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083B1 - 수납가구용 레일구조 - Google Patents

수납가구용 레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083B1
KR100816083B1 KR1020060048810A KR20060048810A KR100816083B1 KR 100816083 B1 KR100816083 B1 KR 100816083B1 KR 1020060048810 A KR1020060048810 A KR 1020060048810A KR 20060048810 A KR20060048810 A KR 20060048810A KR 100816083 B1 KR100816083 B1 KR 100816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urniture
pole
fixed rai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030A (ko
Inventor
이위로
김세진
이광호
김홍준
이홍국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60048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083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47B88/938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2088/4015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magnets holding the drawer in clos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2B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91Drawer movement damping
    • A47B2210/0094Drawer damping device with 2 relatively movable parts to convert kinetic energy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가구용 레일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가구본체와, 상기 가구본체 내부에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이동 수납체와, 상기 가구본체와 이동 수납체 각각에 설치되어 상호 슬라이딩 운동을 유도하는 슬라이딩 레일로 구성되되, 상기 가구본체 내부의 마주보는 내측벽에 복수개가 대향 설치되고,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길이의 자력구간을 형성하는 고정레일부; 및 상기 이동수납체의 외측벽 각각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각각은 상기 마주하는 고정레일부 각각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레일부의 자력구간에 대항하는 척력구간을 형성하는 이동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이동 수납체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조작성이 매우 편리해질 뿐 아니라, 마찰소음이 최소화됨에 따라 실내의 정숙성이 유지되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와 더불어 수납가구 및 가전제품의 고급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수납가구, 고정레일, 이동레일, 영구자석

Description

수납가구용 레일구조{slide rail structure for refrigerator}
도 1은 일반적인 수납가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수납가구의 내부구조를 정면에서 본 정단면도.
도 4는 도 2의 수납가구 내부의 레일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레일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납체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납체의 완전개방 및 고정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가구본체 101: 본체 측벽
110: 고정레일부 111: 고정레일 케이스
113: 고정레일 자석 200: 이동수납체
201: 수납체 측벽 210: 이동레일부
211: 이동레일 케이스 213: 이동레일 자석
300: 고정수단 310: 볼
320: 스프링 부재 330: 고정홈
340: 자석결합체
본 발명은 수납가구용 레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구본체와 이동 수납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레일부 및 이동레일부를 영구자석으로 형성하여 상호 슬라이딩 면 사이에 척력작용을 유도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납가구용 레일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납가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수납가구는 가구본체(10)와, 상기 가구본체(10) 내부에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이동수납체(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수납체(20)의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가구본체(10)와 이동수납체(20) 각각에는 상호 정합된 상태에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된 별도의 레일구조(미도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레일구조는 출원번호 20-2002-38562호에 제안된 "슬라이드 레일구 조"에 의해 자세히 설명되고 있다.
상기 종래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은 가전제품의 내측 양면에 형성된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의 상단부의 일측이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레일 및 이동레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레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레일과 이동레일 사이에는 슬라이딩 운동을 돕기 위한 구름 베어링 및 바퀴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슬라이딩 레일구조는 이동수납체(20)의 인입 및 인출 작용 시 마찰부에서의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소음문제는 구름 베어링 및 바퀴의 고장이나 노후 시에는 소음이 더욱 크게 발생되어 사용자 본인이나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게 됨에 따라 정숙을 요하는 장소(도서관,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수납가구나, 고급 가전제품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본체와 이동 수납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레일부 및 이동레일부를 영구자석으로 형성하여 상호 슬라이딩 면 사이에 척력작용을 유도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가구용 레일구조는 가구본체와, 상기 가구본체 내부에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이동 수납체와, 상기 가구본체와 이동 수납체 각각에 설치되어 상호 슬라이딩 운동을 유도하는 슬라이딩 레일로 이루어지는 수납가구용 레일구조로서,
상기 가구본체 내부의 마주보는 내측벽에 복수개가 대향 설치되고,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길이의 자력구간을 형성하는 고정레일부; 및 상기 이동수납체의 외측벽 각각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각각은 상기 마주하는 고정레일부 각각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레일부의 자력구간에 대항하는 척력구간을 형성하는 이동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가구본체와 이동수납체 각각에 정합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상호 최대 중첩구간과 최대 이격구간에서 각 상태가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구조가 적용된 수납가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가구본체(100)와, 상기 가구본체(100) 내부에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이동수납체(200)와, 상기 가구본체(100)와 이동 수납체(200) 각각에 설치되어 상호 슬라이딩 작용을 유도하는 레일구조가 도 시되고 있다.
상기 레일구조는 가구본체(100) 내부의 마주보는 내측벽(101)에 복수개가 대향 설치되고,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길이의 자력구간을 형성하는 고정레일부(110) 및 이동수납체(200)의 외측벽(201) 각각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각각은 상기 마주하는 고정레일부(110) 각각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레일부(110)의 자력구간에 대항하는 척력구간을 형성하는 이동레일부(21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가구본체(100)와 이동수납체(200) 각각에는 상호 정합 가능한 구조의 고정수단(300)이 설치되어 가구본체(100)와 이동수납체(200)의 최대 중첩구간과 최대 이격구간에서의 닫힘 상태 및 개방상태가 고정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뒤에서 하기로 한다.
상기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고정레일부(110)의 구성은 가구본체(100)의 내측벽(101)에 결합되는 고정레일 케이스(111)와, 상기 고정레일 케이스(111)의 중공부 내에 결합되는 고정레일 자석(11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레일 케이스(111)는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레일 자석(113)을 보호하고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관체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재질은 자력전이 및 투과가 용이한 동시에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도시된 상기 이동레일부(21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이동수납 체(200)의 외측벽(201)에 결합되는 이동레일 케이스(211)와, 상기 이동레일 케이스(211)의 각 중공부 내에 결합되는 이동레일 자석(21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레일 케이스(211)는 고정레일 케이스(111)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삽입되는 이동레일 자석(213)을 보호하고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관체 형상의 중공부를 상, 하측 양단에 각각 소정거리 이격시켜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이동레일 케이스(211)의 재질은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자력전이 및 투과가 용이한 동시에 마찰계수가 낮아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가구의 내부구조를 정면에서 본 정단면도로서, 복수개의 이동수납체(200)가 가구본체(100)에 본 발명의 레일구조를 이용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동 도면에서는 이동수납체(200)의 좌우측에 각각 한 쌍씩의 고정레일부(110)와 이동레일부(210)가 정합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동수납체(200)의 허용중량이나, 실시 가능한 다양한 구조 변경의 예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레일 쌍이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도면에서 레일부(110)(210) 상하측에 각각 고정수단(300)이 구비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상기 도 3 및 상세도를 통해 보여지는 고정수단(300)의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가구본체(100) 및 이동수납체(200) 중 어느 일측벽에 돌출 및 삽입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볼(310)과, 상기 볼(310)을 탄력적으로 지지시키기 위한 스프링 부재(320)와, 상기 돌출되는 볼(310)과 정합되기 위해 가구본체(100) 및 이동수납체(200) 중 어느 일측벽에 형성되는 고정홈(330)으로 이루어진 고정수단(300)이 도시되고 있다.
이때, 상기 구성을 갖는 고정수단(300)은 가구본체(100) 및 이동수납체(200)의 전방 및 후방에 적어도 하나이상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가구 내부의 레일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부분 확대도로서, 고정레일부(110) 및 이동레일부(210)가 길이방향으로 정합되어 상호 척력이 작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동 도면에 도시된 고정레일 자석(113) 및 이동레일 자석(213)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으로 제작되는데, 상기 고정레일 자석(113)은 길이방향의 상, 하측에 각각 N극과 S극(또는 S극과 N극)이 양분되어 착자되고, 상기 고정레일 자석(113)의 N극 또는 S극과 대항 자력을 형성하도록 된 이동레일 자석(213)이 이동레일 케이스(211)에 의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레일부(110)와 이동레일부(210)는 상호 척력작용에 의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호 접촉 및 마찰이 없는 상태에서도 지지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의 이동수납체(200) 후방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300)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고 있다.
상기 고정수단(300)은 가구본체(100) 및 이동수납체(200) 각각에 대합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한 쌍의 자석결합체(340)로서, 상기 자석결합체(340)는 한 쌍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되거나, 일측만이 영구자석이고 타측은 금속재질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레일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로서, 고정레일 자석(113)은 수평방향에 대해 상하측으로 양분되는 상측열과 하측열 각각에 N극과 S극(또는 S극과 N극)이 차례로 교번 착자되는 다중 자력구간을 형성하게 됨을 볼 수 있다.
이때, 고정레일 자석(113)의 상측열과 하측열에 착자되는 각 자성이 상호 반대극성이 되도록 착자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 자석(113)과 대항구조를 갖는 이동레일 자석(213) 역시, 고정레일 자석(113)의 자력 착자 방식과 같이 수평 길이방향에 대해 N극과 S극(또는 S극과 N극)이 차례로 교번 착자되도록 하는 다중 자력구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처럼, 고정레일 자석(113) 및 이동레일 자석(213)을 각각 N극과 S극이 순차적으로 교번 착자되도록 하는 것은 별도의 고정수단(300)을 구비 하지 않고도 이동수납체(200)를 닫힘 또는 열림 상태로 지속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동수납체(200)의 단계별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레일구조는 다중 자력구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동수납체(200)의 이동에 따라, 인력구간 및 척력구간이 반복 작용하게 된다.
상기 도 5와 같은 상태는 이동수납체(20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호 인력 작용이 작용됨으로서 닫힘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고정레일부(110)와 이동레일부(210) 사이에 서로 끌어당기고자 하는 인력이 작용됨에도 불구하고, 상세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레일부(110)와 이동레일부(210) 사이에 적정 이격공간이 유지되어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고정레일부(110) 상하측에 동등한 힘의 인력이 작용되는 경우 가능하게 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인력구간 및 척력구간을 반복 설치하게 되더라도 고정레일부(110)와 이동레일부(210) 사이를 무마찰 상태로 유지시켜 사용성능 향상 및 마찰소음 방지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납체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로서, 이동수납체(200)는 척력구간을 통과하면서 이동속도에 보다 탄력이 붙게 되어 이후, 반자동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납체의 완전개방 및 고정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로서, 도 5에서와 마찬가지로 고정레일부(110)와 이동레일부(210) 상호간에 인력이 작용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한 당업자의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본 발명은 가구본체와 이동 수납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레일부 및 이동레일부를 영구자석으로 형성하여 상호 슬라이딩 면 사이에 척력작용을 유도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이동 수납체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조작성이 매우 편리해질 뿐 아니라, 마찰소음이 최소화됨에 따라 실내의 정숙성이 유지되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와 더불어 수납가구 및 가전제품의 고급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레일구조에 사용되는 구름베어링 및 바퀴와 같은 슬라이딩 부재의 노후 및 고장으로 인한 교체의 부담이 없어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가구본체(100) 내부의 마주보는 내측벽(101)에 복수개가 대향 설치되면서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길이의 자력구간을 형성하고 있는 고정레일부(110)와, 상기 가구본체(1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수납체(200)의 외측벽(201) 각각에 수평방향으로 연장설치되면서 각각은 상기 마주하는 고정레일부(110) 각각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레일부(110)의 자력구간에 대항하는 척력구간을 형성하는 이동레일부(210)와, 상기 가구본체(100)와 이동수납체(200) 각각에 정합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상호 최대 중첩구간과 최대 이격구간에서 각 상태가 고정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수단(300)을 포함하는 수납가구용 레일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부(110)는 가구본체(100)의 내측벽(101)에 결합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사각관체 형상의 중공부를 갖는 고정레일 케이스(111)와, 상기 고정레일 케이스(111)의 중공부 내에 결합되는 고정레일 자석(1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레일부(210)는 이동수납체(200)의 외측벽(201)에 결합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사각관체 형상의 중공부를 상하측에 각각 소정거리 이격시켜 형성하는 이동레일 케이스(211)와, 상기 이동레일 케이스(211)의 각 중공부 내에 결합되는 이동레일 자석(213)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300)은 가구본체(100) 및 이동수납체(200) 중 어느 일측벽에 돌출 및 삽입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볼(310)과, 상기 볼(310)을 탄력적으로 지지시키기 위한 스프링 부재(320)와, 상기 돌출되는 볼(310)과 정합되기 위해 가구본체(100) 및 이동수납체(200) 중 어느 일측벽에 형성되는 고정홈(3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레일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 자석(113)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측으로 양분되는 N극과 S극(또는 S극과 N극)이 차례로 착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레일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 자석(113)은 수평방향에 대해 상하측으로 양분되는 상측열과 하측열 각각에 N극과 S극(또는 S극과 N극)이 차례로 교번 착자되는 다중 자력구간을 형성하되, 상기 상측열과 하측열에 착자되는 각 자성이 상호 반대극성이 되도록 착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레일구조.
  6. 삭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 자석(213)은 수평 길이방향에 대해 N극과 S극(또는 S극과 N극)이 차례로 교번 착자되는 다중 자력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레일구조.
  8. 삭제
  9. 삭제
KR1020060048810A 2006-05-30 2006-05-30 수납가구용 레일구조 KR100816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810A KR100816083B1 (ko) 2006-05-30 2006-05-30 수납가구용 레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810A KR100816083B1 (ko) 2006-05-30 2006-05-30 수납가구용 레일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030A KR20070115030A (ko) 2007-12-05
KR100816083B1 true KR100816083B1 (ko) 2008-03-26

Family

ID=3914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810A KR100816083B1 (ko) 2006-05-30 2006-05-30 수납가구용 레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0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370B1 (ko) 2016-03-07 202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일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80000732U (ko) 2016-09-02 2018-03-12 김종기 수납가구
WO2019045354A1 (ko) * 2017-08-31 2019-03-07 (주)세고스 롤러 레일 어셈블리
WO2022080630A1 (en) 2020-10-12 2022-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riction reducing structu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6316A (ja) * 1988-10-26 1990-05-01 Grass Ag 引き出し案内装置
US4948208A (en) * 1988-08-30 1990-08-14 Grass Ag Guide or runner systems for accommodating translational movement
KR940004883Y1 (ko) * 1992-02-22 1994-07-22 허승구 슬라이드 개폐식 도어
JPH10272024A (ja) 1997-03-31 1998-10-13 Yoshikawa:Kk 収納箱
KR100677983B1 (ko) 2005-11-23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서랍 인출입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8208A (en) * 1988-08-30 1990-08-14 Grass Ag Guide or runner systems for accommodating translational movement
JPH02116316A (ja) * 1988-10-26 1990-05-01 Grass Ag 引き出し案内装置
KR940004883Y1 (ko) * 1992-02-22 1994-07-22 허승구 슬라이드 개폐식 도어
JPH10272024A (ja) 1997-03-31 1998-10-13 Yoshikawa:Kk 収納箱
KR100677983B1 (ko) 2005-11-23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서랍 인출입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030A (ko)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083B1 (ko) 수납가구용 레일구조
RU2388096C2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привод и прерыватель цепи, снабженный этим приводом
KR100756887B1 (ko) 냉장고의 접이식 선반
KR101742643B1 (ko) 슬라이드 장치
CN208077717U (zh) 一种超高速电磁铁以及组件
JPH0268011A (ja) 引出し案内装置
KR101896077B1 (ko) 이동이 제한되는 이너리테이너가 구비된 슬라이더
KR100759752B1 (ko) 도어의 개폐장치
JP5513463B2 (ja) 抽斗格納構造
KR100677983B1 (ko) 냉장고 서랍 인출입구조
JP5021249B2 (ja) スライドレール
JP3680778B2 (ja) リニアモータにおける磁石保持構造
KR101097044B1 (ko) 리니어모터 스테이지
JP2002101635A (ja) 空気ベアリング装置が一体的に形成されたリニアモータ
KR20190025159A (ko) 가이드 레일 및 롤러 결합 구조체
KR20110054587A (ko) 통프레임 구조를 갖는 수납 가구용 레일 장치
US11434599B2 (en) Drawer guid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8385323U (zh) 通用两种断路器的漏电脱扣装置
JP2013094345A (ja) スライダー
CN112096237A (zh) 一种联动组件及联动门
JP6761986B2 (ja) ガイ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引戸装置
KR100833945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WO2005118101A1 (en) Magnetic levitation toy using superconductor
JPH04152598A (ja) 引き出し型装置
KR20160054758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