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960B1 - 분쇄기의 회전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분쇄기의 회전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960B1
KR101577960B1 KR1020130117735A KR20130117735A KR101577960B1 KR 101577960 B1 KR101577960 B1 KR 101577960B1 KR 1020130117735 A KR1020130117735 A KR 1020130117735A KR 20130117735 A KR20130117735 A KR 20130117735A KR 101577960 B1 KR101577960 B1 KR 101577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tation
journal
coupled
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9318A (ko
Inventor
허인순
김극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11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960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기의 회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탄 분쇄기 내부에 구비되되어 보울(1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분쇄롤(135)의 회전 상태와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석탄 분쇄기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석탄 분쇄기의 회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의 회전 감지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고 석탄의 투입을 위한 중앙배관(111)과 분쇄된 미분탄을 배출하기 위한 출구배관(112)이 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모터(12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보울(120); 상기 하우징(1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중앙에 오일공급유로(138)가 형성되는 피봇몸체(131)와, 상기 피봇몸체(131)의 하단에 지지베어링(137)을 통해 결합하고 상기 보울(1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분쇄롤(135)이 외측에 결합하는 저널하우징(133), 상기 피봇몸체(131)의 전단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베어링(137)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단플레이트(132), 그리고 상기 저널하우징(133)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하우징(110)커버를 포함하는 저널헤드(130); 그리고 상기 차단플레이트(132)와 하우징(110)커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분쇄롤(135)의 회전여부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쇄기의 회전 감지 장치 {Rotation detection apparatus for coal pulverizer}
본 발명은 석탄 분쇄기의 회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탄 분쇄기 내부에 구비되되어 보울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분쇄롤의 회전 상태와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석탄 분쇄기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석탄 분쇄기의 회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석탄 화력발전소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석탄 화력발전소는 석탄을 저장하는 석탄벙커(1)와, 상기 석탄벙커(1)로부터 일정량씩 석탄을 이송시키는 석탄공급기(2), 상기 석탄공급기(2)로부터 공급된 석탄을 미분화(微粉化)시키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서 미분화된 석탄을 연소시키는 용광로(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쇄기의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분쇄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석탄의 투입을 위한 중앙배관(11a)과 상기 중앙배관(11a)의 외측에 구비되어 미분화된 미분탄을 배출하기 위한 출구배관(11b)이 형성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모터(1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보울(12), 그리고 상기 보울(1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저널헤드(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널헤드(15)는 하우징(11)의 내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봇몸체(15a)와, 상기 피봇몸체(15a)의 외측에 지지베어링을 통해 결합하는 저널하우징(15b)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널하우징(15b)의 외측에는 분쇄롤(15c)이 결합되는데, 상기 분쇄롤(15c)은 상기 보울(12)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보울(12)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쇄롤(15c)과 보울(12)과의 사이에 투입되는 석탄이 압착되면서 미분화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화력발전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석탄벙커(1)로부터 석탄공급기(2)를 통해 일정량씩 공급되는 석탄은 상기 분쇄기(10)의 상단 중앙부와 연통하는 중앙배관(11a)으로 이송되어 상기 분쇄기(10)에서 미분화된다. 그리고 상기 분쇄기(10)에서 미분화된 석탄은 상기 분쇄기(10)의 상단 중앙배관(11a)의 외측에 구비된 출구배관(11b)을 통해 배출되고, 미분화된 미분탄은 버너(4)를 통해 용광로(5)로 이송된다. 상기 용광로(5)로 이송된 미분탄은 용광로(5)의 내부에서 계속적인 연소가 이루어지고 연소된 배기가스는 에어히터(6)를 통과한 후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용광로(5)에서 연소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일부는 상기 에어히터(6)를 통해 배출되는 고열의 공기와 에어팬(7)을 통해 공급되는 대기중의 공기가 혼합되어 상기 분쇄기(10)의 내부로 혼합되어 유입된다. 상기 분쇄기(10)로 유입된 혼합 공기는 상기 석탄공급기(2)를 통해 공급되는 수분을 포함한 석탄을 건조시키고, 미분화된 미분탄은 열풍에 의해 다시 상기 출구배관(11b)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쇄기에 의하면, 분쇄기의 동작하는 도중에는 상기 분쇄롤(15c)이 정상적으로 회전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하우징(11) 내부에 구비되는 분쇄롤(15c)의 회전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1)의 외부에서 작업자가 소음 또는 촉감을 사용하여 분쇄롤(15b)의 회전상태를 파악하거나, 또는 분쇄기(10)가 정지한 상태에서 하우징(11)을 분해하여 보울(12)과 분쇄롤(15c)의 상태를 파악할 수 밖에 없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쇄기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석탄을 압착분쇄하는 보울과 분쇄롤의 회전 상태를 분쇄기가 동작하는 도중에 감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고 석탄의 투입을 위한 중앙배관과 분쇄된 미분탄을 배출하기 위한 출구배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보울; 상기 하우징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오일공급유로가 형성되는 피봇몸체와, 상기 피봇몸체의 하단에 지지베어링을 통해 결합하고 상기 보울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분쇄롤이 외측에 결합하는 저널하우징, 상기 피봇몸체의 결합하여 상기 지지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단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저널하우징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저널하우징커버를 포함하는 저널헤드; 그리고 상기 차단플레이트와 저널하우징커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분쇄롤의 회전여부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감지 수단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저널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구비되어 저널하우징의 회전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와, 상기 피봇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자력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피봇몸체의 오일공급유로에는 리드케이블이 구비되고, 상기 리드케이블은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감지 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저널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감지슬롯과, 상기 피봇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슬롯과의 거리 차이를 감지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피봇몸체의 오일공급유로에는 리드케이블이 구비되고, 상기 리드케이블은 상기 거리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널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진동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분쇄롤이 결합하는 저널하우징과 피봇몸체와의 사이에 회전감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석탄분쇄기의 동작중에 저널하우징의 회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분쇄롤이 결합하는 저널하우징의 회전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석탄의 성상에 따른 분쇄롤의 회전상태 또는 석탄에 포함되어 있는 황철석양의 증대원인 또는 베어링의 손상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화력발전소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쇄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쇄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울과 저널헤드의 구성을 확대한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울과 저널헤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 감지 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 감지 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 감지 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분쇄기 이외의 구성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쇄기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울과 저널헤드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울과 저널헤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쇄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모터(12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보울(120), 그리고 상기 보울(1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여 석탄을 분쇄하는 저널헤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 중앙에는 석탄공급기(2)로부터 공급되는 석탄이 투입되기 위한 중앙배관(11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배관(111)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다수 개의 출구배관(112)이 구비된다.
상기 중앙배관(111)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투입되는 석탄은 상기 분쇄기(100)의 내부에서 미분화되고, 미분화된 미분탄은 상기 출구배관(112)을 통해 분쇄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보울(120)의 하부에는 회전모터(123)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회전모터(123)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보울(12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보울(120)의 회전여부는 상기 회전모터(123)의 구동여부를 감지하여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울(120)의 상측에는 세 개의 상기 저널헤드(130)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저널헤드(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벽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봇몸체(131)와, 상기 피봇몸체(131)의 외측에 지지베어링(137)을 통해 결합하고 상기 보울(1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분쇄롤(135)이 외측에 결합하는 저널하우징(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봇몸체(131)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과 힌지부(115)를 통해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피봇몸체(131)는 상기 힌지부(115)를 중심으로 회전(도 3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봇몸체(131)의 하단부에 결합된 저널하우징(133)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봇몸체(131)의 상부는 상기 하우징(110)과 스터드볼트(116)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스터드볼트(116)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저널하우징(133)이 힌지부(115)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저널하우징(133)이 아래쪽으로 내려갈 때, 일정 높이 이하로 상기 저널하우징(133)이 내려가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피봇몸체(131)의 중앙부, 즉 상기 힌지부(115)와 스터드볼트(116)가 연결된 부분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에 구비된 유압실린더(117)와 연결된다. 상기 유압실린더(117)는 상기 보울(120)과 분쇄롤(135)의 사이에 석탄이 투입되어 상기 저널헤드(1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저널하우징(133)이 윗쪽으로 올라가는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117)가 피봇몸체(131)를 우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저널하우징(133)이 과다하게 올라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보울(120)과 분쇄롤(135)의 사이에서 분쇄되는 석탄의 분쇄능력을 높이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피봇몸체(131)의 하단부에는 상기 저널하우징(133)이 피봇몸체(131)와 지지베어링(137)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저널하우징(13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베어링(137)은 피봇몸체(131)의 하단부 네 곳에 구비되는데, 상기 피봇몸체(131)에 구비되는 지지베어링(137)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피봇몸체(131)의 아래쪽에는 차단플레이트(132)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저널하우징(133)의 하단부에는 저널하우징커버(134)가 결합되는데, 상기 저널하우징커버(134)는 상기 피봇몸체(131)의 내부 부품들이 상기 하우징(110)내의 미분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차단플레이트(132)는 상기 피봇몸체(131)와 결합되어 있어 상기 보울(120)의 회전과 연동하지 않고, 상기 저널하우징커버(134)는 상기 저널하우징(133)과 결합되어 있어 상기 보울(12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분쇄롤(135)이 회전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쇄롤(135)이 결합되는 저널하우징(133)의 저널하우징커버(134)와 상기 피봇몸체(131)의 차단플레이트(132)와의 사이에는 상기 저널하우징(133)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회전 감지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 감지 수단으로부터 감지된 감지 신호는 상기 피봇몸체(131)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오일공급유로(138)에 구비된 리드케이블(139)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구비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송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회전감지수단에 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저널하우징커버(134)의 내측에는 영구자석과 같이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134m)와, 상기 차단플레이트(132)에 구비되어 상기 자력발생부(134m)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감지하는 감지부(132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울(120)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으로 상기 분쇄롤(135)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분쇄롤(135)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저널하우징(133)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감지부(132d)는 자력발생부(134m)와 일정거리 이내에 있을 때는 "1"의 값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저널하우징(133)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감지부(132d)가 자력발생부(134m)와 일정거리 이상 벗어나게 되면 상기 감지부(132d)는 "0"의 값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처음 감지부(132d)의 값이 "1"의 값에서 "0"의 값으로 변하는 시간을 제1변수에 저장하고, 이때 제1변수의 값을 T1이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132d)의 값이 "0"의 값에서 "1"의 값으로 변하는 시간을 제2변수에 저장하고, 이때 제2변수의 값을 T2라고 한다.
그리고 제1변수와 제2변수의 값을 더하면, T1+T2=T가 되고 이때 T값이 상기 분쇄롤(135)이 결합된 저널하우징(133)이 1회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회전 감지 수단에 관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저널하우징커버(134)의 내측에는 상기 저널하우징(133)의 회전중심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다수 개의 자력발생부(134m)와, 상기 차단플레이트(132)에 구비되어 상기 자력발생부(134m)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감지하는 감지부(132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력발생부(134m)가 여덟 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감지부(132d)에서는 상기 저널하우징(133)이 1회전하게 되면 여덟 개의 펄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132d)에서 전송된 여덟 개의 펄스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저널하우징(133)이 1회전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회전 감지 수단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저널하우징커버(134)의 내측에 상기 저널하우징(133)의 회전중심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감지슬롯(134s)과, 상기 차단플레이트(132)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슬롯(134s)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132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슬롯(134s)이 상기 저널하우징커버(134)의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여덟 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거리센서(132d)에서는 상기 저널하우징(133)이 1회전 하게 되면 여덟 개의 펄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센서(132d)에서 전송된 여덟 개의 펄스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저널하우징(133)이 1회전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회전 감지 수단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저널하우징커버(134)의 내측에 상기 저널하우징(133)의 회전중심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감지돌기(134d)와, 상기 차단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돌기(134d)의 유무를 감지하는 포토센서(132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돌기(134d)가 상기 상기 저널하우징커버(134)의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여덟 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포토센서(132d)에서는 상기 저널하우징(133)이 1회전 하게 되면 여덟 개의 펄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토센서(132d)에서 전송된 여덟 개의 펄스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저널하우징(133)이 1회전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저널하우징(133)과 피봇몸체(131)와의 사이에 구비된 회전 감지 수단을 구비함으로 인해 상기 분쇄기(100)가 동작하는 도중에 상기 저널하우징(133)이 정상적으로 회전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저널하우징(133)과 피봇몸체(131)와의 사이에는 진동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상기 분쇄롤(135)이 구비된 저널하우징(133)의 진동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분쇄기(100)의 내부에 투입되는 석탄의 미분화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감지된 진동신호 또한 상기 피봇몸체(131)의 오일공급유로(138)에 구비된 리드케이블(139)을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에 구비된 제어부로 전송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석탄 분쇄기(100)가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석탄벙커(1)로부터 일정량의 석탄이 석탄 공급기를 통해 상기 분쇄기(100)의 중앙 배관을 통해 상기 분쇄기(100)의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석탄은 상기 보울(120)과 분쇄롤(135)의 사이에 투입되고, 상기 회전모터(12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보울(12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울(120)과 분쇄롤(135)과의 마찰에 의해 상기 분쇄롤(135)이 회전하면서 상기 보울(120)과 분쇄롤(135)의 사이에 투입된 석탄이 미분화(微粉化)된다.
그리고 상기 보울(120)과 마찰력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는 분쇄롤(135)이 결합된 저널하우징(133)과 피봇몸체(131)와의 사이에 구비된 회전 감지 수단에 의해 상기 분쇄롤(135)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저널하우징(133)과 피봇몸체(131)와의 사이에 구비된 진동센서로부터 상기 분쇄롤(135)에서 발생하는 진동량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감지 수단으로부터 감지된 분쇄롤(135)의 회전속도에 대한 신호와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감지된 진동량은 상기 피봇몸체(131)의 오일유동로에 구비된 리드케이블(139)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송된다.
상기 회전 감지 수단으로부터 감지된 분쇄롤(135)의 회전 상태와 회전 속도, 그리고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감지된 진동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에서는 석탄의 성상에 따른 분쇄롤(135)의 회전상태와, 석탄 분쇄기(100)의 내부에서 미분화되지 않고 황철석으로 배출되는 원인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원인을 파악하여 석탄 분쇄기(100)의 회전모터(123)의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보울(1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상기 분쇄롤(135)과 보울(120)과의 사이에서 미분화되는 석탄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최적의 분탄량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분쇄롤(135)의 회전상태와 진동량을 이용하여 석탄 화력발전소의 설비 통합 정보관리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는데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보울(120)과 분쇄롤(135)의 사이에서 미세한 크기의 입자로 미분화(微粉化)된 미분탄은 상기 에어히터(6)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열풍에 의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어 미분화된 미분탄을 건조시키고, 건조된 미분탄은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구비된 출구배관(112)을 통해 버너(4)를 통해 용광로(5)로 이송되어 용광로(5) 내에서 계속적인 연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분쇄기
110:하우징
111:중앙배관
112:출구배관
120:보울
130:저널헤드
131:피봇몸체
132:차단플레이트
133:저널하우징
134:저널하우징커버
135:분쇄롤
137:지지베어링
139:리드케이블

Claims (6)

  1. 외관을 형성하고 석탄의 투입을 위한 중앙배관(111)과 분쇄된 미분탄을 배출하기 위한 출구배관(112)이 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모터(12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보울(120);
    상기 하우징(1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오일공급유로(138)가 형성되는 피봇몸체(131)와, 상기 피봇몸체(131)의 하단에 지지베어링(137)을 통해 결합하고 상기 보울(1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분쇄롤(135)이 외측에 결합하는 저널하우징(133), 상기 피봇몸체(131)의 결합하여 상기 지지베어링(137)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단플레이트(132), 그리고 상기 저널하우징(133)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저널하우징커버(134)를 포함하는 저널헤드(130); 및
    상기 저널하우징(133)의 원주방향으로 구비되어 저널하우징(133)의 회전에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134m)와 상기 피봇몸체(131)에 구비되어 상기 자력발생부(134m)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감지하는 감지부(132d)로 구성되는 회전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몸체(131)의 오일공급유로(138)에는 리드케이블(139)이 구비되고, 상기 리드케이블(139)은 상기 감지부(132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132d)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의 회전 감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외관을 형성하고 석탄의 투입을 위한 중앙배관(111)과 분쇄된 미분탄을 배출하기 위한 출구배관(112)이 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모터(12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보울(120);
    상기 하우징(1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오일공급유로(138)가 형성되는 피봇몸체(131)와, 상기 피봇몸체(131)의 하단에 지지베어링(137)을 통해 결합하고 상기 보울(1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분쇄롤(135)이 외측에 결합하는 저널하우징(133), 상기 피봇몸체(131)와 결합하여 상기 지지베어링(137)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단플레이트(132), 그리고 상기 저널하우징(133)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저널하우징커버(134)를 포함하는 저널헤드(130); 및
    상기 저널하우징(133)의 원주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감지슬롯(134s)과, 상기 피봇몸체(131)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슬롯(134s)과의 거리 차이를 감지하는 거리센서(132d)로 구성되는 회전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몸체(131)의 오일공급유로(138)에는 리드케이블(139)이 구비되고, 상기 리드케이블(139)은 상기 거리센서(132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거리센서(132d)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의 회전 감지 장치.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널하우징(133)의 일측에 구비되는 진동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의 회전 감지 장치.
KR1020130117735A 2013-10-02 2013-10-02 분쇄기의 회전 감지 장치 KR101577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735A KR101577960B1 (ko) 2013-10-02 2013-10-02 분쇄기의 회전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735A KR101577960B1 (ko) 2013-10-02 2013-10-02 분쇄기의 회전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318A KR20150039318A (ko) 2015-04-10
KR101577960B1 true KR101577960B1 (ko) 2015-12-16

Family

ID=5302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735A KR101577960B1 (ko) 2013-10-02 2013-10-02 분쇄기의 회전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9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7063A (ja) 2011-11-24 2013-06-06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ーラミ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465A (ja) * 1994-06-01 1995-12-19 Mitsubishi Heavy Ind Ltd 竪形ローラミルの運転方法
JPH10337487A (ja) * 1997-06-04 1998-12-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ミルローラの加圧力制御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7063A (ja) 2011-11-24 2013-06-06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ーラミ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318A (ko)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9145B2 (ja) バイオマス粉砕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576365B2 (ja) 石炭・バイオマス混焼システム及び混焼方法
JP6180218B2 (ja) 固体燃料燃焼装置
JP5277967B2 (ja) 竪型粉砕機の制御方法
JP2009291692A (ja) バイオマス粉砕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法
CN111482242B (zh) 固体燃料粉碎装置、具备其的发电设备、以及其控制方法
JP2008080206A (ja) 石炭−バイオマス混合粉砕装置及びそれを装備したボイラ装置
JP2019066122A (ja) 固体燃料粉砕システム、固体燃料粉砕装置および固体燃料粉砕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660442B2 (ja) セメントキルンの燃料供給方法
JP2014037897A (ja) バイオマス供給装置及びボイラシステム
JP6057146B2 (ja) 粉砕システム
KR101577960B1 (ko) 분쇄기의 회전 감지 장치
US9468930B2 (en) Rotatable throat assembly for coal pulverizer
JP6251954B2 (ja) 粉砕原料燃焼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150849B1 (ko) 분쇄기 및 분쇄기의 운전 방법
JP2007185570A (ja) 竪型ローラミル,竪型ローラミルを用いた粉砕方法
JP7274876B2 (ja) 固体燃料粉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発電プラント並びに固体燃料粉砕装置の制御方法
JP6195512B2 (ja) 固体燃料粉砕装置および固体燃料粉砕方法
JPH10337487A (ja) ミルローラの加圧力制御方法及び装置
KR20200062035A (ko) 고체 연료 공급 장치 및 방법 및 분쇄기, 보일러
CN111558433A (zh) 固体燃料粉碎装置及方法、具备其的发电设备
JP2011144943A (ja) 粉砕システム
JP2020133929A (ja) 固体燃料粉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発電プラント並びに固体燃料粉砕方法
JP3221183U (ja) 粉砕機及びそれを備えた固体燃料粉砕装置並びにボイラシステム
JP7224810B2 (ja) 固体燃料粉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発電プラント並びに固体燃料粉砕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