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477B1 - 치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치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477B1
KR101578477B1 KR1020140153028A KR20140153028A KR101578477B1 KR 101578477 B1 KR101578477 B1 KR 101578477B1 KR 1020140153028 A KR1020140153028 A KR 1020140153028A KR 20140153028 A KR20140153028 A KR 20140153028A KR 101578477 B1 KR101578477 B1 KR 101578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ng
space
whey
vessel
che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186A (ko
Inventor
문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이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to KR1020140153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477B1/ko
Publication of KR2015001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186A/ko
Priority to JP2015165692A priority patent/JP2016086812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25/00Cheese-making
    • A01J25/001Cheese-making in bas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25/00Cheese-making
    • A01J25/11Separating whey from curds; Washing the curds
    • A01J25/117Filter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9/02Making cheese curd
    • A23C19/05Treating milk before coagulation; Separating whey from cur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치즈 제조장치는, 내부에 상방으로 개방된 유청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하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하로 개방된 원료 숙성공간의 상부를 통해 요구르트가 투입되는 숙성 용기 및, 상기 숙성 용기의 하단에 메쉬 형태로 결합되며, 저온 조건에서 상기 원료 숙성공간에 수용된 요구르트의 유청 만을 상기 저장공간으로 통과시켜, 상기 원료 숙성공간 내에 치즈가 생성되도록 하는 걸름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즈 제조장치{CHEESE MAKER}
본 발명은 치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스 용기를 이용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요구르트에 포함된 유청이 걸름망에 의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유청을 신속히 분리시킬 수 있어 치즈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치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즈는 우유 등의 유제품 원료를 일정 조건과 시간 동안 발효시킴과 동시에 유제품 원료에 포함된 유청을 제거시키는 과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액상의 유제품을 별도의 요구르트 용기에 넣고 발효시켜 요구르트와 같이 발효된 상태의 유제품을 얻고, 이를 다시 체에 넣고 서늘한 장소에서 보관하게 되면, 요구르트에서 유청이 빠져나가면서 치즈로 응고된다.
근래에는 시중에서 고농도의 요구르트를 쉽게 구입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농도의 요구르트를 이용하여 치즈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치즈 제조장치는, 외부 밀폐용기와, 상기 외부 밀폐용기의 내부에 수용되는 주 용기와, 외부 밀폐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주 용기는 표면에 작은 홀이 형성된 매쉬망을 포함하며, 주용기에 담겨진 요구르트에 포함된 유청이 매쉬망을 통해 외부 밀폐용기로 분리됨에 따라 치즈가 만들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치즈 제조장치는 유청이 분리되는 속도가 느리므로, 치즈 제조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제조된 치즈가 단단하지 않아 쫀득한 식감을 갖는 치즈를 제조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8471호(2008년 02월 1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치즈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숙성 용기에 담긴 요구르트를 저온 숙성시킴과 동시에, 프레스 용기를 이용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요구르트에 포함된 유청이 걸름망에 의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유청을 신속히 분리시킬 수 있어 치즈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치즈를 단단하게 제조할 수 있어 쫀득한 식감을 구현할 수 있는 치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즈 제조장치는, 내부에 상방으로 개방된 유청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하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하로 개방된 원료 숙성공간의 상부를 통해 요구르트가 투입되는 숙성 용기 및, 상기 숙성 용기의 하단에 메쉬 형태로 결합되며, 저온 조건에서 상기 원료 숙성공간에 수용된 요구르트의 유청 만을 상기 저장공간으로 통과시켜, 상기 원료 숙성공간 내에 치즈가 생성되도록 하는 걸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료 숙성공간의 상부에는 프레스 용기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더 삽입되며, 상기 프레스 용기의 내부에는 상방으로 개방되며, 내부에 중량체가 삽입되는 중량체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스 용기의 상단에는 상기 중량체 삽입공간의 상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덮개가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숙성 용기의 상단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결합단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의 테두리 부위에는 하부로 연장된 후, 내부를 향해 곡선으로 성형되어 상기 결합단의 측면과 하면을 탄성력에 의해 걸림 위치되는 파지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의 테두리 부위에는 중심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파지단을 다수로 분할하는 슬릿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숙성 용기의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부 및, 상기 테이퍼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유청 저장공간의 상부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삽입되며, 하단에 상기 걸름망이 결합되는 삽입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름망은 상기 숙성 용기의 하단에 일체 또는 암수로 대응 삽입되며, 수직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링 형상의 고정 틀 및, 상기 수직 통과홀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유청을 수직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하부 메쉬망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틀은 상기 숙성 용기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측면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수평 통과홀이 관통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수평 통과홀의 내주에는 상기 유청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측부 메쉬망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통과홀의 내주에는 상기 고정 틀의 내부를 보강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 메쉬망을 분할하기 위한 보강빔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성 용기의 하단에는 내주면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름망의 외주에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 삽입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삽입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망은 격자 형상을 가지며, 합성수지 또는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숙성 용기에 담긴 요구르트를 저온 숙성시킴과 동시에, 프레스 용기를 이용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요구르트에 포함된 유청이 걸름망에 의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유청을 신속히 분리시킬 수 있어 치즈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치즈를 단단하게 제조할 수 있어 쫀득한 식감을 구현할 수 있는 치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즈 제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즈 제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즈 제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즈 제조장치에서 숙성 용기와 걸름망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즈 제조장치에서 걸름망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즈 제조장치에서 걸름망을 다른 형태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즈 제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즈 제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즈 제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즈 제조장치에서 숙성 용기와 걸름망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즈 제조장치에서 걸름망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즈 제조장치는 본체(100)와, 숙성 용기(200)와, 프레스 용기(300) 및, 걸름망(4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유청(20)을 저장하기 위해 원통 등의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상기 본체(1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요구르트의 유청을 모으기 위해, 상방으로 개방된 유청 저장공간(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는 유청 저장공간(110)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1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창(130)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수평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연결빔에 의해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숙성 용기(200)는, 하단이 본체(100)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하로 개방된 원료 숙성공간(2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료 숙성공간(210)의 상부를 통해 치즈를 만들기 위한 원료인 요구르트(10)가 일정 용량으로 투입된다.
또한, 상기 숙성 용기(200)의 하단에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테이퍼부(220)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유청 저장공간(110)의 상부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삽입되는 삽입부(2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부(220)는, 유청 저장공간(110)으로 투입된 요구르트(10)가 후술 될 걸름망(400)으로 집중되도록 안내하는 호퍼의 기능을 갖는다.
삽입부(230)는, 하단에 후술 될 걸름망(400)이 결합되는 것으로, 테이퍼부(220)의 최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숙성 용기(20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삽입부(230)는,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시키는 경우, 유청 저장공간(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230)의 하부에 형성된 유청 저장공간(110) 내에 유청(20)이 일정 용량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원료 숙성공간(210)의 상부에는 요구르트(10)에 일정 하중을 가하기 위한 프레스 용기(300)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더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 용기(300)는, 원료 숙성공간(21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프레스 용기(300)의 내부에는, 일정 중량을 제공하기 위해 중량체(320)가 투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스 용기(300)의 내부에는 중량체(320)를 투입시키기 위해, 상방으로 개방된 중량체 삽입공간(310)이 형성될 수 있다.
중량체(320)로는, 물, 금속 무게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중량체(320)의 무게 조절을 통해 프레싱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스 용기(300)의 상단에는 중량체 삽입공간(310)의 상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덮개(34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덮개(340)는, 프레스 용기(300)의 상단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정 탄성력을 갖도록 고무, 합성수지, 금속 등의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술한 숙성 용기(200)의 상단 테두리 부위에는 본체(100)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결합단(330)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덮개(340)의 테두리 부위에는 하부로 연장된 후, 내부를 향해 곡선으로 성형된 파지단(3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단(341)은, 상기 덮개(340)의 내부로 휘어진 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파지단(341)의 내주가 결합단(330)의 측면과 하면을 탄성력에 의해 걸림 위치시킬 수 있다.
아울러, 덮개(340)의 테두리 부위에는 중심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파지단(341)을 다수로 분할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슬릿(34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342)은, 상기 파지단(341)이 결합단(330)의 상면과 측면과 접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벌어진 후,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간격을 형성한다.
즉, 상기 덮개(340)는 숙성 용기(200)의 상단에 안착시킨 후, 결합 방향으로 일정 힘을 가하여 결합시키거나, 분리되는 방향으로 일정 힘을 가해 분리시킬 수 있다.
걸름망(400)은, 숙성 용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요구르트(10)를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걸름망(400)은 숙성 용기(200)의 하단에 메쉬(격자 등) 형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걸름망(400)은 저온 조건(냉장고 냉장실 등)에서 상기 원료 숙성공간에 수용된 요구르트(10)의 유청(20) 만을 유청 저장공간(110)으로 통과시켜, 원료 숙성공간(210) 내에 치즈가 생성되도록 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걸름망(400)은 링 형상을 갖는 고정 틀(410) 및, 요구르트(10)를 필터링하기 위한 하부 메쉬망(43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틀(410)은, 숙성 용기(200)의 하단에 일체 또는 암수로 대응 삽입되며, 상기 숙성 용기(200)의 내부에는 수직 통과홀(42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메쉬망(430)은, 수직 통과홀(42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요구르트(10)를 필터링하여 유청(20) 만을 수직 방향으로 통과시킨다.
여기서, 상기 하부 메쉬망(430)은 격자 형상을 가지며, 요구르트(10)의 유산균이 죽지 않도록 합성수지 또는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 틀(410)은 도 6에서처럼 숙성 용기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 틀(410)은 측면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수평 통과홀이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수평 통과홀(440)의 내주에는 요구르트(10)의 유청(20)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시켜 유청 저장공간(110)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측부 메쉬망(4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부 메쉬망(450)과 전술한 하부 메쉬망(430)은 그 폭을 넓게 형성시킬 경우,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유청(20)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부 메쉬망(450)은 격자 형상을 가지며, 요구르트(10)의 유산균이 죽지 않도록 합성수지 또는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부 메쉬망(450)과 하부 메쉬망(430)은, 사출 금형을 이용한 인서트 사출 성형 방법으로 고정 틀(410)에 고정하거나, 초음파 융착 방식을 이용해 고정 틀(4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걸름망(400)을 숙성 용기(20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시키고자 하는 경우, 1차 사출을 통해 고정 틀(410)을 숙성 용기(20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고, 2차 사출을 통해 하부 메쉬망(430)과 측부 메쉬망(450)을 고정틀(4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수직 통과홀(420)의 내부에는 고정 틀(410)을 보강함과 아울러 측부 메쉬망(450)을 분할하기 위한 보강빔(46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숙성 용기(200)의 하단에는 도 4에서처럼 내주면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삽입홈(24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걸름망(400)의 외주에는 삽입홈(240)에 대응 삽입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삽입돌기(47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40)과 걸림돌기(470)는, 서로 대응되게 암수로 결합되므로, 숙성 용기(200)와 걸름망(400)이 상호 회전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치즈 제조장치의 사용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0)의 상단에 숙성 용기(200)의 하단을 안착시키고, 상기 숙성 용기(200)의 원료 숙성공간(210) 내에 요구르트(10)를 투입시킨다.
물론, 상기 숙성 용기(200) 내에 요구르트(10)를 먼저 투입시킨 후, 상기 숙성 용기(200)를 본체(100)의 유청 저장공간(110)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
이후, 내부에 중량체(320)가 채워지고 상단에 덮개(340)가 결합된 프레스 용기(300)를 숙성 용기(200)의 상단을 통해 원료 숙성공간(210)으로 삽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냉장고의 냉장실 등에 치즈 제조장치를 위치시켜 발효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프레스 용기(300)가 요구르트(10)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걸름망(400)을 통과한 요구르트(10)의 유청(20)은 도 2와 도 6에서처럼 본체(100)의 유청 저장공간(110)으로 낙하하여 모이게 된다.
이후, 원료 숙성공간(210)에 남아있는 잔여 요구르트(10)는 프레스 용기(300)에 의해 가압됨과 동시에, 일정 시간 동안 발효가 이루어지므로, 쫀득한 식감을 갖는 단단한 치즈로 제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숙성 용기에 담긴 요구르트(10)를 저온 숙성시킴과 동시에, 프레스 용기(300)를 이용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요구르트(10)에 포함된 유청(20)이 걸름망(400)에 의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요구르트(10)에 포함된 유청(20)을 신속히 분리시킬 수 있어 치즈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치즈를 단단하게 제조할 수 있어 쫀득한 식감을 구현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치즈 제조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요구르트 20: 유청
100: 본체 110: 유청 저장공간
120: 손잡이 130: 투명창
200: 숙성 용기 210: 원료 숙성공간
220: 테이퍼부 230: 삽입부
240: 삽입홈 300: 프레스 용기
310: 중량체 삽입공간 320: 중량체
330: 결합단 340: 덮개
341: 파지단 342: 슬릿
400: 걸름망 410: 고정 틀
420: 수직 통과홀 430: 하부 메쉬 망
440: 수평 통과홀 450: 측부 메쉬 망
460: 보강빔 470: 삽입돌기

Claims (12)

  1. 내부에 상방으로 개방된 유청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하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하로 개방된 원료 숙성공간의 상부를 통해 요구르트가 투입되는 숙성 용기 및, 상기 숙성 용기의 하단에 메쉬 형태로 결합되며, 저온 조건에서 상기 원료 숙성공간에 수용된 요구르트의 유청 만을 상기 저장공간으로 통과시켜, 상기 원료 숙성공간 내에 치즈가 생성되도록 하는 걸름망을 포함하되,
    상기 원료 숙성공간의 상부에는, 프레스 용기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더 삽입되고, 상기 프레스 용기의 상단에는 중량체 삽입공간의 상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덮개가 더 결합되며, 상기 숙성 용기의 상단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결합단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테두리 부위에는 하부로 연장된 후 내부를 향해 곡선으로 성형되어, 상기 결합단의 측면과 하면을 탄성력에 의해 걸림 위치되는 파지단을 형성하며,
    상기 걸름망은, 상기 숙성 용기의 하단에 일체 또는 암수로 대응 삽입되며, 수직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링 형상의 고정 틀 및, 상기 수직 통과홀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유청을 수직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하부 메쉬 망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 틀은 상기 숙성 용기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측면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수평 통과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평 통과홀의 내주에는 상기 유청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측부 메쉬 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즈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용기의 내부에는,
    상방으로 개방되며, 내부에 중량체가 삽입되는 중량체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즈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테두리 부위에는,
    중심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파지단을 다수로 분할하는 슬릿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즈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숙성 용기의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부 및,
    상기 테이퍼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유청 저장공간의 상부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삽입되며, 하단에 상기 걸름망이 결합되는 삽입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즈 제조장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통과홀의 내주에는,
    상기 고정 틀의 내부를 보강함과 아울러 상기 메쉬 망을 분할하기 위한 보강빔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즈 제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숙성 용기의 하단에는,
    내주면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름망의 외주에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 삽입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즈 제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메쉬망은,
    격자 형상을 가지며, 합성수지 또는 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즈 제조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유청 저장공간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즈 제조장치.
KR1020140153028A 2014-11-05 2014-11-05 치즈 제조장치 KR101578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028A KR101578477B1 (ko) 2014-11-05 2014-11-05 치즈 제조장치
JP2015165692A JP2016086812A (ja) 2014-11-05 2015-08-25 チーズ製造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028A KR101578477B1 (ko) 2014-11-05 2014-11-05 치즈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186A KR20150016186A (ko) 2015-02-11
KR101578477B1 true KR101578477B1 (ko) 2015-12-28

Family

ID=5257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028A KR101578477B1 (ko) 2014-11-05 2014-11-05 치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6086812A (ko)
KR (1) KR1015784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55481B2 (ja) 2016-04-25 2019-01-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成膜方法及び成膜装置
JP6948681B1 (ja) * 2020-06-29 2021-10-13 株式会社曙産業 ヨーグルト圧搾器
CN112237143B (zh) * 2020-10-22 2022-05-03 昆明龙腾生物乳业有限公司 一种奶酪生产用乳清分离设备
WO2024042460A1 (en) * 2022-08-22 2024-02-29 Romano Sha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dairy products from milk
KR102570010B1 (ko) * 2023-04-04 2023-08-24 엠지엠씨(주) 그릭요거트 제조를 위한 유청분리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3779A (en) 1994-01-03 1994-12-20 Grusin; Gerald Yogurt cheese ma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895A (ja) * 1998-04-07 1999-10-26 Nippon Dennetsu Co Ltd チーズメーカー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101249B1 (ko) * 2009-02-16 2012-01-0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요구르트 치즈 제조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요구르트 치즈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3779A (en) 1994-01-03 1994-12-20 Grusin; Gerald Yogurt cheese ma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86812A (ja) 2016-05-23
KR20150016186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477B1 (ko) 치즈 제조장치
US3838955A (en) Device for making cheddar cheese
MXPA04010277A (es) Sistema de alimentacion y almacenamiento de leche materna para infante.
KR101101249B1 (ko) 요구르트 치즈 제조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요구르트 치즈 제조장치
KR20160120912A (ko) 자동 치즈 제조 장치
US4676475A (en) Moulding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semi-hard pressed cheese
KR101736488B1 (ko) 그릭요거트 제조장치
EP3554319B1 (en) Steep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brewing a beverage
KR101400076B1 (ko) 저장식품 발효기
CA2795916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 fromage bleu
KR20210053632A (ko) 요구르트 치즈 제조장치
WO2008017309A1 (en) A method of producing cheese in a container
WO2020117133A1 (en) Self-pressing multiple cheese hoop mold
EP0052409A1 (en) Semi-hard or hard cheese with central opening, processes of preparation thereof, as well as cheese mold for carrying out these processes
CN204245040U (zh) 一种挤压脱水的豆干成型装置
KR20170006270A (ko) 가정용 치즈 제조기
CN211631242U (zh) 一种奶牛养殖用人工挤奶辅助装置
US10919686B2 (en) Plastic container for food product having a plurality of frangible vent holes
JP5916003B1 (ja) フレッシュチーズ製造装置
CN205697288U (zh) 水浴蛋糕模具
KR200483139Y1 (ko) 발효음식의 맛을 향상토록 하기 위한 누름판
JPH11289895A (ja) チーズメーカー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160067263A (ko)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
KR102570010B1 (ko) 그릭요거트 제조를 위한 유청분리기
CN104543061B (zh) 一种心形紧压茶的成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