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000B1 -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 Google Patents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000B1
KR101584000B1 KR1020140142478A KR20140142478A KR101584000B1 KR 101584000 B1 KR101584000 B1 KR 101584000B1 KR 1020140142478 A KR1020140142478 A KR 1020140142478A KR 20140142478 A KR20140142478 A KR 20140142478A KR 101584000 B1 KR101584000 B1 KR 101584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oot
toe
toes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호
송준찬
권중원
이한도
김대희
서갑호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2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00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보조기 형식으로 족지부를 최대한으로 스트레칭시켜 고정하여 족지부의 경직(spasticity)을 가진 환자들의 경직을 완화하도록 한 족지부 스트레칭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발의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에 착용하기 위한 보조기 본체부; 상기 보조기 본체부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족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 및 상기 보조기 본체부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에 장착 설치되며, 기 설정된 개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족지 사이를 벌려 주기 위한 웨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족지부 스트레칭장치{Apparatus for Stretching Toes}
본 발명은 족지부 스트레칭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보조기 형식으로 족지부를 최대한으로 스트레칭시켜 고정하여 족지부의 경직(spasticity)을 가진 환자들의 경직을 완화하도록 한 족지부 스트레칭기구에 관한 것이다.
경직은 상위 운동신경원의 손상으로 인하여 근육의 과도한 뻗침 반사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뇌졸중 및 외상성 뇌손상 환자 등 여러 가지 질환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족지부 경직이 동반되면 환자의 기능적이고 독립적인 일상생활 동작에 많은 제한을 가하게 된다.
뇌졸중 환자는 한국에서 매년 10만 명씩 발생하고 있으며, 교통사고 등으로 인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수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환자들 중 수지부의 경직과 함께 족지부의 경직으로 인하여 기능적이고 독립적인 일상생활 동작들이 제한되고 또한 족지부의 구축(拘縮, contracture)으로 인한 통증과 보행의 어려움 등을 겪게 된다. 그러므로 수지부와 함께 족지부의 경직 완화는 매우 중요하고 기본적인 치료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9064호(2009, 09, 09 공개)는 발가락에 적절한 자극을 주어 신체 전반의 기혈순환을 촉진하는 동시에 착용시 편안하고 보행이 안정적이며, 모듈형의 발가락지압구와 경사형 깔창 제거 시에는 일반적인 신발로도 신을 수 있으며, 신발 앞갑피부분의 디자인 의 변화가 자유로운 레져형 건강신발을 제공하는 발가락 스트레칭 신발에 기재되어 있는데, 발가락에 대한 지압과 스트레칭 하는 신발에 있어서, V자형의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는 탈착가능한 발가락 지압구와 경사형 깔창이, 개폐정도가 조절되는 앞갑피덮개와 함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발가락 지압구와 경사형 깔창이 이루는 V자형의 지압구조가 발가락지압과 스트레칭의 효율성과 보행상의 안정성을 제공하며, 이중 앞갑피덮개가 발가락의 열배출과 보온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신발의 디자인에 있어서도 다양한 옵션 제공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1761호(2011, 02, 22 공개)는 발과 발가락의 스트레칭과 더불어 발과 발가락의 혈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다리의 근육을 이완시켜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어, 하이힐을 착용하는 전 세계 여성과 서서 일하는 직업군의 근로자, 여행객, 장거리 비행 여행객 등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또한, 하이힐을 자주 착용하는 여성의 발가락 휨 현상 "무지외반증"을 발가락 스트레칭을 통해 도움을 줄 수 있고, 발가락 스트레칭은 발과 종아리의 스트레칭으로 이어져 종아리 근육에 일부인 "비복근", 일명 여성들 사이에서 하이힐을 자주 신어 생기는 올챙이 종아리로도 불리는 근육을 이완시켜 비복근의 활성화를 막아 날씬한 종아리에 도움이 되는 영구자석이 부착된 발과 발가락 스트레칭 기구에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발목 밴드위에 연결 고리를 고정시키고, 내부에 자석이 부착된 발가락 고리와 연결된 당김줄을 당김 조절 기능과 멈춤 기능을 갖는 장치를 통해 발목밴드의 연결 고리에 연결하는 방법과 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족지부 경직의 완화를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기구는, 재활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치료기구임에 틀림없으나 그 제품의 종류가 매우 부족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고, 치료기구가 있더라도 그 작동 과정이 복잡하여 가정에서 환자 스스로 스트레칭하기가 힘들었고 장비가 고가인 경우가 많아 환자들이 개인적으로 구비하여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9064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176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과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족지부를 상측 방향으로 1차 스트레칭을 시키고, 족지 사이를 2차 스트레칭 하여 족지부의 경직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족지부 스트레칭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 발의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발에 착용하기 위한 보조기 본체부; 상기 보조기 본체부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족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 및 상기 보조기 본체부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에 장착 설치되며, 기 설정된 개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족지 사이를 벌려 주기 위한 웨지부를 포함하는 족지부 스트레칭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기 본체부는, 사용자의 발등이 위치하는 부분의 양 측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며, 양 측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발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스트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기 본체부는, 내부에 장착 설치되며, 사용자의 발과 밀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을 보호하기 위한 다수 개의 보호패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기 본체부는, 사용자의 발바닥과 밀착되는 부분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발바닥을 지압하기 위한 다수 개의 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웨지부는, 상기 돌기의 하부가 상부보다 넓도록 형성시켜 사용자의 족지 사이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족지 사이를 벌려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웨지부는, 하부에 기 설정된 부피로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사용자의 족지를 지지하기 위한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족지를 받치기 위한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에 돌출 형성되고, 사용자의 족지 사이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족지 사이를 벌려주기 위한 다수 개의 웨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의 양 측에 연결 설치되어, 양 측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족지에 하강 압력을 증가시켜 주기 위한 족지스트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족지스트랩부는, 하부에 장착 설치되어, 사용자의 족지 관절을 눌러 주기 위한 누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기 본체부는, 상기 보조기 본체부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을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회동시켜 주기 위한 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환자의 신상 정보, 환자별 상태 정보 및 환자 상태별로 스트레칭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스트레칭 정보를 저장해 두는 메모리부; 환자의 신상 정보, 환자 상태 세팅 명령 및 스트레칭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환자 신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환자 상태 세팅 명령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부 및 상기 웨지부의 상태를 확인하여 환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스트레칭 명령에 따라 환자 상태에 대응하는 스트레칭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스트레칭 정보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부 및 상기 웨지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제어신호 및 웨지부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전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과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족지부를 상측 방향으로 1차 스트레칭을 시키고, 족지 사이를 2차 스트레칭 하여 족지부의 경직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족지부 구축 등의 환자 재활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스트레칭기구를 다양한 형태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가 가정에서 손쉽게 스스로 스트레칭 할 수 있도록 그 작동 과정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으며, 대량생산을 가능하도록 하여 족지부 스트레칭 장치의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족지부 스트레칭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보조기 본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각도조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웨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족지부 스트레칭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족지부 스트레칭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족지부 스트레칭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족지부 스트레칭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족지부 스트레칭장치(10)는, 보조기 본체부(100), 각도조절부(200) 및 웨지부(300)를 포함한다.
보조기 본체부(100)는, 사용자 발의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에 각도조절부(200)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에 장착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에 착용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기 본체부(100)는, 보조기 본체부(100)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을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회동시켜 주기 위한 회동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기 본체부(100)는, 일반적인 신발의 재질(예를 들어, 직물, 인조가죽, 비닐 또는 가죽 재질 등)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발이 내부에 장착할 시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다.
각도조절부(200)는, 보조기 본체부(100)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족지 각도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각도조절부(200)는, 보조기 본체부(100)의 전부(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 양 측으로부터 보조기 본체부(100)의 후부(사용자의 발등이 위치하고 있는 부분) 양 측으로 각각 연결 설치되어, 보조기 본체부(100)의 전부 양 측으로부터 보조기 본체부(100)의 후부 양 측 사이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보조기 본체부(100)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을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회동시켜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도조절부(200)는, 보조기 본체부(100)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을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회동시켜주기 위한 회동축(설명의 편의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됨으로써, 보조기 본체부(100)의 전부(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족지부를 스트레칭시켜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도조절부(200)는, 일반적인 신발의 재질(예를 들어, 직물, 인조가죽, 비닐 또는 가죽 재질 등)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발이 내부에 장착할 시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다.
웨지부(300)는, 보조기 본체부(100)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에 장착 설치되며, 상부 전부에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사용자의 족지 사이에 모두 삽입될 수 있도록 4개 등)의 돌기가 돌출 형성하여 사용자의 족지 사이를 벌려 준다.
웨지부(300)는, 돌기의 하부가 상부보다 넓도록 형성됨으로써 돌기가 사용자의 족지 사이에 삽입하여 사용자의 족지 사이를 벌려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웨지부(300)는, 돌기의 개수를 4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족지 상태에 따라 돌기를 1개에서 4개까지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족지부 스트레칭장치(10)는, 발에 착용할 수 있는 보조기 본체부(100)를 착용한 뒤, 움직임이 조절가능 하도록 설계된 각도조절부(2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족지의 각도를 조절하여 족지부의 1차 스트레칭을 시키며, 웨지부(300)의 웨지를 이용하여 족지를 2차 스트레칭을 시킬 수 있다. 2차 스트레칭의 경우에는, 보조기 본체부(100)로 1차적인 스트레칭을 시킨 후, 경직의 특성으로 내전(adduction)된 발가락을 서로 외전(abduction) 시키기 위해 4개의 웨지를 이용해 발가락을 벌림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웨지부(300)를 족지부 밑으로 대어 발가락을 벌림 시킬 뿐만 아니라 웨지에 각도를 높여 스트레칭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족지부 스트레칭장치(10)는, 족지부 구축 등의 환자 재활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스트레칭기구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가 가정에서 손쉽게 스스로 스트레칭 할 수 있도록 그 작동 과정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으며, 대량생산을 가능하도록 하여 족지부 스트레칭 장치의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보조기 본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조기 본체부(100)는, 고정스트랩부재(110), 보호패드부재(120) 및 다수 개의 지압부재(130)를 포함한다.
고정스트랩부재(110)는, 보조기 본체부(100) 중 사용자의 발등이 위치하는 부분의 양 측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며, 양 측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발을 고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스트랩부재(110)는, 고정스트랩부재고정부재(111) 및 고정스트랩부재길이조절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스트랩부재고정부재(111)는, 일 측이 보조기 본체부(100) 중 사용자의 발등이 위치하는 부분의 일 측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고정스트랩부재길이조절부재(112)를 걸기 위한 버클을 형성하여, 고정스트랩부재길이조절부재(112)를 버클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체결한다.
고정스트랩부재길이조절부재(112)는, 일 측이 보조기 본체부(100) 중 사용자의 발등이 위치하는 부분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고정스트랩부재고정부재(111)의 버클을 삽입 관통한 후 다른 일측에 체결됨으로써 보조기 본체부(100) 내부에 착용된 발을 감싸고 연결 형성된 부분의 길이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스트랩부재길이조절부재(112)는, 일 측이 다른 일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마주하는 면에 체결수단(예를 들어, 벨크로(velcro) 또는 다수 개의 똑딱단추 등)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스트랩부재(110)는,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고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감싸는 형태로도 추가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을 보조기 본체부(100)에 더욱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보호패드부재(120)는, 보조기 본체부(100) 내부에 장착 설치되며, 사용자의 발과 밀착되는 부분에 형성하여 사용자의 발을 보호하여 사용자의 발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패드부재(120)는, 사용자의 발과 밀착되는 부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부드러운 재질(예를 들어, 헝겊, 스펀지 또는 고무 등)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스트랩부재(110)는, 누름수단(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누름수단은, 고정스트랩부재(110)의 하부에 장착 설치하여, 보조기 본체부(100)에 놓인 사용자의 발등을 하측 방향으로 눌러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누름수단은, 탄성력을 가지는 부드러운 재질(예를 들어, 스펀지 또는 고무 등)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등은 하측 방향으로 눌러줄 시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지압부재(130)는, 보조기 본체부(100) 중 사용자의 발바닥과 밀착되는 부분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하여 발바닥을 지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압부재(130)는, 발바닥을 지압하기 용이한 돌출 형태(예를 들어, 말단이 뾰족한 형태 또는 말단이 구형인 형태 등)로 형성됨으로써, 보조기 본체부(100) 내부에 놓인 환자의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압부재(130)는,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며, 발바닥을 효율적으로 지압하기 위해 발바닥에 형성된 혈자리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보조기 본체부(100) 중 사용자의 발바닥과 밀착되는 부분에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발바닥의 국부를 효율적으로 지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지압부재(130)는, 하부에 진동을 위한 수단(예를 들어, 진동 모터 등)을 추가로 구비하여, 환자 스스로 발바닥을 움직여 지압을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 진동하여 발바닥을 보조기 본체부(100)에 올려놓고만 있어도 환자의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압부재(130)를 구비하고 있는 보조기 본체부(100)는, 환자의 족지부를 회동시켜 스트레칭을 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발바닥을 지압하여 발바닥의 신경을 자극함으로써 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단순히 스트레칭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족지부 스트레칭기보다 재활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각도조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도조절부(200)는, 각도조절부체결부재(210) 및 각도조절부길이조절부재(220)를 포함한다.
각도조절부체결부재(210)는, 일 측이 보조기 본체부(100)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각도조절부길이조절부재(220)를 걸기 위한 버클을 형성하여, 각도조절부길이조절부재(220)를 버클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체결한다.
각도조절부길이조절부재(220)는, 일 측이 보조기 본체부(100)의 후부(사용자의 발등이 위치하고 있는 부분)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각도조절부체결부재(210)의 버클을 삽입 관통한 후 보조기 본체부(100)의 후부에 연결 설치된 일 측에 체결됨으로써 보조기 본체부(100)의 전부로부터 보조기 본체부(100)의 후부 사이의 길이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각도조절부길이조절부재(220)는, 일 측이 다른 일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마주하는 면에 체결수단(예를 들어, 벨크로(velcro) 또는 다수 개의 똑딱단추 등)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웨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웨지부(300)는, 쿠션부재(310), 받침부재(320) 및 다수 개의 웨지(330)를 포함한다.
쿠션부재(310)는, 기 설정된 부피(즉, 사용자의 족지부를 지탱할 정도의 부피)로 웨지부(300)의 하부에 형성하여, 탄성에 의해 사용자의 족지를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쿠션부재(310)는, 탄성력을 가진 재질(예를 들어, 스펀지, 합성고무 또는 스프링 등)로 지지를 위한 부분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족지를 지지할 수 있다.
받침부재(320)는, 쿠션부재(310)의 상부에 형성하여, 사용자의 족지를 받친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부재(320)는, 쿠션부재(310)보다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나무 등)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족지를 받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부재(320)는, 쿠션부재(3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웨지(330)는, 받침부재(320)에서 돌출 형성하며, 사용자의 족지 사이에 삽입하여 사용자의 족지 사이를 벌려준다.
일 실시 예에서, 웨지(330)는, 기 설정된 높이(예를 들어, 0.5cm~2cm 등)를 가지며, 하부가 상부보다 넓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족지 사이에 삽입하여 사용자의 족지 사이를 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지(330)는,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사용자의 족지 사이에 모두 삽입될 수 있도록 4개 등)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족지 사이에 삽입하여 사용자의 족지 사이를 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지(330)는, 받침부재(320)와 동일한 재질(즉, 플라스틱 또는 나무 등)로 형성하여 받침부재(320)와 일체감을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족지부 스트레칭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족지부 스트레칭장치(20)는, 보조기 본체부(100), 각도조절부(200), 웨지부(300) 및 족지스트랩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조기 본체부(100), 각도조절부(200) 및 웨지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족지스트랩부(400)는, 보조기 본체부(100)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의 양 측을 연결 설치하여, 양 측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족지에 하강 압력을 증가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족지스트랩부(400)는, 족지스트랩부체결부재(420) 및 족지스트랩부길이조절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족지스트랩부체결부재(420)는, 일 측이 보조기 본체부(100)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의 일 측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족지스트랩부길이조절부재(430)를 걸기 위한 버클을 형성하여, 족지스트랩부길이조절부재(430)를 버클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체결한다.
족지스트랩부길이조절부재(430)는, 일 측이 보조기 본체부(100)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족지스트랩부길이조절부재(430)의 버클을 삽입 관통한 후 일 측에 체결됨으로써 보조기 본체부(100) 사이의 길이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족지스트랩부길이조절부재(430)는, 일 측이 다른 일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마주하는 면에 체결수단(예를 들어, 벨크로(velcro) 또는 다수 개의 똑딱단추 등)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족지스트랩부(400)는, 누름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재(410)는, 족지스트랩부(400)의 하부에 장착 설치하여, 웨지부(300) 상부에 놓인 사용자의 족지 관절을 하측 방향으로 눌러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누름부재(410)는, 탄성력을 가지는 부드러운 재질(예를 들어, 스펀지 또는 고무 등)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족지 관절을 하측 방향으로 눌러줄 시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누름부재(410)는, 하측면에 사용자의 족지 관절형태의 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누름부재(410)가 웨지부(300) 상부에 놓인 사용자의 족지 관절을 하측 방향으로 눌러줄 시 관절 형태의 홈으로 사용자 족지 관절을 고정시키도록 하여 족지부 스트레칭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족지부 스트레칭장치(20)는, 보조기 본체부(100), 각도조절부(200) 및 웨지부(300)를 이용하여 족지부를 1차 스트레칭 및 2차 스트레칭을 한 후, 보조기 본체부(100)에 달린 족지스트랩부(400)로 족지부를 강하게 눌러줄 수 있도록 제작하여 더욱 견고하고 강력한 스트레칭을 제공하여 족지부의 경직을 완화시킬 수 있다. 특히, 가정에서 간편하게 타인의 최소한의 도움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고 부피도 크지 않아 가정, 병원 등 언제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족지부 스트레칭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족지부 스트레칭장치(30)는, 보조기 본체부(100), 각도조절부(200), 웨지부(300), 메모리부(500), 입력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조기 본체부(100), 각도조절부(200) 및 웨지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메모리부(500)는, 환자의 신상 정보, 환자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질병(예를 들어, 족하수, 내번, 외번 또는 소화 마비 등)에 대한 상태 정보 및 환자 상태별로 해당 질병에 대응한 환자별 맞춤 스트레칭(즉, 보조기 본체부(100)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을 해당 질병에 대응하도록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회동)을 수행하기 위한 스트레칭 정보를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500)는, 제어부(700)에 의해서 스트레칭 모드를 통해 스트레칭을 마친 환자의 변화된 상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변화된 상태 정보를 통해 기존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한 새로운 환자별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60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환자의 신상 정보, 환자 상태 세팅 명령 및 스트레칭 명령을 제어부(700)에 입력해 준다.
제어부(700)는, 입력부(600)에서 입력되는 환자 신상 정보를 메모리부(500)에 저장하며, 입력부(600)에서 입력되는 환자 상태 세팅 명령에 따라 각도조절부(200) 및 웨지부(300)의 상태를 확인하여 환자의 상태 정보를 메모리부(500)에 저장하며, 입력부(600)에서 입력되는 스트레칭 명령에 따라 환자 상태에 대응하는 스트레칭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스트레칭 정보에 따라 각도조절부(200) 및 웨지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제어신호 및 웨지부제어신호를 생성시키며, 생성한 각도조절부제어신호를 각도조절부(200)로 전달하고, 상성한 웨지부제어신호를 웨지부(3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입력부(60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수동모드로 선택된 경우에, 스트레칭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지 않고,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스트레칭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자동모드로 선택된 경우에, 입력부(600)에서 입력되는 스트레칭 명령에 따라 환자 상태에 대응하는 스트레칭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스트레칭 정보에 따라 각도조절부(200) 및 웨지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동일한 환자에 대해 새로운 스트레칭을 할 경우에, 업데이트된 새로운 상태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새로운 상태 정보를 통해 스트레칭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생성된 새로운 제어 신호를 각도조절부(200) 및 웨지부(300)로 출력해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본체부
110: 고정스트랩부재
111: 고정스트랩부재고정부재
112: 고정스트랩부재길이조절부재
120: 보호패드부재
130: 지압부재
200: 각도조절부
210: 각도조절부체결부재
220: 각도조절부길이조절부재
300: 웨지부
310: 쿠션부재
320: 받침부재
330: 웨지
400: 족지스트랩부
410: 누름부재
420: 족지스트랩부체결부재
430: 족지스트랩부길이조절부재
500: 메모리부재
600: 입력부재
700: 제어부

Claims (10)

  1. 사용자 발의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에 착용하기 위한 보조기 본체부;
    상기 보조기 본체부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족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
    상기 보조기 본체부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에 장착 설치되며, 기 설정된 개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족지 사이를 벌려 주기 위한 웨지부;
    환자의 신상 정보, 환자별 상태 정보 및 환자 상태별로 스트레칭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스트레칭 정보를 저장해 두는 메모리부;
    환자의 신상 정보, 환자 상태 세팅 명령 및 스트레칭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환자 신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환자 상태 세팅 명령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부 및 상기 웨지부의 상태를 확인하여 환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스트레칭 명령에 따라 환자 상태에 대응하는 스트레칭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스트레칭 정보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부 및 상기 웨지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제어신호 및 웨지부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 본체부는,
    사용자의 발등이 위치하는 부분의 양 측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며, 양 측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발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스트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 본체부는,
    내부에 장착 설치되며, 사용자의 발과 밀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을 보호하기 위한 다수 개의 보호패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 본체부는,
    사용자의 발바닥과 밀착되는 부분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발바닥을 지압하기 위한 다수 개의 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부는,
    상기 돌기의 하부가 상부보다 넓도록 형성시켜 사용자의 족지 사이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족지 사이를 벌려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부는,
    하부에 기 설정된 부피로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사용자의 족지를 지지하기 위한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족지를 받치기 위한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에 돌출 형성되고, 사용자의 족지 사이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족지 사이를 벌려주기 위한 다수 개의 웨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의 양 측에 연결 설치되어, 양 측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족지에 하강 압력을 증가시켜 주기 위한 족지스트랩부를 더 포함하는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족지스트랩부는,
    하부에 장착 설치되어, 사용자의 족지 관절을 눌러 주기 위한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 본체부는,
    상기 보조기 본체부 중 사용자의 족지가 위치하는 부분을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회동시켜 주기 위한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10. 삭제
KR1020140142478A 2014-10-21 2014-10-21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KR101584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478A KR101584000B1 (ko) 2014-10-21 2014-10-21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478A KR101584000B1 (ko) 2014-10-21 2014-10-21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000B1 true KR101584000B1 (ko) 2016-01-19

Family

ID=5530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478A KR101584000B1 (ko) 2014-10-21 2014-10-21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0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3876A (zh) * 2017-07-12 2017-11-24 深圳市南山区人民医院 一种脑卒中后足跖趾关节趾间关节矫正鞋
KR200485134Y1 (ko) 2017-07-31 2017-12-01 금재호 족부 치료용 보조기
CN109966037A (zh) * 2019-04-25 2019-07-05 吉林大学 一种抗足部瘢痕挛缩辅助治疗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103A (ja) * 2000-05-31 2001-12-11 Keiko Morishita 爪先部を立ちあげた履物
WO2005004759A1 (de) * 2003-07-09 2005-01-20 Phalomed Holdings Ltd. Sehnendehnungsgerät
KR20060048743A (ko) * 2004-08-09 2006-05-18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마사지기
KR20090009064U (ko) 2008-03-05 2009-09-09 백의환 발가락 스트레칭 신발
KR20110001761U (ko) 2009-08-14 2011-02-22 최창구 영구자석이 부착된 발과 발가락 스트레칭 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103A (ja) * 2000-05-31 2001-12-11 Keiko Morishita 爪先部を立ちあげた履物
WO2005004759A1 (de) * 2003-07-09 2005-01-20 Phalomed Holdings Ltd. Sehnendehnungsgerät
KR20060048743A (ko) * 2004-08-09 2006-05-18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마사지기
KR20090009064U (ko) 2008-03-05 2009-09-09 백의환 발가락 스트레칭 신발
KR20110001761U (ko) 2009-08-14 2011-02-22 최창구 영구자석이 부착된 발과 발가락 스트레칭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3876A (zh) * 2017-07-12 2017-11-24 深圳市南山区人民医院 一种脑卒中后足跖趾关节趾间关节矫正鞋
KR200485134Y1 (ko) 2017-07-31 2017-12-01 금재호 족부 치료용 보조기
CN109966037A (zh) * 2019-04-25 2019-07-05 吉林大学 一种抗足部瘢痕挛缩辅助治疗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8907B2 (en) Orthopedic device
KR101600600B1 (ko) 족부 스트레칭 장치
US9839549B2 (en) Orthopedic device
US9839548B2 (en) Orthopedic device
KR101556477B1 (ko)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JP2019524419A (ja) 治療用のインソール及びフットウェア
US200901332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imulating at least one Human Foot in response to the Human's Stance
KR101778983B1 (ko) 공기압 마사지용 다리커프
KR101584000B1 (ko)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CA2792111A1 (en) Therapy shoe
US20110214315A1 (en) Therapy shoe
KR101617281B1 (ko) 발바닥 지압용구
KR102122413B1 (ko) 장착형 보행 신경근 전기 자극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저장 매체
KR101579926B1 (ko)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
JP2010046304A (ja) 足の甲にある反射区を指圧する履物
JPH07241307A (ja) 足の矯正具構造
CN208540816U (zh) 一种可旋转丁字鞋
KR101298980B1 (ko) 건강양말
JP4977887B2 (ja) 足裏装着用具
RU148216U1 (ru) Ортопед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ижней конечности
KR200415070Y1 (ko) 신체교정장치
JP3174960U (ja) 繰り返し調整可能な足部矯正インソール
KR101535774B1 (ko) 성장용 지압밴드
JP3238375U (ja) 足刺激支援具
KR101619734B1 (ko) 장기 자극용 기능성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