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494B1 - 유청분리기 - Google Patents

유청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494B1
KR102629494B1 KR1020230045044A KR20230045044A KR102629494B1 KR 102629494 B1 KR102629494 B1 KR 102629494B1 KR 1020230045044 A KR1020230045044 A KR 1020230045044A KR 20230045044 A KR20230045044 A KR 20230045044A KR 102629494 B1 KR102629494 B1 KR 102629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shaft
cylinder
whey
cover
pressuriz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모
문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이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to KR102023004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4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11/00Apparatus for treating milk
    • A01J11/06Strainers or filters for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2Apparatus for preparing or treating fermented milk products
    • A23C9/1226Apparatus for preparing or treating fermented milk products for making set yoghurt in containers without stirring, agitation or transport of the yoghurt or the containers during incubation, heating or cooling; Domestic yoghurt apparatus without agit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청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분리의 용이성 및 안전성을 제공토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누름판이 받침통의 상층에서 내입되게구비되는 걸름통의메쉬망체의 내측에서 누름토록 할 경우에 메쉬망체와의 간섭을 배제토록 하고, 누름토록 하는 가압수단을 승강축과 실린더가 승강될 수 있으면서도 임의적인 회전이나 분리를 방지하면서도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하고, 또한 가압수단이 누름판과 뚜겅의 사이에서 뚜겅이 받침통과의 가압결합시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게 결합토록 하여 유청분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청분리기{whey separator}
본 발명은 유청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분리의 용이성 및 안전성과 취급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청이라 함은 우유를 치즈로 가공할 때 형성되는 부산물이라하고, 상기 우유에는 통상 수분,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무기질, 비타민, 효소 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고, 특히 지방은 가장 중요한 성분이며 이러한 지방을 제외한 것을 탈지유라고 하고, 상기 탈지유에 산 또는 응유효소를 첨가하면 응고물이 생기는데 이것을 응유(curd)라 하며 우유의 주 단백질인 카세인이 주성분이다.
이러한 응유를 제외한 수용액을 유청이라 하고 전 단백질의 20%를 포함한다.
상기 유청에는 유당, 락토알부민, 락토글로불린, 무기질 등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락토글로불린에는 면역글로불린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초유에 함량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건강식으로 알려진 그릭요거트는 상기한 유청을 제거한 것으로, 통상 그리스를 비롯한 지중해 연안지역에서 인공 첨가물 없이 전통 방식으로 만들어 먹던 요거트를 말하고, 상기 그릭요거트는 유청의 제거 여부에 따라 두 가지 방법으로 만들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첫째방법은 임의적으로 유청을 제거하지 않는 방법으로, 원유를 오랫동안 끓여 농축시킨 후에 유산균(젖산균)을 넣고 일정한 온도에 맞춰 수분을 제거하며 발효시키는 것으로 그리스의 일반 가정에서 많이 쓰는 방법이다.
둘째 방법으로는 발효시킨 요구르트를 면포에 넣고 짜서 유청을 제거하고 단백질 고형분만 남기는 방법으로 유청이 제거되면서 농축되어 밀도가 높고 질감이 뻑뻑하며 잘 흘러내리지 않고 신맛이 강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먹을 경우에는 특유의 신맛을 조절하기 위해 과일이나 당분을 첨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그릭요거트는 일반 요거트에 비해 수분이 제거되어 질감이 단단하고 맛이 진하며, 단백질이 1.5배 이상 높고 나트륨과 당 성분이 절반 이하로 낮으며, 유산균도 1g당 1억마리가 들어있어 근육과 골격을 강화시키고 면역력을 높여주며 정장작용을 도와 장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유당 함유량이 일반에 비해 낮아서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들이 먹으면 좋지만 유청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영양분 손실이 일어나 칼륨과 칼슘 함유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는 단백질이 5.6% 이상 함유된 경우에만 농축 요거트로 인정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단백질 함량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 없다.
장수의 나라로 알려진 그리스 등 지중해 연안지역에서 만들어 먹던 전통 방식의 요거트. 인공적인 첨가물 없이 건강한 원유와 신선한 과일만을 사용한 요구르트로, 2006년 미국 ≪헬스≫지에서 선정한 5대 슈퍼푸드에 꼽히기도 하였다.
그릭요거트는 보통 원유를 오래 끓여 농축시킨 뒤 유산균을 넣고 온도에 맞춰 발효시키거나, 발효시킨 요거트를 면포에 싸서 짜는 방법 등으로 만들어진다.
이럴 경우에 면포로 자게 되면 비 위생적이고, 생산성이 떨어져 최근에는 집수통에 걸름통을 구비하여 자중에 의하여 유청을 분리하거나 또는 임의적인 외력을 가하는 방식은 메쉬망체으로 이루어진 걸름통의 내부에서 승강될 수 있도록 누름판이 구비되고, 상기 누름판은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여 눌러주면서 덮개로 덮어주게 되어 스프링이 일정한 악력으로 가압되어져 유청을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짜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에 코일스프링과 누름판의 결함구조가 코일스프링의 양단을 끼워고정하는 방식이어서 누름판의 정확한 누름에 어려움이 있고, 이러한 코일 스프링에 의한 비 위생적인 부분이 존재하는 것이다.
특히 코일스프링을 손으로 조작하는 과정에서 코일스프링에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전염가능성이 존재하여 실질적인 사용에 불안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위생적이면서도 누름판의 누름의 용이성과 사용의 편의성은 물론 가압수단의 수선의 용이성도 제공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누름판이 받침통의 상층에서 내입되게 구비되는 걸름통의 메쉬망체의 내측에서 누름토록 할 경우에 메쉬망체와의 간섭을 배제토록 하고, 누름토록 하는 가압수단을 승강축과 실린더가 승강될 수 있으면서도 임의적인 회전이나 분리를 방지하면서도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하고, 또한 가압수단이 누름판과 뚜껑의 사이에서 뚜껑이 받침통과의 가압결합시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게 결합토록 하여 유청분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가압수단이 코일스프링이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됨으로 위생적으로 제공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압수단이 승강축과 실린더에 의하여 코일수프링이 내장된 상태에서 덮개로 가압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면서도 결합된 이후에는 가압이 없이는 역회전이 일어나지않토록 함으로서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메쉬망체가 플라스틱으로 인서트 될 경우에도 상단부와 하단부로 구분되면서도 가로세로 보강살이 돌출되게 구비되어 누름판이 메쉬망체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유청의 분리 용이성도 제공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한 뚜껑에 탈착되는 가압수단이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면서도 탈착의 용이성도 제공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외관상태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걸름통의 요부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받침통과 걸름통의 적층된 상태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누름판이 걸름통에 내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뚜껑이 받침통과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수단으로 가압되는 상태의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가압수단의 분리조립상태도.
도8은 본 발명의 가압수단의 덮개가 뚜껑과 탈착되는 상태의 일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유청분리기(10)는 요거트가 걸름통(200)에 구비되는 메쉬망체(220)에 걸러져 단백질 고형분을 제거하고, 유청이 담겨지는 받침통(100)과 상기 받침통(100)의 상층으로는 받침통(100)의 상단테(110)에 걸쳐져 받침통(100)의 내면(120)과 이격될 수 있게 걸름통(200)이 구비되고, 상기 걸름통(200)의 내공간(210)으로는 요거트가 담겨진 상태에서 자중에 의하여 1차로 눌러주는 누름판(300)과 상기 누름판(300)을 1차로 눌러준 상태에서 유청이 1차 분리된 이후에는 2차로 누름판(300)을 외력에 의하여 가압하게 되는 가압수단(400)과 상기 가압수단(400)이 탈착되면서 가압수단(400)의 가압력을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면서 지속적으로 가압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받침통(100)의 상단테(110)과 탈착되어지는 뚜껑(50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청분리기에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300)을 가압하게 되는 가압수단(400)이 일정길이로 이루어지는 승강축(410)과 상기 승강축이 승강될 수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실린더(4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축(410)과 실린더(420)는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430)이 상기 승강축과 실린더의 연통된 깊이보다 길게 이루어져 탈착가능한 덮개(440)로 상기 코일스프링(430)을 가압하여 실린더와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실린더(420)의 상단에는 걸림단(421)이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걸림단(421)이 걸림될 수 있도록 덮개(440)의 하단에는 맞물림단(441)이 구비되고, 상기 맞물림단(441)에는 스토퍼(442)가 걸림단(421)이 회전될 경우에 회전범위를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단(421)의 하단에는 돌기(423)가 구비되고, 상기 맞물림단(441)의 상단에는 돌기(423)가 결합될 수 있는 돌기 홈(443)이 구비되어 걸림단(421)이 맞물림단(441)에 스토퍼(442)에 의하여 회전이 단속되면서 조립된 상태에서 돌기(423)와 돌기 홈(443)의 맞물림결합에 의하여 임의적인 분리, 일례로 가압력이 없이 역회전만으로 덮개(440)가 실리더(420)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스토퍼(442)는 맞물림단(441)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연장되어 덮개(440)의 상면의 이면(444)까지 연장되면서 실린더의 걸림단이 코일스프링을 가압하면서 회전될 경우에 덮개의 맞물림단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이루어져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스토퍼 역활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동시에 승강축(410)이 실린더(420)의 내부에서 승강될 경우에 임의적인 회전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승강축이 실린더에서 코일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하여 임의적인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축(410)의 일단은 막힌 구조이고, 타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단테두리에는 외측으로 펼쳐지는 후렌지(411)가 형성되며 상기 후렌지(411)에는 요홈(412)이 복수로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축(410)의 후렌지(411)와 걸림될 수 있도록 실린더(420)의 일단에는 걸림테(424)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테(424)가 돌출되게 구비된 폭만큼 가이드라인(422)을 돌출되게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라인(422)에 승강축(410)의 후렌지(411)에 구비되는 요홈(412)이 끼임된 상태에서 승강토록 함으로서 승강축(410)이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승강축(410)이나 실린더(420)의 구조는 물론 덮개(440)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사출성형시 단순 형개 금형만으로 사출성형의 용이성도 제공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누름판(300)에는 상기 승강축(410)의 막힘된 일단이 내입될 수 있도록 내입부(310)가 구비되고, 상기 내입부(310)의 테두리에는 손잡이로 사용을 위한 돌출단(320)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누름판(300)은 걸름통(200)이 유청을 걸름할 수 있는 메쉬망체(2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쉬망체(220)는 가로 세로의 보강살(230)에 의하여 쳐짐이 방지되게 보강이 이루어지고, 특히 메쉬망체(220)의 모서리변에는 만곡벽(240)으로 이루어져 누름판(300)의 승강시 메쉬망체(220)와의 마찰을 취소로 하며, 상기 가로세로 보강살(230)도 가능하면 면으로 이루어져 누름판(300)이 하강될 경우에 메쉬망체(220)와의 간섭을 최소로 하여 유청의 빠져나감에 간섭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누름판(300)은 일정한 높이로 외벽(330)이 구비되어지는 것이고, 상기 외벽(330)의 높이는 유청분리를 위하여 요거트를 누름토록 할 경우에 요거트가 역류되면서도 누름판(300)의 상면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 것이다.
또한 걸름통(200)은 상단부와 하단부로 이루어지고, 상단부는 뚜껑이 감쌀 수 있는 높이로 이루어지고, 하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쉬망체(220)가 인서트 사출방식에 의하여 가로세로 보강살(230)로 이루어지고, 가로세로 보강살(230)은 하단테두리(231)를 경계로 바닥면과 측면은 상단부와 연결되어져 견고한 지지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단테두리(231)의 이면으로는 받침돌기(232)를 구비토록 하여 유청이 분리된 단백질 고형분을 꺼내기 이전에 작업대에 놓을 경우에 작업대의 바닥면과 이격토록 하여 위생적인 부분을 제공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단부와 하단부의 사이에는 후렌지(250)가 구비되어지고, 후렌지(250)의 상하로 상단부(260)와 하단부(270)가 연결될 경우에 각각 동일선상으로 보강리부(280)가 각각 구비되어져 후렌지(250)의 지지하중을 우수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280)에 의하여 후렌지(250)의 보강은 물론 받침통(100)과 걸름통(200)의 사이에 통기 가능성은 물론 받침통과 걸름통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걸름통의 메쉬망체(220)를 통하여 분리되어지는 유청이 걸름통의 메쉬망체(220)의 바닥면과 측면으로 빠져나오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뚜껑(500)은 받침통(100)과의 락킹을 위하여 절첩날개(510)가 구비되어지는 것이고, 뚜껑(500)의 상면의 이면에는 가압수단(400)을 형성하는 덮개(440)가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수용테(520)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테(520)의 내벽에는 수직으로 돌출리브(530)를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구비토로 하여 가압수단(400)의 덮개(440)를 끼임할 경우에 긴밀한 가압밀착이 가능토록 하여 뚜껑(500)을 덮어 가압할 경우에 가압수단이 좌우롤링됨이 없어 수직으로 누름판(300)의 가압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받침통과 걸림통은 각각의 후렌지의 밀착에 의하여 걸름통이 정위치에 고정되는 것이고, 이러한 후렌지 밀착에 의하여 통기가 이루어지면서 걸름통에 수용되는 요거트가 자중에 의하여 1차로 유청이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통기 가능성에 의하여 가압수단에 의하여 가압할 경우에도 유청의 분리가 자연적으로 일어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100:받침통
200:걸름통
300:누름판
400:가압수단
500:뚜껑

Claims (5)

  1. 요거트가 걸름통에 구비되는 메쉬망체에 걸러져 단백질 고형분을 남겨두고 분리되는 유청이 담겨지는 받침통과; 상기 받침통의 상층으로는 받침통의 상단테에 걸쳐져 받침통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게 구비되는 걸름통과; 상기 걸름통의 내공간으로는 요거트가 담겨진 상태에서 자중에 의하여 1차로 눌러주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을 1차로 눌러준 상태에서 유청이 1차 분리된 이후에는 2차로 누름판을 외력에 의하여 가압하게 되는 가압수단과; 상기 가압수단이 탈착되면서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면서 지속적으로 가압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받침통의 상단테와 탈착되어지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을 가압하게 되는 가압수단은
    일정길이로 이루어지면 승강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이 승강될 수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실린더와; 상기 승강축과 실린더는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축과 실린더의 연통된 깊이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가압된 코일스프링이 가압상태가 유지되면서 실린더의 상단과 결합되는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는 수평라인에 의한 걸림단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걸림단이 걸림될 수 있도록 덮개의 하단에는 수평라인에 의한 맞물림단이 구비되고,
    상기 맞물림단의 일단에는 수직라인의 스토퍼가 덮개의 내측면까지 연장되어 덮개와 실린더가 회전될 경우에 회전범위를 단속하게 되고,
    상기 승강축이 실린더에서 승강될 경우에 회전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승강축이 실린더에서 코일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하여 임의적인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축의 일단은 막힌 구조이고, 타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단테두리에는 외측으로 펼쳐지는 후렌지가 형성되며 상기 후렌지에는 요홈이 복수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승강축의 후렌지와 걸림될 수 있도록 실린더의 하단에는 걸림테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테가 돌출되게 구비된 폭만큼 수직의 가이드라인을 돌출되게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라인에 승강축의 후렌지에 구비되는 요홈이 끼임된 상태에서 승강토록 함으로서 승강축이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의 하단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맞물림단에는 돌기가 결합될 수 있는 돌기 홈이 구비되어 맞물림된 상태에서 가압력이 없이 역회전만으로 덮개가 실리더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분리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에는 상기 승강축의 막힘된 일단이 내입될 수 있도록 내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입부의 테두리에는 손잡이로 사용을 위한 돌출단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뚜껑은 받침통과의 락킹을 위하여 절첩날개가 구비되어지고, 뚜껑의 상면의 이면에는 가압수단을 구성하는 덮개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테와
    상기 수용테의 내벽에는 수직으로 돌출리브를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구비토로 하여 가압수단의 덮개를 끼임할 경우에 긴밀한 가압밀착이 가능토록 하여 뚜껑을 덮어 가압할 경우에 가압수단이 좌우회전됨이 없어 수직으로 누름판의 가압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분리기.
KR1020230045044A 2023-04-05 2023-04-05 유청분리기 KR102629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044A KR102629494B1 (ko) 2023-04-05 2023-04-05 유청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044A KR102629494B1 (ko) 2023-04-05 2023-04-05 유청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494B1 true KR102629494B1 (ko) 2024-01-29

Family

ID=8971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5044A KR102629494B1 (ko) 2023-04-05 2023-04-05 유청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494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613Y1 (ko) * 1999-10-04 2000-03-15 이정도 음식물 쓰레기통
US6345572B1 (en) * 2001-05-14 2002-02-12 Young-Tsung Kao Soybean milk maker
KR200369101Y1 (ko) * 2004-09-07 2004-12-03 민광옥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US20090050723A1 (en) * 2007-08-24 2009-02-26 Eikelenberg Ralph F E Cheese grater
KR20100093351A (ko) * 2009-02-16 2010-08-2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요구르트 치즈 제조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요구르트 치즈 제조장치
KR101494753B1 (ko) * 2012-11-16 2015-02-23 이영철 다용도용 발효식품저장용기
KR20150022564A (ko) * 2013-08-23 2015-03-04 이용표 생치즈메이커
KR20160035118A (ko) * 2014-09-22 2016-03-31 (주) 후스타일 가정용 간편 요거트 및 치즈 발효기
KR20170006270A (ko) * 2015-07-07 2017-01-17 변고은 가정용 치즈 제조기
KR101930351B1 (ko) * 2017-03-23 2018-12-19 차재명 푸시 앤드 스핀 구조의 야채 및 과일 세척기
KR20200131970A (ko) * 2019-05-15 2020-11-25 유승익 그릭요거트 제조장치
JP2022022591A (ja) * 2020-06-29 2022-02-07 株式会社曙産業 ヨーグルト圧搾器
KR20230019654A (ko) * 2021-08-02 2023-02-09 함명주 원심분리식 가정용 그릭요거트 유청 분리기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613Y1 (ko) * 1999-10-04 2000-03-15 이정도 음식물 쓰레기통
US6345572B1 (en) * 2001-05-14 2002-02-12 Young-Tsung Kao Soybean milk maker
KR200369101Y1 (ko) * 2004-09-07 2004-12-03 민광옥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US20090050723A1 (en) * 2007-08-24 2009-02-26 Eikelenberg Ralph F E Cheese grater
KR20100093351A (ko) * 2009-02-16 2010-08-2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요구르트 치즈 제조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요구르트 치즈 제조장치
KR101494753B1 (ko) * 2012-11-16 2015-02-23 이영철 다용도용 발효식품저장용기
KR20150022564A (ko) * 2013-08-23 2015-03-04 이용표 생치즈메이커
KR20160035118A (ko) * 2014-09-22 2016-03-31 (주) 후스타일 가정용 간편 요거트 및 치즈 발효기
KR20170006270A (ko) * 2015-07-07 2017-01-17 변고은 가정용 치즈 제조기
KR101930351B1 (ko) * 2017-03-23 2018-12-19 차재명 푸시 앤드 스핀 구조의 야채 및 과일 세척기
KR20200131970A (ko) * 2019-05-15 2020-11-25 유승익 그릭요거트 제조장치
JP2022022591A (ja) * 2020-06-29 2022-02-07 株式会社曙産業 ヨーグルト圧搾器
KR20230019654A (ko) * 2021-08-02 2023-02-09 함명주 원심분리식 가정용 그릭요거트 유청 분리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삭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Connor Traditional cheesemaking manual
KR101846277B1 (ko) 고구마 요거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6994945B2 (ja) 生きた活性培養物を有する、固形のフレッシュヨーグルトチーズ、およびそれから作られ、チョコレートで覆われたヨーグルトデザート、ならびにそれらの調製のためのプロセス
Gemechu et al. Traditional butter and ghee production, processing and handling in Ethiopia: A review
DE102007061256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flanzlichen Substanz sowie derartige Substanz und deren Verwendung
IL127130A (en) Process for producing cheese, curd and yogurt products from soya beans
KR102629494B1 (ko) 유청분리기
Mucchetti et al. Characteristics of some important Italian cheeses: Parmigiano reggiano, grana padano, mozzarella, mascarpone and ricotta
CN104738167A (zh) 一种无添加剂酸奶干、酸奶粉的制作工艺
CN102100258B (zh) 一种低脂奶豆腐及其制备方法
JP6259253B2 (ja) 未熟性フレッシュチー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Doane et al. Varieties of cheese: descriptions and analyses
Robinson Halloumi cheese—the product and its
Moschopoulou et al. Greek Dairy Products
CN206933940U (zh) 一种升降式火锅
US2021032993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Non-Dairy Cheese
CN109452373A (zh) 一种健康杯式奶茶及其饮用方法
Majhenič et al. Slovenian dairy products
Senapati et al. Indigenous fermented foods involving acid fermentation
CN210708443U (zh) 带吸管的酸奶瓶
CN102440315A (zh) 一种南瓜果茶及其制备方法
JPH088731Y2 (ja) ジュース・ストレーナー
JP2018157784A (ja) 発酵乳の製造方法
Rutgers et al. AD36E 2003 Preparation of dairy products
KR20150022564A (ko) 생치즈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