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121B1 -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 - Google Patents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121B1
KR101576121B1 KR1020150098568A KR20150098568A KR101576121B1 KR 101576121 B1 KR101576121 B1 KR 101576121B1 KR 1020150098568 A KR1020150098568 A KR 1020150098568A KR 20150098568 A KR20150098568 A KR 20150098568A KR 101576121 B1 KR101576121 B1 KR 101576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shaft
present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오
Original Assignee
비에이치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에이치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에이치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8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9/00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레일(1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11)를 설치하고 내부 일측에 상기 바퀴(111)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12)를 구비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받침대(120)와;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설치하여 상기 받침대(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130)로 이루어지는 중량물 이송장비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하여 물체와 충돌할 경우 레일(10)의 표면을 압착하여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부재(200)를 포함하는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중량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충돌과 동시에 레일을 압착하여 정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Improve feed safety feature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로 인한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물 이송장비는 선박 또는 블록(구조물) 등을 지정한 위치로 이송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중량물 이송장비는 중량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주변설비 등과 충돌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방 또는 후방에서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충돌 전에 정지할 수 있으나, 이는 감지센서의 고장 또는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없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의 중량물 이송장비는 가속력이 증가한 상태에서 정확한 위치에 정지할 수 없으므로 충돌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전방 또는 후방에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를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중량물 이송장비를 정지시키기 위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일본등록실용신안 제2505302호(1996.05.16) 한국등록특허 제0850807호(2008.08.06) 한국등록특허 제0912621호(2009.08.17) 한국등록특허 제0939899호(2010.01.29) 한국등록특허 제1028744호(2011.04.1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충돌과 동시에 정지시켜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을 밀착하여 중량물 이송장비를 정확한 위치에 정지할 수 있는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는,
하부에 레일(1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11)를 설치하고 내부 일측에 상기 바퀴(111)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12)를 구비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받침대(120)와;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설치하여 상기 받침대(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130)로 이루어지는 중량물 이송장비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하여 물체와 충돌할 경우 레일(10)의 표면을 압착하여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지부재(200)는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이동축(210)과; 상기 이동축(210)의 전방에 형성하는 지지대(220)와; 상기 몸체(110)와 지지대(220)의 사이에 설치하는 스프링(211)과; 상기 몸체(110)와 지지대(220)의 사이에 형성하되 내측 하부가 서로 맞닿아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관절부(230)와; 상기 관절부(230)의 하부에 형성하여 레일(10)의 표면을 압착하는 고정구(240)와; 상기 몸체(110)와 고정구(240)의 사이에 구비하는 유도구(25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이동축(2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구동부(112)를 정지시키기 위한 센서(2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관절부(230)의 상부는 상기 지지대(220)의 내측과 상기 몸체(100)의 외측에 형성한 제1회동부(231)와 각각 연결하고, 하부는 상기 고정구(240)의 상부에 형성한 제2회동부(232)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구(250)의 상부는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한 제3회동부(251)와 연결하고, 하부는 상기 고정구(240)의 일측에 형성한 장공(241)의 내부에 삽입하는 연동축(252)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관절부(230)의 사이에 설치하여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량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충돌과 동시에 레일을 압착하여 정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에 레일(1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11)를 설치하고 내부 일측에 상기 바퀴(111)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12)를 구비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받침대(120)와;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설치하여 상기 받침대(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130)로 이루어지는 중량물 이송장비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하여 물체와 충돌할 경우 레일(10)의 표면을 압착하여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부재(2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바퀴(111)는 레일(10)의 표면에 안착한 상태로 상기 제1구동부(112)의 작동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동부(112)는 모터 및 감속기를 이용하여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바퀴(111)와 제1구동부(112)는 스프로킷 또는 풀리 등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체인 또는 벨트를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지지롤러(114)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대(120)의 하부와 맞닿아 원활한 회전력 및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130)는 상기 받침대(12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받침대(120)의 하부 중앙에 설치하는 회전기어(132)와;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설치하는 구동모터(131)와; 상기 구동모터(131)의 회전축에 설치하여 상기 회전기어(132)와 맞물리도록 설치하는 구동기어(13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기어(132)와 구동기어(133)는 다양한 형태와 규격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지부재(200)는 중량물 이송장비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주변설비 또는 물체와 충돌할 경우 레일(10)을 압착하여 정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정지부재(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이동축(210)과; 상기 이동축(210)의 전방에 형성하는 지지대(220)와; 상기 몸체(110)와 지지대(220)의 사이에 설치하는 스프링(211)과; 상기 몸체(110)와 지지대(220)의 사이에 형성하되 내측 하부가 서로 맞닿아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관절부(230)와; 상기 관절부(230)의 하부에 형성하여 레일(10)의 표면을 압착하는 고정구(240)와; 상기 몸체(110)와 고정구(240)의 사이에 구비하는 유도구(25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이동축(2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구동부(112)를 정지시키기 위한 센서(270)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이동축(210)은 상기 지지대(220)가 주변설비 또는 물체와 충돌할 경우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센서(270)가 감지하여 상기 제1구동부(112)를 제어시켜 중량물 이송장비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270)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근접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갖는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211)은 상기 지지대(220)가 충돌할 경우 완충기능을 수행하며 평소에 상기 지지대(2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211)은 상기 몸체(110)와 지지대(220)의 사이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대(220)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축(210)의 외경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몸체(110)와 지지대(220)의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대(220)는 주변설비 또는 물체와 직접 충돌하므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금속은 물론 합성수지 및 고무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관절부(230)는 평소에는 상기 스프링(211)의 탄성력으로 펼쳐진 상태로 상기 지지대(220)를 몸체(1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반대로 상기 지지대(220)가 충돌할 경우 몸체(11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접혀져서 상기 고정구(240)를 레일(10)의 표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절부(230)의 상부는 상기 지지대(220)의 내측과 상기 몸체(100)의 외측에 형성한 제1회동부(231)와 각각 연결하고, 하부는 상기 고정구(240)의 상부에 형성한 제2회동부(232)와 연결하여 상기 지지대(220)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관절부(230)가 간섭없이 원활하게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구(240)는 레일(10)의 표면에 압착하여 중량물 이송장비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 석면 등과 같이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구(250)는 상기 고정구(2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함은 물론 레일(10)의 표면으로 고정구(24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압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구(250)의 상부는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한 제3회동부(251)와 연결하고, 하부는 상기 고정구(240)의 일측에 형성한 장공(241)의 내부에 삽입하는 연동축(252)을 마련하여 유도구(25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장공(241)은 상기 유도구(250)가 제3회동부(251)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전반경에 따라서 상기 연동축(252)이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절부(230)의 사이에 설치하여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부(260)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구(240)가 레일(10)의 표면에 압착할 경우 압착력에 따라서 다시 초기위치로 이동하지 못할 경우 상기 작동부(160)를 작동시켜 관절부(230)를 펼쳐서 고정구(240)를 강제적으로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부(260)는 실린더 또는 나선축 등과 같은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량물 이송장비가 이동과정에서 주변설비 또는 물체와 충돌할 경우 상기 지지대(220)와 이동축(210)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센서(270)가 이동축(210)을 감지하면 상기 제1구동부(112)를 정지시키고, 동시에 상기 관절부(230)가 접히면서 상기 고정구(240)를 레일(10)의 표면으로 압착시켜 중량물 이송장비를 정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 레일
100: 본 발명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
110: 몸체 111: 바퀴
112: 제1구동부 114: 지지롤러
120: 받침대
130: 제2구동부 131: 구동모터
132: 회전기어 133: 구동기어
200: 정지부재 210: 이동축
211: 스프링 220: 지지대
230: 관절부 231: 제1회동부
232: 제2회동부 240: 고정구
241: 장공 250: 유도구
251: 제3회동부 252: 연동축
260: 작동부 270: 센서

Claims (5)

  1. 하부에 레일(1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11)를 설치하고 내부 일측에 상기 바퀴(111)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12)를 구비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받침대(120)와;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설치하여 상기 받침대(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130)로 이루어지는 중량물 이송장비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하여 물체와 충돌할 경우 레일(10)의 표면을 압착하여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정지부재(200)는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이동축(210)과; 상기 이동축(210)의 전방에 형성하는 지지대(220)와; 상기 몸체(110)와 지지대(220)의 사이에 설치하는 스프링(211)과; 상기 몸체(110)와 지지대(220)의 사이에 형성하되 내측 하부가 서로 맞닿아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관절부(230)와; 상기 관절부(230)의 하부에 형성하여 레일(10)의 표면을 압착하는 고정구(240)와; 상기 몸체(110)와 고정구(240)의 사이에 구비하는 유도구(25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이동축(2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구동부(112)를 정지시키기 위한 센서(2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230)의 상부는 상기 지지대(220)의 내측과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 형성한 제1회동부(231)와 각각 연결하고, 하부는 상기 고정구(240)의 상부에 형성한 제2회동부(232)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구(250)의 상부는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한 제3회동부(251)와 연결하고, 하부는 상기 고정구(240)의 일측에 형성한 장공(241)의 내부에 삽입하는 연동축(252)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230)의 사이에 설치하여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
KR1020150098568A 2015-07-10 2015-07-10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 KR101576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568A KR101576121B1 (ko) 2015-07-10 2015-07-10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568A KR101576121B1 (ko) 2015-07-10 2015-07-10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121B1 true KR101576121B1 (ko) 2015-12-10

Family

ID=5497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568A KR101576121B1 (ko) 2015-07-10 2015-07-10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1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3821A (zh) * 2017-11-30 2018-04-20 武昌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球鼻艏定位工装及球鼻艏的定位安装方法
KR102049541B1 (ko) * 2019-07-17 2019-11-27 서광모 3선 레일부를 구비하는 궤도차량 시스템
KR102066513B1 (ko) * 2019-07-18 2020-01-15 인천교통공사 궤도차량 시스템
KR102315092B1 (ko) * 2021-05-25 2021-10-21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롤 그라인더의 틸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807B1 (ko) * 2008-02-22 2008-08-06 라인호(주) 선박이송장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807B1 (ko) * 2008-02-22 2008-08-06 라인호(주) 선박이송장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3821A (zh) * 2017-11-30 2018-04-20 武昌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球鼻艏定位工装及球鼻艏的定位安装方法
CN107933821B (zh) * 2017-11-30 2019-06-07 武昌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球鼻艏的定位安装方法
KR102049541B1 (ko) * 2019-07-17 2019-11-27 서광모 3선 레일부를 구비하는 궤도차량 시스템
CN112238872A (zh) * 2019-07-17 2021-01-19 株式会社Emtc 具备三线轨道部的轨道车辆系统
CN112238872B (zh) * 2019-07-17 2023-08-29 株式会社Emtc 具备三线轨道部的轨道车辆系统
KR102066513B1 (ko) * 2019-07-18 2020-01-15 인천교통공사 궤도차량 시스템
KR102315092B1 (ko) * 2021-05-25 2021-10-21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롤 그라인더의 틸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121B1 (ko) 안전기능을 향상한 중량물 이송장비
US9126759B2 (en) Tire conveyor for a tire testing machine
CN102785115B (zh) 翻转移动平台三自由度90/180度翻转机
JPS6397512A (ja) ロ−ラコンベヤ
CN102785114B (zh) 单气囊翻转移动平台三自由度90/180度翻转机
KR890001772A (ko) 하중 시뮬레이팅(sinulating) 장치
CN109308071A (zh) 一种带有升降旋转机构的搬运小车及其控制方法
CN107364510A (zh) 一种汽车组装的方法
KR101576116B1 (ko) 이송효율을 향상한 부자재 이송장비
KR101887271B1 (ko)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KR101808604B1 (ko) 타이어 턴오버 장치
JP6204321B2 (ja) 移動体及びそれを用いた昇降台装置
KR20120072479A (ko) 벨트컨베이어 장치
CN109132331A (zh) 一种输送带转角减速机构
KR102295814B1 (ko) 타이어 시험기
JP5991671B2 (ja) 送り装置
KR101638346B1 (ko) 차량용 범퍼 안착장치
KR101985228B1 (ko) 컨베이어 장치
KR101953544B1 (ko) 컨베이어 장치
KR101863316B1 (ko) 이송용 필렛 용접장치
JP3664415B2 (ja) 地下式駐車装置用ターンテーブル
KR101489203B1 (ko) 코일 변형방지 이송대차
CN104773491B (zh) 工装系统
KR101368265B1 (ko) 연속하역기용 비상 정지장치
CN216612995U (zh) 一种用于托盘过渡的旋转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