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75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758A
KR20160054758A KR1020140154147A KR20140154147A KR20160054758A KR 20160054758 A KR20160054758 A KR 20160054758A KR 1020140154147 A KR1020140154147 A KR 1020140154147A KR 20140154147 A KR20140154147 A KR 20140154147A KR 20160054758 A KR20160054758 A KR 20160054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force generating
door
generating unit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규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4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4758A/ko
Publication of KR20160054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 도어; 도어에 장착되어, 도어가 상기 냉장고 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레일 어셈블리에 설치되어, 도어의 인출 또는 인입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를 포함하고, 레일 어셈블리는, 저장 공간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과, 도어에 고정되고 고정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하고, 동력 발생부는, 고정 레일에 구비되는 제 1 자력 발생부와, 이동 레일에 구비되고, 일측이 제 1 자력 발생부의 일측과 마주보는 제 2 자력 발생부를 포함하고, 도어가 인출 또는 인입될 때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 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 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냉장고에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상하로 구획되고 하측에 냉동실이 구비되는 바텀프리즈(Bottom freeze) 타입의 냉장고가 있으며, 바텀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서 냉동실 도어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냉동실을 개폐하는 구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선행 발명은 공개특허공보 10-2006-0091502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냉장고의 슬라이딩 도어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도어 폐쇄 시 탄성력을 이용하여 도어를 밀착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도어를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레일 어셈블리의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 어셈블리에 자석 또는 전자석을 장착하여 도어 인출입시 도어에 개폐력을 제공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냉장고 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인출 또는 인입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저장 공간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과, 상기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발생부는, 상기 고정 레일에 구비되는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이동 레일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의 일측과 마주보는 제 2 자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인출 또는 인입될 때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는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는 일측이 상기 전자석의 일측과 마주보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인출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의 일측이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의 일측과 같은 극으로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인입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의 일측이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의 일측과 반대 극으로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는 일측이 상기 영구자석의 일측과 마주보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인출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의 일측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의 일측과 같은 극으로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인입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의 일측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의 일측과 반대 극으로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및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는 각각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인출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및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는 마주보는 방향이 서로 같은 극을 갖도록 각각 자화되고, 상기 도어가 인입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및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이 서로 다른 극을 갖도록 각각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레일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의 자세유지를 위해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와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는 제 3 자력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자력 발생부는 상기 고정 레일의 전후 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이 교번하여 착자되는 다수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냉장고 본체에 장착된 고정 레일 및 도어에 연결된 이동 레일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도어의 인출 또는 인입이 시작되는 단계;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의 인출 또는 인입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도어의 인출 또는 인입이 감지되면, 상기 이동 레일에 장착된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고정 레일에 장착된 제 2 자력 발생부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또는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화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의 인출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 사이에 척력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또는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에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인입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 사이에 인력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또는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에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또는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에 전류가 인가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전류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도어 개폐 시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에 사이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하여 도어의 개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도어의 인출입이 원활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 레일과 이동 레일에 구비된 전자석과 영구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자세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밀폐를 위한 탄성부재 등의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레일 어셈블리의 구조가 간단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가 인출된 경우의 레일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도어가 인입된 경우의 레일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레일 어셈블리를 I-I`에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도어가 인출될 때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도 1의 도어가 인입될 때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도어가 인출될 때의 레일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어가 인입될 때의 레일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냉장고 본체(10)와 상기 냉장고 본체(10)에 형성되는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 본체(10)는 저장 공간은 베리어(11)에 의해 저장 공간을 상부 저장 공간과 하부 저장 공간(13)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상부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한 쌍의 회전 도어(14, 15)와, 상기 냉장고 본체(1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하부 저장 공간(13)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회전 도어(14, 15)는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전면 좌우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16)는 상기 하부 저장 공간(13)의 내측 벽면(17)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6)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상기 슬라이딩 도어(16)를 도어(16)라 하고, 상기 하부 저장 공간(13)을 저장 공간(13)이라 한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도어(16)를 지지하는 한 쌍의 도어 프레임(21, 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도어 프레임(21, 22)은 상기 도어(16)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도어 프레임(21, 22)은 상기 도어(16)의 배면에서 상기 저장 공간(13)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한 바스켓(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0)은 상기 한 쌍의 도어 프레임(21, 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30)의 양 측면부는 상기 한 쌍의 도어 프레임(21, 22)에 각각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스켓(30)은 상기 도어(16)와 일체로 전후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도어(16)가 상기 냉장고 본체(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 어셈블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40)는 다단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의 일측은 상기 한 쌍의 도어 프레임(21, 22)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의 타측은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내측 벽면(17)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에는 영구자석 및 전자석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후술한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저장 공간(13)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 스위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6)가 상기 저장 공간(13)을 폐쇄하면, 상기 도어(16)가 상기 도어 스위치(50)에 접촉하여 상기 저장 공간(13)의 폐쇄가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6)가 상기 저장 공간(13)을 개방하면, 상기 도어(16)와 상기 도어 스위치(50)가 이격되어 상기 저장 공간(13)의 개방이 감지된다.
상기 도어 스위치(50)는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내측 벽면(17)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도어 스위치(5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어(16)에 의한 상기 저장 공간(13)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경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도어(16)에는 상기 도어 스위치(50)와 접촉하는 스위치 누름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6)는 냉장고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저장 공간(13)이 아닌 상부 저장 공간에도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6)의 위치는 냉장고의 저장 공간을 개폐하기 위해 장착되는 경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냉장고(1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60)는 상기 냉장고(1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 공간의 온도 변경 명령과, 제상 운전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60)는 터치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레일 어셈블리(40)가 상기 레일 가이드(50)에 수용되어 슬라이딩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도어가 인출된 경우의 레일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도어가 인입된 경우의 레일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 는 도 2의 레일 어셈블리를 I-I`에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40)는 상기 한 쌍의 도어 프레임(21, 22)에 각각 장착되는 이동 레일(41)과,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내측 벽면(17)에 장착되는 고정 레일(45) 및 상기 고정 레일(45)과 상기 이동 레일(41)을 연결하는 연장 레일(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일(45)과, 이동 레일(41) 및 연장 레일(43)은 다단 인출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16)에는, 상기 이동 레일(41)과 연결되는 상기 연장 레일(43)이 하나 또는 그 이상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16)는 상기 고정 레일(45)과 상기 이동 레일(41) 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일(45)에는 상기 이동 레일(41) 및 상기 연장 레일(43)이 안착되는 안착홈(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46)과 상기 연장 레일(43) 사이에는 볼 베어링이 상하로 개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장 레일(43)은 상기 안착홈(46)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16)가 상기 고정 레일(45)과 상기 이동 레일(41) 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레일(41)이 상기 안착홈(46) 내에서 볼 베어링에 의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40)는 상기 고정 레일(45)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 1 자력 발생부(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는 철심(471)과 상기 철심(471)에 권선되는 코일(47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472)에 전류가 일방향으로 인가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는 자기화(磁氣化)될 수 있다.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될수록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증가할 수 있으나, 어느 점 이상이 되면 전류가 증가되어도 자기장이 거의 증가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코일에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40)는 상기 이동 레일(41)에 장착되어 일측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의 일측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 2 자력 발생부(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로부터 인력 또는 척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과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반대 자극으로 자화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 사이에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 사이에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인력 또는 척력)은 상기 도어(16)의 인출 또는 인입을 위한 구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를 통칭하여 동력 발생부(42, 47)라 한다.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에 인가되는 전류는 상기 도어(16)의 개폐 여부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7 이하에서 후술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40)는 상기 이동레일(41)의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한 제 3 자력 발생부(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자력 발생부(48)는 상기 안착홈(46)의 내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 레일의 전후 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이 교번하여 착자되는 다수의 영구자석(481, 483, 485, 48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레일(41)과 상기 고정 레일(45)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제 3 자력 발생부(48)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 사이에는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이 인접한 제 3 자력 발생부(48)와 척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 레일(41)은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도 4 참조). 반대로,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이 인접한 제 3 자력 발생부(48)와 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 레일(41)은 이동이 제한된다(도 4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레일(41)이 인출되어 정지된 상태에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3 자력 발생부(48)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기 이동 레일(41)이 다단으로 움직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 3 자력 발생부(48)는 상기 도어(16)가 상기 저장 공간(13)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밀폐 유지부(48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 유지부(487)은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 유지부(487)는 상기 고정 레일(45)의 내측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폐 유지부(487)는 상기 도어(16)가 폐쇄되면,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와 인력을 작용할 수 있을 정도로 근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밀폐 유지부(487)의 위치는,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와 상기 밀폐 유지부(487)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의 세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어(16)의 개페에 따른 상기 냉장고(10)의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며, 도 6은 도 1의 도어가 인출될 때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7은 도 1의 도어가 인입될 때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8은 도어가 인출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도어가 인입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는 상기 냉장고(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부(60)를 통하여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냉장고(1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도어 스위치(50)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저장 공간(13)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냉장고(1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도어(16)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가 아닌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 또는 상기 제 3 자력 발생부(48)에 전자석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 또는 상기 제 3 자력 발생부(48)에도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어부(100)에 의한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도어(16)를 인출하는 경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어(16)가 상기 저장 공간(13)을 폐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16)를 인출하면(S1), 상기 도어(16)가 상기 도어 스위치(50)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도어(16)의 인출이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16)가 인출될 때란, 상기 도어(16)가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전방부를 향하여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는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로부터 상기 도어(16)가 이동한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일정 거리란 상기 도어 스위치(50)에 의하여 상기 도어(16)의 인출이 감지되는 정도의 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도어(16)를 인출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의 코일(472)에 전류를 인가한다(S2). 이 때,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정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코일(472)에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는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와 마주보는 방향이 같은 극을 갖도록 자화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한다(S3). 이에 따라,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는 상기 이동 레일(41)을 거쳐 상기 도어(16)로 구동력을 전달한다(도 8 참조). 사용자는 상기 도어(16) 인출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받으므로 상기 도어(16)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도어(16)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2)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7) 사이의 거리가 멀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2)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7)는 서로 간에 자력을 미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 도어(16)의 인출 시작 시점에만 일시적으로 상기 동력 발생부(42, 47)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만 상기 코일(472)에 전류를 인가한다(S4). 설정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상기 코일(472)에 인가되는 전류가 차단된다(S5). 이에 따라,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는 자력을 잃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도어(16)를 인입하는 경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어(16)가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16)를 인입하면(S11), 상기 도어(16)가 상기 도어 스위치(50)와 접촉하면서 상기 도어(16)의 인입이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16)가 인입될 때란, 상기 도어(16)가 상기 도어 스위치(50)에 접촉되지만, 상기 도어(16)가 상기 저장 공간(13)을 완전히 폐쇄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는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6)를 인입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의 코일(472)로 전류를 인가한다(S12). 이 때, 상기 코일(472)에는 상기 도어(16)가 인출될 때와 달리 역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된다.
상기 코일(472)에 역방향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는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와 마주보는 방향이 반대 극을 갖도록 자화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한다(S13). 이에 따라,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는 상기 이동 레일(41)을 거쳐 상기 도어(16)로 구동력을 전달한다(도 9 참조). 사용자는 상기 도어(16) 인입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받으므로 상기 도어(16)를 손쉽게 인입할 수 있다.
상기 도어(16)가 인입된 이후에는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와 상기 제 3 자력 발생부(48) 사이에 인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16)가 상기 저장 공간(13)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6)가 인입되어 상기 도어(16)가 상기 저장 공간(13)을 폐쇄하기 직전에만 일시적으로 상기 동력 발생부(42, 47)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만 상기 코일(472)에 역방향 전류를 인가한다(S14). 설정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상기 코일(472)에 인가되는 전류가 차단된다(S15). 이에 따라,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는 자력을 잃게 된다.
다른 실시 예를 제안한다.
앞선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는 전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 예는 앞선 실시 예와 반대로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16)가 인출입될 때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에 구비된 전자석이 자화됨에 따라 도어 개폐력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를 제안한다.
앞선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 및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 중에서 어느 하나만 전자석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 예는 이와 달리,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 및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 모두 전자석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16) 인출 시에는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 및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는 마주보는 방향이 서로 같은 극을 갖도록 각각 자화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 및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 사이에 척력이 작용함으로써 상기 도어(16)의 인출을 위한 동력을 얻는다.
상기 도어(16) 인입 시에는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 및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는 마주보는 방향이 서로 반대 극을 갖도록 각각 자화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47) 및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42) 사이에 인력이 작용함으로써 상기 도어(16)의 인입을 위한 동력을 얻는다.
이처럼, 상기 동력 발생부(42, 47)에 의하여 상기 도어(16)의 개폐를 위한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의한 도어의 인출입이 원활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냉장고 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인출 또는 인입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저장 공간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과,
    상기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발생부는,
    상기 고정 레일에 구비되는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이동 레일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의 일측과 마주보는 제 2 자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인출 또는 인입될 때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는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는 일측이 상기 전자석의 일측과 마주보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인출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의 일측이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의 일측과 같은 극으로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인입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의 일측이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의 일측과 반대 극으로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는 일측이 상기 영구자석의 일측과 마주보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인출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의 일측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의 일측과 같은 극으로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인입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의 일측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의 일측과 반대 극으로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및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는 각각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인출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및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는 마주보는 방향이 서로 같은 극을 갖도록 각각 자화되고,
    상기 도어가 인입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및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이 서로 다른 극을 갖도록 각각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일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의 자세유지를 위해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와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는 제 3 자력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자력 발생부는 상기 고정 레일의 전후 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이 교번하여 착자되는 다수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냉장고 본체에 장착된 고정 레일 및 도어에 연결된 이동 레일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도어의 인출 또는 인입이 시작되는 단계;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의 인출 또는 인입이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도어의 인출 또는 인입이 감지되면, 상기 이동 레일에 장착된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고정 레일에 장착된 제 2 자력 발생부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또는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화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인출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 사이에 척력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또는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에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인입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 사이에 인력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또는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에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또는 상기 제 2 자력 발생부에 전류가 인가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전류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140154147A 2014-11-07 2014-11-07 냉장고 KR20160054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147A KR20160054758A (ko) 2014-11-07 2014-11-0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147A KR20160054758A (ko) 2014-11-07 2014-11-07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758A true KR20160054758A (ko) 2016-05-17

Family

ID=5610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147A KR20160054758A (ko) 2014-11-07 2014-11-07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47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8020A (zh) * 2018-03-14 2018-08-10 李长寿 一种人体干细胞冷藏运输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8020A (zh) * 2018-03-14 2018-08-10 李长寿 一种人体干细胞冷藏运输方法
CN108378020B (zh) * 2018-03-14 2020-11-24 广东华夏健康生命科学有限公司 一种人体干细胞冷藏运输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1626B1 (en) Refrigerator
EP2657632A2 (en) Refrigerator and handle assembly method thereof
WO2022057687A1 (zh) 冰箱
JP2006308167A (ja) 貯蔵庫
JP4189428B1 (ja) 貯蔵庫
KR20160054758A (ko) 냉장고
RU2387933C1 (ru) Холодильник
EP3401625B1 (en) Refrigerator
US9874391B2 (en) Refrigerator
CN114136041B (zh) 冰箱
JP2006300458A (ja) 貯蔵庫
JP2004323043A (ja) 物品貯蔵庫
CN114136040A (zh) 冰箱
KR100677983B1 (ko) 냉장고 서랍 인출입구조
KR100816083B1 (ko) 수납가구용 레일구조
JP2003262457A (ja) 冷蔵庫等の扉開閉装置
CN213514584U (zh) 冰箱
JP2021110521A (ja) 冷蔵庫
JP7285087B2 (ja) 貯蔵庫
KR20110103522A (ko) 냉장고
KR101550916B1 (ko) 냉장고용 제빙 장치
KR20150063279A (ko) 개폐가 용이한 냉장고
JP2007285698A (ja) 貯蔵庫
JP7285086B2 (ja) 貯蔵庫
KR101437986B1 (ko) 전자석을 구비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