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077B1 - 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077B1
KR101579077B1 KR1020107010419A KR20107010419A KR101579077B1 KR 101579077 B1 KR101579077 B1 KR 101579077B1 KR 1020107010419 A KR1020107010419 A KR 1020107010419A KR 20107010419 A KR20107010419 A KR 20107010419A KR 101579077 B1 KR101579077 B1 KR 101579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ck flushing
fluid
backflushing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108A (ko
Inventor
랄프 부누크
왜르그 헤르만 게르스트너
베른하르트 슐리히터
Original Assignee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filed Critical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00097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2Devices for taking out of action one or more units of multi- unit filters, e.g. for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valves, e.g. rotating valves for coaxially plac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필터 장치는 여과될 유체를 위한 필터 입구와 여과된 유체를 위한 필터 출구를 갖는 필터 하우징 내에 수용될 수 있는 복수의 필터 요소들(21)을 포함하며, 필터 요소들(21)을 통한 유동은 여과 또는 백플러싱을 위한 양 방향들로 가능하다. 차단 요소(41)가 유압 피스톤(53)에 의해 작동되어 상술한 유체 연결부를 매우 신속히 차단할 수 있는 급속-폐쇄 판 밸브(43)이기 때문에, 역방향 세척된 필터 요소(21) 상의 압력 블로우의 방식으로 공급 효과가 생성되며, 상기 공급 효과는 필터 요소(21) 상의 오염물의 세정을 증가시키고, 개선된 역방향 세척 세정이 달성된다.

Description

필터 장치 {FILTER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들의 구조에 따른 복수의 필터요소들을 구비한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 199 56 859 A1호는 특히, 소위 관형 쐐기 와이어 스크린 필터 요소들의 형태인 원추형 필터 요소들을 구비한 필터 장치를 개시한다. 원추형 제작으로 인해, 개별 원추형 관형 쐐기 와이어 스크린 필터 요소들 사이의 거리는 개별 영역들에서 증가되며, 결과적으로, 필터 하우징 내의 유출유동 공간도 커진다. 백플러싱(backflushing) 동안, 원추형 필터 요소는 원통형 필터 요소에 비해 특히 유리하다. 그 이유는 주로, 동일 필터 표면에 대하여 원통형 필터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원추형 필터 요소들의 출구 단면이다. 그러나, 필터 표면에 의해 형성된 진입 단면에 대한 원추형 필터 요소들의 출구 단면, 즉, 요소가 없는 면적(free element area)이 작기 때문에, 분할 튜브(split tube)의 유동 저항의 양에 따라, 병목이 형성되고, 이 병목에서 시스템 압력의 대부분이 강하한다. 따라서, 더 작은 압력 손실이 발생하면 할수록 백플러싱의 에너지에 관하여 더욱 바람직하다.
백플러싱에서, 원추형 필터 요소들 뿐만 아니라 원통형 필터 요소들에 대해서도 용적 처리량의 대부분이 일반적으로 하부 필터 단부에서 달성된다. 그후, 용적 유동은 매우 급속히 감소한다. 부가적으로, 원추형 요소들에 대하여, 속도 구배가 더 작고, 그래서, 필터 표면에 대하여, 속도 프로파일을 포함하여, 요소들의 원뿔형상으로 인해 원통형 요소들에 비해 부가적인 세정 효과가 발생한다. 원추형 필터 요소들의 세정시 달성되는 본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인해, 이는 조심스럽게 이루어지며, 이것이 관련 필터 요소들의 서비스 수명을 연장시킨다.
백플러싱에서, 바람직하게는 모든 필터 요소들이 연속적으로 재생된다. 개별 요소들의 백플러싱 동안, 잔여 필터요소들을 통해 여과가 지속되며, 그래서, 여과 작업은 언제나 중단되지 않는다.
공지된 필터 장치에서, 백플러싱 프로세스는 백플러싱 단계 동안 필터 장치에 발생되는 과압이 부분적 여과물의 스트림이 세정될 필터 요소를 역방향으로 통과 유동할 수 있게 하여 요소로부터 먼지를 분리 및 이격 방향으로 이송하는 방식으로만 이루어지지는 않으며, 매우 견고한 먼지까지도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노력으로 백플러싱을 지원하기 위해, 압력 제어 수단이 존재하고, 이 압력 제어 수단은 백플러싱되는 각각의 필터 요소 상에 부압을 생성한다. 따라서, 백플러싱시 시스템 압력이 활성화될 뿐만 아니라, 인가된 부압으로 인해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더 높은 압력 구배가 얻어진다.
공지된 장치에서, 부압 수단은 다이아프램 축압기 형태의 유압 축압기를 가지며, 흡입 또는 펌프 운동을 위한 축압기의 분리 요소를 형성하는 다이아프램은 작동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있다. 이 작동 동안, 현저한 제어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작동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해, 피스톤 로드 덕트를 구비한 다이아프램 축압기의 복잡한 구조 및 그 밀봉이 필요하다. 값비싼 구조에도 불구하고, 작동 신뢰성을 보증하는 비교적 긴 서비스 수명을 달성하기 어렵다. 또한, 축압기 및 구동 수단을 위한 상당한 설치 공간이 필요하다.
DE 10 2005 016 151 A1호는 여과된 유체를 위한 필터 출구와 여과될 유체를 위한 필터 입구 및 하우징을 구비한 필터 장치를 개시한다. 필터 하우징 내에는 다수의 필터 요소들이 존재하고, 각각의 필터 요소는 필터 입구에 유체 연결되어 여과 프로세스 동안 더러운 유체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통과 유동시키는 제1 관통 개구를 갖는다. 또한, 필터 요소의 제1 통로 개구에 유체 연결될 수 있는 백플러싱된 더러운 유체를 위한 유체 개구를 구비하는 가동성 플러싱 아암이 존재하며, 그 결과, 필터 요소의 외측으로부터 내부로의 백플러싱 유동이 발생한다. 각각의 필터 요소가 제2 통로 개구를 갖고 하나의 밸브 유닛이 존재하며, 백플러싱 프로세스시 밸브 유닛을 개방시킴으로써, 여과 프로세스시 밸브 유닛이 제2 통로 개구를 폐쇄하고, 백플러싱 프로세스시 밸브 유닛이 개방되기 때문에, 제2 통로 개구를 통한 백플러싱된 유체의 제2 억세스 가능성이 발생하며, 이는 백플러싱 프로세스시 고도의 세정을 획득하기 위해 필터 요소 내의 추가적 백플러싱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DE 100 24 401 A1호는 특히 윤활유 여과를 위한 포괄적 백플러싱 필터 장치를 개시하며, 이 장치는 회전 샤프트 둘레의 필터 하우징 내에 위치되어 양 단부들 상에서 개방되어 있는 필터 카트리지들과, 세정 수단을 구비하고, 여과시 필터 카트리지들의 내부에는 여과될 무거운 액체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 여과될 무거운 액체는 백플러시 필터 내로 유동하고, 세정 수단은 회전 샤프트에 의해 이동되며, 백플러싱 동작시 필터 카트리지들의 개별 또는 그룹 세정을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소위 플러시 코크(flush cock)들을 구비하고, 이 플러시 코크들은 회전 샤프트를 통해 드레인 밸브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플러시 코크는 필터 카트리지의 일 단부 측부에 할당되고, 다른 플러시 코크는 필터 카트리지의 다른 단부 측부에 할당되어 있다. 제1 플러시 코크가 제2 플러시 코크에 대해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오프셋 배열되어 있고, 동시에 이동되는 제1 및 제2 밀봉 부재가 필터 카트리지의 대향한 단부 측부를 위한 제1 및 제2 플러시 코크들에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큼의 플러시 코크들의 상술한 오프셋은 두 개의 유입 단부들 상에서 지연된 모드로 플러싱 압력에 필터 카트리지들이 노출될 수 있게 하므로, 지연된 모드에서의 대향 방향들로의 이 백플러싱으로 인해 높은 플러싱 속도들 또는 속도 프로파일들이 필터 카트리지 높이에 걸쳐 달성되며, 이는 개선된 플러싱 효과를 위해 활성화된 더 높은 플러싱 속도들로 인해 특히 유입 단부들 사이의 중간 영역들에서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이 종래 기술에 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여과 성능에 추가하여 개선된 백플러싱 값들을 또한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간단한 구조와 또한 장기 작동시의 작동 신뢰성 양자 모두를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항 1 전체의 특징들을 갖는 필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청구항 1의 특징부에 명시된 바와 같이, 차단 요소는 급속-폐쇄 판 밸브이며, 이는 유압 피스톤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고, 상술한 유체 연결을 급속히 차단하며, 그래서, 백플러싱된 필터 요소 상의 유압 충격의 형태로, 공급 효과가 발생하며, 이 공급 효과는 필터 요소의 먼지의 제거를 증가시키고, 각각의 필터 요소의 백플러싱시 개선된 세정이 달성된다. 차단 요소의 특수한 구조로 인해, 백플러싱 프로세스 전에 필터 요소에 진입하는 유체 유동에서 급격한 유동 차단이 발생되고, 그래서, 유동 동역학 효과로서 차단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유동 속도가 강한 공급 효과를 유발한다. 따라서, 여과에 대해 반전된 필터 요소를 통한 유동을 위해, 관련 필터 요소의 세정 측부 상에서 가용한 시스템 압력뿐만 아니라, 오염된 측부로부터 유동하는 유동의 급작스러운 차단에 의해 발생하는 상술한 동역학적 효과의 결과로서 얻을 수 있는 공급 효과에 의해 여과물의 역류가 강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으로, 일 유형의 유압 충격 형태가 발생하며, 그 작용은 원추형 필터 요소들이 사용될 때 소정 정도 향상된다. 원추형 필터 요소는 이때 종래 기술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규정된 중간 영역들에서 뿐만 아니라 전체 요소에 걸쳐 균일한 공급 효과를 유발한다.
압력 제어 수단의 차단 요소로서 사용된 판 밸브는 제조에 바람직한 특히 간단한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판 밸브는 작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며, 이 견지에서, 필터 하우징 내에 쉽게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실질적 무제한적 동작 시간에 걸쳐 동작 신뢰성이 보증된다.
필터 요소는 여과 동안 필터 입구에 연결되는 단부 측부 입구 개구와 백플러싱 과정에서 그를 통해 오염된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단부 측부 입구 개구에 대향한 단부 측부 배출 개구 사이에서 연장하는 종축을 형성하는 내부 필터 공동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백플러싱 동안 세정될 필터 요소의 입구 개구는 차단 요소에 의해 차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부를 향해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필터 하우징 내의 수직 종축을 따라 배치된 필터 요소들이 존재하며, 이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떠한 다른 인자들 보다, 전체 요소에 걸쳐 본, 백플러싱 효율을 촉진한다.
유리한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세정될 필터 요소의 배출 개구는 백플러싱 라인에 연결될 수 있고, 이 백플러싱 라인은 밸브 수단에 의해 교번적으로 소통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이는 더러운 유체의 유출유동 영역에서의 유동에 대한 부가적 제어 옵션을 산출한다. 특히, 여기서, 장치는 백플러싱 라인이 종축의 방향으로 측정된 필터 요소들의 길이 보다 더 큰 또는 매우 더 큰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이때, 상대적으로 긴 유체 컬럼의 유동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특히 강한 공급 효과를 발생시키면서 따라서, 특히 효과적인 세정을 발생시키는 동역학적 효과가 달성된다.
양호한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백플러싱 수단은 가동성 백플러싱 아암을 구비하며, 이 가동성 백플러싱 아암은 구동 수단에 의해 세정될 필터 요소의 배출 개구에 연결될 수 있고, 구동 수단에 의한 백플러싱 아암의 이동 과정에서 차단 요소는 그 필터 공동 내로의 유체 진입을 소통 또는 차단하도록 백플러싱 아암에 연결된 필터 요소의 입구 개구에 정렬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일 예시적 실시예를 사용하여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종방향 단면으로, 실제 비율 대로가 아닌 상태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II로 표시된 영역에 따른, 도 1에 비해 확대된 추출도.
도 3은 백플러싱을 위해 준비된 필터 요소 및 이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수직 방향으로 크게 단축된 상태로 그려진 장치의 매우 개략적으로 단순화된 부분 추출도.
도 4는 실제 백플러싱 프로세스시 발생하는 유체 유동의 예시를 위한 도 3과 유사한 도면.
도면에 도시된 필터 장치는 원통형 하우징(1)을 구비하며, 이 원통형 하우징은 상부 밀봉 커버(3)와, 하부 하우징 종결부(5)와, 이들 사이에 개재된 중간 저면부(7)를 구비하며, 이들 모두는 플랜지 연결부들(9)에 의해 필터 하우징(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내에서, 중간 저면부(7)가 미여과 물질을 위한 공간(11)을 분리하고, 이 공간 내로 여과될 유체가 필터 장치의 세정 측부(15)로부터 필터 입구(13)를 통해 유동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여과된 유체가 필터 출구(17)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중간 저면부(7)와 하부 하우징 종결부(5)에 배치된 요소 수용기(19) 사이에, 원추형으로 상향 연장하는 필터 요소들(21)이 삽입되며, 원추형 필터 요소들(21) 대신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의 필터 요소들(미도시)이 존재할 수도 있다. 소위 관형 쐐기 와이어 스크린 필터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는 상술한 원추형 필터 요소들(21)은 필터 하우징(1) 내의 원통형 원호를 따라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일 실시예에서, 원통형 원호들을 따라 반복적으로 분할된 그룹들로 필터 요소들(21)이 존재할 수도 있다.
그 입구 단면들, 즉, 그 입구 개구들(23)을 구비하는 상태로 도면들에 도시된 필터 요소들(21)은 중간 저면부(7)의 리세스들(24) 내로 배출하며, 이들은 대응적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따라서, 미여과 물질을 수납하는 공간(11)에 유체 연결되어 있으며, 그래서, 여과 프로세스를 위해, 이는 필터 요소들(21)의 내부 필터 공동(25)으로 진입하고, 여과 중에 필터 요소들(21)을 통해 세정 측부를 향해 외측으로 유동한다. 반대로, 백플러싱 프로세스에서, 유동은 세정 측부(15)로부터 세정될 각각의 필터 요소를 통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루어진다. 필터 하우징(1)의 외부로부터 인도되는 백플러싱 라인(29)의 시작부를 형성하는 피봇식으로 장착된 백플러싱 아암(27)에 의해, 분리된 먼지를 포함하는 더러운 유체는 백플러싱 프로세스시 세정될 필터 요소(21)의 외부로부터 저면 측부 배출 개구(31)를 통해 흐른다.
백플러싱 아암(27)은 그 피봇 운동을 위해 필터 하우징(1)에 동심으로 배치된 구동 샤프트 수단을 통해 기어형 모터(33)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구동 샤프트 수단은 상부 샤프트 저널(35)과 중공 중간 샤프트(37)와 하부 샤프트 저널(39)을 구비하며, 상부 샤프트 저널(35)은 기어형 모터(33)의 구동 측부에 부착되고, 하부 샤프트 저널(39)은 백플러싱 아암(27)에 연결된다.
기어형 모터(33)는 백플러싱 아암(27)을 피봇시키기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또한, 차단 요소(41)를 위한 피봇 구동부를 형성하며, 이 차단 요소에 의해 백플러싱 프로세스를 위해, 세정될 필터 요소(21)의 필터 공동(25)과 공간(11) 내의 미여과 물질 사이의 유체 연결이 그 입구 개구(23)가 폐쇄됨으로써 중단될 수 있다. 판 밸브(43)를 포함하는 차단 요소(41)의 관련 세부사항들은 도 2 내지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들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판 밸브(43)는 샤프트 저널(35)에 연결된 캐리어(45) 상에 배치되며, 그래서, 기어형 모터(33)는 백플러싱 아암(27)과 함께 판 밸브(43)를 피봇시킨다. 도면들에서, 기어형 모터(33)에 의해, 백플러싱 아암(27) 및 판 밸브(43)는 피봇 위치로 설정되고, 이 피봇 위치에서, 도면들에서 좌측에 위치되어 있는 필터 요소(21)가 백플러싱 프로세스를 위해 선택된다. 판 밸브(43)는 밸브 판(47)을 가지며, 이 밸브 판은 캐리어(45) 상의 밸브 시트(49)와 상호작용한다. 밸브 판(47)을 덮기 위해 종축(51)을 따라 이루어지는 폐쇄 운동 및 이에 따른, 관련 필터 요소(21)의 입구 개구(23)의 차단을 위해, 밸브 판(47)은 캐리어(45)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55)에 의해 안내되는 유압 피스톤(53)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동작 모드를 예시하기 위해, 특히,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 도 3은 백플러싱 프로세스를 위해 선택된 필터 요소(21) 내에서 유체 유동이 진행하는 방식을 화살표 57(도면들에 모두 표시되어 있지는 않음)로 도시하고 있으며, 선택된 필터 요소의 입구 개구(23)에 대해, 판 밸브(43)가 정렬되어 있고, 선택된 필터 요소의 배출 개구(31)는 백플러싱 아암(27)에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이 유동 상태는 도 1에만 도시되어 있는 밸브 수단(59)이 백플러싱 라인(29)을 소통(clear)시키고, 판 밸브(43)가 아직 폐쇄되어 있지 않을 때 발생한다. 이 시점에서, 백플러싱 프로세스를 위해, 판 밸브(43)가 그 유동 상태로 폐쇄되는 경우, 즉, 필터 요소(21) 내로의 공간(11) 외부로의 미여과 물질의 유동이 차단된 이후, 유동은 필터 요소(21) 상에서 반전된다. 공간(11)으로부터 필터 요소(21)를 통해 유동하는 미여과 물질의 유동 속도의 결과로서(도 3으로부터의 상태), 판 밸브(43)의 차단은 부압 유압 충격을 초래하고, 그 결과, 공급 효과가 발생하며, 그래서, 세정 측부(15)의 관점으로부터 필터 요소(21) 내로의 도 4에 유동 화살표 61로 표시된 역류를 위해, 시스템 압력뿐만 아니라, 미여과 액체 컬럼의 차단에 의해 추가적 공급 효과가 얻어진다. 필터 매체의 통로 부위들에서, 이 방식으로 발생하는 노즐 작용에 의해 매우 단단한 먼지까지도 필터 매체로부터 분리된다. 백플러싱 라인(29)이 더 큰 길이를 가질 때, 즉, 차단 프로세스가 비교적 긴 유체 컬럼에 대응하는 유속들에서 발생할 때 특히 강한 공급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6)

  1. 여과될 유체를 위한 필터 입구(13) 및 여과된 유체를 위한 필터 출구(17)를 갖는 필터 하우징(1)과,
    유체의 여과 또는 백플러싱 양쪽을 위해 상기 필터 하우징(1)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필터 요소들(21)로서, 상기 복수의 필터 요소들(21) 중 1개 이상의 필터 요소(21)의 여과를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적어도 1개의 다른 필터 요소(21)의 활성 필터 표면을 세정하도록 백플러싱을 행할 수 있고, 상기 필터 요소(21)의 각각이 필터 공동(25) 및 상기 필터 공동(25)으로의 입구 개구(23)를 갖는, 복수의 필터 요소들(21), 및
    상기 필터 요소(21)의 백플러싱을 지원하는 압력 제어 수단을 갖는 백플러싱 수단으로서, 상기 압력 제어 수단은 차단 요소(41)를 갖고, 이 차단 요소(41)에 의해 상기 필터 요소(21)의 상기 입구 개구(23)에서, 상기 필터 입구(13)와 상기 필터 공동(25) 사이의 유체 연결을 차단 또는 소통(clear)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백플러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요소(41)는 여과 중에 상기 유체 연결을 소통시키고, 적어도 백플러싱의 시작시 또는 백플러싱의 실행 중에 상기 유체 연결을 차단하는, 필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단 요소(41)는 유압 작동 피스톤(53)에 의해 가동되는 판 밸브(43)를 갖고, 상기 판 밸브(43)는 백플러싱되는 상기 필터 요소(21)의 하나로 상기 유체 연결을 차단하고, 백플러싱되는 상기 필터 요소(21)의 하나에 대해 유압 충격을 생성하여 백플러싱되는 상기 필터 요소(21)의 하나에서의 오염 제거를 향상시키는 공급 효과를 발생시키며,
    상기 판 밸브(43)는 백플러싱되는 상기 필터 요소들(21) 중 하나의 상기 입구 개구(23)에 인접하는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밸브 판(47)을 갖고,
    상기 유압 작동 피스톤(53)은 상기 밸브 판(47)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백플러싱 수단은 가동성 백플러싱 아암(27)을 갖고, 이 백플러싱 아암(27)은 구동 수단(33)에 의해 세정될 상기 필터 요소(21)의 하나의 배출 개구(3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수단(33)은 구동 축을 따라 회전가능한 구동 축 저널을 가지며,
    상기 차단 요소(41)는 상기 백플러싱 아암(27)과 함께 상기 구동 수단(33)에 의해 동작하며, 백플러싱하는 상기 필터 요소(21)의 하나의 상기 입구 개구(23)와 정렬하여, 상기 백플러싱 아암(27)과 접속하고,
    상기 필터 요소(21)는 상기 구동 축에 대해 평행하고 또한 동심원으로 정렬하며,
    상기 차단 요소(41)는 상기 구동 축과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고, 또한 상기 구동 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며,
    상기 유압 작동 피스톤(53)은 상기 구동 축에 대해 평행하고, 또한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며,
    수직 종축(51)은 상기 필터 요소들(21) 각각의 상기 필터 공동(25)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필터 입구(13)에 연결된 한쪽 단부에서의 상기 입구 개구(23)와, 이것과는 반대측의 다른쪽 단부에서의 상기 배출 개구(31)와의 사이에서 연장하며,
    오염된 유체는 백플러싱 중에 각각의 상기 배출 개구(31)로부터 배출할 수 있고, 상기 판 밸브(43)는 백플러싱을 위해 각각의 입구 개구(23)를 연속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요소(21)는 상기 필터 하우징(1) 내에서 수직 종축(51)을 따라 배치하고, 상부를 향해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세정될 상기 필터 요소(21)의 상기 배출 개구(31)는 밸브 수단(59)에 의해 교번적으로 소통되거나 차단될 수 있는 백플러싱 라인(29)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종축(51)의 방향으로 측정된 상기 백플러싱 라인(29)의 전체 길이는 상기 필터 요소(21)의 전체 길이보다도 긴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07010419A 2007-11-16 2008-11-10 필터 장치 KR101579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4737A DE102007054737A1 (de) 2007-11-16 2007-11-16 Filtervorrichtung
DE102007054737.6 2007-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108A KR20100097108A (ko) 2010-09-02
KR101579077B1 true KR101579077B1 (ko) 2016-01-04

Family

ID=4034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419A KR101579077B1 (ko) 2007-11-16 2008-11-10 필터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8216469B2 (ko)
EP (1) EP2207609B1 (ko)
JP (1) JP5256297B2 (ko)
KR (1) KR101579077B1 (ko)
CN (1) CN101854994B (ko)
AT (1) ATE501773T1 (ko)
DE (2) DE102007054737A1 (ko)
DK (1) DK2207609T3 (ko)
ES (1) ES2361285T3 (ko)
PL (1) PL2207609T3 (ko)
WO (1) WO20090626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1358A1 (de) 2009-07-02 2011-01-05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und Filterelementanordnung zur Anwendung in der Filtervorrichtung
DE102010054716A1 (de) * 2010-12-16 2012-06-21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DE102011100518A1 (de) 2011-05-05 2012-11-08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DE102011111457B4 (de) 2011-08-30 2022-12-15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JP5967818B2 (ja) * 2012-08-28 2016-08-10 神奈川機器工業株式会社 フィルタエレメント構造及び当該フィルタエレメント構造を備えた逆洗型ろ過装置
DE202013100346U1 (de) * 2013-01-24 2014-04-25 Boll & Kirch Filterbau Gmbh Rückspülbarer Flüssigkeitsfilter
EP3072570A4 (en) * 2013-11-21 2017-06-28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Filter device
KR101959090B1 (ko) * 2013-11-21 2019-03-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필터장치
KR102055954B1 (ko) * 2013-11-29 2019-12-16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필터장치
DE102014017860A1 (de) * 2014-12-03 2016-06-09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Hydrauliksystem und Rückspülverfahren
DE102015002767A1 (de) * 2015-03-05 2016-09-08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DE102017009990A1 (de) * 2017-10-26 2019-05-02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PE20211843A1 (es) * 2018-01-25 2021-09-17 Amiad Water Systems Ltd Sistema de filtracion
DE102018123151B4 (de) * 2018-09-20 2020-09-03 Georg Schünemann GmbH Vorrichtung zum Filtern eines Fluides, insbesondere Bernoulli-Filter-Vorrichtung
CN110201447A (zh) * 2019-07-12 2019-09-06 巨金通博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循环氨水过滤装置及其自动反冲洗方法
CN113368549B (zh) * 2021-07-28 2022-08-16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竖流沉淀装置及其工作方法
CN113794387B (zh) * 2021-09-07 2022-05-31 扬州中宏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电泳用整流器的安全防护结构
CN115105884B (zh) * 2022-08-29 2022-11-15 上寻环保科技(云南)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设备用处理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9915A1 (de) * 2005-03-24 2006-09-28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anlage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filteranlage
JP4065331B2 (ja) 1997-03-20 2008-03-26 ハイダック プロセス テクノロジ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逆洗フィル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8452A (en) * 1966-02-01 1967-05-09 Renard P Adams Backwash means for an open ended multiple tube filter assembly
US3703465A (en) * 1970-12-14 1972-11-21 Dover Corp Filter with rotating backwash selector
US4059518A (en) * 1975-07-29 1977-11-22 Dover Corporation Filter with axially shiftable rotating backwash selector
US4055500A (en) * 1976-02-10 1977-10-25 Parker Leland L Filtering apparatus and quick-opening backwash valve therefor
DE2658363A1 (de) * 1976-12-23 1978-06-29 Ratzel Gerhard Dr Vorrichtung zum filtern von fluessigen medien, insbesondere des nutzwassers in wasserversorgungen
FR2502970B1 (fr) 1981-04-03 1988-06-24 Rellumix Expl Ets Procede de filtration de fluides et appareil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DE3141900A1 (de) * 1981-10-22 1983-05-05 Flutec Fluidtechnische Geräte GmbH, 6603 Sulzbach "rueckspuelbarer filter"
DE3405179A1 (de) * 1984-02-11 1985-08-14 Deutsche Vergaser Gesellschaft GmbH & Co KG, 1000 Berlin Rueckspuelfilter
US4642188A (en) * 1985-05-29 1987-02-10 Dover Corporation Backwash apparatus for multi element filter unit
IT206326Z2 (it) * 1985-12-10 1987-08-10 Bea Filtri Spa Filtro autopulitore, particolarmente per acque di alimentazione di impianti industriali.
IL87024A0 (en) * 1987-07-07 1988-12-30 Walker Peter Norwood Filter
DE4345412C2 (de) * 1993-11-26 1999-11-11 Boll & Kirch Filter Filterkerze
JPH0819705A (ja) * 1994-07-08 1996-01-23 Minoru Kubota 多孔性フィルタ部材の洗浄再生方法
DE19718028C1 (de) * 1997-04-29 1998-06-04 Hydac Filtertechnik Gmbh Filtervorrichtung mit Membranmodul
DE19956859A1 (de) 1999-11-25 2001-06-07 Hydac Filtertechnik Gmbh Rückspülfiltervorrichtung
DE10024401A1 (de) * 2000-05-19 2001-11-22 Boll & Kirch Filter Rückspulfilter, insbesondere für die Schmierölfilterung
DE102005016151B4 (de) * 2005-04-07 2013-10-10 K. & H. Eppensteiner Gmbh & Co. Kg Filtervor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5331B2 (ja) 1997-03-20 2008-03-26 ハイダック プロセス テクノロジ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逆洗フィルタ装置
WO2006099915A1 (de) * 2005-03-24 2006-09-28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anlage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filter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28239A1 (en) 2012-09-13
ES2361285T3 (es) 2011-06-15
CN101854994A (zh) 2010-10-06
CN101854994B (zh) 2012-11-14
JP5256297B2 (ja) 2013-08-07
US8216469B2 (en) 2012-07-10
ATE501773T1 (de) 2011-04-15
JP2011502771A (ja) 2011-01-27
DE102007054737A1 (de) 2009-05-20
DE502008002913D1 (de) 2011-04-28
US8518274B2 (en) 2013-08-27
EP2207609B1 (de) 2011-03-16
DK2207609T3 (da) 2011-07-04
KR20100097108A (ko) 2010-09-02
US20100276356A1 (en) 2010-11-04
EP2207609A1 (de) 2010-07-21
WO2009062644A1 (de) 2009-05-22
PL2207609T3 (pl) 201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077B1 (ko) 필터 장치
US67996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ear object reallocation in place
KR102530722B1 (ko) 정수 필터
KR19990014757A (ko) 유체 필터 시스템을 백워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4203364B (zh) 用于过滤流体的设备
JPS63185618A (ja) 加圧された流体から微粒子の固体を分離する装置
JP6006295B2 (ja) フィルタ装置
JP5886964B2 (ja) フィルタ装置
EP3088158B1 (en) Filtering device for high-visous fluids
WO2016051824A1 (ja) 濾過装置
KR100513356B1 (ko) 연속-작동 여과 방법 및 장치
KR20190011018A (ko) 자동 재생 기능을 가진 여과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여과 시스템
US20160310876A1 (en) Filtration system and filter assembly associated therewith
JPH0631112A (ja) 高粘性液を濾過する逆洗浄可能なフィルタ装置
US11801463B2 (en) Filter apparatus
JPH10137516A (ja) 流水管の夾雑物除去装置
JP6608631B2 (ja) 濾過装置及び濾過装置のフィルター洗浄方法
US20070158261A1 (en) Filter device
KR100808905B1 (ko) 용수 여과장치
CN215213639U (zh) 一种半自动清洗滤清器
US20070029244A1 (en) Filter element
JPH07116416A (ja) 流水管内の夾雑物除去装置
US20090223906A1 (en) Apparatus for cleaning stationary, permanent vertical cylindrical cartridges incorporating a float affixed to a central and linearly traversable backwash tube incorporating spray nozzles to induce rotation
CN218935427U (zh) 一种具有过滤效果的阀门
DE102010022928A1 (de) Verfahren zur Reinigung einer Filterpatrone und Filterpatronen-Reinigungsvorrichtung sowie Abscheider mit einer solchen Ein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