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484A -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동작 모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동작 모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484A
KR20110085484A KR1020100005300A KR20100005300A KR20110085484A KR 20110085484 A KR20110085484 A KR 20110085484A KR 1020100005300 A KR1020100005300 A KR 1020100005300A KR 20100005300 A KR20100005300 A KR 20100005300A KR 20110085484 A KR20110085484 A KR 20110085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peration mode
video recording
recording apparatu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2346B1 (ko
Inventor
조성엽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5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3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7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magnetic data carriers
    • G07C5/0891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미리 설정된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의 현재 상태에 근거하여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 모드 결정부 및 동작 모드에 따라 차량으로부터 장치로 공급되는 전원 상태에 적합하도록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현재 상태를 측정하여 현재 전원 공급 상황을 판단하고 이에 맞는 시스템 동작 모드를 결정하므로 주차 상태에서도 주변 감시, 영상 녹화, 이벤트 감지 등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동작 모드 제어 방법{Video record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operation mode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생활 필수품화되어 감에 따라 주정차 문제, 교통 문제 및 교통사고 등의 부작용도 증대되고 있다.
특히, 교통사고는 당사자간에 합의에 따라 원만하게 해결되는 경우도 있지만, 과실 정도의 판단이 모호한 경우 당사자간의 합의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뺑소니 사고의 경우에는 도의적인 측면에서 매우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한 교통사고 처리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항공기의 블랙박스와 같은 장치를 차량에도 실제 탑재하여 사고 처리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즉,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는 외부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는 타입과 촬영되는 또는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해당 장치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타입 등이 있다.
종래의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는 사고 발생 시점 전후의 영상을 저장함으로써 사고 처리시 책임 소재 판단의 객관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는 주행 중인 경우에만 영상 녹화를 수행하며, 주차 등으로 인해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는 경우 더 이상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전원(예를 들면, 시거잭 전원)을 사용하고 있어 주차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한 감시, 녹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상시 녹화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경우에는 배터리 전원과 시동이 오프되는 경우 끊어지는 전원을 동시에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2개의 전원을 모두 차량에서 배선을 통해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에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차량의 현재 상태를 측정하여 현재 전원 공급 상황을 판단하고 이에 맞는 시스템 동작 모드를 결정하므로 주차 상태에서도 주변 감시, 영상 녹화, 이벤트 감지 등이 가능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동작 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 여부, 차량의 내외부 온도차 등에 따라 동작 모드를 변경하고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동작 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전원을 공급받고 전원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현재 전원 공급 상황을 판단하고 이에 맞는 시스템 동작 모드를 결정하므로 설치시 배선이 용이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동작 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내부 및 외부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녹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내부 및 외부 중 하나 이상의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상기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인코딩/디코딩부;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에 근거하여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 모드 결정부; 및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장치로 공급되는 전원 상태에 적합하도록 상기 영상 입력부, 상기 인코딩/디코딩부, 상기 동작 모드 결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동작 모드는 주행 모드 및 주차 모드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주차 모드인 경우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상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주차 모드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 시간 동안만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상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인코딩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량이 위치한 장소에 대한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주차 모드인 경우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밝기 값이 소정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상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인코딩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여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 모드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전원 전압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차량의 전원 전압이 제1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주행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차량의 전원 전압이 상기 제1 전압 미만 제2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주차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전원 전압 모니터링을 위해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전압 디텍터 및 비교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작 모드 결정부는 상기 차량 엔진의 진동 감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차량 엔진의 진동이 소정 임계치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주행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차량 엔진의 진동이 소정 임계치 미만의 크기를 가지거나 진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주차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은 상기 차량의 내외부 온도차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내외부 온도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주차 모드로 결정하고 그 외의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주행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충격 센서, 진동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현재 입력된 영상 신호와 이전 입력된 영상 신호를 비교하는 영상 분석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비교 결과 소정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 결정 조건과 상기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현재 상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는 주행 모드 및 주차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가 주행 모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모든 기능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시 녹화를 수행하며, 상기 동작 모드가 주차 모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기능 중 일부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일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전원 전압 모니터링 및 상기 차량 엔진의 진동 감지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통해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은 상기 차량의 내외부 온도차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현재 상태를 측정하여 현재 전원 공급 상황을 판단하고 이에 맞는 시스템 동작 모드를 결정하므로 주차 상태에서도 주변 감시, 영상 녹화, 이벤트 감지 등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의 시동 여부, 차량의 내외부 온도차 등에 따라 동작 모드를 변경하고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 전원을 공급받고 전원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현재 전원 공급 상황을 판단하고 이에 맞는 시스템 동작 모드를 결정하므로 설치시 배선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 결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원부와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전원부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전압 모니터링을 통해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는 프로그램 저장부(105), 영상 입력부(110), 인코딩/디코딩부(115), 제1 데이터 저장부(120), 제2 데이터 저장부(125), 표시부(130), 입력부(135), 동작 모드 결정부(140), 이벤트 감지부(145),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는 초기에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동작 모드가 변경되며, 각 동작 모드에 따라 현재 전원 공급 상태에 적합한 동작, 예를 들면 영상 녹화, 주변 감시, 이벤트 처리 등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는 차량 주행 중에는 시동 중의 차량 제너레이터(발전기)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수행 가능한 일반적인 모든 기능을 사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주차 중에는 시동이 걸리지 않은 사용가능한 전원의 양이 제한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동작하게 되므로 제한된 기능만을 수행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고 소비 전류를 최소화하여 대기하면서 지정된 이벤트의 발생을 기다림으로써 주차 시에도 주변 감시 및 녹화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다.
프로그램 저장부(105)에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 인코딩/디코딩부(115), 동작 모드 결정부(140) 등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가 프로그램 저장부(105)에 저장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저장부(105)는 비휘발성 저장 공간일 수 있다.
영상 입력부(110)는 입력되는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영상 입력부(110)는 예를 들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Image Signal Processor)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입력부(110)는 차량의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차량 내부 중 하나 이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일 수 있다. 또는 영상 입력부(110)는 외부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화하는 비디오 디코더일 수도 있다.
인코딩/디코딩부(115)는 영상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하여 인코딩을 수행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저장부(120)에 임시 저장하거나 제2 데이터 저장부(125)에 영구 저장할 수 있으며, 제1 데이터 저장부(120) 또는/및 제2 데이터 저장부(125)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표시부(130)로 전달하여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제1 데이터 저장부(120)는 영상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인코딩/디코딩부(115)에 의해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공간으로, 예를 들어 SRAM, SDRAM, DDR 메모리 등의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제2 데이터 저장부(125)는 제1 데이터 저장부(120)에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영구 보관하기 위한 공간으로, 예를 들어 NAND FLASH, NOR FLASH, SD CARD, MMC CARD, CF CARD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제2 데이터 저장부(125)는 복수의 저장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을 수 있으며, 소정의 저장 영역 내에는 후술할 이벤트 감지부(145)에 의해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해당 이벤트에 관련된 영상이 녹화되어 영구 저장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의 동작 상태, 인코딩/디코딩부(115)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 등 중 하나 이상을 시각적 정보로서 출력한다.
입력부(135)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에 구비되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수단으로, 하나 이상의 키, 터치 센서, 적외선 리모콘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동작 모드 결정부(140)는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의 동작 모드는 주행 모드와 주차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주행과 주차의 구분은 실제 차량의 주행 여부가 아니라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태, 즉 차량 엔진의 시동 온/오프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가정한다.
우선 주행 모드는 현재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가 장착된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 경우의 동작 모드이다. 차량 주행 중에는 차량 시동이 온(On) 상태에 있어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가 차량의 제너레이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이 상술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주차 모드는 현재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가 장착된 차량이 주차 상태에 있는 경우의 동작 모드이다. 차량 주차 중에는 차량 시동이 오프(Off) 상태에 있어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가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데, 차량의 배터리는 사용가능한 전원의 양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이 상술한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필수적인 일부 기능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필수적인 일부 기능의 수행을 통해 전력 소모를 줄이고 소비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장시간 대기 중에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하여 정해진 동작(예를 들면, 주변 감시, 영상 녹화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주차 모드에서 수행되는 필수적인 일부 기능으로는 이벤트 감지부(145)의 활성화, 동작 모드 결정부(140)의 활성화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주차 모드에서 그 수행이 제한되는 기능으로는 입력부(135)를 통한 사용자 명령의 입력, 표시부(130)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표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은 동작 모드를 결정하게 되는 기준으로서,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 차량 내외부의 온도차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은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가 장착된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일 수 있다. 차량의 시동이 온 된 경우에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가 주행 모드로 동작하고,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에는 주차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시동 온/오프 여부는 전원 전압의 모니터링, 차량 엔진의 진동 감지 등의 방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전원 전압의 모니터링을 통해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를 확인하고, 모니터링된 전원 전압이 속하는 범위에 따라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여 해당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차량의 제너레이터가 동작하여 전원 전압의 크기가 13.3V 이상이고,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에는 차량의 배터리가 동작하여 전원 전압의 크기가 11.0V 이상 13.3V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전원 전압이 11.0V 미만인 경우 차량의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로의 전원을 차단하고 시스템이 정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동작 모드에 따른 전원 전압의 범위는 예시적인 것이며, 차량에 따라 혹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적합하게 재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4V 배터리 차량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당 차량이 24V 배터리를 이용함을 입력부(135)를 통해 입력하는 경우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가 전원 전압의 범위를 24V에 맞도록 한번에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각 동작 모드 간의 전압 경계는 마진폭을 겹치게 두어 경계지점의 전압에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가 오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주행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전원 전압이 하강하는 경우 13.1V가 되었을 때 주차 모드로 변경을 수행하며, 반대로 주차 모드에서 전원 전압이 상응하는 경우 13.4V가 되었을 때 주행 모드로 변경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마진폭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전원 전압을 모니터링함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번의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측정된 전원 전압에 대하여 평균치를 산출하여 이용함으로써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엔진의 진동 감지를 통해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여 해당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에 시동을 거는 경우 순간적으로 차량 엔진에 제1 크기 이상의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바, 진동 센서, 가속도 센서 등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차량 엔진의 진동을 감지하고 제1 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에 차량 시동이 온 된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를 주행 모드로 동작되게 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이 주행 중에는 차량 엔진이 동작하고 있어 일정 크기 이상의 진동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바, 소정 시간 동안 일정 범위 내의 진동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를 주행 모드로 동작되게도 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시동을 끄는 경우 차량 엔진이 그 동작을 멈추게 되어 진동이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하더라도 아주 미세한 진동만이 발생하게 되는 바, 진동 센서, 가속도 센서 등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차량 엔진의 진동을 감지하고 제2 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차량 시동이 오프 된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를 주차 모드로 동작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크기는 제1 크기와 동일하거나 제1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은 차량 내외부의 온도차일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내외부 온도차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가 차량의 내부 및 외부에 각각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철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히터가 동작하여 차량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외부 환경과 상대적으로 많은 온도차가 발생하게 되며, 여름철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에이컨이 동작하여 차량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킴으로써 외부 환경과 상대적으로 많은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차량이 주차된 경우에는 차량 내부의 온도는 외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어 차량 내외부의 온도차가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따라서, 차량 내외부의 온도차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차량이 주차 상태에 놓여진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가 주차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소정의 임계치는 실험에 의해 통계적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벤트 감지부(145)는 차량에 발생되는 각종 이벤트를 감지하는 수단이다. 미리 지정된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150)를 통해 영상 입력부(110)가 해당 이벤트에 관련된 영상을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초기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입력받고, 이를 인코딩/디코딩부(115)에서 인코딩하여 제2 데이터 저장부(125)의 정해진 저장 영역 내에 영구 저장하도록 하여, 녹화된 영상 데이터가 추후 사고에 대한 과실 유무 판단, 보험 처리 등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시간 전으로부터 일정 시간 후까지의 영상이 녹화되거나 감지 시점 이후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이 녹화되도록 할 수 있다.
감지 대상이 되는 이벤트는 차량이 주행 중 혹은 정지, 주차된 상태에서 이루어진 타 차량 혹은 사람과의 접촉, 혹은 차량에 가해진 파손, 충격, 주행 중인 차량에서의 급브레이크, 차량의 전복, 미끄러짐, 회전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 감지부(145)는 예를 들면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충격 센서, 진동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 모듈(미도시)을 포함하고 있어, 자이로스코프 센싱값, 가속도 센싱값, 각속도 센싱값, 충격 센싱값, 진동 센싱값 등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이 경우 센싱값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된 임계치가 있어 해당 임계치 이상 혹은 이하의 변화가 발생하면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차량 진행 방향의 방위를 측정함으로써 해당 차량에서 수평방향으로의 회전이 일어났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차량의 종가속도 변화 또는/및 횡가속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해당 차량에서 급브레이크가 이루어졌는지 여부, 차량이 미끄러졌는지 여부, 차량이 전복되었는지 여부, 수평방향으로의 회전이 일어났는지 여부, 차량의 이동 궤적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각속도 센서는 차량의 각속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해당 차량에서 전복 혹은 수평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졌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충격 센서 혹은 진동 센서는 차량에 외부로부터의 접촉이 있거나 파손 등으로 인한 충격량 혹은 진동량을 감지하여 차량에 발생한 접촉 사고, 교통 사고, 파손 사고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벤트 감지부(145)는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영상을 해석하고, 그 변화로부터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벤트 감지부(145)는 영상 분석 모듈(미도시)을 포함하고 있어, 영상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분석을 수행하여 현재 입력된 영상과 이전에 입력된 영상을 비교하고, 소정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초기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입력받으며, 이를 인코딩/디코딩부(115)에서 인코딩하여 제2 데이터 저장부(125)의 정해진 저장 영역 내에 영구 저장하도록 하여, 녹화된 영상 데이터가 추후 사고에 대한 과실 유무 판단, 보험 처리 등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현재 영상과 이전 영상 간의 영상 비교시 변화 발생 감지 대상은 모션 벡터, 휘도, 컬러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초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모션 벡터가 발생하거나,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초기 설정된 수 이상의 픽셀에서 휘도 변화 또는/및 컬러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영상의 분석 주기는 예를 들면 1초에 1회 정도일 수 있다. 짧은 시간(예를 들어, 수 ms) 동안 분석을 수행하고, 나머지 시간(수십~수백 ms) 동안은 절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소비 전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50)는 동작 모드 결정부(140)에 의해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가 상술한 기능을 모두 수행하거나 제한된 일부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프로그램 저장부(105)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가 주차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입력부(13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 시간 동안만 영상 녹화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설정된 시간이 밤 12시부터 새벽 3시인 경우 해당 시간에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고, 그 결과 동작 모드가 주차 모드인 경우에는 자동으로 영상 녹화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설정 시간은 해당 차량이 주로 주차되어 있는 시간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설정 시간에 녹화된 영상만을 검색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많은 양의 영상을 검색해야 하는 수고를 줄이고 소정의 저장 공간(즉, 제2 데이터 저장부(125))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영상을 상대적으로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는 차량이 위치한 장소에 대한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가 주차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밝기 값이 소정 임계치 이하이어서 야간이거나 어두운 곳에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영상 녹화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주간(혹은 밝은 곳)에 주차된 차량에 비하여 야간(혹은 어두운 곳)에 주차된 차량에 대하여 차량 테러 혹은 차량 파손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이벤트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즉, 주차 모드인 경우라도 주간(혹은 밝은 곳)에 차량이 주차된 경우에는 이벤트 발생 확률이 낮아지는 바, 주변 감시, 영상 녹화 등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에서 저장하는 데이터가 영상인 경우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음성도 영상과 함께 입력되어 상응하는 영상과 동기화되어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 결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 결정부(140)는 설정된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작 모드 결정부(140)는 조건 설정 모듈(210), 조건 판단 모듈(220), 동작 모드 결정 모듈(230)을 포함한다.
조건 설정 모듈(210)은 입력부(135)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혹은 초기 설정된 값에 따라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을 설정한다.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은 동작 모드를 결정하게 되는 기준으로서,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 차량 내외부의 온도차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조건 판단 모듈(220)은 현재 차량의 상태에 근거하여 조건 설정 모듈(210)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한다.
우선 설정된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이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인 경우, 전원 전압 모니터링, 차량 엔진 진동 감지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현재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고,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전원 전압 모니터링을 통해 현재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경우 측정된 전원 전압이 속하는 범위에 따라 V1 이상인 경우에는 시동 온 상태로, V2 이상 V1 미만인 경우에는 시동 오프 상태로, V2 미만인 경우에는 저전압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V1 ≥ V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차량 엔진 진동 감지를 통해 현재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경우 차량 엔진에 시동이 걸리는 경우에 순간적으로 커지는 진동을 감지한 이후에는 차량이 시동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 엔진의 시동이 꺼지는 경우 진동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아주 미세한 진동만을 감지하는 순간 이후에는 차량이 시동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설정된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이 차량 내외부의 온도차인 경우, 차량 내외부의 온도차가 초기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차량이 주차 상태에 놓여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모드 결정 모듈(230)은 조건 판단 모듈(220)에 의해 판단된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주행 모드, 주차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고, 제어부(150)에서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어부(150)로 결정된 결과를 신호로 전달한다.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이 차량의 시동 온/오프인 경우에,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면 주행 모드로, 차량의 시동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면 주차 모드로 결정한다. 추가적으로 차량이 저전압 상태인 경우에는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특수 모드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이 차량 내외부의 온도차인 경우에, 해당 온도차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주차 모드로, 소정의 임계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주행 모드로 결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각각의 내부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300에서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혹은 초기 설정에 따라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을 설정한다. 설정 대상이 되는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은,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 차량 내외부의 온도차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단계 S305에서는, 차량의 현재 상태에 근거하여 단계 S300에서 설정된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한다.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이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인 경우 전원 전압 모니터링을 통한 전원 전압의 범위, 혹은 차량 엔진 진동 감지를 통한 진동의 정도에 따라 조건 충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이 차량 내외부의 온도차인 경우 차량의 내부 온도와 외부 온도를 측정하고, 그 온도차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조건 충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는, 단계 S305에서 판단한 결과에 따라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즉,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에 따라 혹은 차량 내외부 온도차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주행 모드 혹은 주차 모드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가 주행 모드로 결정된 경우에는 단계 S315로 진행하며, 주차 모드로 결정된 경우에는 단계 S340으로 진행한다.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가 주행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단계 S315)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는 차량 제너레이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내의 각 구성요소가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며(단계 S320), 차량이 주행 중이기 때문에 상시 녹화를 수행한다(단계 S325).
또한, 차량 혹은 사람과의 접촉 사고, 차량에 가해진 파손, 충격, 급브레이크, 차량의 전복, 미끄러짐, 회전 등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단계 S330). 이러한 이벤트의 감지는 센서 모듈을 이용한 센싱 혹은 영상 분석 모듈을 이용한 주기적인 영상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에 관련된 영상을 녹화한다(단계 S335). 녹화되는 영상은 이벤트 발생 감지 시점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이거나 이벤트 발생 감지 시점 이후의 일정 시간 동안에 대한 영상일 수 있다.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가 주차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단계 S340) 차량용 영상 저녹화 장치는 사용가능한 용량이 제한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내의 각 구성요소가 모든 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고, 필수적인 일부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단계 S345).
또한, 차량 혹은 사람과의 접촉 사고, 차량에 가해진 파손, 충격, 급브레이크, 차량의 전복, 미끄러짐, 회전 등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단계 S350). 이러한 이벤트의 감지는 센서 모듈을 이용한 센싱 혹은 영상 분석 모듈을 이용한 주기적인 영상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에 관련된 영상을 녹화한다(단계 S355). 녹화되는 영상은 이벤트 발생 감지 시점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이거나 이벤트 발생 감지 시점 이후의 일정 시간 동안에 대한 영상일 수 있다.
단계 S360에서 사용자에 의한 종료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종료가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 S365에서 그 동작이 종료되며, 사용자에 의한 종료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단계 S305로 되돌아가 단계 S305 이하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동작 모드 제어 방법은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이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인 경우, 그 중에서도 특히 차량의 전원 전압 모니터링을 통해 차량의 현재 상태를 측정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동작 모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차량 전원부와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전원부간의 연결 관계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원부와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전원부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차량 전원부(10)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가 장착된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소스(source)로서, 차량 배터리 및 차량 제너레이터(발전기)가 이에 해당한다.
스위치(20)는 차량 전원부(10)의 전원 전압에 따라 장치 전원부(150)로의 전원 공급 및 전원 차단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장치 전원부(155)는 스위치(20)가 온 상태인 경우 차량 전원부(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에서 사용하는 여러 가지 전원을 생성한다.
동작 모드 결정부(140)는 전압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 차량 전원부(10)의 전원 전압을 측정한다. 제어부(150)는 동작 모드 결정부(140)에 측정한 전원 전압에 의해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스위치(2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여기서, 동작 모드 결정부(140) 및 제어부(150)는 스위치(20)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도 차량 전원부(10)의 전원 전압을 측정하고 스위치(20)의 온/오프를 제어해야 하는 바, 장치 전원부(155)에서의 공급되는 전원과는 별도의 구성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압 측정 모듈은 도 2에 도시된 조건 판단 모듈(220)에 대응되며, 차량 전원부(10)의 전원 전압 모니터링을 위해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전압 디텍터, 비교기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는 아날로그 신호인 차량 전원부(10)의 전원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동작 모드 결정부(140)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원 전압을 읽어(체크하여), 현재의 전원 전압을 확인하고 이에 맞는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전압 디텍터는 지정된 전압에 특정 신호(HIGH 혹은 LOW)를 출력하는 소자로, 원하는 값의 소자를 사용 전원 전압에 연결하여 모니터링하게 한다. 원하는 전압 값에 도달하여 전압 디텍터로부터 특정 신호가 출력되면, 동작 모드 결정부(140)는 이를 인식하고 이에 맞는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이러한 전압 디텍터는 지정하고자 하는 전압의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비교기는 2개의 입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일 입력 단자에는 검출을 원하는 전압을, 타 입력 단자에는 비교를 원하는 전압(여기서는, 차량 전원부(10)의 전원 전압)을 연결하여 서로 비교하며, 전원 전압이 검출을 원하는 전압 값에 도달하면 특정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기로부터 특정 신호가 출력되면, 동작 모드 결정부(140)는 이에 맞는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이러한 비교기는 검출하고자 하는 전압의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전압 모니터링을 통해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각각의 내부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는 차량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개시한다(단계 S400). 여기서, 차량 전원부는 차량 시동 전의 배터리 전원이거나 차량 시동 후의 제너레이터 전원일 수 있다.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측정한다(단계 S405). 여기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번 측정을 수행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측정된 전원 전압이 V1 이상인지 판단한다(단계 S410). 전원 전압이 V1 이상인 경우 시동이 걸리고 차량이 운행 중인 상태, 즉 주행 상황으로 간주하고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가 주행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415). 주행 모드에서의 동작은 앞서 도 3의 단계 S320 내지 S335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는 바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전원 전압이 V1 이상이 아닌 경우, 전원 전압이 V2 이상인지 판단한다(단계 S420). 전원 전압이 V2 이상인 경우 시동이 꺼지고 차량이 운행하지 않는 상태, 즉 주차된 상황으로 간주하고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가 주차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425). 주차 모드에서의 동작은 앞서 도 3의 단계 S340 내지 S355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는 바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를 종료시켰는지 확인한다(단계 S430).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05로 되돌아가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전원 전압이 V2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차량 배터리가 저전압 상태로 배터리 방전의 위험이 있게 된다. 따라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가 저전압 모드로 동작하게 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종료시키기 위한 준비를 한다(단계 S435).
사용자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를 종료시켰거나 저전압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시스템을 종료시킨다(단계 S44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105: 프로그램 저장부
110: 영상 입력부
115: 인코딩/디코딩부
120: 제1 데이터 저장부
125: 제2 데이터 저장부
130: 표시부
135: 입력부
140; 동작 모드 결정부
145: 이벤트 감지부
150: 제어부
210: 조건 설정 모듈
220: 조건 판단 모듈
230: 동작 모드 결정 모듈
10: 차량 전원부
20: 스위치
30: 전압 측정 및 스위치 제어부
155: 장치 전원부

Claims (20)

  1.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내부 및 외부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녹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내부 및 외부 중 하나 이상의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상기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인코딩/디코딩부;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에 근거하여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 모드 결정부; 및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장치로 공급되는 전원 상태에 적합하도록 상기 영상 입력부, 상기 인코딩/디코딩부, 상기 동작 모드 결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주행 모드 및 주차 모드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주차 모드인 경우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상기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주차 모드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 시간 동안만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상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인코딩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위치한 장소에 대한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주차 모드인 경우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밝기 값이 소정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상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인코딩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전원 전압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차량의 전원 전압이 제1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주행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차량의 전원 전압이 상기 제1 전압 미만 제2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주차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전원 전압 모니터링을 위해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전압 디텍터 및 비교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결정부는 상기 차량 엔진의 진동 감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차량 엔진의 진동이 소정 임계치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주행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차량 엔진의 진동이 소정 임계치 미만의 크기를 가지거나 진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주차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은 상기 차량의 내외부 온도차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내외부 온도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주차 모드로 결정하고 그 외의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주행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충격 센서, 진동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현재 입력된 영상 신호와 이전 입력된 영상 신호를 비교하는 영상 분석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비교 결과 소정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14.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 결정 조건과 상기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현재 상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주행 모드 및 주차 모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가 주행 모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모든 기능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시 녹화를 수행하며,
    상기 동작 모드가 주차 모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기능 중 일부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원 전압 모니터링 및 상기 차량 엔진의 진동 감지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통해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조건은 상기 차량의 내외부 온도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작 모드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00005300A 2010-01-20 2010-01-20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동작 모드 제어 방법 KR101072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300A KR101072346B1 (ko) 2010-01-20 2010-01-20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동작 모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300A KR101072346B1 (ko) 2010-01-20 2010-01-20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동작 모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484A true KR20110085484A (ko) 2011-07-27
KR101072346B1 KR101072346B1 (ko) 2011-10-11

Family

ID=4492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300A KR101072346B1 (ko) 2010-01-20 2010-01-20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동작 모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34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244B1 (ko) * 2013-08-27 2014-02-19 (주)아이제이일렉트론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KR101412616B1 (ko) * 2013-07-16 2014-06-27 주식회사 카모아 차량에서의 이벤트 알림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140128840A (ko) * 2013-04-29 2014-11-06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92452A (ko) * 2014-02-05 2015-08-13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블랙박스의 유휴시간을 활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6868A (ko) * 2014-02-17 2015-08-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이벤트 영상 제공 방법
KR20160058443A (ko) * 2014-11-17 2016-05-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수신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60094926A (ko) * 2016-08-02 2016-08-10 (주)위니테크놀러지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KR101850058B1 (ko) * 2017-04-21 2018-04-18 주식회사 미소전자통신 블랙박스용 절전 시스템
CN111845597A (zh) * 2019-04-29 2020-10-3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及控制车辆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451B1 (ko) 2013-01-31 2015-04-24 주식회사 에이피엑스 카메라 통합형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 및 자동 주차 방법
US11494847B2 (en) 2019-08-29 2022-11-08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Analysis of transport dama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942B1 (ko) 2007-04-09 2007-10-19 삼정정보통신(주) 영상 처리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840A (ko) * 2013-04-29 2014-11-06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12616B1 (ko) * 2013-07-16 2014-06-27 주식회사 카모아 차량에서의 이벤트 알림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1365244B1 (ko) * 2013-08-27 2014-02-19 (주)아이제이일렉트론 차량용 영상녹화장치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KR20150092452A (ko) * 2014-02-05 2015-08-13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블랙박스의 유휴시간을 활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6868A (ko) * 2014-02-17 2015-08-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이벤트 영상 제공 방법
KR20160058443A (ko) * 2014-11-17 2016-05-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수신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60094926A (ko) * 2016-08-02 2016-08-10 (주)위니테크놀러지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
KR101850058B1 (ko) * 2017-04-21 2018-04-18 주식회사 미소전자통신 블랙박스용 절전 시스템
CN111845597A (zh) * 2019-04-29 2020-10-3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及控制车辆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2346B1 (ko) 201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346B1 (ko)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동작 모드 제어 방법
US10003773B2 (en) Shock sensin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19184837A1 (zh) 车载显示设备的控制方法及控制设备
US10848720B2 (en) Vehicle surveillance
JP6693357B2 (ja)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590813A (zh) 一种可保证驾驶员唯一性的防酒后驾车车载系统
KR20110087735A (ko)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의 배터리 저전원 보호장치 및 그 방법
US10984613B2 (en) Method for estimating the travel time of a vehicle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tate of the vehicle
JP6485990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KR100833971B1 (ko) 차량용 관리 시스템
KR101043936B1 (ko)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주차모드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1533814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240770A (ja)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方法
CN112677905A (zh) 智能驾驶背景下一种节省硬盘存储空间的新车记录方法
KR101007247B1 (ko) 영상 저장 장치 및 영상 저장 방법
EP3923250A1 (en) Vehicle-use recording control device, vehicle-use imaging device, vehicle-use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10015744A (ko) 차량용 블랙박스와 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차량 감시 시스템
KR20130098005A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14091A (ko) 자동차용 dvr 장치
US201102423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lind spots of vehicles
KR20100011180A (ko) 외부 영상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20635A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10082661A (ko) 차량 dvr에 의한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JP6643377B2 (ja) 動作制御装置
CN204946126U (zh) 行车记录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