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264B1 -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를 여닫는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를 여닫는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264B1
KR101580264B1 KR1020150055811A KR20150055811A KR101580264B1 KR 101580264 B1 KR101580264 B1 KR 101580264B1 KR 1020150055811 A KR1020150055811 A KR 1020150055811A KR 20150055811 A KR20150055811 A KR 20150055811A KR 101580264 B1 KR101580264 B1 KR 101580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elevating
unit
coupled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포인
Original Assignee
(주)팩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팩스코 filed Critical (주)팩스코
Priority to KR1020150055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포장기에 적용되어 진공챔버를 여닫기 위해 진공챔버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승강 속도의 향상과 더불어 동력손실을 절감하기 위해 직진도가 향상된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가 장착되는 장착유닛과, 상기 장착유닛 하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1승강유닛과, 상기 장착유닛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승강유닛과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상기 제1승강유닛의 회동에 연동하는 제2승강유닛과, 상기 제1승강유닛과 제2승강유닛이 연동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승강유닛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승강유닛에 고정된 링커 및, 상기 제1승강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유닛을 회동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를 여닫는 리프트장치{LIFT APPARATUS}
본 발명은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를 여닫는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포장기에 적용되어 진공챔버를 여닫기 위해 진공챔버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승강 속도의 향상과 더불어 동력손실을 절감하기 위해 직진도가 향상된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포장기는 내용물을 온전히 보관하되, 보관 기간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식품, 물품, 상품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진공포장 작업을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용기를 챔버에 안착시키고 용기에 포장재를 덮은 후 상측에서 열 접합기(프레스)를 통해 용기의 가장자리에 포장재를 열 접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때 진공포장 작업 간의 용기 및 포장재를 교체할 때 진공챔버는 하강하였다가 열 접합 작업을 진행할 때 다시 승강하는 식으로 진공포장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종래에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를 여닫기 위해 사용되는 리프트장치의 승강수단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으로 이루어진 실린더로 그 승강속도와 동력손실 때문에 진공포장 작업 시간의 지연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진공포장과 관련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다.
먼저 등록특허 제10-0141612호(1998년03월24일) [테이블 리프트를 이용한 열진공 챔버용 위성작업대](종래기술1)에는 비록 기술분야는 다르지만 리프트가 제시되어 있는데, 종래기술1에 제시된 리프트를 진공챔버를 승강시키는 수단으로 활용한다고 가정할 때, 다수의 지지봉의 이동홀을 따라 조절대가 이동해야 하므로 동작속도가 느리고, 동작이 불안정하게 수행되어 정확한 위치에 진공챔버가 위치할 수 없어 진공포장 작업에 틈이 생기거나 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834044호 (2008년05월26일) [승강 작동하는 챔버를 구비한 진공 포장기](종래기술2)가 있는데, 종래기술2에는 승강 작동하는 챔버를 구비한 진공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포장지를 진공 처리하고 가열 밀봉하는 진공 포장기로서, 전방으로 형성된 개구를 갖고 상하 이동하는 챔버를 구비하여 상기 챔버가 하방 이동시 밀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진공 포장지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승강 작동하는 챔버를 구비한 진공 포장기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기술2에서는 지지레버를 통한 챔버의 승강이 제시되어 있는데, 단순한 지지레버 하나가 챔버를 받치고 있기 때문에, 상측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레버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21027호 (2013년10월16일) [분체정량포장을 위한 듀얼포대승하강장치](종래기술3)와 등록실용 제20-0475623호 (2014년12월11일) [분체 포장용 분진방지 및 정량포장을 위한 실린더 구동 승하강장치](종래기술4)가 있는데,
종래기술1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 3 및 4에 제시된 기술에서도 역시, 진공챔버의 승강속도와 직진성 저하로 인한 동력손실 등의 문제는 여전히 잔존해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두개의 승강유닛을 구비하여 균형을 맞추되, 제1승강유닛의 회동 시 제2승강유닛이 연동하여 회동하기 때문에 적은 동력으로도 승강 속도의 향상과 더불어 동력손실을 절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 승강유닛이 연결체와 회동캠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회동캠의 회동 시 연결체 역시 회동캠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승강유닛이 펼침 상태로 보다 빠르게 도달하고, 이를 통해 승강속도 향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고유의 형상을 갖는 회동캠을 통해 회동캠의 회전 시 펼침 상태가 보다 빠르게 구현될 수 있도록 직진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연결체에 두개의 회동부를 도입하여 연결체의 이중 회동을 통해, 펼침 상태로의 전환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가 장착되는 장착유닛과, 상기 장착유닛 하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1승강유닛과, 상기 장착유닛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승강유닛과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상기 제1승강유닛의 회동에 연동하는 제2승강유닛과, 상기 제1승강유닛과 제2승강유닛이 연동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승강유닛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승강유닛에 고정된 링커 및, 상기 제1승강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유닛을 회동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승강유닛은 상기 장착유닛의 일단에 결합된 제1연결체 및 이 제1연결체와 고정 결합되는 제1승강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승강유닛은 상기 장착유닛의 타단에 결합된 제2연결체 및 이 제2연결체와 고정 결합되는 제2승강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승강캠은 상부에 돌출 형성된 제1돌부, 상기 제1돌부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 상기 제1돌부 및 제1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제1리세스부 및, 상기 제1돌부 하부에 내측으로 위치하는 제1굴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1연결체는 제1연결체의 몸체 상부에 관통되도록 구비된 제1회동축과, 몸체의 양 측면과 상기 제1회동축의 양 단부를 수용하는 제1고정수단을 갖는 제1회동부 및, 몸체 하부와 상기 제1승강캠의 제1돌부에 관통되도록 구비된 제2회동축과, 이 제2회동축의 양 단에 결합된 제2고정수단을 갖는 제2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적은 동력으로도 승강 속도의 향상과 더불어 동력손실을 절감을 실현할 수 있고, 아울러 펼침 상태가 보다 빠르게 구현될 수 있도록 직진도가 향상되고, 나아가 펼침 상태로의 전환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을 제거한 상태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도(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승강 속도의 향상과 동력손실을 절감하기 위해 직진도가 향상된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C)를 여닫는 리프트장치(L)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C)를 여닫는 리프트장치(L)(이하 본 리프트장치(L))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 하를 나누고, 일반적인 상식하에서의 내측 또는 외측을 구분한다. 또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특허청구범위에서도 이를 따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1을 통해 본 리프트장치(L)의 대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본 리프트장치(L)는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C)가 장착되는 장착유닛(30), 상기 장착유닛(30) 하부에 구비된 제1승강유닛(10) 및 제2승강유닛(20), 상기 제1승강유닛(10)과 제2승강유닛(20)을 연결하는 링커(40) 및 상기 제1승강유닛(10)에 결합된 승강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진공챔버(C)는 진공포장을 위한 용기가 담기는 구성으로, 진공포장 하고자 하는 용기의 크기에 맞춘 안착공간(Cs)이 구비되어 있어, 진공챔버(C) 상부에 진공포장을 위한 포장재가 덮어지고, 진공챔버(C)의 상부에 구비된 열 접합기가 안착공간(Cs)에 담긴 용기와 그 위에 덮어진 포장재를 열 접합하여 진공포장작업을 진행한다.
보다 구체적인 진공포장작업 과정은 당업자(해당 분야에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장착유닛(30)은 진공챔버(C)가 장착되는 구성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유닛(30)은 진공챔버(C)의 하부를 받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장착유닛(30)의 상승 또는 하강 시 진공챔버(C) 역시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수단(50)은 제1승강유닛(10)에 결합되어 장착유닛(30)에 승강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아울러 승강수단(50)은 유압 또는 공압식 실린더로 구비되고, 제1승강유닛(10)의 제1승강캠(13)에 결합되어 승강수단(50)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제1승강유닛(10)에 제공하는 동력전달축(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동력전달축(500)은 실린더로 이루어진 승강수단(50)의 왕복운동을 제1승강캠(13)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승강수단(50)은 제1승강유닛(10)의 회동에 대한 동력을 제공하고, 이러한 제1승강유닛(10)의 회동은 링커(40)를 통해 제2승강유닛(20)을 회동시킨다. 아울러 제1승강유닛(10) 및 제2승강유닛(20)의 회동은 제1 및 제2연결체(11)(21)를 통해 장착유닛(30)의 상승에 기여한다. 가시적으로는 연결체와 승강유닛이 '펼쳐지는'형태로 변환되어 장착유닛(30)의 위치가 높아지는 것이다.
장착유닛(30)의 하강은 연결체와 승강유닛이 '접히는'형태로 변환됨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아울러 보다 구체적인 동작 특성은 본 발명의 핵심으로 도 4를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리프트장치(L)는 외곽에 수직 배치된 복수의 가이딩바(71) 및, 일단은 장착유닛(30)에 타단은 가이딩바(71)에 결합된 가이더(73) 안내수단(7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내수단(70)은 본 리프트장치(L)가 제1승강유닛(10) 및 제2승강유닛(20)의 동력을 장착유닛(30)의 승강으로 전환하는데 있어, 장착유닛(30)이 직진성을 확보한 채 승강되도록 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가이딩바(71)는 본 리프트장치(L)의 4개의 모서리 측에 구비되어 있고, 수직으로 직립 배치된 '봉'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가이더(73)와 가이딩바(71)의 결합은 가이더(73)에 형성된 결합공에 가이딩바(71)가 관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특징적인 것은 가이더(73)는 본 리프트장치(L)의 4개의 모서리 중 상호 대각을 이루는 두 모서리의 가이딩바(71)에만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물론 동작안정성측면에서는 4개의 가이딩바(71)에 모두 가이더(7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가이더(73)와 가이딩바(71) 간의 마찰은 장착유닛(30)의 승강속도를 저하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균형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가이더(73)만을 구비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구조를 취하고 있다.
한편, 본 리프트장치(L)는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위한 지지수단(60)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지지수단(60)의 구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먼저 가이딩바(71)의 상부에는 상부지지판(6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지지판(61)은 가이딩바(71)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가이딩바(71)의 직립을 지지함은 물론 진공포장 작업 시 하측으로의 가압에 대한 반발지지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링커(40)의 외측에는 링커(40)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하부지지판(6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하부지지판(63)은 4개의 가이딩바(71)의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진동, 외력 등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하는데, 특히 받침대(65)와 결합되어 하부지지판(63) 자신의 길이방향에 대한 뒤틀림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1에서는 또한 가이딩바(71)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호 이격되며, 하부지지판(63)과 수직으로 결합되는 받침대(65)를 확인할 수 있다. 받침대(65) 역시 하부지지판(63)과 더불어 진동, 외력 등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하여, 잦은 승강에 대한 내구성을 보장한다.
한편, 도 3은 본 제1승강유닛(10), 제2승강유닛(20) 및 링커(40)와 관련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 구성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특히 도 3 [A]는 제1승강유닛(10) 및 제2승강유닛(20)이 접혀, 장착유닛(30)이 하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3 [B]는 제1승강유닛(10) 및 제2승강유닛(20)이 펼쳐져, 장착유닛(30)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유닛(30)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1승강유닛(10)은 장착유닛(30)의 일단에 결합된 제1연결체(11) 및 이 제1연결체(11)와 고정 결합되는 제1승강캠(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승강유닛(10)의'펼침 상태', 즉 장착유닛(30)의 상승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단축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승강캠(13)이 1차로 회전하고, 제1연결체(11) 역시 회전하여 제1연결체(11)와 제1승강캠(13)의 결합부위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 3 [A]를 기준으로 제1승강캠(13)은 승강수단(5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제1연결체(1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3 [B]와 같이 '펼침 상태'에 보다 빠르게 도달하게 된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유닛(30) 하부에 구비되고 제1승강유닛(10)과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제1승강유닛(10)의 회동에 연동하는 제2승강유닛(20)은 장착유닛(30)의 타단에 결합된 제2연결체(21) 및 이 제2연결체(21)와 고정 결합되는 제2승강캠(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한 제1승강유닛(1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원리로 제2승강유닛(20)의 '펼침 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제1승강유닛(10) 및 제2승강유닛(20)의 '접힘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 역시, 상기 과정의 반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1, 2차 회동이 동시에 진행되어 제1승강유닛(10) 및 제2승강유닛(20)의 '접힘 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킨다.
이러한 제1승강유닛(10) 및 제2승강유닛(20)의 접힘 속도 및 펼침 속도의 향상은 결과적으로 장착유닛(30)의 승강속도 향상에 기여한다.
이어서, 도 3을 통해 제1승강유닛(10) 및 제2승강유닛(20)을 이루는 승강캠과 연결체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1승강유닛(10)의 제1승강캠(13)은 상부에 돌출 형성된 제1돌부(131), 이 제1돌부(131)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133), 제1돌부(131) 및 제1돌출부(133) 사이에 형성된 제1리세스부(135) 및, 제1돌부(131) 하부에 내측으로 위치하는 제1굴곡부(1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부(131)는 상부에 돌출 형성된 부위로 제1연결체(11)의 하부와 결합된다. 또한 제1돌출부(133)는 도 3 [A]에서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구성이다. 이 제1돌부(131)와 제1돌출부(133) 사이에는 제1리세스부(135)가 구비되어 있고, 제1돌부(131) 하부에 내측으로 위치하는 제1굴곡부(137)가 구비되어 있어, 제1승강캠(13)은 전체적으로 부메랑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1승강캠(13)은 제1돌출부(133) 측에 결합된 승강수단(50)의 동력전달축(500)을 통해 회동할 때, 제1돌출부(133)의 회동각에 비해 제1돌부(131)의 회동각이 더 크기 때문에, 제1돌부(131)는 보다 많은 거리를 회동하게 된다. 이는 결국 제1승강유닛(10)의 '펼침 상태' 도달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적으로 안착유닛의 승강속도 향상에 기인한다.
또한 제1돌부(131)의 회동각을 더 크게 하기 위해 제1돌출부(133)의 길이(돌출정도)보다 제1돌부(131)의 길이(돌출정도)가 긴(큰)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승강캠(23) 역시 제1승강캠(13)과 유사한 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승강캠(23)은 상부에 돌출 형성된 제2돌부(231), 제2돌부(231)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233), 제2돌부(231) 및 제2돌출부(233) 사이에 형성된 제2리세스부(235) 및, 제2돌부(231) 하부에 외측으로 위치하는 제2굴곡부(2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언급한 제2승강캠(23)의 구조에서 유추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승강캠(13)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제2승강캠(23)은 서로 대칭되는 방향이 아닌,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승강캠(13)과 제2승강캠(23)의 동일방향 배치는 두 승강캠의 회동방향이 다르기 때문인데, 제1승강캠(1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펼쳐지는 제1승강유닛(10)과 달리, 제2승강유닛(20)은 제2승강캠(23)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펼쳐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승강캠(13)의 회동 동력이 링커(40)에 의해 제2승강캠(23)으로 전달되어 제2승강캠(23)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이 때 제2돌출부(233)의 회동각에 비해 제2돌부(231)의 회동각이 더 크기 때문에, 제2돌부(231)는 보다 많은 거리를 회동하게 된다. 이는 결국 제2승강유닛(20)의 '펼침 상태' 도달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적으로 안착유닛의 승강속도 향상에 기인한다.
아울러 제1승강캠(13)과 마찬가지로, 제2돌부(231)의 회동각을 더 크게 하기 위해 제2돌출부(233)의 길이(돌출정도)보다 제2돌부(231)의 길이(돌출정도)가 긴(큰)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링커(40)는 일단이 제1승강유닛(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승강유닛(20)에 고정되어 제1승강유닛(10)과 제2승강유닛(20)이 연동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링커(40)는 제1승강유닛(10)의 회동에 의한 동력을 제2승강유닛(2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링커(40)의 일단은 제1승강캠(13)의 제1굴곡부(137) 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타단은 제2승강캠(23)의 제2돌출부(233)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은 제1승강캠(13)의 회동 동력을 제2승강캠(23)에 최대한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다.
다음으로 도 3(특히 도 3 [B])을 통해 제1연결체(11) 및 제2연결체(21)의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1연결체(11)와 제2연결체(21)는 동일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연결체(11)만을 특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체(11)는 몸체(113) 상부에 관통되도록 구비된 제1회동축(111a)과, 제1연결체(11)의 몸체(113) 양 측면과 제1회동축(111a)의 양 단부를 수용하는 제1고정수단(111b)을 갖는 제1회동부(111) 및, 몸체(113) 하부와 제1돌부(131)에 관통되도록 구비된 제2회동축(112a)과, 이 제2회동축(112a)의 양 단에 결합된 제2고정수단(112b)을 갖는 제2회동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부 제1회동부(111)의 제1고정수단(111b)은 수용홈을 구비하고, 이 수용홈에 제1연결체(11)의 몸체(113) 상부가 수용되며, 제1회동축(111a)이 제1고정수단(111b)과 몸체(113)의 상부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1연결체(11)의 회동 시 결합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한 하부 제2회동부(112)의 제2고정수단(112b)은 제1연결체(11)의 몸체(113)의 하부, 두 승강캠의 제1돌부(131)를 관통하여 결합한 승강캠의 양 단부에 구비되어 몸체(113)와 제1돌부(131)가 밀착한 채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고정수단(112b)은 너트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고정수단(112b)과 제2회동축(112a) 간의 너트 결합을 위해 제2회동축(112a)의 양 단부에는 나사산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제1회동축(111a) 및 제2회동축(112a)을 관통시키기 위한 축공의 구비는 일반 상식 하에서 얼마든지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과정도(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를 기준으로 상하좌우를 설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통해 본 리프트장치(L)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면, 먼저 도 4 [A]는 장착유닛(30)이 하강한 '접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A]에 도시된 상태는 일종의 실시 예로 더 낮게 하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승강수단(50)에 의해 동력이 부여되면,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승강수단(50)은 동력전달축(500)을 통해 제1승강캠(13)과 결합되어 있는데, 이에 승강수단(50)은 제1승강캠(13)을 밀어서 회동시킨다.
(2) 이 후 제1승강캠(13)이 도 4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실린더로 이루어진 승강수단(50) 그 길이가 늘었다 줄었다 하면서 제1승강캠(13)을 반시계(상승) 또는 시계(하강)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3) 이에 제1승강캠(13)의 제1돌부(131)는 우측(외측)으로 이동하는데, 이러한 제1돌부(131)의 우측 이동은 제1승강캠(13) 고유의 구조인 제1돌부(131)가 제1돌출부(133)보다 길게 형성된 점을 통해 보다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승강속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4) 이 때 제1연결체(11)의 제1회동부(111) 및 제2회동부(112)를 통해 제1연결체(11)는 좌측으로 이동하는데, 이러한 제1돌부(131)의 우측이동 및 제1연결체(11)의 좌측이동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승강유닛(10)의 펼침 상태 도달에 이르는 시간을 단축시켜 승강속도를 향상시킨다.
(5) 다음으로 제1회동캠의 회동으로 인해, 링커(40)의 우측 단부는 상승하게 되고, 이 결과로 링커(40)의 좌측 단부는 하강한다.
(6) 하강하는 링커(40)의 좌측 단부가 제2회동캠의 제2돌출부(233)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회동캠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7) 이어서 회동하는 제2회동캠의 제2돌부(231)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제2연결체(21) 역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과정 (3)에서와 동일하게 제2승강캠(23) 고유의 구조인 제2돌부(231)가 제2돌출부(233)보다 길게 형성된 점을 통해 보다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승강속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8) 이 후 펼침 상태로 전환된 제1승강유닛(10) 및 제2승강유닛(20)은 상부에 결합된 장착유닛(30)을 상승시켜, 도 4 [C]와 같이 '펼침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도 4 [C]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제1승강유닛(10) 및 제2승강유닛(20)이 '펼침 상태'에 도달하게 되면, 제1연결체(11)와 제1승강캠(13)의 제1돌부(131)는 일렬로 배치되고, 제2연결체(21)와 제2승강캠(23)의 제2돌부(231) 역시 일렬로 배치되어, 최대 높이를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리프트장치(L)는 진공챔버(C)의 상승 및 하강을 보다 빠르게 실현하고, 이는 결국 진공챔버(C)의 동작에 있어서 직진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동 시간에 보다 많은 포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 및 시장경쟁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진공챔버를 승강시키는 리프트장치에 대해서만 언급하는데, 열 접합기, 압착기(프레스), 포장재공급수단 등과 같은 진공포장 관련한 기타 구성은 본 발명이 보호받고자 하는 권리범위에서 벗어나고 또한 이는 공지된 기술로 당업자(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L: 리프트장치 C; 진공챔버
10: 제1승강유닛 11: 제1연결체
111: 제1회동부 112: 제2회동부
13: 제1승강캠
20: 제2승강유닛 21: 제2연결체
23: 제2승강캠
30: 장착유닛 40: 링커
50: 승강수단 500: 동력전달축
60: 지지수단 61: 상부지지판
63: 하부지지판 65: 받침대
70: 안내수단 71: 가이딩바
73: 가이더

Claims (4)

  1.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C)가 장착되는 장착유닛(30);
    상기 장착유닛(30) 하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1승강유닛(10);
    상기 장착유닛(30)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승강유닛(10)과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상기 제1승강유닛(10)의 회동에 연동하는 제2승강유닛(20);
    상기 제1승강유닛(10)과 제2승강유닛(20)이 연동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승강유닛(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승강유닛(20)에 고정된 링커(40); 및
    상기 제1승강유닛(10)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유닛(10)을 회동시키는 승강수단(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승강유닛(10)은 상기 장착유닛(30)의 일단에 결합된 제1연결체(11) 및 이 제1연결체(11)와 고정 결합되는 제1승강캠(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승강유닛(20)은 상기 장착유닛(30)의 타단에 결합된 제2연결체(21) 및 이 제2연결체(21)와 고정 결합되는 제2승강캠(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승강캠(13)은 상부에 돌출 형성된 제1돌부(131), 상기 제1돌부(131)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133), 상기 제1돌부(131) 및 제1돌출부(133) 사이에 형성된 제1리세스부(135) 및, 상기 제1돌부(131) 하부에 내측으로 위치하는 제1굴곡부(1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수단(50)의 동력전달축(500)은 상기 제1돌출부(133)에 결합되고, 상기 제1돌부(131)의 돌출정도는 상기 제1돌출부(133)의 돌출정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승강캠(23)은 상부에 돌출 형성된 제2돌부(231), 제2돌부(231)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233), 제2돌부(231) 및 제2돌출부(233) 사이에 형성된 제2리세스부(235) 및, 제2돌부(231) 하부에 외측으로 위치하는 제2굴곡부(2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돌출부(233)의 돌출정도는 상기 제2돌부(231)의 돌출정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링커(40)의 일단은 제1승강캠(13)의 제1굴곡부(137) 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승강캠(23)의 제2돌출부(23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체(11)는
    제1연결체(11)의 몸체(113) 상부에 관통되도록 구비된 제1회동축(111a)과, 몸체(113)의 양 측면과 상기 제1회동축(111a)의 양 단부를 수용하는 제1고정수단(111b)을 갖는 제1회동부(111) 및,
    몸체(113) 하부와 상기 제1승강캠(13)의 제1돌부(131)에 관통되도록 구비된 제2회동축(112a)과, 이 제2회동축(112a)의 양 단에 결합된 제2고정수단(112b)을 갖는 제2회동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부(111)의 제1고정수단(111b)은 수용홈을 구비하고, 이 수용홈에 제1연결체(11)의 몸체(113) 상부가 수용되며, 상기 제1회동축(111a)이 제1고정수단(111b)과 몸체(113)의 상부를 관통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동부(112)의 제2고정수단(112b)은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회동축(112a)의 양 단부에는 나사산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KR1020150055811A 2015-04-21 2015-04-21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를 여닫는 리프트장치 KR101580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811A KR101580264B1 (ko) 2015-04-21 2015-04-21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를 여닫는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811A KR101580264B1 (ko) 2015-04-21 2015-04-21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를 여닫는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264B1 true KR101580264B1 (ko) 2015-12-24

Family

ID=5508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811A KR101580264B1 (ko) 2015-04-21 2015-04-21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를 여닫는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2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612B1 (ko) * 1994-12-31 1998-07-15 홍재학 테이블 리프트를 이용한 열진공 챔버용 위성작업대
JPH11105835A (ja) * 1997-08-08 1999-04-20 Multivac Sepp Haggenmueller Kg 昇降装置及び包装機械
JPH11240507A (ja) * 1998-02-27 1999-09-07 Toyo Jidoki Co Ltd 横型真空包装機
JP3338903B2 (ja) * 1992-05-15 2002-10-28 マルチバック セップ ハーゲンミーラ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ー. 上部部材および可動下部部材を持つワークステーショ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8903B2 (ja) * 1992-05-15 2002-10-28 マルチバック セップ ハーゲンミーラ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ー. 上部部材および可動下部部材を持つワークステーション
KR0141612B1 (ko) * 1994-12-31 1998-07-15 홍재학 테이블 리프트를 이용한 열진공 챔버용 위성작업대
JPH11105835A (ja) * 1997-08-08 1999-04-20 Multivac Sepp Haggenmueller Kg 昇降装置及び包装機械
JPH11240507A (ja) * 1998-02-27 1999-09-07 Toyo Jidoki Co Ltd 横型真空包装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139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хвата, перемещения и установки упаковочных блоков
JP4907644B2 (ja) ロボットハンド
US9188208B2 (en) Lifting device for a packaging machine
EP2875943B1 (en) Machine and method for assembling boxes
CN104369925B (zh) 一种龟苓膏装配设备
CN107914910A (zh) 一种软包装饮料装箱机构
KR101580264B1 (ko)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를 여닫는 리프트장치
KR20120069968A (ko)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JP6602899B2 (ja) 入れ子式打抜部品を処理する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5819510A (en) Packaging machine having a chamber consisting of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KR101471083B1 (ko) 중량체 뒤집기장치
CN104988707A (zh) 一种烫衣机的叠衣组件
JP2014223651A (ja) 多段プレス装置
JP5583286B2 (ja) リフティング装置
CN215382233U (zh) 一种多功能可折叠式餐桌
CN201788054U (zh) 力传感器标定装置及其砝码同步加卸荷装置
CN205293304U (zh) 一种开箱装置
CA2639984A1 (en) Drawer-and-shell type package
CN204674919U (zh) 一种纸板成形装置
JP2019209465A (ja) 蓋閉めハンド
JP2006224188A (ja) 加工ステーション
KR101697187B1 (ko) 더블식 너클프레스의 구동장치
JP2011185487A (ja) 遠心脱水装置
KR100604097B1 (ko) 반도체 제조공정용 플립퍼링장치
CN105438573A (zh) 一种开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