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186B1 - 영상 녹화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녹화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186B1
KR101417186B1 KR1020100000716A KR20100000716A KR101417186B1 KR 101417186 B1 KR101417186 B1 KR 101417186B1 KR 1020100000716 A KR1020100000716 A KR 1020100000716A KR 20100000716 A KR20100000716 A KR 20100000716A KR 101417186 B1 KR101417186 B1 KR 101417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ing mode
parking
mod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468A (ko
Inventor
김두겸
박민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00000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18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2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recording means, e.g. black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녹화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동이 켜지거나 꺼지는 것을 감지하여, 시동의 감지 결과에 따라 녹화모드를 주행 녹화모드 및 주차 녹화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녹화모드 관리부; 녹화모드가 주행 녹화모드로 전환되면 전원부가 점화 단자로부터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고, 녹화모드가 주차 녹화모드로 전환되면 전원부가 배터리로부터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는 녹화전원 공급 제어부; 및 녹화전원을 이용하여, 주행 녹화모드 또는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제어하는 녹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이 주행 상태인지 주차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녹화모드의 전환 및 녹화전원의 공급 제어를 수행하여 적응적인 영상 녹화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 녹화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VIDEO RECORDING METHOD AND VEHICLE BLACK BOX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 녹화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주행 상태인지 주차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녹화모드의 전환 및 녹화전원의 공급 제어를 수행하여 적응적인 영상 녹화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주차 차량을 감시하기 위하여 주변을 영상으로 녹화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가 탑재된 차량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주차 감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전원부를 배터리에 직접 연결하고, 주차 이후 사용자가 직접 주차 감시 시작 버튼을 누른 후, 카메라의 방향을 상하 조절하거나, 고정하여 전면 방향을 영상 녹화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주차 감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배터리와 전원부를 직접 연결하였기 때문에 시스템이 주차 감시모드 진입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주차 감시 모드 전용 특수 기능(즉, 프레임 수 조절, 녹화 해상도 조절, 영상 대신 2D 이미지 촬영 기능 등)을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항상 차량이 주행하는 상태로 판단하여, 영상 녹화를 수행한다. 종래의 일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차 감시모드 진입을 설정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차량 장기 주차시, 배터리 방전 문제에 대한 대처가 불가능하여 고객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배터리 교체 비용을 추가로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카메라의 상하 조절만 가능하기 때문에, 주차시 항상 전방만 촬영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가령, 평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차량이 주행 상태인지 주차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녹화모드의 전환 및 녹화전원의 공급 제어를 수행하여 적응적인 영상 녹화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주행 녹화모드에서는 점화 단자로부터 영상 녹화를 위한 녹화전원을 공급받고, 주차 녹화모드에서는 배터리로부터 영상 녹화를 위한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 녹화모드에서 녹화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을 지속 감지하여 배터리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위해, 녹화 해상도, 초당 프레임 개수, 녹화시간 및 녹화품질 등의 주차 녹화 파라미터를 배터리 전압의 크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하여 설정함으로써,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 유형 및 주차 공간 중 하나 이상에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시동이 켜지거나 꺼지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시동의 감지 결과에 따라 녹화모드를 주행 녹화모드 및 주차 녹화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녹화모드 관리부; 상기 녹화모드가 상기 주행 녹화모드로 전환되면 전원부가 점화 단자로부터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녹화모드가 상기 주차 녹화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전원부가 배터리로부터 상기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는 녹화전원 공급 제어부; 및 상기 녹화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주행 녹화모드 또는 상기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제어하는 녹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가 제공하는 영상 녹화 방법에 있어서, 시동이 켜지거나 꺼지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시동의 감지 결과에 따라 녹화모드를 주행 녹화모드 및 주차 녹화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녹화모드가 상기 주행 녹화모드로 전환되면 전원부가 점화 단자로부터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녹화모드가 상기 주차 녹화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전원부가 배터리로부터 상기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녹화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주행 녹화모드 또는 상기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녹화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이 주행 상태인지 주차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녹화모드의 전환 및 녹화전원의 공급 제어를 수행하여 적응적인 영상 녹화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행 녹화모드에서는 점화 단자로부터 영상 녹화를 위한 녹화전원을 공급받고, 주차 녹화모드에서는 배터리로부터 영상 녹화를 위한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 녹화모드에서 녹화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을 지속 감지하여 배터리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위해, 녹화 해상도, 초당 프레임 개수, 녹화시간 및 녹화품질 등의 주차 녹화 파라미터를 배터리 전압의 크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하여 설정함으로써,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 유형 및 주차 공간 중 하나 이상에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가 제공하는 영상 녹화 방법에 대한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가 제공하는 영상 녹화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Black Box) 장치(1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차량의 시동이 켜지거나 꺼지는 것을 감지하여, 시동의 감지 결과에 따라 녹화모드를 주행 녹화모드 및 주차 녹화모드(이를 "주차 감시모드"라고도 함) 중 하나로 전환하는 녹화모드 관리부(110)와, 녹화모드가 주행 녹화모드로 전환되면 전원부(103)가 점화 단자(101)로부터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고, 녹화모드가 주차 녹화모드로 전환되면 전원부(103)가 배터리(102)로부터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는 녹화전원 공급 제어부(120)와, 점화 단자(101) 또는 배터리(102)로부터 제어되어 공급되는 녹화전원을 이용하여, 주행 녹화모드 또는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제어하는 녹화 제어부(130)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녹화모드 관리부(110)는, 시동 감지 기능을 통하여 시동의 온/오프(ON/OFF)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결과에 따라, 녹화모드를 주행 녹화모드 또는 주차 녹화모드로 전환하는데, 여기서, 시동의 온/오프는 점화 단자(101)의 점화 전압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술한 녹화모드 관리부(110)는, 점화 단자(101)의 점화 전압이 일정 수준(예: OV)을 초과하여 올라가면 시동이 켜지는 것으로 감지하여 녹화모드를 주행 녹화모드로 전환하고, 점화 단자(101)의 점화 전압이 일정 수준(예: OV) 이하로 떨어지면 시동이 꺼지는 것으로 감지하여 녹화모드를 주차 녹화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녹화모드 관리부(110)에 의해 전환된 녹화모드가 주행 녹화모드인지 주차 녹화모드인지에 따라, 영상녹화를 위한 녹화전원을 점화 단자(101) 또는 배터리(102)로부터 공급받기 위하여, 전원부(103)는, 점화 단자(101) 및 배터리(102)와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녹화전원 공급 제어부(120)에 의해, 점화 단자(101)로부터 녹화전원을 공급받거나 배터리(102)로부터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녹화 제어부(130)는, 녹화모드의 전환에 따라, 주행 녹화 파라미터 및 주차 녹화 파라미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주행 녹화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주행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가 카메라(140)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거나, 주차 녹화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가 카메라(130)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주행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위한 카메라(130)와,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위한 카메라(130)는, 차량에 장착된 여러 카메라 중에서 동일한 카메라 또는 서로 다른 카메라일 수도 있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녹화전원 공급 제어부는,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위한 녹화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을 감지하는 배터리 전압 감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녹화 제어부(130)는, 배터리 전압 감지 기능의 수행에 따라 감지된 배터리 전압의 크기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녹화 제어부(130)는, 녹화하는 영상에 대한 녹화 해상도, 초당 프레임 개수, 녹화시간 및 녹화품질 등 중에서 하나 이상에 대한 주차 녹화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설정하고, 변경되어 설정된 주차 녹화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녹화 제어부(130)는, 배터리 전압 감지 기능의 수행에 따라 감지된 배터리 전압의 크기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중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녹화 제어부(130)에 의해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가 중지된 이후, 녹화모드 관리부(110)는, 점화 단자(101)의 점화 전압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여 올라가서 시동이 켜지는 것으로 감지되면, 녹화모드를 주행 녹화모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녹화전원 공급 제어부(120)는, 점화 단자(101)로부터 전원부(130)로 녹화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녹화 제어부(130)는, 이러한 녹화전원을 이용하여 주행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녹화 제어부(130)는, 녹화모드가 주차 녹화모드로 전환되면, 주차 유형(예: 평행주차, 직각주차, 전방주차 및 후방주차 등) 및 주차 공간 등 중에서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정보에 따라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녹화 제어부(130)는, 주차 유형 및 주차 공간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획득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들 중에서 영상 녹화를 위한 카메라를 선정하거나, 카메라의 상하 각도 또는 좌우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제공하는 영상 녹화 방법에 대한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제공하는 영상 녹화 방법은, 시동이 켜지거나 꺼지는 것을 감지하여, 시동의 감지 결과에 따라 녹화모드를 주행 녹화모드 및 주차 녹화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S200)와, 녹화모드가 주행 녹화모드로 전환되면 전원부(103)가 점화 단자(101)로부터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고, 녹화모드가 주차 녹화모드로 전환되면 전원부(103)가 배터리(102)로부터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는 단계(S202)와, 녹화전원을 이용하여, 주행 녹화모드 또는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제어하는 단계(S204)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100)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제공하는 영상 녹화 방법을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차량이 시동을 켜서 주행을 시작하여 주행 녹화모드에서 영상 녹화를 수행하고, 시동이 꺼져서 주차 녹화모드로 전환되어 영상 녹화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일련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시동이 켜질 때까지 시동의 온/오프(ON/OFF)를 감지한다(S300). 이후, 시동이 켜지게 되어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여, 시동이 켜지는 것, 즉 시동 온(ON)이 감지되면, 녹화모드를 주행 녹화모드로 전환한다(S302). 이에 따라, 점화 단자(101)로부터 공급되는 녹화전원을 이용하여 주행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수행한다(S304). 이러한 주행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 시동이 꺼져서 차량이 주차하게 되어 시동이 꺼지는 것, 즉 시동 오프(OFF)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S306). 감지 결과, 시동 오프(OFF)가 감지되지 않으면 주행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지속해서 수행하고, 시동 오프(OFF)가 감지되면 주행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중지하고, 녹화모드를 주차 녹화모드로 전환하고(S308), 배터리(102)로부터 공급되는 녹화전원을 이용하여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수행한다(S310). 이러한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수행하는 동안, 녹화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배터리(102)의 배터리 전압이 일정 수준(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는지를 감지한다(S312). 감지 결과, 녹화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배터리(102)의 배터리 전압이 일정 수준(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것이 감지되면,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고자, 배터리(102)로부터 공급되는 녹화전원을 이용한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중지한다(S314). 감지 결과, 녹화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배터리(102)의 배터리 전압이 일정 수준(임계값)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것이 감지되면, 배터리(102)의 배터리 전압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더라도 주행이 시작되었으면 주행 녹화모드로 전환하여 영상 녹화를 하기 위하여, 시동 온(ON)이 되는지를 감지한다(S316). 이때, 시동 온(ON)이 감지되지 않으면 배터리(102)로부터 공급되는 녹화전원을 이용하여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지속해서 수행하고(S310), 시동 온(ON)이 감지되면, 녹화모드를 주행 녹화모드로 전환하여(S302), 점화 단자(101)로부터 공급되는 녹화전원을 이용하는 주행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다시 시작한다. 여기서, 시동 온(ON)이 감지되어 녹화모드를 주행 녹화모드로 다시 전환하여(S302)하여 주행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다시 시작하기 전에,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100)에 대한 초기화(녹화모드 등의 각종 정보에 대한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이 주행 상태인지 주차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녹화모드의 전환 및 녹화전원의 공급 제어를 수행하여 적응적인 영상 녹화를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행 녹화모드에서는 점화 단자로부터 영상 녹화를 위한 녹화전원을 공급받고, 주차 녹화모드에서는 배터리로부터 영상 녹화를 위한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 녹화모드에서 녹화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을 지속 감지하여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위해, 녹화 해상도, 초당 프레임 개수, 녹화시간 및 녹화품질 등의 주차 녹화 파라미터를 배터리 전압의 크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하여 설정함으로써,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 유형 및 주차 공간 중 하나 이상에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101: 점화 단자
102: 배터리
103: 전원부
110: 녹화모드 관리부
120: 녹화전원 공급 제어부
130: 녹화 제어부
140: 카메라

Claims (11)

  1. 시동이 켜지거나 꺼지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시동의 감지 결과에 따라 녹화모드를 주행 녹화모드 및 주차 녹화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녹화모드 관리부;
    상기 녹화모드가 상기 주행 녹화모드로 전환되면 전원부가 점화 단자로부터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녹화모드가 상기 주차 녹화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전원부가 배터리로부터 상기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는 녹화전원 공급 제어부; 및
    상기 녹화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주행 녹화모드 또는 상기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제어하는 녹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녹화전원 공급 제어부는, 상기 녹화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녹화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배터리 전압의 크기에 따라, 녹화 해상도, 초당 프레임 개수 및 녹화품질에 대한 주차 녹화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설정하고, 상기 변경되어 설정된 주차 녹화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모드 관리부는,
    상기 점화 단자의 점화 전압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여 올라가면 상기 시동이 켜지는 것으로 감지하여 상기 녹화모드를 상기 주행 녹화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점화 단자의 점화 전압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시동이 꺼지는 것으로 감지하여 상기 녹화모드를 상기 주차 녹화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점화 단자 및 상기 배터리와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녹화전원 공급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점화 단자로부터 상기 녹화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제어부는,
    상기 녹화모드의 전환에 따라, 주행 녹화 파라미터 및 주차 녹화 파라미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주행 녹화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주행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가 카메라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주차 녹화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가 카메라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배터리 전압의 크기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제어부에 의해 상기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가 중지된 이후,
    상기 녹화모드 관리부는,
    상기 점화 단자의 점화 전압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여 올라가서 상기 시동이 켜지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녹화모드를 상기 주행 녹화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가 제공하는 영상 녹화 방법에 있어서,
    시동이 켜지거나 꺼지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시동의 감지 결과에 따라 녹화모드를 주행 녹화모드 및 주차 녹화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녹화모드가 상기 주행 녹화모드로 전환되면 전원부가 점화 단자로부터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녹화모드가 상기 주차 녹화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전원부가 배터리로부터 상기 녹화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되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녹화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주행 녹화모드 또는 상기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녹화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를 제어할 때, 상기 감지된 배터리 전압의 크기에 따라, 녹화 해상도, 초당 프레임 개수 및 녹화품질에 대한 주차 녹화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설정하고, 상기 변경되어 설정된 주차 녹화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주차 녹화모드에 따른 영상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녹화 방법.
KR1020100000716A 2010-01-06 2010-01-06 영상 녹화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101417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716A KR101417186B1 (ko) 2010-01-06 2010-01-06 영상 녹화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716A KR101417186B1 (ko) 2010-01-06 2010-01-06 영상 녹화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468A KR20110080468A (ko) 2011-07-13
KR101417186B1 true KR101417186B1 (ko) 2014-07-09

Family

ID=4491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716A KR101417186B1 (ko) 2010-01-06 2010-01-06 영상 녹화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996A (ko) 2021-02-26 2022-09-02 장기진 차량용 녹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616B1 (ko) * 2013-07-16 2014-06-27 주식회사 카모아 차량에서의 이벤트 알림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1583136B1 (ko) * 2014-04-04 2016-01-08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498A (ko) * 1998-04-18 1998-07-25 이응도 자동차의 운행환경 영상기록장치
KR20060004769A (ko) * 2004-07-08 2006-01-16 파츠닉(주) 자동차 배터리 방전방지 시스템
JP2008186394A (ja) * 2007-01-31 2008-08-14 Circle One:Kk 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498A (ko) * 1998-04-18 1998-07-25 이응도 자동차의 운행환경 영상기록장치
KR20060004769A (ko) * 2004-07-08 2006-01-16 파츠닉(주) 자동차 배터리 방전방지 시스템
JP2008186394A (ja) * 2007-01-31 2008-08-14 Circle One:Kk 記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996A (ko) 2021-02-26 2022-09-02 장기진 차량용 녹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468A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8482A1 (en) Vehicle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JP2010128610A (ja) ドライブレコーダ
US20090309972A1 (en) Drive recorder and system
KR101417186B1 (ko) 영상 녹화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20110085484A (ko)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동작 모드 제어 방법
KR20110087736A (ko)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의 물체 근접 영상 기록장치 및 그 방법
CN112937741A (zh) 一种摩托车安全报警方法、系统及摩托车
KR10211757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관리 방법
KR20110087735A (ko)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의 배터리 저전원 보호장치 및 그 방법
CN108615272B (zh) 行车记录器
JP2020203524A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及び車両用制御装置
JP2009002195A (ja) 電力供給制御装置及び電力供給制御方法
KR101524197B1 (ko) 차량용 블랙박스
JP6059969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KR101306887B1 (ko) 차량용 단말기의 화면 밝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6627247A (zh) 存在无座乘客时电动客车起步及加速的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436620B1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그의 사고 기록 방법
KR101146326B1 (ko)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6702921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US20130250110A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KR20110120635A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6177597A (ja) 録画装置、録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U2764472C1 (ru) У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контроллер и носитель,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долговременного хран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CN216069606U (zh) 车载油箱及具有其的车辆
JP2022134651A (ja) 車載ドライブレコーダ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