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066B1 -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066B1
KR101583066B1 KR1020107019550A KR20107019550A KR101583066B1 KR 101583066 B1 KR101583066 B1 KR 101583066B1 KR 1020107019550 A KR1020107019550 A KR 1020107019550A KR 20107019550 A KR20107019550 A KR 20107019550A KR 101583066 B1 KR101583066 B1 KR 101583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ayers
concrete
dispensing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6970A (ko
Inventor
맨프레드 슈텔레
한스 게하트
Original Assignee
바우스토프베르케 게브하르트 운트 쉐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우스토프베르케 게브하르트 운트 쉐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바우스토프베르케 게브하르트 운트 쉐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136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5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 B28B13/022Feeding several successive layers, optionally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5Devices or processes for obtaining articles having a marble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 복수 층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챔버를 형성하는 저장 용기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 특히 포석, 빌딩 블록 등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용 챔버로부터 상기 층들의 일부 분량을 분배시킴으로써 하류에 연결된 배출 장치가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 층들의 혼합물을 수용하도록 하는 분배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수용 챔버의 측벽의 적어도 일부 섹션에는 상기 층들의 일부 분량을 분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분배용 개구부의 통로 크기는 상기 분배 수단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DEVICE FOR PRODUCING CONCRETE BLOCKS}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청구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27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 복수 층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가진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28항의 전제부에 청구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장치 및 방법은 EP 1,017,554 B1에 공지되어 있다.
콘크리트 블록, 특히 포석(paving stone), 빌딩 블록 등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 조질의 콘크리트(coarse concrete)로부터 형성되고 유색 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견고하게 피복된 대면 층(facing layer)이 상부에 제공된 기본 몸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조질의 콘크리트는 몰드 내로 부어지고 몰드 내에서 진탕 및/또는 압축되어 다져진다. 이것이 조질의 콘크리트를 침강시킨다. 몰드의 하부 공간에서는, 유색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조질의 콘크리트에 대면 층으로 적용되고 대면 용기 또는 대면 사일로(facing silo)라고도 하는 저장 용기로부터 압축된다.
중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위한 대면 층으로서 염색된 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저장 용기로부터 제거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다색 대면 층의 경우, 예를 들어 마블링의 대면 층 또는 색 혼합을 달성하고자 하는 경우,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덩어리가 색상별로 저장 용기에 주입되고 배합되거나 배합되지 않은 형태로 몰드에 공급된다.
또한, 각각의 유색 콘크리트는 각각 목적한 양의 콘크리트를 분배시키는 그 자신의 추가적인 용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전술한 방법 및 장치들은 공통적으로 높은 기계 및 제조-관련 비용을 단점으로 갖는다. 또한, 상기 대면 층의 다수는 불리한 배합 결과, 예를 들어 덩어리 형성으로 인해 정의되지 않은 색상 패턴을 나타낸다.
상이한 색상의 복수의 콘크리트 층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용기로서, 저장 공간의 바닥이 슬라이드(slide)로 구현된 저장 용기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일단 저장 공간이 다양한 콘크리트 층으로 충전되면, 슬라이드가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층들의 일부 분량 또는 부분이 중력으로 인해 하향 낙하하여 하류 배출 장치에 공급된다. 하류 배출 장치는, 유색 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배출을 정량적 일정 비율로 제어하여 몰드를 충전하도록 구현된 폐쇄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드를 갖는 저장 용기의 구성은 비교적 낮은 기계 비용을 유발하고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 층들의 완전한 혼합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 층들의 배합은 여전히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특히 덩어리를 형성시킨다. 이는, 슬라이드가 개방될 때, 하향 낙하하는 제1분량에서 특히 그러하다. 이러한 분량에서는, 단지 약간의 또는 불충분한 배합이 일어난다.
배합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일반 문헌 EP 1,017,554 B1은 실제의 경험으로부터 알려진 슬라이드와, 중력으로 인해 하향 이동하는 일부 콘크리트 층의 이동 경로에 배열된 충격체와의 조합을 제시한다. 이 경우, 상기 콘크리트 층의 일루 분량이 편향 곡선상으로 안내되고 더욱 효과적으로 서로 배합되는 방식으로 충격체를 타격하도록 의도된다.
EP 1,017,554 B1에 공지된 해결책은 배합을 더욱 개선하지만 기계 및 설계 비용이 보다 고가이다. 또한, 슬라이드를 통해 배출되는 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제1분량이 특히 불리한 배합을 나타내는 점에서 문제이다. 이러한 배합은, 상기 층들의 일부를 추가로 배출하는 과정을 통해서만 개선된다. 그러나, 저장 용기의 수용 공간은 제한된 크기를 갖기 때문에, 배취(batch) 잔류물과 상이한, 즉 이보다 덜 유리한 색상 배합을 나타내는 대면 층을 갖는 포석은, 즉, 제1분량이 저장 용기에서 배출될 때마다, 빈번하게 생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 복수 층을 원하는 방식과 저 비용으로 서로 배합하여 특히 콘크리트 블록용으로 정의되고 균일한 외관을 갖는 대면 층을 제조하기 위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장치와 관련하여,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의해 달성된다.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사용하기에 유리한 저장 용기는 특허청구범위 제27항에 개시된다.
상기 방법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28항에 의해 달성된다.
층들의 소정 분량을 분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가 수용 공간의 측벽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분배용 개구부의 통로 크기가 분배 수단에 의해 가변적인 결과, 상이한 색상의 층들로 구성된 목적한 한정된 양의 콘크리트가 저장 용기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위해, "콘크리트"란 용어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또는 모르타르, 또는 블록, 특히 포석, 빌딩 블록 등을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유동성 물질을 동일하게 지칭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가 측벽에 배열되기 때문에, 상이한 색상의 층들로 구성된 콘크리트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저장 용기로부터의 콘크리트 낙하가 아닌, 저장 용기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층별로 저장된 콘크리트 순서대로 낙하할 수 있다. 측벽의 분배용 개구부는, 예를 들면 상이한 색상의 층들로 구성된 콘크리트를 동시에 하향 낙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먼저 측벽에서 상층에 있는 분배용 개구부를 개방시킨 후, 이어서, 소정 시간이 지난 후, 그보다 아래에 위치하거나 더 깊이 위치한 층들의 소정 분량을 분배용 개구부를 통해 분배시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유색 콘크리트 층들의 소정 분량이 그들의 이동 또는 비행 경로의 말단에 동시에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바람직한 예를 들면 균일한 배합을 결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오프셋(offset) 개구부는, 예를 들어 상기 분배 수단을 분배용 개구부에 대해 비스듬히 배열하거나 또는 상기 분배 수단의 개구부 가장자리를 비스듬히 배열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임의의 바람직한 배합을 설정 가능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문제가 되는 것은 특히 저장 용기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제거되는 콘크리트의 제1분량의 혼합 비율이, 처음으로 배출되는 저장 용기의 바닥에서 가장 가까운 층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용 개구부를 주기적으로 개폐시켜 개방 사이클 동안 층들의 소정 분량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경우 한정된 양의 콘크리트를 개별 층들로부터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수직 면에 대해 경사진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을 제공할 수 있다. 분배용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의 경사는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 층들의 소정 분량이 특히 효과적으로 그리고 각각의 경우 그 아래에 배열된 층에 독립적으로 분배될 수 있도록 한다.
원칙적으로는, 측벽의 일부에만 분배용 개구부를 경사지게 배열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측벽, 또는 복수개의 측벽의 일부에 분배용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측벽을 그에 따라 경사지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사는 또한 유리하게는, 하나가 다른 것의 상부에 위치한 2개 층의 경우에, 각각 측벽에 인접해 있는 상층이 하층을 지나 수평으로 돌출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가 분배 수단에 의해 개방되는 경우, 아래에 위치한 층과는 독립적으로, 중력으로 인해 상기 돌출부가 하향 낙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리한 방식으로, 상기 돌출부는 추가의 콘크리트가 분배용 개구부를 통해 미끄러져 내려가거나 분배용 개구부를 통해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단지 소정의 시간 동안 개방된 후 이어서 다시 폐쇄되는 분배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추가의 개방 사이클 동안, 미끄러져 내려간 콘크리트는 소정의 방식으로 분배될 수 있다.
측벽의 경사는 가변적이라면 유리하다.
경사는, 예를 들어 원하는 배합을 달성하기 위해, 콘크리트 조성물의 함수로서 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경사 변화는 특히 콘크리트 블록의 시각적 효과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블링 또는 균일한 배합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소정 분량이 이미 저장 용기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배출된 경우, 경사가 충전 수준의 함수로서 변하도록 할 수 있다.
측벽의 경사도는 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일 수 있다. 이들 값은 특히 바람직한 균일한 배합과 관련하여 그리고 측벽에서 분배용 개구부를 통해 분배되는 소정 분량을 고려해서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측벽 경사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측벽 경사에 더하여, 수용 공간 또는 저장 용기를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또는 피벗(즉, 선회)가능하게 또는 기울일 수 있게 제조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수용 공간의 적절한 회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당해 분야 숙련자에게 공지된 베어링 및/또는 샤프트/힌지 핀(hinge pi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역시, 수용 공간의 경사 또는 회전이 분배용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 방향으로 가변적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수용 공간을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 방향으로 충분히 멀리 경사지게 구성하거나 회전시켜 분배용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이 수용 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시각적 스트립(visual strip)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 공간의 범위를 한정하는 외벽(즉, 측벽, 바닥, 및 필요한 경우 덮개)이 적어도 대략 구 형상이거나 또는 원 형상의 아크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 방향으로 수용 공간을 회전 또는 경사지게 구성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이를 위해, 전체 수용 공간이 반드시 구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고, 수용 공간의 경사 또는 회전 각도 범위에 걸쳐 적어도 대략 구 형태를 가지면 충분하다. 따라서, 기계적 복잡성, 특히 수용 공간을 회전시키기 위한 베어링이 단순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 및/또는 대향 측벽은 서로 간의 거리가 변하도록 이동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측벽 간의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분배용 개구부에 콘크리트를 추가로 공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이동가능한 격벽을 대향 측벽에 선행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와 달리 또는 이에 더하여, 필요한 경우, 진탕 또는 진동을 제공하여 측벽의 분배용 개구부에 추가의 물질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가 측벽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또는 수직으로 나아가는 것이 유리하다.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의 수평 배치는 소정 분량의 콘크리트가 각각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 층으로부터 목적한 방식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분배용 개구부의 수평 배치에서는, 분배용 개구부가 다색 콘크리트의 각 층과 연결될 수 있도록, 측벽이 복수개의 분배용 개구부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이 경우에, 각각 수평으로 배열된 분배용 개구부를 두 층들 사이의 계면에 배치시켜, 분배용 개구부의 개방에 의해 소정 분량의 콘크리트가 두 층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분배용 개구부를 측벽에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측벽의 분배용 개구부의 경로와는 무관하게 층들의 균일한 배합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용 개구부에 포켓(pocket), 채널 또는 가이드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중력에 의해 상기 층들이 하향 낙하하도록 할 수 있다. 분배용 개구부 또는 분배용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의 특히 유리한 구성은 소정 거리로 배열된 두 개의 벽을 갖는 측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제1벽은 수용 공간에 직면해 있고 분배용 개구부를 가지며, 제2벽은 분배용 개구부를 통한 콘크리트의 낙하를 안내한다. 수용 공간의 내면에 직면해 있는 벽에는 가이드 또는 안정화 웹(web)이 분배용 개구부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웹이 또한 필요한 경우 후벽에 연결되어, 콘크리트가 낙하할 때 이를 안내하기 위한 채널 또는 포켓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포켓은 폐쇄되지 않고 높이 부분으로만 연장되는 안정화 웹 또는 안정화 웹의 개구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콘크리트의 낙하가 방해, 특히 막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 수단은 검(sword), 드로잉 시트(drawing sheet), 슬라이드(slide), 힌지(hinge) 등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실시양태가 분배용 개구부를 신속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개폐시키는 데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분배용 개구부를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분배 수단은 분배용 개구부의 통로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적절한 것이면 유리하다. 이는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 층들로부터 분배된 소정 분량을 제어하는 데 유리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분배 수단을 단지 단순히 개폐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분배 수단은 각각의 분배용 개구부와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분배 수단을 다른 분배 수단과 별도로 또는 함께 제어할 수 있다. 분배 수단의 개별 제어는, 특히 분배용 개구부가 측벽에서 수평으로 배향된 경우, 단지 1개 층만을 허용하여, 단지 1개의 콘크리트 색상만이, 필요에 따라 목적한 방식으로, 후속 배출 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분배 수단은 서로 연결되어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개의 분배용 개구부를 동시에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분배 수단이 통로 개구부를 지닌 연결 링크(connecting link)로서 구현된 경우, 배출 개구부의 통로 크기가 연결 링크의 통로 개구부와 오버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연결 링크가 분배용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에 조절가능하게 또는 변위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연결 링크를 측벽에 평행하게 변위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분배 수단을 연결 링크로서 구성하면 분배용 개구부를 개폐시키거나 또는 상이한 크기의 통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간단히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 수단의 영역 내의 층들을 이완시키기 위해 층들 쪽으로 배향된 돌출부, 핀, 스프링 등을 분배 수단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특히 분배 수단이 연결 링크로서 또는 연결 링크에 구현된 경우에 유리하다. 연결 링크를 측벽에 평행하게 변위시키면 돌출부, 핀 등이 연결 링크에 인접한 콘크리트를 이완시켜 콘크리트가 분배용 개구부를 통해 낙하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다른 또는 추가적인 구성에서는, 분배용 개구부의 통로 크기가 회전의 함수로 변하는 회전가능한 샤프트, 롤러 등으로 구현된 분배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분배용 개구부를 통해 소정 분량의 층들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샤프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이 같은 수단은 예를 들면 필요한 경우 수차 또는 베인 셀 펌프(vane cell pump)의 베인과 유사한 블레이드, 돌출부, 맨드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샤프트가 상호 연결되어 협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계 구성에서는, 수용 공간을 상이한 색상의, 가능하면 균일한 콘크리트 층들로 충전하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즉 상기 수단을,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가 부어질 때 실질적으로 균일한 층들을 형성하도록 수용 공간보다 위에 배치되는 안내 시트로서 구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층들은 또한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각각의 경우에 각 층마다 동일한 양의 콘크리트가 부어지지만 층들의 면적은 측벽의 경사로 인해 상이한 경우일 수 있다. 층의 두께는 일정한 것이 유리하다.
수용 공간의 바닥은 슬라이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유리하다. 분배될 수 없거나 또는 측벽의 배출 개구부를 통해 분배되지 않은 콘크리트는 슬라이드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제거는, 중력에 의해 수용 공간에 함유된 콘크리트의 소정 분량이 낙하하도록 슬라이드가 개구 슬롯을 배출하는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슬라이드가 횡 방향으로 이동하여, 측벽들 사이에서 가변성 개구 슬롯의 슬라이드를 통해 중력에 의해 소정 분량의 층들이 하향 낙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실질적으로 깔때기 형상으로 상부를 향해 크기가 증가하는 방식으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콘크리트 블록, 특히 포석을 제조하기 위한 기존의 장치를 개선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이를 위해, 복수개의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 층을 위한 수용 공간을 갖는 저장 용기는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기존의 장치에 통합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저장 용기를 기존의 저장 용기(이를 종종 "대면 용기"라고도 함) 위로 장착시키는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저장 용기로부터, 상기 콘크리트는 이어서 기존의 저장 또는 대면 용기 내로 분배되거나 또는 이곳에 원하는 배합된 조성물로 도달된다.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를 지닌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측벽은, 반드시 동시에 수용 용기의 외벽이거나 또는 수용 공간으로 도입되는 콘크리트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측벽일 필요는 없다. 수용 공간에서, 예를 들면 격벽으로 구현된 내벽인 측벽을 고려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격벽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벽은 특히 타워형, 돔형 또는 원추형으로 구현되어 수용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수용 공간으로 도입된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 층들과 연결되거나 또는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 층들과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는 임의의 원하는 수직 배열의 벽으로 (바람직하게는 또한 경사진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콘크리트 블록의 유리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가 수용 공간의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개방되는 결과 저장 용기로부터 분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분량의 층들이 제공된다. 이 경우, 측벽에서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가,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 각 층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균일한 또는 원하는 양이 분배용 개구부를 통해 낙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개방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가 측벽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 각 층으로부터, 임의의 주어진 경우에서 소정 분량이 하부층과는 무관하게 분배용 개구부 내로 낙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개방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하나가 다른 것의 상부에 위치한 2개 층의 경우에, 각각의 경우 측벽에 인접한 상층이 하층을 지나 수평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관해 기술된 추가의 특징들은 방법 단계들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 및 개발은 추가 종속항에 기재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들의 원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한다.
도 1은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의 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의 원론 형태의 사시도;
도 3은 분배용 개구부 및 분배용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분배 수단을 갖는 측벽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분배용 개구부가 측벽의 전면에서 변위가능하게 배열된 연결 링크-형 분배 수단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복수개의 분배용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 도면;
도 5는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를 몰드 내로 분배하기 위한 장치의 원론 형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추가 도면으로서, 부분적으로 개방된 수용 공간의 바닥(바닥은 슬라이드로서 구현됨)을 도시한 도면;
도 7a는 분배용 개구부, 및 상기 분배용 개구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샤프트로서 구현된 분배 수단이 제공된 측벽 부분의 상세도;
도 7b는 도 7a에 따른 도면으로서, 측벽에서의 분배용 개구부가 두 개의 상호 결합된 샤프트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a는, 도 6b로부터 라인 VII-VII에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분배용 개구부가 폐쇄되는 방식으로 샤프트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b는, 도 7a에 따른 샤프트의 도면으로서, 분배용 개구부가 완전히 개방되는 방식으로 샤프트가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수용 공간의 바닥(바닥은 슬라이드로서 구현됨)을 위로부터 본 원론 형태의 평면도로서, 슬라이드는 삼각형 요부를 갖고, 인접한 측벽은 슬라이드의 삼각형 요부와 상호작용하는 프리즘 또는 반원추 형태의 돌출부가 제공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분배용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의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원론 형태의 평면도.
콘크리트 블록, 특히 포석, 빌딩 블록 등의 제조장치 및 방법은 당해 분야에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필수적인 특징들만을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살펴본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EP 1,017,554 B1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기본 원리를 도시한다. 이 경우, 제공된 용기(1)는 폐쇄 부재(2)를 통해 용기(1) 아래에 배치된 몰드(4)로 배출될 수 있는 조질의 콘크리트(2) 또는 미립자 부재 콘크리트(no-fines concrete)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몰드(4)가 조질의 콘크리트(2)로 충전되면, 해당 몰드(4)는 공지의 방식으로 진탕 및/또는 압축 스테이션(5)으로 공급된다. 조질의 콘크리트(2)는 진탕 및/또는 압축 결과 압축 스테이션(5)에서 다져진다. 이 경우 상기 다져진 조질의 콘크리트(2) 위에 형성된 몰드(4) 내의 공간은 착색 콘크리트(6)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수용하는 작용을 한다. 콘크리트(6)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는 이 경우 대면 콘크리트 또는 대면 콘크리트 모르타르라고도 지칭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착색 콘크리트(6)는 대면 층을 형성하기 위해 저장 용기(7)에 저장된다. 이 경우, 상이하게 염색된 복수의 콘크리트 층(9, 10, 11, 12 및 13)이 제공되고(이들은 함께 사용되어 포석용 대면 층을 형성한다), 저장 용기(7), 또는 저장 용기(7)의 수용 공간(8)에 저장된다. 이 경우에 제공된 상기 층들(9, 10, 11, 12 및 13)은 수용 공간(8)의 바닥(14) 위에 적층 저장된다. 수용 공간의 바닥(14) 아래로, 저장 용기(7)는 폐쇄 부재(16)를 갖는 분배 장치(15)로 안내하는 원통형 또는 깔때기 형상의 확장부(7a)를 갖는다. 폐쇄 부재(16)는 착색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저장 용기(7)로부터 몰드(4)로 정량적 일정 비율로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작용을 한다. 폐쇄 부재(16)는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폐쇄 부재의 변위 또는 선회 결과로서, 저장 용기(7)의 하단부를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성(더욱 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저장 용기(7)의 깔때기 형상의 확장부(7a)를 저장 용기(7)와 무관한 저장 용기로, 특히 통상적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에서 저장 용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7)가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기존의 장치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7)는 이전 저장 용기(7)의 상단부에 대한 부착 장치로 부착되어 거기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다른 방법은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기존의 장치를 비교적 저가로 개선하거나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도 1 내지 도 6으로부터 또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8)을 둘러싸거나 형성 및 한정하는 측벽(17) 중 하나에 복수의 분배용 개구부(18)가 제공된다. 분배용 개구부(18)는 이 경우에 층들(9, 10, 11, 12 및 13)의 소정 분량을 분배하도록 작용하고, 이때 분배용 개구부(18)의 통로 크기는 분배 수단(19)에 의해 가변적이다.
분배용 개구부(18)가 형성된 측벽(17)은 수직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 상기 경사는 이 경우에, 도 2에 단순히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를 들면 크랭크 또는 전기 모터일 수 있는 조정 장치(20)에 의해 변할 수 있다. 측벽(17)의 경사를 변화시키기 위해, 조정 장치(20)를 구동시킴으로써 측벽(17)의 경사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가이드 장치(21)가 또한 제공된다.
특히 도 1 및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경사는, 서로의 위에 위치된 2개 층(9, 10, 11, 12 및 13)의 경우, 측벽(17)에 인접한 상부층이 각각의 경우에 하부층을 지나 수평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분배용 개구부(18)는 이러한 분배용 개구부가 측벽(17)의 경사와는 무관하게 각 층(9, 10, 11, 12 및 13)에 도달해서 각 층으로부터 콘크리트를 낙하시키도록 하는 방식으로 측벽(17)에 배열된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측벽(17)에서 수직으로 또는 교차로 나아가거나 또는 측벽(17)에서 수직으로 만들어지는 분배용 개구부(18)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분배용 개구부(18)는 이 경우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나아간다.
특히 도 1, 도 2 및 도 4를 조합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17)은, 분배용 개구부(18)에 의해 층들(9, 10, 11, 12 및 13)로부터 콘크리트 분량으로 충전되는 포켓(22)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포켓(22)에서, 콘크리트(6)가 중력에 의해 분배 장치(15) 또는 폐쇄 부재(16)의 방향으로 하향 낙하하도록 할 수 있다.
포켓(22)은, 측벽(17)이 두 개의 벽(17a, 17b)을 갖는 간단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벽(17a)은 측벽(17)의 전면이고 그것에 인접한 수용 공간(8)의 방향으로 배향된다. 벽(17a)에는 분배용 개구부(18)가 형성된다. 벽(17b)은,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폐쇄된 닫힌 후벽으로서, 벽(17a)의 뒤, 즉 수용 공간(8)으로부터 먼 측면에 위치하고, 분배용 개구부(18)를 통해 낙하하는 콘크리트(6)가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벽(17a, 17b) 사이에 안정화 시트(17c)가 배열된다. 안정화 시트(17c)는 벽(17a, 17b)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유리한 구성에서는, 안정화 시트(17c)가 일부 높이에 걸쳐서만 연장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복수의 안정화 시트(17c)가 서로 위에 그리고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것이면 충분하다.
분배 수단(19)은 임의의 원하는 방식, 바람직하게는 검, 드로잉 시트, 슬라이드, 힌지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통로 개구부(24)를 갖는 연결 링크(23)로 구현된 분배 수단(19)이 제공되며, 이때 연결 링크(23)는, 분배용 개구부(18)의 통로 크기가 이의 연결 링크(23)의 통로 개구부(24)와 오버랩되는 방식으로, 분배용 개구부(18)가 형성된 측벽(17)에 변위가능하게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연결 링크(23)의 통로 개구부(24) 간의 솔리드 웹(solid web) 또는 검은, 연결 링크(23)의 상응하는 위치에서, 분배용 개구부(18)를 완전히 폐쇄시키거나 또는 상응하는 변위에 의해 분배용 개구부(18)가 연결 링크(23)의 통로 개구부(24)와 오버랩되도록 하는 분배 수단이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연결 링크(23)는 측벽(17)의 벽(17a) 앞쪽에, 즉 벽(17a)과 수용 공간(8) 사이에 배열된다. 연결 링크(23)는 이 경우에 벽(17a)에 실질적으로 면-평행하게 연장된다. 원칙적으로, 연결 링크(23)는 수용 공간(8)에 함유된 콘크리트의 압력을 차단하지 않거나 또는 약간 차단함으로써 또한 다르게, 예를 들면 벽(17a)의 뒤쪽에 배열될 수도 있으며, 이때 연결 링크(23)의 변위는 벽(17a)에 면-평행하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연결 링크(23)는 벽(17a)의 전면에 변위가능하게 배열된다. 연결 링크(23)의 변위는 벽(17a) 또는 측벽(17)의 분배용 개구부(18)와 연결 링크(23)의 통로 개구부(24) 간의 오버랩을 변화시킨다.
도 3은 수용 공간(8)에 직면하는 연결 링크(23)의 측면에 대한 평면도로서, 분배 수단(19), 즉 연결 링크(23)의 통로 개구부(24) 사이의 웹이 분배용 개구부(18)를 부분적으로 폐쇄시킨다.
연결 링크(23)는 임의의 목적한 방식으로 벽(17a)에 대해 이동할 수 있으며,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도 2에 도시한 전기 모터(25)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도 4에 따른 단면은 구동 레버(26)를 추가로 도시하고 있으며, 이의 연장부(27)는 벽(17a)에 대해 면-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 링크(23)에 연결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배 수단(19), 즉 연결 링크(23)의 웹에는 층들(9, 10, 11, 12 및 13) 쪽으로 배향된 핀(28), 맨드럴 등이 제공되어, 분배 수단(19)의 영역에 있는 층들(9, 10, 11, 12 및 13)을 이완시킴으로써, 콘크리트(6)가 이완된 형태의 분배용 개구부(18)를 통해 낙하하면서 덩어리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3은 단지 한 줄 핀들을 도시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핀(28)이 각각의 층(9, 10, 11, 12 및 13)에 그리고 각각의 분배용 개구부(18)에 대해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7a 및 도 7b는 분배 수단(19)을 구성하는 2개의 대안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에 따르면, 상기 분배 수단은 분배용 개구부(18)의 통로 크기가 회전의 함수로서 변화되는 회전가능한 샤프트(19')로서 구현된다. 도 7a 및 7b는 이 경우 단지, 회전가능한 샤프트(19')가 배열된, 분배용 개구부(18)를 갖는 측벽(17) 또는 벽(17a)의 상세를 도시한다. 샤프트(19')는 이 경우 분배용 개구부(18)를 통해 층들의 분량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29)을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상기 수단은 이 경우 농축부(thickening)로서 구현되지만, 또한 베인(vain), 원주형, 확대부, 돌출부, 블레이드, 핀 등일 수 있다. 농축부(29)는, 분배용 개구부(18)를 통한 콘크리트(6)의 독립 낙하 외에도, 예를 들어 펌핑 중인 경우와 같이, 콘크리트(6)의 수용 공간(8)으로부터의 능동적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7b는, 서로 결합하여 협력하는, 각각의 분배용 개구부(18)에 대한 두 개의 각각의 샤프트(19') 배열을 도시한다. 이 경우, 도 8a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부분을 도시한 것으로, 농축부(29)가 분배용 개구부(18)를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폐쇄시키는 방식으로 샤프트(19')가 서로 결합한다. 도 8b는 90°로 회전한 결과 분배용 개구부(18)가 그의 최대 통로 크기를 갖는 샤프트(19')의 배열을 도시한다.
샤프트(19')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물질, 고무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측벽(17)에 분배용 개구부(18) 및/또는 반대 측벽(30)을 이동가능하게 제공하여 측벽(17, 30) 간 거리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도 1에 원리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가이드 시트 형태의 수단(31)을 제공하여 상이한 색상의 콘트리트 층들(9, 10, 11, 12 및 13)로 수용 공간(8)을 충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층들은 가능한 한 균일하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가이드 시트(31)는 상기 수용 공간 위에 배열된다.
수용 공간(8)은 임의의 목적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8)의 크기를 실질적으로 깔때기 형상으로 상부 쪽으로 증가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수용 공간(8)은 예를 들어 1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뿐만 아니라 도 5 및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8)의 바닥(14)은 슬라이드 또는 드로잉 시트로서 구현된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슬라이드(14)가 횡으로 변위가능하게 장착되어, 슬라이드(14)의 횡 방향 이동시, 개구 슬롯(32)이 수용 공간의 슬라이드(14)와 외벽(17, 30)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중력으로 인해 층들(9, 10, 11, 12 및 13)의 분량은 이 같은 개구 슬롯(32)을 통해 하향 낙하할 수 있다. 도 5는 슬라이드(14)가 폐쇄된 상태, 즉 수용 공간(8)의 바닥이 폐쇄된 것을 도시한다. 도 6은, 개방 슬롯(32)이 이미 원래 바닥의 1/3을 차지하여 층들(9, 10, 11, 12 및 13)의 분량 또는 컬럼이 붕괴되고 공정으로 배합될 수 있도록 도시한 것이다.
슬라이드(14)는 임의의 목적한 방식으로 및 공지의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와 관련, 슬라이드(14)의 일반적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 특히 EP 1,017,554 B1 참조. 또한, 경우에 따라, EP 1,017,554 B1에 따른 충격체, 프리즘 또는 가이드 시트가 슬라이드(14) 및/또는 분배용 개구부(18)로부터의 콘크리트 낙하 경로에 제공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슬라이드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된 평판 또는 평면 플레이트로서 구현된다. 도 2는 슬라이드(14)의 변위 가능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저장 용기(7)를 운반하는 캐리어 프레임(33)이 제공된다. 캐리어 프레임(33)은 수평면으로 충분히 멀리 연장되어, 개구 슬롯(32)이 개폐되는 방식으로 슬라이드(14)가 전기 모터(34)를 통해 변위될 수 있도록 한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슬라이드(14)는 포켓(22) 아래로 연장되지 않아서, 원칙적으로 상기 포켓은 개방된 상태로 있다. 그러나, 다른 구성에서는, 상기 포켓 또한 슬라이드(14) 또는 별도의 요소에 의해 폐쇄될 수도 있다.
도 9는 특정 구성에서 슬라이드(14)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슬라이드(14)는 이 경우, 상방으로 연장되는 프리즘형 또는 원추형 돌출부(35)에 의해 슬라이드(14)가 폐쇄되는 경우에 폐쇄되는 3각형 절개부를 갖는다. 슬라이드(14)가 개방되는 동안, 원추형 돌출부(35)로 인해 통상적인 슬라이드(14)에서보다 (원추형 돌출부(35)의 기울기 상승으로 인해) 더 많은 물질이 상부층(10, 11, 12 및 13)으로부터 흘러내린다. 이는 특정 용도에서 유리할 수 있다.
심지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는 무관하게, 도 9에 따른 슬라이드의 사용이 예를 들어 EP 1,017,554 B1에 따른 장치를 비롯한 특정 용도에 유리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추가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분배용 개구부(18)가 형성된 측벽(17)이 수용 공간(8)의 내벽으로서 구현된다. 측벽(17)은 이 경우 콘 형상으로 구성되어 수용 공간(8)의 바닥(14)으로부터 상부 쪽으로 점점 뾰족해진다. 웹 형태의 분배 수단(19) 및 통로 개구부(24)를 갖는 유형의 연결 링크(23)가 또한 제공된다. 이 구성에서, 연결 링크 요소(23)는 측벽(17)에 따라 개조되고, 따라서 원추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추 형태로 또한 구성된다. 측벽(17) 또는 이의 분배용 개구부(18)에 대한 연결 링크(23)의 회전으로 분배용 개구부(18)와 통로 개구부(24)의 오버랩이 변화되어, 분배용 개구부(18)의 통로 크기가 변화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히 개방되거나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슬라이드(14)의 바닥은 공지의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이때 콘 형상의 내벽 또는 측벽(17)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캐리어 장착을 통해 수용 공간의 외부 측벽과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양태에 대한 추가의 상세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도 2,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는 확장 시트(36)이다. 측벽(17)을 쉽게 경사 또는 선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측벽(17)이 경사지도록 측벽(17)의 벽(17b)을 회전 또는 선회가능하게 하는 베어링(37)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힌지 핀(37)이 벽(17b)과 결합될 때, 힌지 핀(37) 둘레로 회전 또는 선회하는 동안 벽(17a)의 아래 측면과 슬라이드(14) 간의 거리가 변해, 그 결과 형성된 갭(gap)을 통해 콘크리트(6)가 누출될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확장 시트(36)가 제공되며, 벽(17b)의 하부 측면에서 구동 요소(38)(도 2에 도시됨)를 통해 필요에 따라 연장되거나 수축되어 선회 결과로 형성된 갭을 보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힌지 핀(37)이 또한 벽(17a)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기본 원리는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서로 조합하여 보았을 때 명확하다. 포석의 상부 측을 형성하기 위한 착색 콘크리트의 대면 층을 적용하기 위해, 이 경우에는 착색 콘크리트가 저장 용기(7)로부터 몰드(4) 내로 도입되도록 한다. 상기 대면 층은 이 경우에 다양한 염료 층들(10, 11, 12 및 13)로 형성된다. 상기 층들은 이 경우 저장 용기(7) 내에 서로 적층되어 저장되고 임의의 목적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시트(31)를 사용하여 거기에 도입될 수 있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17)에서 분배용 개구부(18)가 개방되는 결과로, 상기 층들(9, 10, 11, 12 및 13)의 적어도 제1분량이 저장 용기(7)로부터 분배된다. 그러므로, 상기 층들(9, 10, 11, 12 및 13)의 적어도 제1분량은 완전히 배합된 형태로 분배 단위(15)의 폐쇄 부재(16) 상으로 낙하한다. 일단 제1분량이 완전히 배합된 형태로 폐쇄 부재(16)로 공급되면, 분배 수단(19)에 의한 분배용 개구부(18)의 주기적인 개방 및 폐쇄에 의해 공정이 반복될 수 있다. 이것이 목적한 바이거나 또는 충분한 물질이 더 이상 분배용 개구부(18)가 형성된 측벽(17)에 인접해 있지 않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14)가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개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층들(9, 10, 11, 12 및 13)의 분량이 끊기거나 하향 낙하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따르면, 예를 들어 포석 및 빌딩 블록 또는 플레이트, 스플리트 블록, 베니어 블록 등과는 별도로 콘크리트 물질로 제조된 임의의 목적한 블록 몸체를 착색된, 특히 마블링된 콘크리트 물질의 대면 층, 또는 상기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방법에 따른 색 혼합을 나타내는 대면 층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슬라이드(14) 및/또는 분배용 개구부의 적절한 제어에 의해 가시적 스트립 효과를 나타내는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착색 콘크리트 물질로부터 전적으로 형성된 임의의 유형 및 형상의 블록 몸체의 경우에 상기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분배용 개구부(18)를 통해 수용 공간(8)의 일부 분량뿐만 아니라 전체 내용물을 분배할 수도 있다.
특히 간단한 구성에서는, 개폐용 분배 수단(18)을 포기하거나 또는 분배 수단(19)이 분배용 개구부의 통로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 또한 종래 기술에 비해 배합을 개선시킨다. 그러나, 결과는 상기 분배 수단이 분배용 개구부의 개폐를 책임지는 경우만큼 유리하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이와 같은 변형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31)

  1. 복수의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 층을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용기; 및 하류의 배출 장치(15)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 공간(8)의 바닥은 슬라이드(14) 혹은 드로잉 시트(drawing sheet)로서 구현되는 것인, 포석(paving stone)이나 빌딩 블록과 같은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수용 공간(8)의 측벽(17)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층들(9, 10, 11, 12, 13)의 일부 분량을 분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1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의 배출 장치(15)가 상기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 층들(9, 10, 11, 12, 13)의 혼합체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층들(9, 10, 11, 12, 13)의 일부 분량을 상기 수용 공간(8)으로부터 분배하기 위해 분배 수단(19)이 제공되며, 상기 분배용 개구부(18)의 통로의 크기가 상기 분배 수단(19)에 의해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19)은, 개방 사이클 동안, 상기 층들(9, 10, 11, 12, 13)의 일부 분량을 분배하기 위하여, 상기 분배용 개구부(18)를 주기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18)가 형성된 상기 측벽(17)은 수직 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7)은, 상기 층들(9, 10, 11, 12, 13) 중 서로 적층된 두 층의 경우, 각각 상기 측벽(17)에 인접한 상부층(10)이 하부층(9)을 지나 수평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7)의 경사가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8)은,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18)가 형성된 상기 측벽(17)의 방향으로 경사 또는 선회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8)을 한정하는 외벽(14, 17, 30)이 라운드진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18)가 형성된 측벽(17) 및/또는 대향 측벽(30)은 서로 간의 거리가 변하도록 이동가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18)는 상기 측벽(17)에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또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7)에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된 복수의 분배용 개구부(1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용 개구부(18)는 중력에 의해 상기 층들(9, 10, 11, 12, 13)이 하향 낙하하도록 포켓(pocket)(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19)은 검(sword), 드로잉 시트(drawing sheet), 슬라이드(slide) 혹은 힌지(hinge)로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19)은 상기 분배용 개구부(18)의 통로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19)은 각각의 분배용 개구부(18)와 연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19)은 서로 연결되어 함께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19)은 통로 개구부(24)를 갖는 연결 링크(23)로 구현되고, 해당 연결 링크(23)는, 상기 분배용 개구부(18)의 통로 크기가 상기 연결 링크(23)의 통로 개구부(24)와 오버랩(overlap)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분배용 개구부(18)가 형성된 측벽(17)에 조정가능하게 또는 변위가능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19)에는, 해당 분배 수단(19) 영역 내로 상기 층들(9, 10, 11, 12, 13)을 이완시키기 위하여, 상기 층들(9, 10, 11, 12, 13)을 향해 배향된 돌출부, 핀(28) 혹은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19)은 상기 분배용 개구부(18)의 통로 크기를 회전 함수로서 변화시키는 회전가능한 샤프트(19')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9')는 상기 분배용 개구부(18)를 통해 상기 층들(9, 10, 11, 12, 13)의 일부 분량을 반송하기 위한 수단(2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두 개의 각각의 샤프트(19')가 서로 결합하여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가능한 한 균일한,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6) 층들(9, 10, 11, 12, 13)로 상기 수용 공간(8)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수단(31)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수단은, 상기 수용 공간(8) 위쪽에 배열된 가이드 시트(guide sheet)(31)로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14)가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중력에 의해 상기 층들(9, 10, 11, 12, 13)의 일부 분량을 하향 낙하시키도록 하는 가변적 개방 슬롯(32)이 측벽(17, 30)과 상기 슬라이드(14)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8)의 크기가 상부를 향해 실질적으로 깔때기 형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포석이나 빌딩 블록과 같은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6)의 복수의 층들(9, 10, 11, 12, 13)을 위한 수용 공간(8)을 갖는 저장 용기.
  28. 유색 콘크리트의 대면 층으로 상부 측을 조성하고, 상기 유색 콘크리트를 저장 용기로부터 몰드 내로 도입시키고, 상기 대면 층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상기 저장 용기 내에서 서로 적층 저장된 다양한 콘크리트 염색 층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층들을 중력에 의해 상기 저장 용기 바닥의 가변적 개구 슬롯을 통해 일정 비율로 하향 낙하시킴을 포함하는, 포석이나 빌딩 블록과 같은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18)를 수용 공간(8)의 측벽(17)의 적어도 일부에서 개방한 결과, 상기 층들(9, 10, 11, 12, 13)의 적어도 제1분량이 상기 저장 용기(7)로부터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균일하거나 또는 목적한 양이,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6) 각각의 층(9, 10, 11, 12, 13)으로부터 상기 분배용 개구부(18)를 통해 낙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측벽(17)에 있는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18)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18)가 상기 측벽(17)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상기 분배용 개구부(18)를 개방시켜, 임의의 주어진 경우에 하부층과는 무관하게 일부 분량이 상이한 색상의 콘크리트(6) 각각의 층(9, 10, 11, 12, 13)으로부터 상기 분배용 개구부(18) 내로 낙하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들(9, 10, 11, 12, 13) 중 서로 적층된 두 층의 경우, 각각 상기 측벽(17)에 인접한 상부층(10)이 하부층(9)을 지나 수평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분배용 개구부(18)가 형성된 상기 측벽(17)이 경사져 있거나 또는 경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20107019550A 2008-02-07 2009-01-28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KR101583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08279A DE102008008279A1 (de) 2008-02-07 2008-02-07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Betonsteinen
DE102008008279.1 2008-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970A KR20100136970A (ko) 2010-12-29
KR101583066B1 true KR101583066B1 (ko) 2016-01-06

Family

ID=4084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550A KR101583066B1 (ko) 2008-02-07 2009-01-28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8696341B2 (ko)
EP (1) EP2237937B1 (ko)
KR (1) KR101583066B1 (ko)
AT (1) ATE515383T1 (ko)
CA (1) CA2720195C (ko)
DE (1) DE102008008279A1 (ko)
DK (1) DK2237937T3 (ko)
ES (1) ES2369178T3 (ko)
HR (1) HRP20110703T1 (ko)
PL (1) PL2237937T3 (ko)
SI (1) SI2237937T1 (ko)
WO (1) WO200909798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18305B1 (en) * 2013-06-25 2016-03-23 SLM Solutions GmbH Powder appl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a powder application apparatus
DE102022127582A1 (de) 2022-10-19 2024-04-25 Baustoffwerke Gebhart & Söhn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bedruckten Betonkörpers
DE102022127578A1 (de) 2022-10-19 2024-04-25 Baustoffwerke Gebhart & Söhn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bedruckten Betonkörp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17554B1 (de) 1998-06-18 2003-09-24 Peter Geiger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betonsteinen, insbesondere pflastersteinen, mauersteinen od.dgl
US20030198122A1 (en) 2002-04-22 2003-10-23 Johnson Jay Jeffrey Process and equipment for producing concrete products having blended color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49868A (ko) * 1959-06-02
US3955907A (en) * 1970-12-07 1976-05-11 Keniti Yamasita Apparatus for molding layered concrete slabs
US4178340A (en) * 1978-06-26 1979-12-11 A B C Concrete Products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crete brick having antique appearance
DE3208290A1 (de) * 1980-11-06 1983-09-22 Ainedter Beteiligungs- und Entwicklungsgesellschaft mbH, 5020 Salzburg Betonausbreitvorrichtung
US4358205A (en) * 1981-03-13 1982-11-09 Eakins Raymond L Blending system
US4500273A (en) * 1983-12-19 1985-02-19 Anderson Dennis M Automatic pouring and dispens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hard and soft candy
US4624195A (en) * 1984-07-20 1986-11-25 Brinly-Hardy Co., Inc. Gravity spreader
JPH01192505A (ja) * 1988-01-28 1989-08-02 Katsura Kikai Seisakusho:Kk 三層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成型機用給材装置
JP3430279B2 (ja) * 1996-03-19 2003-07-28 株式会社石井製作所 穀類容器
US6619945B1 (en) * 2000-08-31 2003-09-16 James O. Sims Apparatus for forming structural blocks from compactible materials
US6817551B2 (en) * 2002-04-12 2004-11-16 Highway Equipment Company Convertible plural bin and conveyor material spreader
ITMO20020199A1 (it) * 2002-07-09 2004-01-09 Tecnogen Srl Apparato per convogliare prodotti ortofrutticoli
ITTV20020131A1 (it) * 2002-10-31 2004-05-01 Luca Toncelli Distributore di impasti di materiale lapideo o ceramico agglomerato per il riempimento di uno stampo
US7703397B2 (en) * 2006-09-08 2010-04-27 National Steel Car Limited Rail road hopper car fittings and method of operation
US20090320762A1 (en) * 2008-06-30 2009-12-31 Jung Wei Chang Sow feeder with a roll feed transport mechanis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17554B1 (de) 1998-06-18 2003-09-24 Peter Geiger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betonsteinen, insbesondere pflastersteinen, mauersteinen od.dgl
US20030198122A1 (en) 2002-04-22 2003-10-23 Johnson Jay Jeffrey Process and equipment for producing concrete products having blended col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08279A1 (de) 2009-08-13
EP2237937B1 (de) 2011-07-06
CA2720195C (en) 2017-03-21
HRP20110703T1 (hr) 2011-12-31
CA2720195A1 (en) 2009-08-13
KR20100136970A (ko) 2010-12-29
US8696341B2 (en) 2014-04-15
US9415527B2 (en) 2016-08-16
EP2237937A2 (de) 2010-10-13
US20140124088A1 (en) 2014-05-08
WO2009097989A2 (de) 2009-08-13
ES2369178T3 (es) 2011-11-28
DK2237937T3 (da) 2011-10-24
US20110115123A1 (en) 2011-05-19
ATE515383T1 (de) 2011-07-15
WO2009097989A3 (de) 2009-10-22
PL2237937T3 (pl) 2012-01-31
SI2237937T1 (sl) 201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803B2 (en) System for releasing bulk material, and container having such a bulk-material-releasing system
EP1879727B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highly controlled color distribution in mass produced concrete products
KR100803448B1 (ko) 몰드를 채우기 위한 덩어리로 된 세라믹 또는 석재로구성되는 혼합물의 분배기
EP2065150B1 (en) A device for making continuous veining of desired patterns extending through the entire thickness of a product and process of making thereof
US6461552B1 (en) Method of producing concrete stones, especially paving stones, building stones or such like
KR101583066B1 (ko)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
US6923565B2 (en) Process and equipment for producing concrete products having blended colors
US5893639A (en) Apparatus for producing and simulataneously distributing cement mixes and the like
EP0693352B1 (en) Device for feeding the mould loading carriage in ceramic tile manufacture
CN210082420U (zh) 一种可调开口的3d打印机铺粉装置
ES2213976T3 (es) Mezcladora para la fabricacion de bloques de material petreo.
US3867970A (en) Mixing and bagging machine for dry mixes
CN209903950U (zh) 一种可调开口的3d打印机铺粉装置
US10401213B2 (en) Pan scale for weighing and ejecting fiber components onto a mixing belt
CN220654587U (zh) 一种自动注浆机
KR100890033B1 (ko) 분상체용 포장기계
RU2089328C1 (ru) Дозатор формовочной смеси
JP3059914U (ja) 生コンクリート投入装置
ITBO970147A1 (it) Macchina per applicare del collante per piastrel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