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822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822B1
KR101579822B1 KR1020090002695A KR20090002695A KR101579822B1 KR 101579822 B1 KR101579822 B1 KR 101579822B1 KR 1020090002695 A KR1020090002695 A KR 1020090002695A KR 20090002695 A KR20090002695 A KR 20090002695A KR 101579822 B1 KR101579822 B1 KR 101579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voltage
unit
fixing
du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3353A (ko
Inventor
황종인
정수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2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822B1/ko
Priority to US12/605,909 priority patent/US8270862B2/en
Publication of KR20100083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정착기 구동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AC 전압을 입력받는 입력부, AC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DC 전압을 출력하는 검출부, AC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정착기, 정착 온도 제어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 DC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정착기 구동 제어가 가능해진다.
정착기, AC 전압, DC 전압, 센서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Im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ser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C 입력 전압이 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정착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화상형성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란 용지나 기록 매체 상에 텍스트나, 이미지 등의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이 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중 하나로 전자 사진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전자 사진 방식이란, 감광체 표면을 대전시킨 후, 노광을 통해 잠상을 형성하고, 잠상에 토너를 입히는 현상작업을 수행하고, 현상된 토너를 용지 상으로 전사시키고, 정착 시키는 프로세스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최종적으로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구성 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정착기(fuser)라 한다.
통상적으로 정착기는 열 및 압력을 용지에 가하여, 화상을 정착시킨다. 이에 따라, 정착기가 발열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의 전원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국가나 지역에 따라 사용하는 AC 전원의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 가령, 한국의 경우 220V를 정격 전압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일본의 경우 110V를 정격 전압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정격 전압이 정해져 있더라도, 그 사용 환경에 따라 입력 전압의 크기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정격 전압이 정해져 있더라도, 어느 정도의 오차가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었다.
따라서, 통상의 전자 장치에서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이용하여, 입력 AC 전압을 정해진 크기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정착기의 경우, 입력된 AC 전압을 그대로 히팅 롤러 등에 인가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입력 AC 전압의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AC 입력이 정격 전압보다 크다면 정착기에 공급되는 열량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소프트웨어적으로 전원 입력을 제어한다고 하더라도, 온도 리플(ripple)이 커질 수 있고, 또한, 오버슈트도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정착기가 녹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반면, AC 입력이 정격 전압보다 낮은 경우, 정착기가 타겟 온도에 도달하기 어려워져서 화상 정착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AC 입 력 전압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정착기를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AC 전압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AC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DC 전압을 출력하는 검출부, 상기 AC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정착기, 정착 온도 제어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 상기 DC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정착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메시지 출력을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온도의 크기가 상기 검출된 DC 전압에 대해 기 설정된 허용 온도 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센싱된 온도의 변화 기울기가 상기 검출된 DC 전압에 대해 기 설정된 허용 기울기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센서부가 에러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온도의 크기가 상기 검출된 DC 전압에 대해 기 설정된 허용 온도 범위보다 낮거나, 상기 센싱된 온도의 변화 기울기가 상기 검출된 DC 전압에 대해 기 설정된 허용 기울기 범위보다 작으면, 상기 센서부가 에러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센싱된 온도의 크기가 상기 허용 온도 범위보다 높거나, 상기 센싱된 온도의 변화 기울기가 상기 허용 기울기보다 크면, 상기 센싱된 온도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AC 전압을 상기 정착기로 전달하는 정착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착 제어부를 온시키는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조정하여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워밍-업 중이면,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제1 타겟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100% 듀티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AC 전압이 정격 전압보다 크면,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상기 제1 타겟 온도보다 낮은 설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100% 듀티로 출력하고, 상기 설정 온도에서 상기 제1 타겟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소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워밍-업 중이면,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제1 타겟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100% 듀티로 출력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프린팅 작업 수행 중이면,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제2 타겟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DC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조정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고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제3 타겟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단계적으로 조정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DC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단위 시간 동안의 인에이블 신호 듀티 조정 패턴, 조정된 듀티 적용 시간, 및 상기 단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은, AC 전압이 입력되면, 상기 AC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DC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기 저장된 정착 온도 제어 정보 중 상기 검출된 DC 전압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정착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온도가 상기 검출된 DC 전압에 대해 기 설정된 허용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온도가 상기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센서가 에러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본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정착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정착기의 온도의 변화 기울기가 기 설정된 허용 기울기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센서가 에러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정착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온도의 크기가 상기 검출된 DC 전압에 대해 기 설정된 허용 온도 범위보다 낮거나, 상기 센싱된 온도의 변화 기울기가 상기 검출된 DC 전압에 대해 기 설정된 허용 기울기 범위보다 작으면, 상기 센서가 에러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온도의 크기가 상기 허용 온도 범위보다 높거나, 상기 센싱된 온도의 변화 기울기가 상기 허용 기울기 범위보다 크면, 상기 센싱된 온도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AC 전압을 상기 정착기로 전달하는 정착 제어부를 온시키는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조정하여,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워밍-업 중이면,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제1 타겟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100% 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AC 전압이 정격 전압보다 크면,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상기 제1 타겟 온도보다 낮은 설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100% 듀티로 출력하고, 상기 설정 온도에서 상기 제1 타겟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워밍-업 중이면,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제1 타겟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100% 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프린팅 작업 수행 중이면,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제2 타겟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DC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고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제3 타겟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단계적으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 상기 DC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단위 시간 동안의 인에이블 신호 듀티 조정 패턴, 조정된 듀티 적용 시간, 및 상기 단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입력되는 AC 전압의 크기 변화에도 불구하고 항상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부(110), 정착기(120), 검출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부(110)는 외부로부터 AC 전압을 입력받는 부분이다.
정착기(120)는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AC 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정착기(120)는 히팅 롤러(미도시) 및 가압 롤러(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검출부(130)는 입력된 AC 전압에 대응되는 크기의 DC 전압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검출부(130)는 정류 회로 및 평활 회로(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입력 AC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DC 전압 레벨을 출력한다. 이러한 검출부(130)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미도시)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 부분에 기재한다.
저장부(140)는 DC 전압 크기 별 정착 온도 제어 정보를 저장한다. 정착 온도 제어 정보란, AC 전압의 정착기 공급 상황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AC 전압이 공급 또는 차단되는 시간, AC 전압 공급이 수행되는 주기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정착 온도 제어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정착 온도 제어 정보는, 제작자가 사전 실험을 통해, AC 전압의 크기를 달리하면서 그 때의 DC 전압 레벨 및 최적의 정착 온도 제어 정보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격 전압보다 큰 AC 전압이 입력될 때는 정착기의 턴-온 시간을 정격 전압 입력 시보다 줄이면서, 오버 슈트의 정도, 타겟 온도 기준 전압 리플 정도 등이 최소화되는 경우를 실험적으로 탐색하여, 정착 온도 제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정격 전압보다 작은 AC 전압이 입력될 때는 정착기의 턴-온 시간을 정격 전압 입력 시보다 늘여서, 타겟 온도까지 도달하는 경우를 실험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DC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를 저장부(140)로부터 검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검출된 정 착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정착기(12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착기(120)로의 AC 전압 입력/차단 상태를 조정하여, 정격 전압 입력시와 어느 정도 유사한 전압 조건이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입력 변화시에도 정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정착기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부(110), 정착기(120), 검출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 이외에, 센서부(160), 출력부(170) 및 정착 제어부(2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검출부(130)는 DC 전압 생성부(2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 DC 전압 생성부(210) 및 정착 제어부(220)는 SMPS(2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의 SMPS(200) 구성은 도 1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도 정착 제어부(220), DC 전압 생성부(210)와 같은 구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구성은 일 예일 뿐이며, 이와 상이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의 각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포함된 것이므로, 구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미도시된 구성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추가될 수도 있다.
정착 제어부(2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AC 전압을 정착기(22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2에서 정착 제어부(220)는 하나의 연결 선을 통해 입력부(110) 및 정착기(220)들과 각각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 를 위한 것이며, 실제로는 AC 전압 전달을 위해 두 개의 입력 선으로 입력부(110) 및 정착기(220)들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착 제어부(220)는 두 입력 선 중 하나의 선에 배치된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스위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될 수 있으며, 그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 즉, 인에이블 신호는 제어부(150)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검출부(130)는 DC 전압 생성부(2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DC 전압 생성부(210)는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AC 전압을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이 사용할 바이어스 전압(예를 들어, 24V, 5V)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DC 전압 생성부(210)는 정류 회로, 평활 회로, 트랜스포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130)는 트랜스포머의 1차측 전압을 그대로 검출함으로써, 입력 AC 전압에 대응되는 DC 전압 레벨을 얻을 수 있다. 얻어진 DC 전압은 제어부(150)로 제공된다.
제어부(150)는 제공된 DC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정착 온도 제어 정보를 저장부(140)로부터 검출한다. 이에 따라, 정착 온도 제어 정보에 따른 인에이블 신호를 정착 제어부(220)로 출력함으로써, 정착기의 구동 상태를 제어한다.
저장부(140)에서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가 다양한 구성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를 나타내면 다음 표와 같다.
DC 레벨 입력 AC 전압 예제 전압 제어 방법
0V 정격의 -30% 220V*0.7 A
... ... ... ...
... 정격의 -20% 220V*0.8 ...
... ... ... ...
... 정격의 -10% 220V*0.9 ...
... ... ... ...
1.65V 정격 220V*1 ...
... ... ... ...
... 정격의 10% 220V*1.1 ...
... ... ... ...
... 정격의 20% 220V*1.2 ...
... ... ... ...
3.3V 정격의 30% 220V*1.3 Z
표 1에서 예제 전압이란 입력 AC 전압의 실제 크기의 예를 나타낸다. 표 1에서는, 저장부(140)에 DC 레벨과 그에 대응되는 입력 AC 전압, 예제 전압, 제어 방법이 모두 기록된 상태를 나타냈으나, 반드시 이러한 정보들이 모두 기록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최소한의 형태로는 DC 레벨과 제어방법만 기록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어 방법이란, 정착기의 온도에 따른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 변화 알고리즘을 정의해 놓은 데이터일 수 있다.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면 다음 표와 같다.
정착기 온도\입력 정격 대비 -10% 정격 시 정격 대비 +10%
T+2℃이상 10% 듀티 off off
T+1℃ ~ T+2℃ 25% 듀티 25% 듀티 10% 듀티
T ~ T+1℃ 33% 듀티 33% 듀티 25% 듀티
T-2℃ ~ T 50% 듀티 50% 듀티 33% 듀티
T-5℃ ~ T-2℃ 75% 듀티 66% 듀티 50% 듀티
T-8℃ ~ T-5℃ 100% 듀티 75% 듀티 75% 듀티
T-8℃미만 100% 듀티 100% 듀티 100% 듀티
표 2에서 T는 타겟 온도를 의미한다. 즉, 타겟 온도를 기준으로 일정 온도 이상 높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정착기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정격보다 입력 전압이 낮은 경우에는 정착기를 완전 턴-오프 시키면, 타겟 온도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10% 정도로 정착기를 온시킨다. 즉, 100초가 기본 단위라면 10초 정도 온시킨다.
한편, 타겟 온도를 기준으로 일정 온도 이상 낮은 경우(즉, T-8℃ 미만인 구간)에는 타겟 온도까지 신속하게 올라갈 수 있도록, 듀티를 100%로 유지한다.
제어부(150)는 표 2와 같은 형태의 정착 온도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정착기의 구동 제어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는 턴-온되면 일정 시간 동안 워밍업을 한 후, 스탠바이 상태로 들어간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쇄 잡이 입력되면, 프린팅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는 크게 워밍업 상태, 프린팅 상태, 스탠바이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린팅 상태는 인쇄 코맨드가 입력된 시점부터 인쇄 잡이 완료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제 인쇄가 수행되는 구간 동안만을 의미할 수도 있다.
워밍업 상태인 경우, 정착기(120)의 온도가 낮으므로, 일정한 크기의 타겟 온도(이하에서, 제1 타겟 온도라 함)까지는 제어부(150)는 인에이블 신호를 100% 듀티로 출력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타겟 온도가 도달하면, 제어부(150)는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감소시켜 제1 타겟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프린팅 상태인 경우에는, 제어부(150)는, 정착기(120)가 프린팅에 적합한 정착 온도(이하, 제2 타겟 온도라 함)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입력 AC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듀티를 적절히 조정하면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한다. 정착 온도 제어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AC 전압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워밍업이 종료되고 프린팅을 대기하고 있는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에도, 인쇄 코맨드가 입력되었을 때 바로 프린팅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정착기(120)는 기 설정된 온도(이하, 제3 타겟 온도라 함)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스탠 바이 상태일 때에도, 제어부(150)가 정착기(120) 구동을 적절히 제어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시 도 2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가면, 센서부(160)는 정착기(120)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부(150)로 제공한다. 센서부(160)는 써미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센서부(160)에서 센싱된 온도를 기초로 표 2의 제어 정보를 참고하여, 적절한 듀티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센서부(160) 자체에 결함이 있거나, 제조 과정에서 정착기(120)와의 사이가 떨어진다는 등의 제조 불량이 있는 경우, 정착기의 실제 온도보다 낮게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는 정착기의 온도가 타겟 온도보다 낮다고 인식하고, 타겟 온도에 도달 할 때까지 계속 AC 전압을 공급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착기 파손 내지는 화재의 위험까지 있을 수 있다. 반면, 센서부(160)가 결함으로 인하여 실제 온도보다 높게 측정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화상 정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제어부(150)는 센서부(160)에서 센싱한 온도의 크기 또는 온도 변화 기울기가 허용 가능 한 지 여부를 진단한다. 진단 결과는 출력부(17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170)는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50)는 센싱한 온도의 크기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즉, 허용 범위보다 낮거나 높으면,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출력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제어부(150)는, 센싱한 온도의 크기가 허용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출력부(170)를 제어하고, 센싱한 온도의 크기가 허용 범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대신, 현재 DC 레벨의 크기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정착기(120)의 열량을 보상하여 주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센싱한 온도의 크기가 허용 범위보다 낮으면, 타겟 온도까지 도달하기 위하여 정착기를 지속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착기 파손, 화재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어 에러 상태로 알려주지만, 센싱한 온도의 크기가 허용 범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이러한 위험성은 없기 때문에, 열량을 보상하여 정착 성능이 확보되도록 제어해 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50)는 센싱한 온도의 변화 기울기가 허용 기울기 범위를 벗어나면,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즉, 허용 기울기 범위보다 작거나 큰 경우 모두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여 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50)는 센싱한 온도의 변화 기울기가 낮은 경우에만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여 주고, 높은 경우에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정착기의 열량을 보상하여 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에러 진단은 다양한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진단 작업은 워밍업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구간에서의 센서 에러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가로축은 시간이고, 세로축은 정착기 온도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체적인 수치는 그 기재를 생략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워밍업 구간에서는 100% 듀티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정착기의 온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가 된다. 도 3에서는 3 개의 입력 AC 전압 크기 상태에 따른 그래프(V1, V2, V3)를 나타낸다. V2는 정격 전압이고, V1은 정격 대비 -30%, V3은 정격 대비 +30%를 나타낸다.
도 3에 따르면, AC 전압이 클수록 동일한 시간에 더 높은 온도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AC 입력 전압 상황에서, 기 설정된 시간(시간 y)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 크기는 서로 달라지게 된다. 반복 실험 또는 예측을 통해서, 각 AC 입력 전압 상황에서의 허용 온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V3 인 경우에는 시간 y가 경과되었을 때, 최대 a 내지 최소 b ℃의 온도 범위 내에 있고, V2 인 경우에는 시간 y가 경과되었을 때, 최대 c 내지 최소 d ℃의 온도 범위 내에 있으며, V1 인 경우에는 시간 y가 경과되었을 때, 최대 e 내지 최소 f ℃의 온도 범위 내에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허용 온도 범위 내의 온도가 센싱되면, 제어부(150)는 센서부(16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 허용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온도가 센싱되면, 센서부(160)가 오동작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온도 변화 기울기를 확인하여, 에러 여부를 진단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50)는 도 3에서 x ~ y 시간 동안의 온도 변화 정도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허용 기울기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에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기준 및 그에 따른 처리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허용 온도 범위 및 온도 변화 기울기 등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스탠바이상태에서의 전압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V1은 정격 -30%의 AC 전압이 입력되었을 때의 정착기 온도 변화를 나타내고, V3은 정격 +30%의 AC 전압이 입력되었을 때의 정착기 온도 변화를 나타내며, V'는 정격 +30% 의 AC 전압이 입력되었을 때 오버슈트를 제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적용한 정착기 온도 변화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가 턴-온되면 일정 시간(tb) 동안 워밍업된 후, 스탠 바이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스탠 바이 상태에서는 제3 타겟 온도(Tem 2)를 유지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워밍업 동안, 즉, 제1 타겟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제어부(150)는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100%로 둔다. 여기서 제1 타겟 온도는 제3 타겟 온도보다 작거나 클수 있으며,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하지만, 정격 전압 보다 큰 V3이 입력되는 경우, 제1 타겟 온도가 도달 할 때까지 듀티를 100%로 그대로 두게 되면, 스탠 바이 상태로 들어 가는 시점에서 제3 타겟 온도를 훨씬 초과하는 상태, 즉, 오버 슈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버슈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150)는 워밍업을 수행하는 동안, 추후 오버슈트가 발생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 오버 슈트가 발생할 지 여부는 입력 전압의 크기를 확인함으로써 알 수 있다. 즉, 입력 전압의 DC 레벨의 크기가, 정격 전압의 DC 레벨 보다 크다면 정격 AC 전압보다 큰 입력 전압으로 인식할 수 있다.
V3의 경우, 오버 슈트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제1 타겟 온도보다 낮은 온도(즉, Tem 1)에서 듀티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정착기 온도 변화 특성은 V'와 같이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제1 타겟 온도에 도달하기 전인 ta ~ tb 구간에서부터 미리 정착기 가열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제1 타겟 온도를 크게 초과하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ta 시점에 한번만 듀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듀티 감소는 단계적으로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 즉, 설정온도 Tem 1 에 도달하면 듀티를 80%로 감소시키고, 그 다음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듀티를 50%로 감소시켜, 제3 타겟 온도 Tem 2에 완만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도 5는 스탠 바이 상태에서의 정착기 온도 제어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스탠 바이 상태에서 기 설정된 타겟 온도(즉, 제3 타겟 온도)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프린팅 커맨드가 입력되었을 때, 바로 프린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3 타겟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어부(15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정착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50)는 프린팅 구간과 동일한 방식으로 정착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센서부(160)의 센싱 결과를 모니터링하면서, 제3 타겟 온도보다 떨어지면 듀티를 키우고, 타겟 온도보다 낮아지면 듀티를 증대시키는 방식으로 정착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50)는 정착기 온도가 제3 타겟 온도 이하로 떨어지고, 기 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였을 때,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듀티 패턴으로 정착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이 방식에 따른 듀티 패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에서 입력 전압이 정격 전압 V2인 경우에는, (b) 그래프와 같이 β 시간 동안 정착기를 인에이블 시킨다. 이 경우,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는 단계적으로 변화시킨다. 일 예로, α1 시간 동안은 33%, α2 시간 동안은 50%, α3 시간 동안은 100%와 같이 3 단계로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α1+α2+α3=β가 된다.
도 5의 (b)에서는 각 단계의 시간 α1, α2, α3 이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시간들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입력 전압이 V2보다 큰 V3이라면 (a) 그래프와 같이 β-γ로 정착기 인에이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입력 전압이 크면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정착기의 온도가 올라가므로, 동일한 시간 동안 정착기를 인에이블 시키면 온도 리플 정도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정착기 인에이블 총 시간을 줄여줌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 비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α1'+α2'+α3'=β-γ 관계를 만족하는 새로운 α1',α2',α3'시간 동안 각각 33%, 50%, 100% 듀티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c)는 정격 전압이 V2보다 작은 V1인 경우를 나타낸다. (c) 그래프에 따르면, 정착기 인에이블 시간은 총 β+γ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α1"+α2"+α3"=β+γ 관계를 만족하는 새로운 α1",α2",α3"시간 동안 각각 33%, 50%, 100% 듀티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총 인에이블 시간을 조정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총 인에이블 신호는 고정시키고 듀티 패턴만 변화시킬 수도 있다.
즉, 정격 전압 V2보다 큰 V3이 입력되면, 100% 듀티로 출력되는 시간 α3을 상대적으로 줄이고, α1을 상대적으로 늘임으로써, 온도 리플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정격 전압 V2보다 작은 V1이 입력될 때는 α3을 늘이고, α1을 줄이는 방식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듀티가 33%, 50%, 100% 순서로 조정되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듀티가 커지는 순서로 조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온도 리플이 최소화될 수 있는 방식이라면 다른 패턴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AC 전압이 입력되면(S610), 입력 AC 전압에 대응되는 DC 전압을 검출한다(S620).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AC 전압에 대응되는 DC 전압은 SMPS 내부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검출된 DC 전압에 대응되는 정착온도제어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 중에서 확인하여 검출한다(S630). 정착 온도 제어 정보란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가 될 수 있으나, 그 중 일 예로는, 정착기로의 전압 전달 여부를 스위칭하는 스위치의 인에이블 신호 듀티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된 정착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정착기 구동을 제어한다(S640). 즉, 입력 AC 전압이 정격보다 크면, 듀티를 상대적으로 적게 하여 타겟 온도에서의 온도 리플 및 오버슈트를 방지한다. 반면, 입력 AC 전압이 정격보다 작으면, 듀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정착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따르면, AC 전압이 입력되면(S710), 입력 AC 전압에 대응되는 DC 전압을 검출하고(S720), 검출된 DC 전압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를 검출한다(S730). 이에 따라, 검출된 정착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정착기를 구동한다.
한편, 구동되고 있는 정착기의 온도를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한다(S740). 센싱된 온도의 크기 또는 온도 변화 기울기가 허용 가능한지를 판단한다(S750). 이에 따라 허용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S760).
반면, 허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검출된 정착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정착기 구동을 제어한다(S770).
여기서, 허용 가능한 지 여부는 허용 범위 또는 허용 기울기 범위에 미만하거나, 초과하는 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는, 허용 범위보다 낮거나, 허용 기울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만 허용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검출된 DC 레벨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정착기를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입력 AC 전압의 DC 레벨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센서의 에러 여부까지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정밀하고 안정적인 정착기 구동 제어가 가능해 진다.
도 8은 정착기 구동 제어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르면, 정착기 구동은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이한 프로세스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워밍업 상태인 경우(S810 : Y), 일단 100% 듀티의 인에이블 신호로 정착기를 구동시킨다(S821). 화상형성장치가 파워 오프 상태에서 턴온 된 경우, 정착기의 온도를 빨리 올리기 위하여, 통상적으로는 100% 듀티의 인에이블 신호를 적용한다. 하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100% 이하의 듀티로도 충분히 빠른 속도로 정착기 온도를 올릴 수 있다면, 워밍업 상태에서도 그 듀티로 구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오버 슈트가 생길 것으로 예측되면(S822), 설정 온도까지만 100% 듀티를 유지하고(S823),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듀티를 감소시킨다(S824). 이에 따라, 타겟 온도 부근에서 오버 슈트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듀티 감소 과정은 복수 회 수행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정착기가 제1 타겟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워밍업 상태를 유지한다(S825 : N).
한편, 제1 타겟 온도에 도달하면(S825 : Y), 프린팅이 개시될 것인지, 스탠 바이 상태를 유지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31).
스탠 바이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라면, 기 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한다(S832). 판단하여 시간 주기가 도래하였다면, 다시 정착 온도가 제3 타겟 온도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833). 이와 같이, 시기적 조건과 온도 조건이 모두 충족되면, 제3 타겟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정착기 구동 제어가 수행된다(S834). 스탠 바이 상태에서의 정착기 구동 제어는 도 5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시간이나, 신호 듀티의 크기, 각 듀티 별 적용 시간 등은 입력 AC 전압에 대응되는 DC 전압 레벨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프린팅 상태라고 판단되면(S831), 현재 AC 입력에 대응되는 DC 전압을 검출한다(S841).
그에 따라, 검출된 DC 전압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를 검출하고(S842), 그 정보에 따라 정착기 구동 제어를 수행한다(S843).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그 동작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정착기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어떠한 상태에서든지, 입력 AC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DC 전압 레벨을 기초로 정착기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정착기 구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센서의 오작동 여부도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에러 진단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오버슈트 감소를 위한 본 화상형성장치의 전압 제어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스탠바이 상태 구간에서의 정착기 구동 제어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구동 제어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입력부 120 : 정착기
130 : 검출부 140 : 저장부
150 : 제어부

Claims (20)

  1. AC 전압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AC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DC 전압으로서 제1 DC 전압 또는 제2 DC 전압을 출력하는 검출부;
    상기 AC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정착기;
    상기 제1 DC 전압 또는 상기 제2 DC 전압에 매칭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DC 전압 또는 상기 제2 DC 전압에 매칭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정착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메시지 출력을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한 정착기의 온도의 변화 기울기가 기 설정된 허용 기울기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센서부가 에러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온도의 크기가 상기 검출된 DC 전압에 대해 기 설정된 허용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센서부가 에러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온도의 크기가 상기 검출된 DC 전압에 대해 기 설정된 허용 온도 범위보다 낮거나, 상기 센싱된 온도의 변화 기울기가 상기 검출된 DC 전압에 대해 기 설정된 허용 기울기 범위보다 작으면, 상기 센서부가 에러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센싱된 온도의 크기가 상기 허용 온도 범위보다 높거나, 상기 센싱된 온도의 변화 기울기가 상기 허용 기울기 범위보다 크면, 상기 센싱된 온도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 전압을 상기 정착기로 전달하는 정착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착 제어부를 온시키는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조정하여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워밍-업 중이면,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제1 타겟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100% 듀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C 전압이 정격 전압보다 크면,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상기 제1 타겟 온도보다 낮은 설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100% 듀티로 출력하고,
    상기 설정 온도에서 상기 제1 타겟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워밍-업 중이면,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제1 타겟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100% 듀티로 출력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프린팅 작업 수행 중이면,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제2 타겟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DC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고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제3 타겟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단계적으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DC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단위 시간 동안의 인에이블 신호 듀티 조정 패턴, 조정된 듀티 적용 시간, 및 상기 단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AC 전압이 입력되면, 상기 AC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DC 전압으로서 제1 DC 전압 또는 제2 DC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제1 DC 전압 또는 상기 제2 DC 전압에 매칭되는 기 저장된 정착 온도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정착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정착기의 온도의 변화 기울기가 기 설정된 허용 기울기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센서가 에러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된 온도가 상기 검출된 DC 전압에 대해 기 설정된 허용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온도가 상기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센서가 에러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온도의 크기가 상기 검출된 DC 전압에 대해 기 설정된 허용 온도 범위보다 낮거나, 상기 센싱된 온도의 변화 기울기가 상기 검출된 DC 전압에 대해 기 설정된 허용 기울기 범위보다 작으면, 상기 센서가 에러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온도의 크기가 상기 허용 온도 범위보다 높거나, 상기 센싱된 온도의 변화 기울기가 상기 허용 기울기 범위보다 크면, 상기 센싱된 온도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AC 전압을 상기 정착기로 전달하는 정착 제어부를 온시키는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조정하여,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워밍-업 중이면,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제1 타겟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100%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AC 전압이 정격 전압보다 크면,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상기 제1 타겟 온도보다 낮은 설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100% 듀티로 출력하고, 상기 설정 온도에서 상기 제1 타겟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워밍-업 중이면,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제1 타겟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100% 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프린팅 작업 수행 중이면,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제2 타겟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DC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정착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고 상기 정착기의 온도가 제3 타겟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듀티를 단계적으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 상기 DC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단위 시간 동안의 인에이블 신호 듀티 조정 패턴, 조정된 듀티 적용 시간, 및 상기 단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KR1020090002695A 2009-01-13 2009-01-1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KR101579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695A KR101579822B1 (ko) 2009-01-13 2009-01-1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US12/605,909 US8270862B2 (en) 2009-01-13 2009-10-26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ser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695A KR101579822B1 (ko) 2009-01-13 2009-01-1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353A KR20100083353A (ko) 2010-07-22
KR101579822B1 true KR101579822B1 (ko) 2015-12-24

Family

ID=4231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695A KR101579822B1 (ko) 2009-01-13 2009-01-1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70862B2 (ko)
KR (1) KR101579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033B1 (ko) * 2011-12-01 2018-07-03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전압 공용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정착 온도 제어 방법
JP6261468B2 (ja) * 2014-07-23 2018-01-17 シャープ株式会社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搬送制御方法
JP2016218176A (ja) * 2015-05-18 2016-12-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15404868B2 (en) * 2015-07-31 2018-02-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supplies
JP2018005170A (ja) * 2016-07-08 2018-01-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402205B2 (en) * 2017-03-02 2019-09-03 Quanta Compu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optimizing hardware frequency for booting
KR101974414B1 (ko) * 2017-09-12 2019-05-02 주식회사 티에스디라이프사이언스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하는 섬유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939610B2 (ja) * 2018-01-31 2021-09-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3016472A (ja) * 2021-07-21 2023-0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0314A (ja) * 2002-05-10 2003-11-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198859A (ja) * 2002-12-20 2004-07-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9050A (ja) * 1996-11-20 1998-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389872B1 (ko) * 2001-11-12 200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정착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장치
KR100555678B1 (ko) * 2004-06-03 200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동기신호 생성 및 전원전압 검출을 위한 정착기제어장치
US7933529B2 (en) * 2005-08-30 2011-04-26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fixing apparatus
JP2008139505A (ja) 2006-11-30 2008-06-19 Ricoh Co Ltd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792450B2 (en) * 2007-04-17 2010-09-07 Kabushiki Kaisha Toshiba Fix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0314A (ja) * 2002-05-10 2003-11-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198859A (ja) * 2002-12-20 2004-07-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353A (ko) 2010-07-22
US8270862B2 (en) 2012-09-18
US20100178072A1 (en)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822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US8509633B2 (en) Hea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1562274A2 (en) A power storage apparatus, a fix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ation apparatus
US849439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for
US9235182B2 (en) Fixing device capable of detecting wrap jam of recording shee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031440B2 (en) Hea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702250B2 (en) Heat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JP574852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US75574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ower supply apparatus
US7206527B2 (en) Information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fixing unit
JP2007102008A (ja) 画像形成装置
US773880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5206627A (ja) ヒータ負荷の消費電力の検出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90468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restricting excessive temperature rise of fixing member
JP4553914B2 (ja) 画像形成装置
JP7423318B2 (ja) 画像形成装置
US9568874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46257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7216822A (ja) コンバータ、及び、コンバータ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5253283A (ja) 蓄電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949561B2 (ja)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30616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20220404752A1 (en) Apparatus including power source unit
JP534456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21685A (ja) 蓄電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