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235B1 - 고속열차용 냉장고 - Google Patents

고속열차용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235B1
KR101582235B1 KR1020150068657A KR20150068657A KR101582235B1 KR 101582235 B1 KR101582235 B1 KR 101582235B1 KR 1020150068657 A KR1020150068657 A KR 1020150068657A KR 20150068657 A KR20150068657 A KR 20150068657A KR 101582235 B1 KR101582235 B1 KR 101582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ty
permanent magnet
refrigerator
do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이
Priority to KR1020150068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7/00Other furniture or furnish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2Doors that can be pivoted either left-handed or right-han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열차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이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지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제어신호에 의해 극성이 전환되는 극성가변자석부를 구비한 냉장고본체와; 상기 냉장고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를 개폐하고, 냉장고본체를 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극성가변자석부에 대응하는 영구자석부를 갖는 도어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조작신호발생부와; 상기 냉장고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극성가변자석부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극성가변자석부의 극성을 전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조작신호발생부로부터 조작신호를 받을 때에는 극성가변자석부가 영구자석부에 척력을 가하도록 하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인력을 가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고속열차용 냉장고는,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관성력에 의해 도어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지 않음은 물론 사용자가 개방할 때에는 보다 작은 힘으로 개방할 수 있어 그만큼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고속열차용 냉장고{Refrigerator for high-speed train}
본 발명은 고속열차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이나 각종 약품 또는 기타 저온보관 대상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여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는, 대상물을 수납하는 공간부를 구비한 냉장고본체와, 상기 냉장고본체에 설치되며 공간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장고본체에는 압축기와 응축기 팽창밸브와 기화기 등의 냉동사이클을 구현하기 위한 냉각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가정용에서부터 식당에서 사용하는 상업용은 물론 공업 전반에 걸쳐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들어 교통과 레저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개인용 승용차나 버스 또는 철도차량에도 냉장고가 설치되어 있다.
차량에 설치된 냉장고는 가령 음료수를 보관하여 운행 중 탑승자가 수시로 냉장고를 열어 원하는 음료수를 시원하게 마실 수 있게 한다.
그런데 개인용 승용차나 버스의 경우에는 차량의 내부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충분한 사이즈의 냉장고를 설치할 수가 없다. 가령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26093호(자동차용 냉장장치)에는, 차량의 리어시트에 개폐용 문을 설치하고 리어시트 후방에 냉장고를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냉장장치는 냉장고를 열기 위해 등받이에서 등을 떼어야 한다.
한편, 철도차량의 경우 승용차나 버스에 비해 공간이 넓고 또한 대부분 장거리 운행을 하므로, 되도록 많은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중형 이상의 냉장고가 사용되고 있다.
철도차량의, 가령 식당칸에 설치되는 냉장고는 일반 가정용 냉장고와 마찬가지로 여닫이형 도어를 갖는다. 즉 냉장고 앞에서 도어를 당겨 개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철도차량용 냉장고는, 크게 기계식과 자석식에 의하여 도어를 본체에 밀착시킨다.
기계식의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도어가 본체에 밀착되는 방식이며 그 밀폐가 확실히 보장되나 밀착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하여 그 조작이 번거롭다.
자석식의 경우, 도어의 내측 테두리부에 고무자석을 갖는다. 상기 고무자석은 도어의 내측 테두리부에 둘러진 신축성 부재로서, 냉장고본체와 도어와의 틈새를 차단함과 아울러 도어를 냉장고본체에 밀착시킨다. 자석식의 경우 그 개폐가 매우 간단하나 밀폐 자체가 불완전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철도차량용 냉장고는, 고무자석의 자기력에 어느 정도의 한계가 있고, 또한 도어의 닫힘상태가 고무자석의 자기력에만 의존하는 것이므로, 이를테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진동에 의해 도어가 쉽게 열릴 수 잇다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시속 300km 정도의 속도로 운행하는 고속철도의 경우, 공학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동적 문제를 모두 고려한다 하더라도, 차량 내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진동 혹은 차량의 운행으로 인한 관성력으로 인하여 냉장고용 도어가 쉽게 열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기존 냉장고의 경우, 도어가 단지 고무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닫혀 있기 때문에 도어의 닫힘상태가 강력하지 못하여, 예컨대, 차량의 운행시 바퀴로부터 올라오는 진동이 냉장고에 크게 전달되거나, 아니면 차량이 곡선주로를 주행할 때나 가속과 감속할 때 미치는 관성력에 의해 도어가 열릴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7986호 "전자석을 구비한 냉장고" (2014. 8.29. 등록)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관성력에 의해 도어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지 않음은 물론 사용자가 개방할 때에는 보다 작은 힘으로 개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고속열차용 냉장고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속열차용 냉장고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부(15)를 가지는 냉장고본체(13) ; 상기 냉장고본체(13)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15)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7) ; 상기 냉장고본체(13)에 마련되는 본체용 영구자석(27) ; 상기 본체용 영구자석(27)과 이격되면서 상기 냉장고본체(13)에 마련되되, 자기가 유지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제어용영구자석(29a)과 상기 제어용영구자석(29a)의 극성 변환을 위하여 상기 제어용영구자석(29a)을 감싸는 극성변환용코일(29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극성가변자석부(29) ;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17)의 상기 냉장고본체(13)를 향하는 대향면에 마련되는 제 1영구자석(25a) ; 상기 본체용 영구자석(27)에 대응하되, 상기 본체용 영구자석(27)에 대하여 서로 인력을 미치도록 상기 도어(17)의 상기 냉장고본체(13)를 향하는 대향면에 배치되는 제 2영구자석(25b) ;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조작신호발생부 ; 상기 냉장고본체(13)에 설치되며,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의 상기 극성변환용코일(29b)에 상기 제어용영구자석(29a)의 극성 변환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는 제어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43)는 상기 극성변환용코일(29b)에 극성 변환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며, 상기 극성변환용코일(29b)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유도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제어용영구자석(29a)의 극성이 변환되며, 상기 제어용영구자석(29b)의 극성 변환 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극성변환용코일(29b)에 전류 공급을 중단하며, 상기 제어용영구자석(29b)은 상기 전류 공급이 중단된 후에도 그 변환된 극성의 자기가 유지되며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신호발생부로부터 조작신호를 받을 때에는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와 상기 제 1영구자석(25a)이 서로 척력을 가하도록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에 극성 변환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며, 상기 도어(17)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와 상기 제 1영구자석(25a)이 서로 인력을 가하도록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에 극성 변환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며 ;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와 상기 제 1영구자석(25a)이 서로 척력을 가할 때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와 상기 제 1영구자석(25a)간에 작용되는 척력의 힘의 크기는 상기 본체용 영구자석(27)과 상기 제 2영구자석(25b)간에 작용되는 인력의 힘의 크기와 동일한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발생부는, 도어(17)의 손잡이(21)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조작되는 핸드스위치(23), 냉장고본체(13)의 하측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발에 의하여 조작되는 풋스위치(41), 또는 도어(17)의 손잡이(21)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을 때 파지 여부를 센싱하여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37)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고속열차용 냉장고는,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관성력에 의해 도어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지 않음은 물론 사용자가 개방할 때에는 보다 작은 힘으로 개방할 수 있어 그만큼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열차용 냉장고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고속열차용 냉장고의 개폐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열차용 냉장고의 작동 방식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열차용 냉장고의 다른 작동 방식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속열차용 냉장고(11)는, 냉장고의 도어(17)가 비정상적인 힘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도어를 보다 작은 힘으로 쉽게 열 수 있도록 다수의 영구자석(25a,25b)과 극성가변자석부(29)를 적용한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속열차용 냉장고(11)는, 영구자석에 코일을 감고 코일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영구자석의 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이론에 기초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열차용 냉장고(11)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고속열차용 냉장고의 개폐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속열차용 냉장고(11)는, 냉각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5)를 구비한 냉장고본체(13)와, 상기 냉장고본체(13)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15)를 개폐하는 도어(17)와, 상기 도어(17)의 손잡이(21) 부분이나 냉장고본체(13)의 전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신호발생부와,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의 극성을 전환하는 제어부(4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먼저, 상기 냉장고본체(13)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내부의 공간부(15)를 갖는다.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 공간부(15)의 사이즈나 크기 등이 달라짐은 당연하다. 상기 공간부(15)는 냉장고본체(13)의 전방으로 개방되며 도어(17)에 의해 개폐된다.
특히 상기 냉장고본체(13)의 전면(前面)에는 극성가변자석부(29)와 본체용 영구자석(27)이 위아래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와 본체용 영구자석(27)은, 도어(17)를 닫은 상태에서, 도어(17)의 손잡이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도어용 제 1영구자석(25a) 및 도어용 제 2영구자석(25b)과 마주한다.
도 2에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와 본체용 영구자석(27)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는, 제어용 영구자석(29a)과,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29a)에 권취된 극성변환용코일(29b)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29a)은 N극과 S극을 갖는 일반적인 영구자석으로서 항상 일정한 자기력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29a)의 사이즈나 출력자기력은 가급적 본체용 영구자석(27)과 동일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극성변환용코일(29b)은 제어용 영구자석(29a)을 감싸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류를 통과시키며 제어용 영구자석(29a)의 극성을 전환한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어떤 코일의 내부에 영구자석이 위치하는 경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에 감싸인 영구자석은 코일에 의해 유도된 자기장에 노출된다.
특히, 코일에 의해 유도된 자기장의 세기가, 영구자석의 자기장보다 강해지면 영구자석의 극성이 유도 자기장의 방향으로 변화된다. 또한, 이와 같은 극성 변화 후, 코일에 유도된 자기장을 제거해도(즉 코일에 전류 공급을 중단하여도) 영구자석의 극성은 변환된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즉, 영구자석의 극성 변화 후, 그 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전류를 인가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결국, 상기 제어용영구자석(29a)에 극성변환용코일(29b)을 감은 상태로, 극성변환용코일(29b)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N극을 S극으로 변환시키고 S극을 N극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극성변환용코일(29b)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 전환은 후술할 제어부(43)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을 갖는 극성가변자석부(29)는 냉장고본체(13)의 전면에 내장된다. 필요에 따라 극성가변자석부(29)를 냉장고본체(13)에 대해 끼움식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가령 극성가변자석부(29)를 빼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의 하부에 구비된 본체용 영구자석(27)은 일반적인 영구자석으로서 S극이 냉장고본체(13)의 전방을 향하고 있다.
한편, 상기 도어(17)는 힌지브라켓(31)을 통해 냉장고본체(13)의 전면에 위치하며 일측에 손잡이(21)를 갖는다. 상기 손잡이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내측에 도어용 제 1영구자석(25a) 및 도어용 제 2영구자석(25b)을 구비한다.
상기 도어용 제 1영구자석(25a) 및 도어용 제 2영구자석(25b)는 일반적인 영구자석으로서, 위에 언급한 바와같이, 도어(17)를 닫은 상태에서, 극성가변자석부(29) 및 본체용 영구자석(27)에 각각 대응하며 서로간에 자기력을 미친다.
특히 도어용 제 2영구자석(25b)과 본체용 영구자석(27)은 상호 인력을 가하도록 장착된다.
하지만, 극성가변자석부(29)와 도어용 제 1영구자석(25a)은 (극성변환용코일(29b)에 가해진 전류의 방향에 따라) 서로에 대해 인력을 가할 수도 있고, 척력을 미칠 수도 있다.
극성가변자석부(29)와 도어용 제 1영구자석(25a)이 서로 척력을 발생하는 것은 도어(17)를 개방하기 위하여 조작신호발생부를 조작했을 때이며, 극성가변자석부(29)와 도어용 제 1영구자석(25a)이 서로 인력을 발생하는 것은 도어(17)가 닫힌 상태로 변화될 때이다.
상기 조작신호발생부는, 핸드스위치(23)나 풋스위치(41) 또는 센서부(37)를 포함한다.
상기 핸드스위치(23)는, 손잡이(21)에 배치된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손잡이(21)를 잡아 당길 때 가령 엄지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다. 상기 핸드스위치(23)를 누르면 극성변환용코일(29b)에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어, 극성가변자석부(29)와 도어용 제 1영구자석(25a)의 사이에 척력이 유도된 후(즉 극성가변자석부(29)의 극성이 변환된 후) 극성변환용코일(29b)에 더이상의 전류 공급이 중단된다.
또한 풋스위치(41)는 발끝으로 터치할 수 있는 스위치로서 핸드스위치(23)와 같은 역할을 한다. 즉 풋스위치(41)를 발끝으로 터치하면 상기 극성변환용코일(29b)에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고, 극성가변자석부(29)와 도어용 제 1영구자석(25a)의 사이에 척력이 발생한 후(즉 극성가변자석부(29)의 극성이 변환된 후), 극성변환용코일(29b)에 더이상의 전류 공급이 중단된다.
상기 풋스위치(41)는 냉장고(11)의 전면 하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발끝으로 가볍게 터치할 경우 작동하는 스위치이다. 굳이 허리를 굽히지 않더라도 척력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센서부(37)는 손잡이(21)의 내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을 때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센서부(37)의 센싱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극성가변자석부(29)에서 유도되는 척력이, 본체용 영구자석(27)과 도어용 제 2영구자석(25b)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과 동일하게 설계할 경우, 도어(17)를 매우 쉽고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다. 즉 척력과 인력이 서로 상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도어(17)를 매우 쉽고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다.
즉 도어(17)가 냉장고본체(13)로부터 매우 자연스럽게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손이 센서부(37)로부터 떨어지면(즉 도어(17)가 닫히려고 하는 순간), 제어부(43)는 극성변환용코일(29b)에 순방향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여, 극성가변자석부(29)와 도어용 제 1영구자석(25a)의 사이에 인력이 유도되며(즉 제어용영구자석(29b)의 극성이 변환되며), 이에 의하여 도어(17)가 냉장고본체(13)에 확실하게 밀착되며, 이후 극성변환용코일(29b)에의 전류 공급이 중단된다.
즉 도어(17)는, 극성가변자석부(29)와 도어용 제 1영구자석(25a) 사이의 인력과 본체용 영구자석(27)과 제 2영구자석(25b) 사이의 인력을 합한 힘으로 냉장고본체(13)에 밀착되는 것이다.
한편 핸드스위치(23)나 풋스위치(41)에 대응하여 닫힘스위치(33)를 마련할 수 있다.
공간부(15)의 상측부에는 닫힘스위치(33)가 위치한다. 상기 닫힘스위치(33)는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지지된 스위치로서, 도어(17)를 닫을 때 도어(17)의 푸싱블록(35)에 의해 밀려 들어간다. 상기 푸싱블록(35)은 닫힘스위치(33)를 누르기 위해 도어(17)로부터 돌출된 부분이다.
상기 닫힘스위치(33)는 도어(17)를 닫을 때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43)로 보내고, 제어부(43)로 하여금 극성변환용코일(29b)에 순방향의 전류를 인가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어(17)를 닫을 때 상기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면, 다른 온오프 방식의 스위치를 얼마든지 적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열차용 냉장고(11)의 작동 방식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로서, 조작신호발생부로서 센서부(37)가 적용된 예이다.
상기 센서부(37)는 제어부(43)와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43)는 극성가변자석부(29)를 조작하기 위해 극성변환용코일(29b)에 순간적으로 전류를 인가한다.
사용자가 센서부(37)를 터치하면, 센서부는 그 사실을, 사용자가 도어(17)를 개방한다는 신호로 인식하여 제어부(43)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43)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교류전력을 직류로 변환한 후 극성변환용코일(29b)로 전달하여, 극성가변자석부(29)가 도어용 제 1영구자석(25a)을 밀어내도록 유도하며, 이와 같이 극성가변자석부(29)의 극성이 변환된 후 제어부(43)는 전류 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손이 센서부(37)로부터 떨어지면, 센서부(37)는 제어부(43)로 재차 제어신호를 보낸다. 이번에는 냉장고의 도어(17)가 닫혔거나 닫히려고 하는 상태라고 인식하여 그에 맞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제어부(43)는 센서부(37)로부터 다시 들어온 신호를 받아, 극성변환용코일(29b)에 순방향 전류를 인가하여, 극성가변자석부(29)와 도어용 제 1영구자석(25a) 사이에 인력이 유도되도록 하여, 도어가 강력한 자력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이와 같이 극성가변자석부(29)의 극성이 변환된 후 제어부(43)는 전류 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열차용 냉장고(11)의 다른 작동 방식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의 경우 조작신호발생부로서 스위치부(45)가 적용되었다.
상기 스위치부(45)는 위에 설명한 핸드스위치(23) 또는 풋스위치(41)이다. 상기 핸드스위치(23)나 풋스위치(41)는 그 설치위치는 다르지만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핸드스위치(23)나 풋스위치(41)는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가령 핸드스위치(23)를 누른 후 풋스위치(41)를 다시 누르더라도, 풋스위치(41)의 스위칭동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반대로 풋스위치(41)를 작동한 후 핸드스위치(23)를 누르더라도 핸드스위치(23)의 스위칭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여하튼 상기 스위치부(45)를 작동시키면 제어부(43)로 제어신호가 전송된다. 제어부(43)는 극성변환용코일(29b)로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여, 극성가변자석부(29)와 도어용 제 1영구자석(25a) 사이에 척력이 유도되도록 한 후 전류 공급을 중단한다. 척력이 미치는 만큼 도어(17)를 쉽게 개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43)와 닫힘스위치(33)의 사이에는 닫힘회로부(47)가 구비된다. 상기 닫힘회로부(47)는 닫힘스위치(33)의 스위칭시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43)로 하여금 극성변환용코일(29b)에 순방향 전류를 인가하도록 한 후 전류 공급을 중단하는 것이다.
즉, 냉장고의 사용이 완료되어 도어(17)를 닫으면, 상기 닫힘스위치(33)가 눌리고 그에 따라 닫힘회로부(47)가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43)로 보내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43)는 닫힘회로부(47)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통해 극성변환용코일(29b)로 순방향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극성가변자석부(29)와 도어용 제 1영구자석(25a) 사이에 인력이 미치도록 한 후 전류 공급을 중단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고속열차용 냉장고 13:냉장고본체
15:공간부 17:도어
19:도어가스켓 21:손잡이
23:핸드스위치 25a:도어용 제 1영구자석
25b:도어용 제 2영구자석 27:본체용 영구자석
29:극성가변자석부 29a:제어용영구자석
29b:극성변환용코일 31:힌지브라켓
33:닫힘스위치 35:푸싱블록
37:센서부 41:풋스위치
43:제어부 45:스위치부
47:닫힘회로부

Claims (2)

  1.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부(15)를 가지는 냉장고본체(13) ;
    상기 냉장고본체(13)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15)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7) ;
    상기 냉장고본체(13)에 마련되는 본체용 영구자석(27) ;
    상기 본체용 영구자석(27)과 이격되면서 상기 냉장고본체(13)에 마련되되, 자기가 유지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제어용영구자석(29a)과 상기 제어용영구자석(29a)의 극성 변환을 위하여 상기 제어용영구자석(29a)을 감싸는 극성변환용코일(29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극성가변자석부(29) ;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17)의 상기 냉장고본체(13)를 향하는 대향면에 마련되는 제 1영구자석(25a) ;
    상기 본체용 영구자석(27)에 대응하되, 상기 본체용 영구자석(27)에 대하여 서로 인력을 미치도록 상기 도어(17)의 상기 냉장고본체(13)를 향하는 대향면에 배치되는 제 2영구자석(25b) ;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조작신호발생부 ;
    상기 냉장고본체(13)에 설치되며,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의 상기 극성변환용코일(29b)에 상기 제어용영구자석(29a)의 극성 변환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는 제어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43)는 상기 극성변환용코일(29b)에 극성 변환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며, 상기 극성변환용코일(29b)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유도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제어용영구자석(29a)의 극성이 변환되며, 상기 제어용영구자석(29a)의 극성 변환 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극성변환용코일(29b)에 전류 공급을 중단하며, 상기 제어용영구자석(29a)은 상기 전류 공급이 중단된 후에도 그 변환된 극성의 자기가 유지되며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신호발생부로부터 조작신호를 받을 때에는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와 상기 제 1영구자석(25a)이 서로 척력을 가하도록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에 극성 변환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며, 상기 도어(17)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와 상기 제 1영구자석(25a)이 서로 인력을 가하도록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에 극성 변환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며 ;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와 상기 제 1영구자석(25a)이 서로 척력을 가할 때 상기 극성가변자석부(29)와 상기 제 1영구자석(25a)간에 작용되는 척력의 힘의 크기는 상기 본체용 영구자석(27)과 상기 제 2영구자석(25b)간에 작용되는 인력의 힘의 크기와 동일한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열차용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발생부는, 도어(17)의 손잡이(21)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조작되는 핸드스위치(23), 냉장고본체(13)의 하측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발에 의하여 조작되는 풋스위치(41), 또는 도어(17)의 손잡이(21)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을 때 파지 여부를 센싱하여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열차용 냉장고.
KR1020150068657A 2015-05-18 2015-05-18 고속열차용 냉장고 KR101582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657A KR101582235B1 (ko) 2015-05-18 2015-05-18 고속열차용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657A KR101582235B1 (ko) 2015-05-18 2015-05-18 고속열차용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235B1 true KR101582235B1 (ko) 2016-01-11

Family

ID=5516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657A KR101582235B1 (ko) 2015-05-18 2015-05-18 고속열차용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2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5787A (zh) * 2019-07-10 2019-11-08 广东铁峰信息技术有限公司 电力机车用智能调温冷藏装置及其调温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203A (ko) * 2003-01-22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개폐 장치
KR20110024853A (ko) * 2009-09-03 2011-03-09 양진우 영구자석의 극성 변화와 극성간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 밸브
KR101437986B1 (ko) 2008-04-07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석을 구비한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203A (ko) * 2003-01-22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개폐 장치
KR101437986B1 (ko) 2008-04-07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석을 구비한 냉장고
KR20110024853A (ko) * 2009-09-03 2011-03-09 양진우 영구자석의 극성 변화와 극성간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5787A (zh) * 2019-07-10 2019-11-08 广东铁峰信息技术有限公司 电力机车用智能调温冷藏装置及其调温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136B1 (ko) 음료의 냉장운반용 전동카트
KR101582235B1 (ko) 고속열차용 냉장고
JP2000146421A (ja) 冷蔵庫
CN102410696A (zh) 冰箱
JP2010065921A (ja) 冷蔵庫
JP4901555B2 (ja) 冷蔵庫
JP2006336969A (ja) 物品貯蔵装置
EP1711760A1 (en) A refrigerator
JP3880821B2 (ja) 冷蔵庫の扉開放装置
JP3922940B2 (ja) 冷蔵庫等の扉開閉装置
JP4054338B2 (ja) 貯蔵庫
JP2002257466A (ja) 冷蔵庫の扉開放装置
CN103776229B (zh) 在门上具有用于通达制冷舱室的内在部分的舱门的冰箱
JP4054361B2 (ja) 貯蔵庫
JP2011092237A (ja) 保温・再加熱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配膳車
JP2002295967A (ja) 冷蔵庫における扉開放装置
JP4125360B2 (ja) 冷蔵庫の扉開放装置
JP2017227373A (ja) 冷蔵庫
KR20120045944A (ko) 냉온장고를 구비한 자전거
JP7285086B2 (ja) 貯蔵庫
JP2002213867A (ja) 冷蔵庫
KR20160054758A (ko) 냉장고
KR20150063279A (ko) 개폐가 용이한 냉장고
JP7215926B2 (ja) 貯蔵庫
CN216159445U (zh) 冰箱及其抽屉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