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800B1 - 압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압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800B1
KR101575800B1 KR1020140107856A KR20140107856A KR101575800B1 KR 101575800 B1 KR101575800 B1 KR 101575800B1 KR 1020140107856 A KR1020140107856 A KR 1020140107856A KR 20140107856 A KR20140107856 A KR 20140107856A KR 101575800 B1 KR101575800 B1 KR 101575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piezoelectric plate
plate
region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길
노태형
박성철
김영술
윤경섭
신희섭
정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40107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800B1/ko
Priority to JP2015096211A priority patent/JP6118839B2/ja
Priority to US14/710,574 priority patent/US20160052019A1/en
Priority to CN201510278427.2A priority patent/CN105375899A/zh
Priority to TW104117086A priority patent/TWI56523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07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multiple elements
    • B06B1/0611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multiple elements in a pile
    • B06B1/0618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multiple elements in a pile of piezo- and non-piezoelectric elements, e.g. 'Tonpilz'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압전판과, 제 1 압전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압전판을 포함하여 제 1 및 제 2 압전판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고, 제 1 및 제 2 압전판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압전 음향 소자 및 압전 진동 소자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압전 소자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압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Piezoelectr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전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전 음향 소자와 압전 진동 소자로 이용될 수 있는 압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과거의 휴대폰 단말기는 음성, 메시지 송수신 등의 무선통화기능 자체가 주된 목적이었지만, 근래에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 발달하면서 무선통화 기능은 단순한 기능의 일부에 지나지 않고,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TV, 네비게이션, SNS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가 확대되고, 크기가 커지며, 인터넷 속도, 음성, 동작, 눈동자 인식 등의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력으로 사용자가 좀더 편리하게 스마트폰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시장에서는 기업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다양한 기능을 추가한 스마트폰 단말기가 빠르게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가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스마트폰 단말기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산책, 운동 등의 간편한 옷차림을 착용하는 경우에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도난 및 분실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 단말기를 가방 등에 넣어 소지하는 경우에는 수신, 발신 통화를 하거나 메시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스마트폰 단말기를 꺼내서 사용하는 불편함이 있고, 가방에 소지하는 스마트폰 단말기의 진동이나 벨소리를 듣지 못하여 수신 전화 및 메시지를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체에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 즉 웨어러블(wearable)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6306호 "밴드형 휴대 단말기"와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83804호 "팔찌 형태로 변형 가능한 휴대 단말기"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54309호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가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웨어러블 기기, 즉 보조 모바일 기기를 손목시계, 목걸이 등 형태로 휴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압전 음향 소자 및 압전 진동 소자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용될 수 있는 압전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압전 음향 소자와 압전 진동 소자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동작될 수 있어 전자기기에 장착되어 음향 및 진동을 모두 발생시킬 수 있는 압전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압전 음향 소자 및 압전 진동 소자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용될 수 있는 압전 소자를 장착하여 압전 소자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압전 소자는 제 1 압전판; 및 상기 제 1 압전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압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판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다.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판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압전판은 중앙 영역이 빈 틀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 2 압전판은 상기 제 1 압전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되어 상기 제 1 압전판의 내측 영역에 마련된다.
상기 제 2 압전판은 소정 영역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 1 압전판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접촉된다.
상기 제 1 압전판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더미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압전판이 상기 더미판과 연결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판의 적어도 일 영역에 마련된 로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압전판과 상기 제 2 압전판 사이에 마련된 진동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전자기기는 제 1 압전판과, 상기 제 1 압전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압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판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판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압전 음향 소자 및 압전 진동 소자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동작한다.
상기 전자기기는 이동 단말 본체와 이격되어 이동 단말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며 신체 장착 가능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판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압전판은 소정의 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2 압전판은 상기 제 1 압전판의 적어도 일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압전판 내측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판의 적어도 일 영역에 마련된 로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판 사이에 마련된 진동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압전 소자는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압전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압전 소자는 보조 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기기 내에 마련되어 전자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압전 음향 소자 및 압전 진동 소자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동작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소자를 보조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함으로써 음향 소자와 진동 소자를 각각 적용하는 종래에 비해 보조 모바일 기기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보조 모바일 기기의 크기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전 소자는 접점의 구조, 형상 등을 변형하거나, 로드, 진동판 등을 적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소자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압전 소자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예에 따른 압전 소자의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일반적인 압전 소자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소자의 음압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소자의 진동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소자는 제 1 압전판(110)과, 제 1 압전판(110)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되어 마련된 제 2 압전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압전판(110, 120)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공진 주파수가 다를 수 있다.
제 1 압전판(110)은 소정의 폭을 갖고 내부가 빈 대략 직사각형의 틀(frame) 형상으로 마련된다. 물론, 제 1 압전판(110)은 직사각형의 틀 형상 뿐만 아니라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압전판(110)은 기판과, 기판이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압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압전판(110)은 기판의 양면에 압전층이 형성된 바이모프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기판의 일면에 압전층이 형성된 유니모프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압전층은 적어도 일층이 적층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압전층이 적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전층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압전층과 복수의 전극이 교대로 적층되어 제 1 압전판(110)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압전층은 예를 들어 PZT(Pb, Zr, Ti), NKN(Na, K, Nb), BNT(Bi, Na, Ti) 계열의 압전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압전층은 서로 다른 방향 또는 동일 방향으로 분극되어 적층 형성될 수 있다. 즉, 기판의 일면 상에 복수의 압전층이 형성되는 경우 각 압전층은 서로 반대 방향 또는 동일 방향의 분극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판은 압전층이 적층된 구조를 유지하면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물질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제 1 압전판(110)은 압전층과 이물질인 기판을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 1 압전판(110)은 중심부에 분극되지 않은 압전층이 마련되고, 그 상부 및 하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극된 복수의 압전층이 적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압전판(110)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패턴은 제 1 압전판(1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전극 패턴은 서로 이격되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연결 단자(미도시)와 연결되어 이를 통해 전자기기, 예를 들어 보조 모바일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압전판(110)은 전자기기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 즉 교류 전원에 따라 압전 음향 소자 또는 압전 진동 소자로 구동될 수도 있다.
제 2 압전판(120)은 제 1 압전판(110)과 다른 형상으로 제작되어 제 1 압전판(110)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된다. 예를 들어, 제 2 압전판(120)은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 1 압전판(110)의 일 영역과 접촉되어 틀 형상의 제 1 압전판(110) 내의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 압전판(110)이 서로 대향되는 두 장변 및 두 단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마련되고, 제 2 압전판(120)이 제 1 압전판(110)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접촉되어 제 1 압전판(110)의 내측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압전판(120)의 두께는 제 1 압전판(110)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제 2 압전판(120)은 제 1 압전판(110)과 동일 공정으로 형성된 후 소정 영역이 제거되어 제작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공정으로 형성된 후 접착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즉, 대략 직사각형의 판에서 제 1 압전판(110)과 제 2 압전판(120) 사이의 영역이 제거되어 압전 소자가 구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 1 및 제 2 압전판(110, 120)의 두께가 같을 수 있다. 또한, 틀 형상의 제 1 압전판(110)을 형성한 후 제 1 압전판(110) 상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바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압전판(120)을 접착시켜 제 1 압전판(110) 내에 제 2 압전판(120)이 마련된 압전 소자를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제 1 압전판(110)과 제 2 압전판(120) 사이 공간의 면적과 제 2 압전판(120)의 면적은 5:1 내지 1:5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제 1 압전판(110)과 제 2 압전판(120) 사이 공간의 면적과 제 2 압전판(120)의 면적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압전 소자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압전판(120)은 기판과,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압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압전판(120)은 제 1 압전판(110)과 동일한 적층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압전판(120)은 기판의 양면에 압전층이 형성된 바이모프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기판의 일면에 압전층이 형성된 유니모프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압전층은 적어도 일층이 적층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압전층이 적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전층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압전층과 복수의 전극이 적층되어 제 2 압전판(120)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압전층은 서로 다른 방향 또는 동일 방향으로 분극되어 적층 형성될 수 있다. 즉, 기판의 일면 상에 복수의 압전층이 형성되는 경우 각 압전층은 서로 반대 방향 또는 동일 방향의 분극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판은 압전층이 적층된 구조를 유지하면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물질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제 2 압전판(120)은 압전층과 이물질인 기판을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 2 압전판(120)은 중심부에 분극되지 않은 압전층이 마련되고, 그 상부 및 하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극된 복수의 압전층이 적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압전판(120)의 소정 영역, 예를 들어 제 1 압전판(110)과 중첩되는 영역의 상부면에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 패턴은 서로 이격되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연결 단자(미도시)와 연결되어 이를 통해 전자기기, 예를 들어 보조 모바일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압전판(120)은 전자기기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 즉 교류 전원에 따라 압전 음향 소자 또는 압전 진동 소자로 구동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소자는 대략 틀 형상의 제 1 압전판(110)과, 제 1 압전판(110)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되어 제 1 압전판(110) 내의 공간에 마련된 제 2 압전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압전 소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압전판(110, 120)이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압전판(110, 120)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고,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압전 소자는 전자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마련되거나, 스마트폰과 이격되어 스마트폰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 모바일 기기, 즉 신체 장착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 내에 마련될 수 있고, 전자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압전 스피커 및 압전 액추에이터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압전 음향 소자 또는 압전 진동 소자로 동작할 수 있고, 압전 음향 소자 및 압전 진동 소자로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서로 다른 형상 및 공진 주파수를 갖는 제 1 및 제 2 압전판(100, 300)이 진동판(200)을 사이에 두고 마련되고 보조 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기기에 적용되어 음향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복합 소자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압전 소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는 제 1 압전판(110)과, 제 1 압전판(110)의 두 영역과 접촉되어 제 1 압전판(110) 내의 공간에 마련된 제 2 압전판(120)을 포함한다. 즉, 제 2 압전판(120)은 제 1 압전판(110)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고 제 2 압전판(120)의 장변 중앙부로부터 두 영역의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제 1 압전판(110)의 장변과 접촉된다. 도 1의 일 실시 예와 비교하여, 도 1의 일 실시 예는 제 2 압전판(120)의 일 단변이 제 1 압전판(110)과 접촉되었지만, 도 2의 다른 실시 예는 제 2 압전판(120)의 장변 두 영역이 제 1 압전판(110)과 접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는 제 1 압전판(110)과, 제 1 압전판(110)의 일 영역과 접촉되어 제 1 압전판(110) 내의 공간에 마련된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은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중앙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고,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의 소정 영역, 예를 들어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중앙부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두터 두 영역의 돌출부(122a, 122b)가 형성되어 제 1 압전판(110)과 접촉된다. 도 3의 또다른 실시 예는 도 2의 다른 실시 예와 비교하여 제 1 압전판(110)과 접촉되는 영역의 중앙부가 절개되어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소자는 대략 원형의 틀 형상을 갖는 제 1 압전판(110)과, 제 1 압전판(110)의 일 영역과 접촉되어 제 1 압전판(110) 내의 공간에 마련된 제 1 압전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압전 소자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압전판(120)은 원형으로 마련되고, 제 2 압전판(120)의 일 영역이 연장되어 제 1 압전판(110)의 소정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물론, 제 1 압전판(110)과 제 2 압전판(120)이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압전판(110)이 원형으로 마련되고 제 2 압전판(120)이 사각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압전 소자는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예에 따른 압전 소자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는 제 1 압전판(110)과, 제 1 압전판(110)의 일 단변과 접촉되어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제 1 압전판(110)의 공간 내에 마련된 제 1 압전판(120)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압전판(110)의 상면에 적어도 두개의 전극 패턴(111, 112)이 형성되고, 제 2 압전판(120)의 상면에 적어도 두개의 전극 패턴(121, 122)이 형성된다. 제 1 압전판(110)의 전극 패턴(111, 112)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교류 전원이 인가될 수 있고, 제 2 압전판(120)의 전극 패턴(121, 122)에도 서로 다른 극성의 교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는 제 1 압전판(110)과, 제 1 압전판(110)의 서로 대향되는 두 장변의 소정 영역 사이에 마련된 더미판(115)과, 더미판(115) 상에 접촉되며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마련된 제 2 압전판(120)를 포함한다. 더미판(115)은 예를 들어 서로 대향되는 두 장변의 중앙부 사이에 소정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더미판(115)은 제 1 압전판(110)과 동일한 적층 구조로 형성되어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그러나, 더미판(115)은 분극되지 않아 진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더미판(115)은 제 1 압전판(110)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보다 넓은 폭 또는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압전판(120)은 중앙부가 더미판(115) 상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제 2 압전판(120)는 중앙부가 더미판(115) 상에 접촉되어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제 1 압전판(110) 내의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압전판(110)의 상면에 적어도 두개의 전극 패턴(111, 112)이 형성되고, 제 2 압전판(120)의 상면에 적어도 두개의 전극 패턴(121, 122)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극성의 교류 전원이 각각 인가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는 제 1 압전판(110)과, 제 1 압전판(110)의 서로 대향되는 두 장변의 소정 영역, 예를 들어 중앙부 사이에 마련된 더미판(115)과, 더미판(115)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마련된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은 더미판(115)의 두 측면 또는 상면에 이격되어 접촉되어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압전판(120a)의 상면에는 적어도 두개의 전극 패턴(121a, 122a)이 형성되고, 제 3 압전판(120b)의 상면에도 적어도 두개의 전극 패턴(121b, 122b)이 형성된다. 각각의 전극 패턴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교류 전원이 각각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압전판(110)의 상면에 적어도 두개의 전극 패턴(111, 112)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극성의 교류 전원이 각각 인가될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는 제 1 압전판(110)과, 제 1 압전판(110)의 서로 대향되는 두 단변으로부터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이 제 1 압전판(110)의 서로 대향되는 두 단변의 상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1 압전판(110) 내의 중앙 영역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된다. 여기서, 제 2a 압전판(120a)의 상면에는 적어도 두개의 전극 패턴(121a, 122a)이 형성되고, 제 2b 압전판(120b)의 상면에도 적어도 두개의 전극 패턴(121b, 122b)이 형성된다. 각각의 전극 패턴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교류 전원이 각각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압전판(110)의 상면에 적어도 두개의 전극 패턴(111, 112)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극성의 교류 전원이 각각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전 소자는 적어도 일 영역에 로드(load)를 마련하여 진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주파수 특성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로드는 그 무게 및 위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하게 진동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예에 따른 압전 소자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는 제 1 압전판(110)과, 제 1 압전판(110)의 일 단변의 소정 영역과 접촉되어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마련된 제 2 압전판(120)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압전판(110)과 접촉되지 않는 제 1 압전판(120)의 일 단부에 로드(15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고 서로 대향되는 일 장변 및 타 장변 사이에 더미판(115)이 형성된 제 1 압전판(110)과, 더미판(115) 상에 접촉되어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마련된 제 2 압전판(120)과, 제 2 압전판(120)의 서로 대향되는 두 단부에 각각 마련된 로드(150a, 150b)를 포함한다. 즉, 로드(150a)는 제 2 압전판(120)의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 패턴(121, 122)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고 서로 대항되는 일 장변 및 타 장변 사이에 더미판(115)이 형성된 제 1 압전판(110)과, 더미판(115)의 두 측면과 접촉되어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마련된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과,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의 더미판(115)과 접촉되지 않는 서로 대향되는 두 단부에 형성된 로드(150a, 150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a 압전판(120a)의 상면에는 적어도 두개의 전극 패턴(121a, 122a)이 형성되고, 제 2b 압전판(120b)의 상면에도 적어도 두개의 전극 패턴(121b, 122b)이 형성된다. 즉, 로드(150a, 150b)는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의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 패턴(321a, 322a, 321b, 322b)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압전판(110)의 상면에 적어도 두개의 전극 패턴(111, 112)이 형성된다, 각각의 전극 패턴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교류 전원이 각각 인가될 수 있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는 제 1 압전판(110)과, 제 1 압전판(110)의 서로 대향되는 두 단변으로부터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1 압전판(110) 내의 중앙 영역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과,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의 단부에 형성된 로드(150a, 150b)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2a 압전판(120a)의 상면에는 적어도 두개의 전극 패턴(121a, 122a)이 형성되고, 제 2b 압전판(120b)의 상면에도 적어도 두개의 전극 패턴(121b, 122b)이 형성된다. 즉, 로드(150a, 150b)은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의 교류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영역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압전판(310)의 상면에 적어도 두개의 전극 패턴(111, 112)이 형성된다, 각각의 전극 패턴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교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로드는 제 2 압전판(120) 뿐만 아니라 제 1 압전판(110)의 소정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는데, 제 1 및 제 2 압전판(110, 120)에 로드가 형성된 압전 소자를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는 제 1 압전판(110)과, 제 1 압전판(110)의 일 단변의 소정 영역에 마련되어 제 1 압전판(110) 내의 공간에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마련된 제 2 압전판(120)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압전판(120)의 제 1 압전판(110)과 접촉되지 않는 일 단부에 로드(150)가 마련되고, 제 1 압전판(110)의 모서리 영역에 복수의 로드(151, 152, 153, 154)가 마련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고 서로 대향되는 일 장변 및 타 장변 사이에 더미판(115)이 형성된 제 1 압전판(110)과, 더미판(115) 상에 접촉되어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제 1 압전판(110) 내의 영역에 형성된 제 2 압전판(120)과, 제 2 압전판(120)의 두 단부에 마련된 로드(150a, 150b)와, 제 1 압전판(110)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로드(151, 152, 153, 1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고 서로 대항되는 일 장변 및 타 장변 사이에 더미판(115)이 형성된 제 1 압전판(110)과, 더미판(115)의 두 측면과 접촉되어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제 1 압전판(110) 내의 영역에 형성된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과,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의 단부에 마련된 로드(150a, 150b)와, 제 1 압전판(110)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로드(151, 152, 153, 1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는 제 1 압전판(110)과, 제 1 압전판(110)의 서로 대향되는 두 단변으로부터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1 압전판(110) 내의 중앙 영역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과,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의 단부에 마련된 로드(150a, 150b)와, 제 1 압전판(110)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로드(151, 152, 153, 15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압전 소자는 적어도 일 영역에 진동판를 마련하여 진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주파수 특성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진동판은 폴리머, 금속, 실리콘 등의 재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진동판의 크기를 다양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하게 진동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예에 따른 압전 소자를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는 제 1 압전판(110)과, 제 1 압전판(110)의 일 단변의 소정 영역에 마련되어 제 1 압전판(110) 내에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마련된 제 2 압전판(120)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압전판(120)의 제 1 압전판(110)과 접촉되지 않는 일 단부와 제 1 압전판(110)의 단변 사이에 마련된 진동판(1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고 서로 대향되는 일 장변 및 타 장변 사이에 더미판(115)이 형성된 제 1 압전판(110)과, 더미판(115) 상에 접촉되어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제 1 압전판(110) 내의 영역에 형성된 제 2 압전판(120)과, 제 2 압전판(120)의 두 단부와 제 1 압전판(110) 사이에 마련된 진동판(160a, 16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진동판(160a, 160b)은 제 2 압전판(120)의 각 단부와 제 1 압전판(1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고 서로 대항되는 일 장변 및 타 장변 사이에 더미판(115)이 형성된 제 1 압전판(110)과, 더미판(115)의 두 측면과 접촉되어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제 1 압전판(110) 내의 영역에 형성된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과,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의 단부와 제 1 압전판(110) 사이에 마련된 각각 진동판(160a, 160b)을 포함한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는 대략 직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는 제 1 압전판(110)과, 제 1 압전판(110)의 서로 대향되는 두 단변으로부터 제 1 압전판(110)의 장변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1 압전판(110) 내의 중앙 영역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과,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a, 120b)의 단부 사이에 마련된 진동판(1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진동판(160)은 제 2a 및 제 2b 압전판(120, 120b)의 제 1 압전판(110)과 접촉되지 않는 각각의 단부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종래의 압전 소자의 음압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압전 소자의 음압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종래의 압전 소자는 본 발명의 제 1 압전판의 내부가 채워진 형태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갖고, 본 발명의 압전 소자는 제 1 및 제 2 압전판이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 종래의 압전 소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가 1.12㎑이고 약 82dB의 음압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압전판이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소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가 150㎐이고 약 60dB의 음압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압전 소자는 210㎐ 및 500㎐에서도 공진 주파수가 발생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압전판을 결합함으로써 적어도 둘 이상의 공진 주파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종래보다 낮은 수백㎐의 공진 주파수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보조 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기기에 음향 소자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압전 소자의 진동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로서, 228㎐의 공진 주파수에서 약 2.2G의 출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압전 소자는 보조 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기기에서 진동 소자로 이용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압전 소자는 보조 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기기에서 음향 소자 및 진동 소자로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제 1 압전판 120 : 제 2 압전판
150 : 로드 160 : 진동판

Claims (14)

  1. 제 1 압전판; 및
    상기 제 1 압전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압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판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고,
    상기 제 1 압전판은 중앙 영역이 빈 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 2 압전판은 상기 제 1 압전판의 내측 영역에서 상기 제 1 압전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되어 마련된 압전 소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전판은 소정 영역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 1 압전판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접촉된 압전 소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전판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더미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압전판이 상기 더미판과 연결된 압전 소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판의 적어도 일 영역에 마련된 로드를 더 포함하는 압전 소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전판과 상기 제 2 압전판은 타 영역에서 이격되고, 이격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판과 접촉되도록 마련된 진동판을 더 포함하는 압전 소자.
  9. 제 1 압전판과, 상기 제 1 압전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압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판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압전판은 중앙 영역이 빈 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 2 압전판은 상기 제 1 압전판의 내측 영역에서 상기 제 1 압전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판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압전 음향 소자 및 압전 진동 소자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전자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이동 단말 본체와 이격되어 이동 단말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며 신체 장착 가능한 전자기기.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판의 적어도 일 영역에 마련된 로드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14.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판 사이에 마련된 진동판을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140107856A 2014-08-19 2014-08-19 압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575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856A KR101575800B1 (ko) 2014-08-19 2014-08-19 압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2015096211A JP6118839B2 (ja) 2014-08-19 2015-05-11 圧電素子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US14/710,574 US20160052019A1 (en) 2014-08-19 2015-05-12 Piezoelectr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510278427.2A CN105375899A (zh) 2014-08-19 2015-05-27 压电装置以及包含压电装置的电子装置
TW104117086A TWI565236B (zh) 2014-08-19 2015-05-28 壓電裝置以及包含壓電裝置的電子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856A KR101575800B1 (ko) 2014-08-19 2014-08-19 압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791A Division KR101624285B1 (ko) 2015-07-14 2015-07-14 압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800B1 true KR101575800B1 (ko) 2015-12-08

Family

ID=5487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856A KR101575800B1 (ko) 2014-08-19 2014-08-19 압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052019A1 (ko)
JP (1) JP6118839B2 (ko)
KR (1) KR101575800B1 (ko)
CN (1) CN105375899A (ko)
TW (1) TWI5652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9589A (zh) * 2018-04-23 2018-11-27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超声换能器及超声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1553B (zh) * 2019-12-18 2021-01-26 武汉大学 一种可调谐的超声传感器阵列
EP4113219A1 (fr) * 2021-06-29 2023-01-04 Montres Breguet S.A. Procédé d'accordage fréquentiel d'un ensemble de plaques d'une montre, et montre comprenant l'ensemble de plaques accordées
TWI850161B (zh) * 2023-12-04 2024-07-21 國立成功大學 積層壓電元件及應用其之微機電揚聲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7486A (ja) 1998-12-01 2000-06-20 Murata Mfg Co Ltd 振動発生装置
KR100924417B1 (ko) * 2006-04-20 2009-10-29 벡트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고압 환경용 전자 음향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9211A (en) * 1980-10-14 1983-04-05 Telephonics Corporation Arcuately tensioned piezoelectric diaphragm microphone
JPS57103496U (ko) * 1980-12-16 1982-06-25
JPS58184996U (ja) * 1982-05-31 1983-12-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圧電形電気音響変換器
JP2003264447A (ja) * 2002-03-07 2003-09-19 Seiko Instruments Inc 圧電振動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7060768A1 (ja) * 2005-11-24 2007-05-3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電気音響変換器
KR100817470B1 (ko) * 2006-10-24 2008-03-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압전 선형 모터
JP4934125B2 (ja) * 2008-12-02 2012-05-16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圧電フレームおよび圧電デバイス
JP4907728B2 (ja) * 2010-06-18 2012-04-04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圧電デバイスの周波数調整方法
JP2012015755A (ja) * 2010-06-30 2012-01-19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発振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595196B2 (ja) * 2010-09-16 2014-09-24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圧電デバイス
JP2012074837A (ja) * 2010-09-28 2012-04-12 Nippon Dempa Kogyo Co Ltd 圧電デバイス
JP2012175492A (ja) * 2011-02-23 2012-09-10 Nippon Dempa Kogyo Co Ltd 圧電デバイス及び圧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20120105785A (ko) * 2011-03-16 2012-09-2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압전 소자
JP6055612B2 (ja) * 2012-05-22 2016-12-2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209791B2 (en) * 2012-05-22 2019-02-19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panel device
KR20130070615A (ko) * 2013-02-27 2013-06-27 김정훈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7486A (ja) 1998-12-01 2000-06-20 Murata Mfg Co Ltd 振動発生装置
KR100924417B1 (ko) * 2006-04-20 2009-10-29 벡트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고압 환경용 전자 음향 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9589A (zh) * 2018-04-23 2018-11-27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超声换能器及超声装置
CN108889589B (zh) * 2018-04-23 2023-09-12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超声换能器及超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75899A (zh) 2016-03-02
JP6118839B2 (ja) 2017-04-19
JP2016046802A (ja) 2016-04-04
TWI565236B (zh) 2017-01-01
US20160052019A1 (en) 2016-02-25
TW201608826A (zh) 201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670B1 (ko) 압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9813823B2 (en) Piezoelectric element, and piezoelectric vibrating apparatus, portable terminal, sound generator, sound genera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KR101575800B1 (ko) 압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9402136B2 (en) Sound generato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9351067B2 (en) Acoustic generator, acoustic gen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6100760A (ja) 圧電素子、圧電振動装置、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9923875A (zh) 平面磁体扬声器
WO2011077683A1 (ja) 電気音響変換器、電子機器、電気音響変換方法および電子機器の音波出力方法
US9363606B2 (en) Acoustic generator, acoustic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220014854A1 (en) Display device
WO2017082560A1 (ko) 음향 출력 장치
KR101534645B1 (ko) 압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9363345B2 (en) Cov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electronic apparatus employing same
KR101624285B1 (ko) 압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N106448641A (zh) 压电模块
US20130043769A1 (en) Oscillator
CN107564505A (zh) 一种压电振动发声模块
KR20140083912A (ko) 압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압전 스피커
JP5516180B2 (ja) 発振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2029078A (ja) 発振装置
JP2014003572A (ja) 発振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40020385A (ko) 댐퍼 필름형 평판스피커
CN107277700A (zh) 一种发声装置、模组以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