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477B1 -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 Google Patents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477B1
KR101556477B1 KR1020140117555A KR20140117555A KR101556477B1 KR 101556477 B1 KR101556477 B1 KR 101556477B1 KR 1020140117555 A KR1020140117555 A KR 1020140117555A KR 20140117555 A KR20140117555 A KR 20140117555A KR 101556477 B1 KR101556477 B1 KR 101556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unit
stretching
foot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호
이한도
송준찬
권중원
김대희
서갑호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17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질환으로 인해 경직 및 구축된 발목의 근육을 이완시켜주기 위한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발을 올려놓고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발판부; 상기 발판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두 개의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Apparatus for Stretching Ankles with Multi-Purpose}
본 발명은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질환으로 인해 경직 및 구축된 발목의 근육을 이완시켜 주기 위한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이다.
발목의 경직(spasticity) 및 구축(contracture)은, 수동적 관절 운동이 비정상적으로 제한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발목의 경직 및 구축은, 대개의 경우 관절 주위의 연부 조직의 제한으로 발생되나, 더욱 진행되면, 건, 인대, 근육과 관절까지도 침범하며, 발의 족하수(footdrop, 근육의 이상이나 신경의 압박 또는 손상 등으로 인하여 근육이 약화되어 발목을 들지 못하고 발등을 몸 쪽으로 당기지 못하며 발이 아래로 떨어지는 증상)는 물론 내번(inversion) 및 외번(eversion)까지 동반되며, 치료하지 않고 방치해 두는 경우에는 관절강직에까지 이르게 된다. 이러한 발목의 경직 및 구축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미용 상 좋지 않고, 보행을 함에 제한을 가지게 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5587호(2003.02.13. 등록)는 편안한 상태에서 아킬레스건과 종아리 근육의 뭉침을 해소하고, 발바닥으로 저주파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경혈이 원활하게 순환토록 함으로써, 통증의 완화를 이루도록 한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보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개방된 상면을 갖는 수용부가 형성된 지지 본체; 수용부에 내입되어지며 내측 단부가 힌지축에 관통되어 본체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경사판; 및 경사판은 선단부가 힌지축의 외주 면에 고착 형성된 링기어를 향하도록 기울어진 채 축 결합되어 회동되는 고정부재의 상단이 링기어의 기어치 사이로 몰입됨에 따라 경사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경사판의 경사 정도를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조절할 수 있고, 안정된 상태로 경사판의 유지가 가능하여, 안전한 자세에서 근육의 이완을 꾀하도록 하며 동시에 저주파 전류 및 지압돌기의 작용으로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아킬레스건의 손상을 입어 재활 치료 중에 있는 환자의 경우에도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재활 기간을 단축시킨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2587호(2011.03.16. 공개)는 발 스트레칭하고, 더불어 종아리와 허벅지 근육을 이완시키며, 혈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다리의 근육을 이완시켜 피로를 회복시키고, 비복근의 활성화를 막아 날씬한 종아리를 유지시키는 발 스트레칭 기구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두 장의 신축성을 갖는 밴드 판을 겹쳐 박음질로 나누고, 발바닥 접합면에 요철형 고무판을 부착하고, 한 편은 발목을 감싸 고정하고, 다른 한편은 발을 당겨 감싸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족하수 해결을 위한 스트레칭을 할 뿐 내번 및 외번을 치료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환자 개개인마다 다른 경직 및 구축의 형태에 맞춰 발목의 경직 또는 구축을 미세한 각도까지 조절하는 재활 훈련을 하는 것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5587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2587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360ㅀ 조절 가능한 발판을 이용하여 환자 개개인에 맞게 발목을 스트레칭 하여, 족하수와 내번 및 외번이 동반된 발목 경직 및 구축을 완화하도록 구현한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환자의 발을 올려놓고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발판부; 상기 발판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두 개의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평상시에 내부에 체결되며, 사용 시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홈을 따라 배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환자의 발 길이에 대응하여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판부는, 상부에 형성되어, 환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판부는, 상부에 놓인 환자의 발을 감싸고 형성되어, 상부에 놓인 환자의 발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판부는, 상부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발바닥을 지압하기 위한 다수 개의 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동부는, 기 설정된 부분에 형성되어, 환자의 발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발판부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부에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판부재;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판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홀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 개의 피고정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고정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부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부에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판부재; 상기 판부재의 상부에 좌우 길이 방향의 홈 형태로 침강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두 개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하부에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에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두 개의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환자의 신상 정보, 환자별 상태 정보 및 환자 상태별로 스트레칭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스트레칭 정보를 저장해 두는 메모리부; 환자의 신상 정보, 환자 상태 세팅 명령 및 스트레칭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환자 신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환자 상태 세팅 명령에 따라 상기 회동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태를 확인하여 환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스트레칭 명령에 따라 환자 상태에 대응하는 스트레칭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스트레칭 정보에 따라 상기 회동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발판부의 동작 상태, 상기 회동부의 동작 상태, 상기 높이조절부의 동작 상태, 상기 간격조절부의 동작 상태 및 환자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발판부, 상기 회동부, 상기 높이조절부, 상기 입력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360ㅀ 조절 가능한 발판을 이용하여 환자 개개인에 맞게 발목을 스트레칭 하여, 족하수와 내번 및 외번이 동반된 발목 경직 및 구축을 완화하도록 구현한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족하수 해결을 위한 스트레칭을 할 뿐만 아니라, 내번 및 외번을 위한 스트레칭 또한 할 수 있고, 환자 개개인마다 다른 경직 및 구축의 형태에 맞춰 발목의 경직 또는 구축을 미세한 각도까지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로 하여금 최대한의 독립적 생활을 가능하게 하여 지금까지 족하수와 내번 및 외번이 동반된 발목 경직 및 구축을 완화하기 위한 간호와 부양에 지출되었던 개인적, 국가적 보건의료 지출을 상당히 감소시킴으로써, 보건의료산업을 질적, 양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발판부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발판부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발판부의 제3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발판부의 제4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회동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있는 간격조절부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있는 간격조절부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10)는, 두 개의 발판부(100),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회동부(200) 및 두 개의 높이조절부(300)를 포함한다.
발판부(100)는, 상부에 환자의 발을 올려놓고 환자의 발목을 스트레칭 하는 동안에, 올려놓은 환자의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발판부(100)는, 상부가 사용자 발 크기에 대응하는 홈의 형태로 침강 형성되어, 환자의 발목을 스트레칭 하는 동안 올려놓은 환자의 발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판부(100)는, 환자별로 해당 환자의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의 형태로 맞춤 제작되어, 스트레칭을 받는 환자별로 최적의 착용감을 주어 스트레칭 효율성을 극대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회동부(200)는, 발판부(10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발판부(100)를 회동시켜준다.
일 실시 예에서, 회동부(200)는, 족하수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 발목의 배측굴곡(ankle dorsiflexion, 수관절의 손등방향으로의 운동 또는 족관절의 발등 방향으로의 운동)을 시키기 위해 전, 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번 및 외번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 내번 및 외번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좌, 우 방향으로도 회동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300)는, 회동부(20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발판부(1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높이조절부(300)는, 뇌성마비 등으로 양 발의 높이 균형이 맞지 않는 환자들을 위해 발판부(1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환자 상태별 맞춤 스트레칭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높이조절부(300)는, 족하수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 발목의 배측굴곡을 시키기 위해 발판부(100)가 전, 후 방향으로 회동할 시, 발판부(100)가 바닥에 닿지 않고 환자의 발목을 충분히 스트레칭 할 수 있도록 발판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10)는, 회동부(200)를 통해 360ㅀ 조절 가능한 발판부(100)를 이용하여 환자 개개인에 맞게 발목을 스트레칭 하여, 족하수와 내번 및 외번이 동반된 발목 경직 및 구축을 완화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족하수 해결을 위한 스트레칭을 할 뿐만 아니라, 내번 및 외번을 위한 스트레칭 또한 할 수 있고, 환자 개개인마다 다른 경직 및 구축의 형태에 맞춰 발목의 경직 또는 구축을 미세한 각도까지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환자로 하여금 최대한의 독립적 생활을 가능하게 하여 지금까지 족하수와 내번 및 외번이 동반된 발목 경직 및 구축을 완화하기 위한 간호와 부양에 지출되었던 개인적, 국가적 보건의료 지출을 상당히 감소시킴으로써, 보건의료산업을 질적, 양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발판부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판부(100)는, 길이조절부재(110)를 포함한다.
길이조절부재(110)는, 평상시 발판부(100)와 체결되며, 사용 시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홈을 따라 배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환자의 발의 길이에 대응하여 발판부(10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길이조절부재(110)는, 발판부(100) 내부에 삽입 시 발판부(100) 하부에 연결 형성되는 회동부(200)에 걸리지 않도록 회동부(200)가 설치되는 부분에 홈을 형성하여, 발판부(100)와 체결 시 회동부(200)가 해당 홈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발판부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판부(100)는, 미끄럼방지부재(120)를 포함한다.
미끄럼방지부재(120)는, 발판부(100)의 상부에 돌기의 형태로 형성되어, 발판부(100) 상부에 놓인 환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부재(120)는, 환자의 발바닥과 밀착하였을 시 마찰력을 형성할 수 있는 다수 개의 돌기가 돌출된 형태(예를 들어, 사포 등)로 형성되어, 발판부(100) 상부와 환자의 발바닥 간의 마찰력을 높임으로써, 환자의 발목을 스트레칭 할 시 발판부(100) 상부에서 환자의 발바닥이 미끄러져 스트레칭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부재(120)는, 발판부(100) 상부를 전부 둘러싸고 형성하는 것보다, 환자의 발바닥과 발판부(100) 상부가 맞닿는 면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발판부의 제3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판부(100)는, 다수 개의 고정부재(13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30)는, 발판부(100)의 일 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며, 발판부(100) 상부에 놓인 환자의 발을 감싸고 형성되어 상부에 놓인 환자의 발을 고정함으로써, 환자의 발목을 스트레칭 할 시 환자의 발이 발판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130)는, 환자의 발을 감싸기 위해, 형태가 용이하게 변하고 환자의 피부에 상처를 주지 않는 재질(예를 들어, 헝겊 또는 고무 등)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130)는, 발판부(100)의 후부 일 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추가로 형성되어, 환자의 발목을 스트레칭 할 시 발판부(100)의 후부로 환자의 발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130)는, 길이조절수단(131)을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수단(131)은, 허리띠의 버클 형태로 형성되어, 환자의 발의 크기에 대응하여 고정부재(130)의 길이를 조절한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발판부의 제4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판부(100)는, 지압부재(140)를 포함한다.
지압부재(140)는, 발바닥을 지압하기 용이한 돌출 형태(예를 들어, 말단이 뾰족한 형태 또는 말단이 구형인 형태 등)로 발판부(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판부(100)의 상부에 놓인 환자의 발바닥을 지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압부재(140)는,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며, 발바닥을 효율적으로 지압하기 위해 발바닥에 형성된 혈자리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발판부(100)의 상부에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보다 많은 발바닥의 국부를 지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지압부재(140)는, 하부에 진동을 위한 수단(예를 들어, 진동 모터 등)을 추가로 구비하여, 환자 스스로 발바닥을 움직여 지압을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 진동하여 발바닥을 단순히 발판부(100)에 올려놓고만 있어도 환자의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발판부(100)는, 환자의 발목을 회동시켜 스트레칭을 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발바닥을 지압하여 발바닥의 신경을 자극함으로써 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단순히 스트레칭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발목 스트레칭기보다 재활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회동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회동부(200)는, 탄성부재(210)를 구비한다.
탄성부재(210)는, 회동부(200)의 기 설정된 부분(예를 들어, 발판부(100)와 마주하는 부분 등)에 형성되어, 환자의 발 상태에 대응하여 탄성에 의해 발판부(100)를 회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부재(210)는, 족하수 해결을 위한 스트레칭을 위해 앞뒤 방향으로 회동할 뿐만 아니라, 내번 및 외번을 위한 스트레칭을 위해 좌우 방향으로 또한 회동할 수 있어, 족하수 해결을 위한 스트레칭을 할 뿐만 아니라, 내번 및 외번을 위한 스트레칭 또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부재(210)는, 환자 개개인마다 다른 경직 및 구축의 형태에 맞춰 발목의 경직 또는 구축을 미세한 각도까지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부재(210)는, 회동 후 복원력에 의해 기 위치했던 곳을 복귀하려는 성질을 가진 재질(예를 들어, 강화 고무 또는 강철 스프링 등)로 형성될 수 있어, 환자의 발목을 스트레칭 할 시 환자의 발목에 복원력에 의한 힘을 가하여 스트레칭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20)는, 두 개의 발판부(100),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회동부(200), 두 개의 높이조절부(300) 및 간격조절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판부(100), 회동부(200) 및 높이조절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간격조절부(400)는, 높이조절부(30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높이조절부(300) 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간격조절부(400)는, 높이조절부(300)를 지탱하기 위해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환자의 발목을 스트레칭 할 시 높이조절부(300)를 지탱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해 줌으로써, 높이조절부(300)가 움직여 스트레칭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간격조절부(400)는, 뇌성마비 등으로 양 발의 넓이 균형이 맞지 않는 환자들을 위해서 발판부(100)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환자 상태별 맞춤 스트레칭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간격조절부(400)는, 두 개의 손잡이부재(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재는, 간격조절부(400)의 양측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발목을 스트레칭 할 시 환자가 잡아 몸을 지탱하여 스트레칭 받는 자세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스트레칭 할 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있는 간격조절부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간격조절부(400)는, 판부재(410), 다수 개의 피고정부재(420) 및 다수 개의 고정부재(430)를 포함한다.
판부재(410)는, 상부가 고르고 판판한 형태로 형성 되며, 상부에 높이조절부(300)를 연결 설치하여, 높이조절부(300) 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피고정부재(420)는, 판부재(4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2cm ~ 20cm 등)을 가지는 홀의 형태로 형성되어, 높이조절부(300)에 고정됨으로써 높이조절부(300) 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피고정부재(420)는, 고정부재(430)가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430)의 지름보다 넓은 지름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고정부재(420)는, 체결수단(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수단은, 피고정부재(420)를 관통하고 나온 고정부재(430)의 일측을 체결 고절함으로써, 판부재(410)에 높이조절부(300)를 체결하여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부재(430), 높이조절부(300)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피고정부재(420)에 삽입되어 높이조절부(300)를 고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430)는,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되어, 피고정부재(420)를 관통하고 나온 일측을 너트로 체결 고정함으로써, 판부재(410)에 높이조절부(300)를 체결하여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는 도 7에 있는 간격조절부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간격조절부(400)는, 판부재(410), 두 개의 가이드부재(440) 및 다수 개의 슬라이드부재(450)를 포함한다.
판부재(410)는, 상부가 고르고 판판한 형태로 형성 되며, 상부에 높이조절부(300)를 연결 설치하여, 높이조절부(300) 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가이드부재(440)는, 판부재(410)의 상부에 좌우 길이 방향의 홈 형태로 침강 형성되어, 높이조절부(300)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높이조절부(300)를 가이드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재(440)는, 슬라이드 홈의 상부가 하부보다 좁은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 홈에 삽입된 슬라이드부재(450)가 슬라이드 이동 시 슬라이드 홈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재(440)의 슬라이드 홈은, 상부가 하부보다 좁은 형태뿐만 아니라 슬라이드부재(450)를 체결할 수 있는 다른 형태(예를 들어, 원통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재(440)는, 판부재(4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대신에 높이조절부(3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재(450)는, 높이조절부(300)의 하부에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부재(440)에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부재(450)는, 가이드부재(440)의 홈에 대응하여 돌기 하부가 상부보다 넓은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부재(44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시 가이드부재(440)의 홈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부재(450)는, 가이드부재(440)의 슬라이드 홈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즉, 가이드부재(440)의 슬라이드 홈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원통형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부재(450)는, 가이드부재(440)가 높이조절부(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우에, 판부재(4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높이조절부(30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30)는, 두 개의 발판부(100),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회동부(200), 두 개의 높이조절부(300), 메모리부(500), 입력부(600), 제어부(700), 디스플레이부(800) 및 전원공급부(900)를 포함한다.
회동부(200)는, 회동축, 연결기어, 전동 모터 등을 포함한 회동기계장치로서, 전동 모터로 회동축을 상하좌우로 자유자재로 회동시켜 환자의 발목을 스트레칭해 주는데, 제어부(700)로부터 출력되는 회동 제어 신호에 따라 발판부(100)를 회동시켜 준다.
높이조절부(300)는, 가이드, 슬라이드, 전동 모터 등을 포함한 높이조절기계장치로서, 전동모터로 가이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를 슬라이딩시켜 환자의 양발 높이 차이에 따라 발판부(100)의 높이를 조정해 주는데, 제어부(700)로부터 출력되는 슬라이딩 제어 신호에 따라 발판부(100)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준다.
메모리부(500)는, 환자의 신상 정보, 환자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질병(예를 들어, 족하수, 내번, 외번 또는 소화마비 등)에 대한 상태 정보 및 환자 상태별로 해당 질병에 대응한 환자별 맞춤 스트레칭(예를 들어, 회동부(200)를 통한 발판부(100)의 회동 정도, 높이조절부(300)를 통한 발판부(100)의 높이 정도 및 간격조절부(400)를 통한 발판부(100)의 간격 정도 등)을 수행하기 위한 스트레칭 정보를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500)는, 제어부(700)에 의해서 스트레칭 모드를 통해 재활훈련을 마친 환자의 변화된 상태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변화된 상태 정보를 통해 기존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한 새로운 환자별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60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환자의 신상 정보, 환자 상태 세팅 명령 및 스트레칭 명령을 제어부(700)에 입력해 준다.
제어부(700)는, 입력부(600)에서 입력되는 환자 신상 정보를 메모리부(500)에 저장하며, 입력부(600)에서 입력되는 환자 상태 세팅 명령에 따라 회동부(200) 및 높이조절부(300)의 상태를 확인하여 환자의 상태 정보를 메모리부(500)에 저장하며, 입력부(600)에서 입력되는 스트레칭 명령에 따라 환자 상태에 대응하는 스트레칭 정보를 메모리부(500)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스트레칭 정보에 따라 회동부(200) 및 높이조절부(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판독된 스트레칭 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회동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고, 해당 생성시킨 회동 제어 신호를 회동부(200)로 출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판독된 스트레칭 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고, 해당 생성시킨 슬라이딩 제어 신호를 높이조절부(300)로 출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입력부(60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수동모드로 선택된 경우에, 스트레칭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지 않고,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스트레칭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자동모드로 선택된 경우에, 입력부(600)에서 입력되는 스트레칭 명령에 따라 환자 상태에 대응하는 스트레칭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스트레칭 정보에 따라 회동부(200) 및 높이조절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동일한 환자에 대해 새로운 스트레칭을 할 경우에, 업데이트된 새로운 상태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새로운 상태 정보를 통해 스트레칭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생성된 새로운 제어 신호를 회동부(200) 및 높이조절부(300)로 출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입력부(60)를 통해 입력되는 환자의 양발 간격 조절 명령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간격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간격조절부(400)(도 7을 참조)에 출력함으로써, 간격조절부(400)의 구동에 의해 환자의 양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800)는, 회동부(200)의 동작 상태, 높이조절부의 동작 상태 및 환자의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800)는, 시각적인 방법을 통해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예를 들어, LCD, 모니터 등)을 구비하고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800)는, 시각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청각적인 방법(예를 들어, 기계음 등)을 추가적으로 발생시켜, 추가적으로 발생된 청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사용자 및 환자에게 전달하여 줄 수 있다.
전원공급부(900)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발판부, 회동부, 높이조절부, 입력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900)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간격조절부(400)(도 7을 참조)에도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발판부
110: 길이조절부재
120: 미끄럼방지부재
130: 고정부재
131: 길이조절수단
140: 지압부재
200: 회동부
210: 탄성부재
300: 높이조절부
400: 간격조절부
410: 판부재
420: 피고정부재
430: 고정부재
440: 가이드부재
450: 슬라이드부재
500: 메모리부
600: 입력부
700: 제어부
800: 디스플레이부
900: 전원공급부

Claims (10)

  1. 환자별로 해당 환자의 발바닥 형상에 대응하는 홈의 형태로 맞춤 제작되며, 환자의 발을 올려놓고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발판부;
    상기 발판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두 개의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판부는,
    평상시에 내부에 체결되며, 사용 시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홈을 따라 배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환자의 발 길이에 대응하여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재;
    상부에 형성되어, 환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끄럼방지부재; 및
    상부에 놓인 환자의 발을 감싸고 형성되어, 상부에 놓인 환자의 발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부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발바닥을 지압하기 위한 다수 개의 지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압부재는, 하부에 진동을 위한 수단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발판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환자의 발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발판부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부에 상기 높이조절부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판부재;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판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홀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 개의 피고정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고정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부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부에 상기 높이조절부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판부재;
    상기 판부재의 상부에 좌우 길이 방향의 홈 형태로 침강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두 개의 가이드부재;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에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두 개의 슬라이드부재; 및
    양측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발목을 스트레칭 할 시 환자가 잡아 몸을 지탱하여 스트레칭 받는 자세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두 개의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홈의 상부가 하부보다 좁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홈에 대응하여 상기 돌기의 하부가 상부보다 넓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환자의 신상 정보, 환자별 상태 정보 및 환자 상태별로 스트레칭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스트레칭 정보를 저장해 두는 메모리부;
    환자의 신상 정보, 환자 상태 세팅 명령 및 스트레칭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환자 신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환자 상태 세팅 명령에 따라 상기 회동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태를 확인하여 환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스트레칭 명령에 따라 환자 상태에 대응하는 스트레칭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스트레칭 정보에 따라 상기 회동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회동부의 동작 상태, 상기 높이조절부의 동작 상태, 및 환자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발판부, 상기 회동부, 상기 높이조절부, 상기 입력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스트레칭 모드를 통해 재활훈련을 마친 환자의 변화된 상태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변화된 상태 정보를 통해 기존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한 새로운 환자별 상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환자에 대해 새로운 스트레칭을 할 경우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업데이트된 새로운 상태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새로운 상태 정보를 통해 스트레칭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생성된 새로운 제어 신호를 상기 회동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로 출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KR1020140117555A 2014-09-04 2014-09-04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KR101556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555A KR101556477B1 (ko) 2014-09-04 2014-09-04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555A KR101556477B1 (ko) 2014-09-04 2014-09-04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477B1 true KR101556477B1 (ko) 2015-10-01

Family

ID=5433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555A KR101556477B1 (ko) 2014-09-04 2014-09-04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477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936B1 (ko) * 2015-12-07 2017-09-08 이종명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
CN107344001A (zh) * 2017-07-12 2017-11-14 深圳市南山区人民医院 一种智能踝关节矫正器
KR101814973B1 (ko) * 2017-01-13 2018-01-04 이상곤 Kem 필라테스 스트렙 패드
KR20180052142A (ko) * 2016-11-09 2018-05-1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신경계 질환용 하지 재활장치
CN108042983A (zh) * 2018-01-29 2018-05-18 牡丹江师范学院 一种脚踝三维力量训练装置
CN108125773A (zh) * 2018-01-16 2018-06-08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一种踝关节康复训练装置
WO2018141041A1 (en) * 2017-02-06 2018-08-09 Swapna Samuel Proactive mobility device (pmd)
CN109820696A (zh) * 2019-04-09 2019-05-31 合肥工业大学 一种基于人体关联驱动的脚踝康复机构
KR20190134352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두원테크 발목 신장기의 구동 시스템
KR20190134353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두원테크 발목 신장기의 구동 시스템
WO2020251126A1 (ko) * 2019-06-11 2020-12-17 한국과학기술원 족부 스트레칭 및 검진 장치와, 족부 강성 산출방법
CN114569959A (zh) * 2022-03-14 2022-06-03 中国人民解放军联勤保障部队第九八九医院 一种老年人防下肢静脉血栓用的腿部锻炼装置及方法
KR102515069B1 (ko) 2022-08-12 2023-03-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족저근막염 방지용 스트레칭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230B1 (ko) * 2001-04-07 2003-11-28 존코주식회사 경사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치
JP2005312922A (ja) * 2004-03-31 2005-11-10 Toshio Morikawa 足首運動器具
KR100828099B1 (ko) * 2007-04-13 2008-05-0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230B1 (ko) * 2001-04-07 2003-11-28 존코주식회사 경사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치
JP2005312922A (ja) * 2004-03-31 2005-11-10 Toshio Morikawa 足首運動器具
KR100828099B1 (ko) * 2007-04-13 2008-05-0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운동기구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936B1 (ko) * 2015-12-07 2017-09-08 이종명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
KR102349103B1 (ko) 2016-11-09 2022-01-07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신경계 질환용 하지 재활장치
KR20180052142A (ko) * 2016-11-09 2018-05-1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신경계 질환용 하지 재활장치
KR101814973B1 (ko) * 2017-01-13 2018-01-04 이상곤 Kem 필라테스 스트렙 패드
WO2018141041A1 (en) * 2017-02-06 2018-08-09 Swapna Samuel Proactive mobility device (pmd)
CN107344001A (zh) * 2017-07-12 2017-11-14 深圳市南山区人民医院 一种智能踝关节矫正器
CN108125773A (zh) * 2018-01-16 2018-06-08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一种踝关节康复训练装置
CN108125773B (zh) * 2018-01-16 2023-10-03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一种踝关节康复训练装置
CN108042983A (zh) * 2018-01-29 2018-05-18 牡丹江师范学院 一种脚踝三维力量训练装置
KR20190134352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두원테크 발목 신장기의 구동 시스템
KR20190134353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두원테크 발목 신장기의 구동 시스템
CN109820696B (zh) * 2019-04-09 2021-04-13 合肥工业大学 一种基于人体关联驱动的脚踝康复机构
CN109820696A (zh) * 2019-04-09 2019-05-31 合肥工业大学 一种基于人体关联驱动的脚踝康复机构
WO2020251126A1 (ko) * 2019-06-11 2020-12-17 한국과학기술원 족부 스트레칭 및 검진 장치와, 족부 강성 산출방법
KR20200141870A (ko) * 2019-06-11 2020-12-21 한국과학기술원 족부 스트레칭 및 검진 장치와, 족부 강성 산출방법
KR102250112B1 (ko) 2019-06-11 2021-05-10 한국과학기술원 족부 스트레칭 및 검진 장치와, 족부 강성 산출방법
US11951060B2 (en) 2019-06-11 2024-04-09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ot stretching and diagnosis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stiffness of foot
CN114569959A (zh) * 2022-03-14 2022-06-03 中国人民解放军联勤保障部队第九八九医院 一种老年人防下肢静脉血栓用的腿部锻炼装置及方法
KR102515069B1 (ko) 2022-08-12 2023-03-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족저근막염 방지용 스트레칭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477B1 (ko)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CN208799724U (zh) 踝关节训练适配件及踝关节康复训练设备
KR10156100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마사지장치
US10987270B2 (en) Orthopedic exercise apparatus
US20060161085A1 (en) Intermittent passive 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1400947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Knee Rehabilitation
US9517381B2 (en) Medical leg support arrangement adapted to increase the range of motion of a leg to aid in the healing and strengthening of damaged, injured and/or replaced bone, muscle and/or tissue of the leg
US99498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knee rehabilitation
WO2007007967A1 (en) Lower body fixing apparatus for combined whole body finger-pressing massage and spinal correction device
KR20150058691A (ko) 족부 스트레칭 장치
JPH06205810A (ja) 背骨その他の人体部分の治療、理学療法、リハビリ、強化およびトレーニング用装置
KR102462616B1 (ko) 목 어깨 재활치료 장치
KR20170137349A (ko) 족욕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KR101542463B1 (ko) 무릎관절 운동기구
KR102227425B1 (ko) 관절재활 치료시스템
WO2020056227A1 (en) Portable lower limb therapy device
WO2019135081A1 (en) Patient rehabilitation device
KR20160067673A (ko) 순차적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견인장치 및 그 제어 방법,기록매체
KR20150075338A (ko) 온열벨트가 있는 견인치료기
CN106726060B (zh) 一种俯卧抬腿式自助牵引力多功能腰椎病治疗床
JP4439216B2 (ja) マッサージシステム、及びマッサージ機
KR101021258B1 (ko) 하지 등척성 운동장치
KR101584000B1 (ko) 족지부 스트레칭장치
KR101649347B1 (ko) 하지 정맥 예방 및 척추질환예방 스트레칭 견인 운동장치
CN106859826B (zh) 一种仿生推拿治疗膝关节疼痛的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