애노드전극층, 제3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3 애노드전극층 및 캐소드전극들에 공통 연결되는 캐소드전극층을 포함하며, 각 전극층 사이에는 절연층이 구성되어도 좋다.
여기서, 복수개의 발광소자는,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이 구성되는 4전극 발광소자이며, 하측단에 캐소드전극이 위치되고, 그 상측에 제3 애노드전극이 위치되며, 제3 애노드전극의 상측에 제2 애노드전극과 제1 애노드전극이 순차적으로 이격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개의 투명전극층은, 제1 및 제2 투명판 중 다른 하나와 대향되는 어느 하나의 일면에 도포되는 전도성 물질인 ITO, IZO 및 액상폴리머 중 어느 하나가 절연되면서 복수개의 층으로 도포되어 형성되고, 제1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1 애노드전극층, 제2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2 애노드전극층, 제3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3 애노드전극층 및 공통 캐소드전극들에 공통 연결되는 캐소드전극층을 포함하며, 각 전극층 사이에는 절연층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투명전광판(100)에 의하면, 발광소자의 복수개의 애노드전극과 공통 캐소드전극이 높이 차이를 가지는 상태에서 복수개의 투명전극층이 적층된 후 각 투명전극층이 해당 패턴의 배선전극을 통해 발광소자들의 전극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투명전극층의 배선전극에 각각 부착되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도테이프의 부착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각 투명전극층의 배선전극 패턴이 단조롭게 설계되어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투명전광판 고정장치의 조립 방법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착프레임(200)의 프레임부(210) 내측면에 투명전광판(100)의 배면부분 가장자리 부위가 안착플랜지부(220)에 안착되도록 끼워진다.
이후, 프레임부(210)의 내측면에 형성된 기판고정부(230)에는 드라이버기판(P)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팅 또는 접합을 통해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동작전원 및 제어신호가 투명전극(140)에 제공되도록 드라이버기판(P)과 투명전광판(100)의 전도테이프(150)와 전도선(W)이 케이블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투명전광판(100)과 안착플랜지부(200)의 접촉 부위에는 에폭시나 테이프 등에 의해 완전 접착 및 차폐를 통한 이물질이나 물 등이 유입되지 못하는 상태를 가진다.
이후, 프레임부(210)의 정면에 형성된 커버결합부(240)에 커버판넬(300)의 삽입부(320)가 삽입되어 커버부(310)가 프레임부(210)의 정면부와 투명전광판(100)의 정면부분 가장자리가 커버된 상태에서, 프레임부(210)의 외측면 부위로부터 관통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커버판넬(300)이 안착프레임(200)에 결합된다.
여기서, 투명전광판(100)과 프레임부(210)의 정면부에 접촉되는 커버판넬(300)의 커버부(310)에는 에폭시나 테이프 등에 의해 완전 접착 및 차폐를 통한 이물질이나 물 등이 유입되지 못하는 상태를 가진다.
이후, 프레임부(210)에 별도로 구성되는 브라켓 등과 같은 연결부재를 통해 건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구성된 창문틀이나 광고판설치부재 등과 같은 해당 구조물(미도시)에 연결 고정되어, 창문이나 광고판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착프레임(200)이 투명전광판(100)의 두께 보다 조금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부(210)에 투명전광판(100)이 수용 및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플랜지부(220)와 드라이버기판(P)이 고정되도록 하는 기판고정부(230)가 일체로 구성되어 종래와 같이, 복수개의 구성부들이 결합되지 않도록 하여 제조비용과 조립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커버판넬(300)이 상기와 같이 안착프레임(200)에 투명전광판(100)이 안착된 상태에서 투명전광판(100)의 전도테이프가 드라이버기판(P)에 고정된 후 삽입부(320)가 커버결합부(240)에 삽입되고 결합부재를 통해 프레임부(210)에 결합시 커버부(310)가 프레임부(210)의 정면부가 커버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과 간편한 조립을 통하여 마감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다수개의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투명판 사이에 투명전극이 도포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발광소자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투명전광판(100);
    투명전광판(100)이 내부에 안착되고 투명전광판(100)의 투명전극에 외부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드라이버기판(P)이 고정되는 양면이 개방된 사각틀 형상 또는 일면이 개방된 서랍틀 형상을 가지며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해 구조물(미도시)에 연결 고정되는 안착프레임(200); 및
    안착프레임(200)의 정면부를 커버하면서 안착프레임(200)에 고정되어 투명전광판(100)이 안착프레임(200)에 안착 및 고정되도록 하는 사각틀 형상의 커버판넬(300)을 포함하고,
    안착프레임(200)은,
    정면과 배면이 개방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부(210);
    프레임부(210)의 내측면 배면부위에 수직하게 소정폭으로 연장되어 투명전광판(100)의 배면부분 가장자리가 안착되도록 하고 배면부위가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안착플랜지부(220);
    프레임부(210)의 내측면에 개방 또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드라이버기판(P)이 고정되어 투명전광판(100)에 외부의 동작전원이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기판고정부(230); 및
    프레임부(210)의 정면부위에 소정길이 또는 소정간격으로 개방 또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커버판넬(300)의 삽입부(320)가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커버판넬(300)이 프레임부(210)의 정면부(또는 개방부위)가 커버되도록 하는 커버결합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안착프레임(200)은,
    안착플랜지부(220) 대신에,
    프레임부(210)의 내측면 배면부위 전체가 마감되도록 하는 마감판넬부로 대체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커버판넬(300)은,
    사각틀 형상을 가지는 커버부(310)와;
    커버부(310)의 배면부위에 돌출 형성되고 커버결합부(240)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부재를 통해 프레임부(210)에 결합되도록 하는 삽입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고정장치.
  5. 다수개의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투명판 사이에 투명전극이 도포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발광소자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투명전광판(100);
    투명전광판(100)이 내부에 안착되고 투명전광판(100)의 투명전극에 외부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드라이버기판(P)이 고정되는 양면이 개방된 사각틀 형상 또는 일면이 개방된 서랍틀 형상을 가지며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해 구조물(미도시)에 연결 고정되는 안착프레임(200); 및
    안착프레임(200)의 정면부를 커버하면서 안착프레임(200)에 고정되어 투명전광판(100)이 안착프레임(200)에 안착 및 고정되도록 하는 사각틀 형상의 커버판넬(300)을 포함하고,
    투명전광판(100)은,
    상호간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투명레진(160)을 통해 접착되는 제1 및 제2투명판(110,120);
    제1 및 제2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발광 제어되는 복수개의 발광소자(130);
    제1 및 제2투명판(110,120) 중 어느 하나의 투명판에 도포된 상태에서 각 발광소자(130)의 전극과 통전되어 발광소자(130)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투명전극(140); 및
    제1 및 제2투명판(110,120)의 측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투명전극(140)의 연결단(미도시)에 부착되어 발광소자(130)에 각각의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도테이프(150)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발광소자(130)는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131,132,133)과 캐소드전극(134)이 서로 다른 위치에 구성되고, 투명전극(140)은 제1애노드전극(131)들에 각각 연결되는 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1애노드전극배선(141), 제2애노드전극(132)들에 각각 연결되는 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2애노드전극배선(142), 제3애노드전극(133)들에 각각 연결되는 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3애노드전극배선(143) 및 캐소드전극(134)들에 공통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캐소드전극배선(144)을 포함하고,
    캐소드전극배선(144)은 투명전극(140)의 면적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구획라인(D)에 구성된 금속 재질의 전도선(W)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고정장치.
  6. 다수개의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투명판 사이에 투명전극이 도포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발광소자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투명전광판(100);
    투명전광판(100)이 내부에 안착되고 투명전광판(100)의 투명전극에 외부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드라이버기판(P)이 고정되는 양면이 개방된 사각틀 형상 또는 일면이 개방된 서랍틀 형상을 가지며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해 구조물(미도시)에 연결 고정되는 안착프레임(200); 및
    안착프레임(200)의 정면부를 커버하면서 안착프레임(200)에 고정되어 투명전광판(100)이 안착프레임(200)에 안착 및 고정되도록 하는 사각틀 형상의 커버판넬(300)을 포함하고,
    투명전광판(100)은,
    상호간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투명레진을 통해 접착되는 제1 및 제2 투명판;
    제1 및 제2 투명판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발광 제어되는 복수개의 발광소자;
    제1 및 제2 투명판 중 어느 하나에 도포되어 발광소자의 전극과 통전되어 발광소자가 발광 제어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투명전극층; 및
    제1 및 제2 투명판의 일측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투명전극층에 각각 부착되어 발광소자에 각각의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도테이프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발광소자는 제1 내지 제3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이 서로 다른 높이에 구성되고,
    복수개의 투명전극층은 제1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1 애노드전극층, 제2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2 애노드전극층, 제3애노드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전극배선이 패턴 형성된 제3 애노드전극층 및 캐소드전극들에 공통 연결되는 캐소드전극층을 포함하며,
    각 전극층 사이에는 절연층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고정장치.
KR1020150150403A 2015-10-28 2015-10-28 투명전광판 고정장치 KR101618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403A KR101618861B1 (ko) 2015-10-28 2015-10-28 투명전광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403A KR101618861B1 (ko) 2015-10-28 2015-10-28 투명전광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861B1 true KR101618861B1 (ko) 2016-05-11

Family

ID=5602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403A KR101618861B1 (ko) 2015-10-28 2015-10-28 투명전광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8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8325A1 (en) * 2017-05-08 2018-11-15 Hiatt Richard Wendell Structurally compact display assembly with pressure fit
CN109426012A (zh) * 2017-08-21 2019-03-05 凌云光技术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显示屏检测的背光治具
US10482792B2 (en) 2014-04-04 2019-11-19 Revolution Sign And Media Group Llc Structurally compact display assembly with pressure fit
US10723167B2 (en) 2014-04-04 2020-07-28 Revolution Sign And Media Group Llc Structurally compact backlit display assembly
KR102231119B1 (ko) * 2020-09-03 2021-03-22 손성구 태양광 발전식 회전광고장치
KR102241555B1 (ko) * 2020-09-25 2021-05-04 대건금속산업 주식회사 투명전광판 설치용 프레임, 이를 이용한 프레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설치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748B1 (ko) 2012-07-18 2012-10-09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88747B1 (ko) 2012-07-18 2012-10-10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59310B1 (ko) * 2013-12-10 2014-11-10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의 고정장치
KR101478651B1 (ko) 2013-12-06 2015-01-05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의 레진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광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748B1 (ko) 2012-07-18 2012-10-09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88747B1 (ko) 2012-07-18 2012-10-10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78651B1 (ko) 2013-12-06 2015-01-05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의 레진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광판의 제조방법
KR101459310B1 (ko) * 2013-12-10 2014-11-10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의 고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2792B2 (en) 2014-04-04 2019-11-19 Revolution Sign And Media Group Llc Structurally compact display assembly with pressure fit
US10723167B2 (en) 2014-04-04 2020-07-28 Revolution Sign And Media Group Llc Structurally compact backlit display assembly
WO2018208325A1 (en) * 2017-05-08 2018-11-15 Hiatt Richard Wendell Structurally compact display assembly with pressure fit
CN109426012A (zh) * 2017-08-21 2019-03-05 凌云光技术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显示屏检测的背光治具
CN109426012B (zh) * 2017-08-21 2023-11-10 凌云光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显示屏检测的背光治具
KR102231119B1 (ko) * 2020-09-03 2021-03-22 손성구 태양광 발전식 회전광고장치
KR102241555B1 (ko) * 2020-09-25 2021-05-04 대건금속산업 주식회사 투명전광판 설치용 프레임, 이를 이용한 프레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설치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861B1 (ko) 투명전광판 고정장치
KR101188748B1 (ko)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RU2680257C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модуль, светодиодная панель и светодиодный экран
US9303829B2 (en) Illumin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0755010B1 (ko) 조명장치
EP3336424B1 (en) Building material with integrated light-emitting device
CN103176303A (zh) 显示组件和具有该显示组件的显示设备
US20160186944A1 (en) Display Device
KR101459310B1 (ko) 투명전광판의 고정장치
US9448357B2 (en) Illuminated facade arrangement
CN108692235B (zh) 照明器具
CN104023427A (zh) 照明装置
CN115047674A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US20160363836A1 (en) Glass composite with functional element
CN100529911C (zh) 背光装置、液晶显示装置和电子设备
KR101842680B1 (ko) 방음벽 구조물
KR101584739B1 (ko)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84734B1 (ko)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2084327A (ja)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274789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N210295705U (zh) 背光组件和显示设备
KR101762791B1 (ko) 발광소자 어레이
JP2016213365A (ja) 発光装置、表示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WO2012102096A1 (ja) エッジライト型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KR101593415B1 (ko) 표시 장치용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