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136B1 -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136B1
KR101583136B1 KR1020140040362A KR20140040362A KR101583136B1 KR 101583136 B1 KR101583136 B1 KR 101583136B1 KR 1020140040362 A KR1020140040362 A KR 1020140040362A KR 20140040362 A KR20140040362 A KR 20140040362A KR 101583136 B1 KR101583136 B1 KR 101583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black box
vehicle
synchronization
referen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066A (ko
Inventor
조현태
경종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Priority to KR1020140040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13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20/00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 G04R20/02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the radio signal being sent by a satellite, e.g. GP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20/00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 G04R20/26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the radio signal being a near-field communication signa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 및 장치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은 상기 블랙박스가 차량의 주행모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지는 동시에 상기 블랙박스가 주변의 기준제공장치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주변의 기준제공장치가 스캔된 경우, 상기 블랙박스와 상기 기준제공장치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후, 상기 차량 내 다른 차량용 전자기기들도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후,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동기화를 수행하여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과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Synchronization of Car Black Box or Car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는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전자기기의 시각을 동기화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랙박스의 경우 영상을 녹화하고 이 녹화된 영상과 함께 시간 정보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블랙박스는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NTP(network time protocol)와 같은 타임 서버로부터 시각 정보를 얻어와서 동기화하지 않고 사용자가 PC에서 블랙박스용 SD 메모리에 시각 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다시 블랙박스 시스템에 삽입해야만 시각 정보가 블랙박스 시스템에 기록되어 RTC로 동작한다. 하지만 이 SD메모리를 블랙박스에 삽입하여 동작시키는 데는 전달 지연시간이 발생하고, 정확한 동기가 어렵다. 또한 이러한 블랙박스 역시 저가의 크리스탈 오실레이터로부터 시간을 유지하기 때문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드리프트(drift)한다. 이러한 드리프트(drift)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간의 오차는 누적되어 더욱더 정확한 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차량용 전자기기 또한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오디오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시간 정보를 버튼을 통하여 기록한다. 이 또한 초기에 정확하게 시간 정보를 세팅 하여도 오실레이터의 드리프트(drift)로 인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간 차이의 오차는 누적된다. 즉, 주기적인 시각 동기화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GPS가 없는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을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은 상기 블랙박스가 차량의 주행모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지는 동시에 상기 블랙박스가 주변의 기준제공장치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주변의 기준제공장치가 스캔된 경우, 상기 블랙박스와 상기 기준제공장치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가 차량의 주행모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차량의 주차모드 및 운행모드의 파워소스의 위치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주행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주변의 기준제공장치가 스캔된 경우, 상기 블랙박스와 상기 기준제공장치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에게 시각 동기화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제공장치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표준 시각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이 Wi-Fi 존에 위치할 경우, 상기 블랙박스는 NTP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후, 상기 차량 내 다른 차량용 전자기기들도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후,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동기화를 수행하여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과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장치는 차량의 주행모드를 감지하는 모드 감지부,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지는 동시에 상기 블랙박스 주변의 기준제공장치를 스캔하는 스캐닝부, 상기 주변의 기준제공장치가 스캔된 경우, 상기 블랙박스와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블랙박스를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 감지부는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차량의 주차모드 및 운행모드의 파워소스의 위치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주행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기준제공장치에게 시각 동기화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준제공장치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이 Wi-Fi 존에 위치할 경우, 상기 블랙박스는 NTP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수행부는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후, 상기 차량 내 다른 차량용 전자기기들도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수행부는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후,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동기화를 수행하여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과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SD메모리를 블랙박스에 삽입하여 동작시키는데 발생하는 전달 지연시간 문제점과 정확한 동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블랙박스가 저가의 크리스탈 오실레이터로부터 시간을 유지하기 때문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드리프트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더욱더 정확한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간의 시각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와 LSU(load side unit)과의 시각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와 이종 차량의 블랙박스와 시각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WiFi zone에 위치할 경우, WiFi와 시각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오실레이터의 드리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오실레이터의 드리프트를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사고 기록 장치의 대표 영상을 저장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은 상기 블랙박스가 차량의 주행모드를 감지하는 단계(110),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지는 동시에 상기 블랙박스가 주변의 기준제공장치를 스캔하는 단계(120), 상기 주변의 기준제공장치가 스캔된 경우, 상기 블랙박스와 상기 기준제공장치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130),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140), 상기 차량 내 다른 차량용 전자기기들도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150),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동기화를 수행하여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과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본문의 내용은 차량용 블랙박스로 작성되지만, 차량용 블랙박스외에 차량용 오디오, 네비게이터, 모니터 등 이와 유사한 다른 전자기기들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단계(110)에서, 상기 블랙박스가 차량의 주행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차량의 주차모드 및 운행모드의 파워소스의 위치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주행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량의 블랙박스는 차량의 주행모드가 주차모드인지 또는 운행모드인지 감지하기 위해 파워 소스가 어딘지를 획득하여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시동이 켜졌는지의 여부를 파악하여 시각 동기화를 시작할 수 있다.
단계(120)에서,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지는 동시에 상기 블랙박스가 주변의 기준제공장치를 스캔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제공장치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표준 시각 정보를 보유하는 장치 또는 표준 시각 정보를 보유하는 이와 유사한 장치일 수 있다.
단계(130)에서, 상기 주변의 기준제공장치가 스캔된 경우, 상기 블랙박스와 상기 기준제공장치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블랙박스와 상기 기준제공장치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에게 시각 동기화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이 Wi-Fi 존에 위치할 경우, 상기 블랙박스는 NTP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140)에서,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표준 시각 정보를 보유하는 기준제공장치의 시각 정보를 수신하여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준제공장치는 GPS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있으므로 매우 정밀한 시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150)에서, 상기 차량 내 다른 차량용 전자기기들도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후, 동기화된 블랙박스는 다른 차량용 전자기기 시스템들에 시각 정보를 제공하여 차량 내에 모든 장치들의 시각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슬레이브(master/slave) 시스템 동기화 방법과 같이 동기화된 블랙박스는 마스터(master)로 동작할 수 있고, 다른 차량용 전자기기 시스템들은 슬레이브(slave)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160)에서,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동기화를 수행하여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과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블랙박스가 동기화를 이루었다고 하더라도, 블랙박스는 오실레이터로 동작하는 디지털 시스템이므로 오실레이터의 특성에 따라 시간이 틀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오차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누적될 수 있으므로 보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후,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동기화를 수행하여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과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도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간의 시각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에 따른 블루투스 지원 차량의 경우, 초기에 차량의 블루투스를 스마트폰과 페어링(paring) 시켜 놓으면 이후 차량의 시동이 켜질 때 상호 연결을 수립하고 통화 시에 차량의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통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개념을 도입하여 차량(210)의 시동을 켤 때, 차량의 블랙박스(211)는 페어링(paring)된 스마트폰(220)과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의 블랙박스는 주차모드 및 운행모드를 파워 소스가 어딘지를 획득하여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시동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동기화를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블랙박스(211)와 스마트폰(220)이 연결되면 블랙박스(211)는 스마트폰(220)으로 시각 동기화 요청(230)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시각 동기화 요청(230)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220)은 블랙박스(211)에게 시각 정보(240)를 송신할 수 있다. 블랙박스(211)는 시각 정보(240)를 수신하여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은 기지국과 항상 시각이 동기화될 수 있다. 따라서 표준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211)는 Wi-Fi, 3G/LTE 등 다양한 통신 기법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블랙박스(211)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기법들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와 LSU(load side unit)과의 시각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차량이 운행중에 LSU(Load side unit)와 통신을 수행할 때, 차량은 시각 정보를 요청하고 LSU는 시각 정보를 제공하여 상호 동기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LSU들(311, 312, 313, 314)은 기지국들(321, 322, 323)로부터 GPS 정보를 이용한 표준 시각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화살표(343)은 LSU들(311, 312, 313, 314)과 기지국들(321, 322, 323) 간의 백본 네트워크 경로를 나타낸다. 이러한 LSU들(311, 312, 313, 314)은 운행중인 차량들(331, 332, ..., 337)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화살표(342)는 가로등, 다시 말해 LSU와 차량 간의 통신 경로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운행중인 차량들(331, 332, ..., 337)은 시동이 켜지는 동시에 LSU들(311, 312, 313, 314)과 페어링을 수행하여 시각 정보를 제공 받고, 시각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들은 차량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화살표(341)은 차량-차량 간의 통신 경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차량이 시각 동기화를 수행하지 않은 차량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여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와 이종 차량의 블랙박스와 시각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마트폰과 시각 동기화가 이루어졌거나, LSU(Load side unit)와 시각 동기화가 이루어진 블랙박스는 동기가 이루어지지 않은 다른 블랙박스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량간 통신을 통하여 블랙박스들간의 시각 동기화가 필요하다. 이는 특히 차량간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주변의 사건의 발생과 신호등의 판단, 과실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다중 블랙박스의 시각 동기화는 매우 중요하므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운행 중에 LSU(Load side unit)와 통신을 수행할 때, 차량은 시각 정보를 요청하고 LSU는 시각 정보를 제공하여 상호 동기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LSU(411)는 기지국(421)으로부터 GPS 정보를 이용한 표준 시각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화살표(443)은 LSU(411)와 기지국(421) 간의 백본 네트워크 경로를 나타낸다. 이러한 LSU(411)는 운행중인 차량(431)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화살표(442)는 가로등, 다시 말해 LSU와 차량 간의 통신 경로를 나타낸다. 이러한 방법으로 동기화를 수행한 차량(431)은 동기화를 수행하지 않은 차량들(432, 433, ..., 437)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화살표(441)는 차량-차량 간의 통신 경로를 나타낸다. 차량(431)으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 받은 차량들(432, 433, ..., 437)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블랙박스는 차량 간의 시각 동기화뿐만 아니라 차량 내 다른 전자기기 간의 동기화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터의 경우, GPS가 탑재되어 있으므로 매우 정밀한 시각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블랙박스는 이러한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시각 정보를 획득하고 동기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WiFi 존(zone)에 위치할 경우, WiFi와 시각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차량(510)이 Wi-Fi 존(zone)(520) 안에 위치할 경우, 블랙박스는 NTP(network time protocol)(530)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하여 시각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동기화를 수행한 블랙박스는 다른 차량용 전자기기 시스템들에 시각 정보를 제공하여 차량 내에 모든 장치들의 시각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슬레이브(master/slave) 시스템 동기화 방법과 같이 동기화된 블랙박스는 마스터(master)로 동작할 수 있고, 다른 차량용 전자기기 시스템들은 슬레이브(slave)로 동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오실레이터의 드리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동기화를 이루었다고 하더라도, 차량의 블랙박스는 오실레이터로 동작하는 디지털 시스템이므로 오실레이터의 특성에 따라 시간이 틀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드리프트(drift)하게 된다. 실제 저가의 범용 오실레이터의 경우 약 20PPM의 오차를 가진다. 이것은 1초당 20us의 오차를 의미한다. 이러한 오차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누적된다. 도 6은 실제 전자 시스템에서의 드리프트(drift)를 측정한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준(reference)(0)으로부터 5개의 노드들(610, 620, 630, 640, 650)이 모두 기준(reference)(0)보다 느리게 시간이 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더 빨리 갈수도 있다. 이러한 오차는 오실레이터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제안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은 차량 운행 중 주기적으로 시각 동기화를 수행하여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오실레이터의 드리프트를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차량 운행 중 주기적으로 시각 동기화를 수행하여 블랙박스의 크리스탈 오실레이터가 가지는 드리프트 비율(drift rate)(720)을 구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t0(731)와 t1(732)에서의 동기화와 기준 시각(710)으로부터의 시각 정보차이를 획득함으로써 기준 시각(710)으로부터 블랙박스가 가지는 드리프트 비율(drift rate)(720)을 구할 수 있다. 이후, 차량용 블랙박스는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들과 동기화를 이루지 않더라도, 자체적으로 드리프트 비율(drift rate)(720)을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시간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장치(800)는 모드 감지부(810), 스캐닝부(820), 통신부(830), 동기화 수행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블랙박스는 이로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블랙박스와 유사한 차량용 전자기기일 수 있다.
모드 감지부(810)는 차량의 주행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모드 감지부(810)는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차량의 주차모드 및 이동모드의 파워소스의 위치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주행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량의 블랙박스는 차량의 주행모드가 주차모드인지 또는 운행모드인지 감지하기 위해 파워 소스가 어딘지를 획득하여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시동이 켜졌는지의 여부를 파악하여 시각 동기화를 시작할 수 있다.
스캐닝부(820)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지는 동시에 상기 블랙박스 주변의 기준제공장치를 스캔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제공장치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표준 시각 정보를 보유하는 장치 또는 표준 시각 정보를 보유하는 이와 유사한 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830)는 상기 주변의 기준제공장치가 스캔된 경우, 상기 블랙박스와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830)는 상기 기준제공장치에게 시각 동기화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준제공장치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830)는 상기 차량이 Wi-Fi 존에 위치할 경우, 상기 블랙박스는 NTP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기화 수행부(840)는 상기 블랙박스를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동기화 수행부(840)는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후, 상기 차량 내 다른 차량용 전자기기들도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수행부(840)는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후,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동기화를 수행하여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과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사고 기록 장치의 대표 영상을 저장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영상 사고 기록 장치는 영상 촬영 장치(910), 제어부(920), 메모리 카드(930), DRAM(940), 그리고 이벤트 감지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 촬영 장치(910)는 도 8에서 설명한 제안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장치(80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910)는 영상을 촬영하여 파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영상 촬영 장치(910)는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사용되는데, 차량 전방 카메라, 후방 카메라, 측방 카메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 등을 통해 녹음된 음향 파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920)는 이벤트 감지부(950)에서 감지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영상 촬영 장치(910)에서 제공하는 파일을 저장하되, 상기 파일의 중요도를 판단하여 저장 또는 오버라이팅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920)는 메모리 카드(930)의 내부에 빈 공간을 확인하여, 빈 공간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카드(930)에 새로운 파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 카드(930)의 내부에 빈 공간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카드(930)에서 중요도가 가장 낮은 파일을 검색하여 중요도가 가장 낮은 파일을 새로운 파일로 대체하여 오버라이팅 함으로써 상기 메모리 카드(9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일의 중요도를 판단하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파일의 생성 시간에 따라 판단하며, 사용자가 실제로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파일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하거나 다양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파일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930)는 상기 제어부(920)에서 제공되는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930)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지며, 영상 및 음향 파일, 그리고 파일에 대한 기타 정보(파일의 생성 시각, 파일의 저장 위치, 파일의 이름, 파일의 중요도 등)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수단이다. 여기에서, 메모리 카드(93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차량용 블랙박스에 내장 또는 외장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 매체의 예로는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마이크로 SD 카드(Micro Secure Digital Card),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SSD(Solid State Drive), HDD(Hard Disc Drive), USB 메모리(Universal Serial Bus)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차량용 블랙박스에 접속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저장 매체가 이용 가능하다.
DRAM(940)은 상기 메모리 카드(930)과 달리, 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져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면 저장된 내용이 삭제되는 임시 저장수단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휘발성 메모리의 사용은 정보의 송수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정보를 일시적으로 다른 장치에 저장하여 처리 속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벤트 감지부(9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950)의 종류는 그 종류에 제한은 없지만, 충돌감지 센서, 속도감지 센서, 가속도 센서 및 회전감지 센서, 레이저, 초음파, GPS, 음향 센서, 사용자 누름 버튼 등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센서에 의해 가속도 센서 값의 한계점(Peak) 변화율 정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 정보, 움직임 센서에 의한 정보, 차량의 이동 속도, 사용자 의도 여부, 움직임 발생 여부, 발생된 소리의 종류 및 크기에 의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의해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차량용 블랙박스의 시각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가 차량의 주행모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지는 동시에 상기 블랙박스가 주변의 기준제공장치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주변의 기준제공장치가 스캔된 경우, 상기 블랙박스와 상기 기준제공장치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과의 동기화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인 기준 시각으로부터 시각 정보 차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시각 정보 차이에 기초하여상기 블랙박스의 오실레이터가 가지는 드리프트 비율을 구하며, 상기 기준제공장치와의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상기 구해진 드리프트 비율을 보정하여 상기 블랙박스의 시간 정보를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랙박스의 시각 동기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가 차량의 주행모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차량의 주차모드 및 운행모드의 파워소스의 위치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주행모드를 감지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시각 동기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의 기준제공장치가 스캔된 경우, 상기 블랙박스와 상기 기준제공장치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에게 시각 동기화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시각 동기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제공장치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표준 시각 정보를 보유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시각 동기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Wi-Fi 존에 위치할 경우, 상기 블랙박스는 NTP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시각 동기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후, 상기 차량 내 다른 차량용 전자기기들도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시각 동기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후,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동기화를 수행하여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과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시각 동기화 방법.
  8. 차량용 블랙박스의 시각 동기화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모드를 감지하는 모드 감지부;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지는 동시에 상기 블랙박스 주변의 기준제공장치를 스캔하는 스캐닝부;
    상기 주변의 기준제공장치가 스캔된 경우, 상기 블랙박스와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블랙박스를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수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 동기화 장치는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과의 동기화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인 기준 시각으로부터 시각 정보 차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시각 정보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블랙박스의 오실레이터가 가지는 드리프트 비율을 구하며, 상기 기준제공장치와의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구해진 드리프트 비율을 보정하여 상기 블랙박스의 시간 정보를 유지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시각 동기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감지부는,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차량의 주차모드 및 운행모드의 파워소스의 위치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주행모드를 감지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시각 동기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기준제공장치에게 시각 동기화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준제공장치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시각 동기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이 Wi-Fi 존에 위치할 경우, 상기 블랙박스는 NTP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시각 동기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수행부는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후, 상기 차량 내 다른 차량용 전자기기들도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시각 동기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수행부는,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후,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동기화를 수행하여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과의 오차를 보정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시각 동기화 장치.
  14.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모드를 감지하는 모드 감지부;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지는 동시에 상기 전자기기 주변의 기준제공장치를 스캔하는 스캐닝부;
    상기 주변의 기준제공장치가 스캔된 경우,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전자기기를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수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 동기화 장치는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과의 동기화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인 기준 시각으로부터 시각 정보 차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시각 정보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오실레이터가 가지는 드리프트 비율을 구하며, 상기 기준제공장치와의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구해진 드리프트 비율을 보정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시간 정보를 유지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감지부는,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차량의 주차모드 및 운행모드의 파워소스의 위치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주행모드를 감지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기준제공장치에게 시각 동기화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준제공장치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이 Wi-Fi 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전자기기는 NTP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수행부는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후, 상기 차량 내 다른 전자기기도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에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기준제공장치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 후,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동기화를 수행하여 상기 기준제공장치의 시각과의 오차를 보정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장치.
KR1020140040362A 2014-04-04 2014-04-04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101583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362A KR101583136B1 (ko) 2014-04-04 2014-04-04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362A KR101583136B1 (ko) 2014-04-04 2014-04-04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066A KR20150116066A (ko) 2015-10-15
KR101583136B1 true KR101583136B1 (ko) 2016-01-08

Family

ID=54356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362A KR101583136B1 (ko) 2014-04-04 2014-04-04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863A (ko) * 2020-05-29 2021-04-20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차량의 시간 동기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198B1 (ko) * 2018-11-27 2020-06-17 주식회사 대성엘텍 Adr 데이터와 edr 데이터의 동기화 및 검증을 위한 방법과 그 장치
KR102288936B1 (ko) * 2019-12-30 2021-08-12 주식회사대성엘텍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adr 시스템에서의 시각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20220115341A (ko) * 2021-02-10 2022-08-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895B1 (ko) * 2002-12-23 2005-09-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루투스 네트웍 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주변기기 간의시각 동기 방법 및 이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0912808B1 (ko) * 2007-07-11 2009-08-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항법수신기를 이용한 차량용 시각동기
KR101417186B1 (ko) * 2010-01-06 2014-07-09 주식회사 만도 영상 녹화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101466010B1 (ko) * 2012-08-30 2014-12-03 (주)루먼텍 Rf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863A (ko) * 2020-05-29 2021-04-20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차량의 시간 동기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KR102378380B1 (ko) 2020-05-29 2022-03-23 아폴로 인텔리전트 커넥티비티 (베이징)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차량의 시간 동기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066A (ko)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4176B1 (en) A hardware centralized time synchronization hub for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EP3614687B1 (en) A gps based high precision timestamp generation circuit for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US11796654B2 (en) Distributed sensor calibration and sensor sharing using cellular vehicle-to-everything (CV2X) communication
US1086132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image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EP3613648B1 (en) A time source recovery system for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EP3614222B1 (en) A time source ranking system for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US10204159B2 (en) On-demand system and method for retrieving video from a commercial vehicle
DK180393B1 (en) DATA FUSION SYSTEM FOR A VEHICLE EQUIPPED WITH NON-SYNCHRONIZED PERCEPTION SENSORS
KR101583136B1 (ko)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 및 장치
EP3757587B1 (en) Flexible test board to improve sensor i/o coverage for autonomous driving platform
JP6043470B2 (ja) 記録装置
JP7164721B2 (ja) センサデータ処理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システム
US1088047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imaging
JP2009083815A (ja) ドライブレコーダ装置および事故解析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US20200195619A1 (en) O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o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synchroniz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13098980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813308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移動体
JP6075377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170387A (ja) 車外画像保存システム、車外画像保存装置、及び車車間通信装置
US20210012591A1 (en) Data storage device and non-transitory tangibl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006080B1 (ko) 블랙박스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US10638445B2 (en) Vehicle-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19161392A (ja) 車両情報処理システム、管理装置、車両情報処理方法および車両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641829B2 (ja) 測位装置、測位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933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Time-Synchron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