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154B1 - 댐퍼 및 이를 갖춘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댐퍼 및 이를 갖춘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154B1
KR101572154B1 KR1020080129826A KR20080129826A KR101572154B1 KR 101572154 B1 KR101572154 B1 KR 101572154B1 KR 1020080129826 A KR1020080129826 A KR 1020080129826A KR 20080129826 A KR20080129826 A KR 20080129826A KR 101572154 B1 KR101572154 B1 KR 10157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iston
cylinder
damp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196A (ko
Inventor
한정수
윤호
김중현
최현영
이상준
최정원
류오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9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154B1/ko
Priority to AT09172990T priority patent/ATE541979T1/de
Priority to EP09172990A priority patent/EP2202344B1/en
Priority to US12/588,454 priority patent/US8302433B2/en
Priority to CN200910224952.0A priority patent/CN101749352B/zh
Publication of KR20100071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9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in dampers of the cylinder-and-pist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92Sens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6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or for locking, the spring or damper, e.g. at the end of the strok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8Sensor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2/00Nature of movement
    • F16F2232/04Rotary-to-translation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와, 실린더에 삽입 설치되는 피스톤과, 피스톤의 내부에 위치하며, 실린더 내부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와, 피스톤의 단부와 마주하는 실린더의 내면에 설치되며, 이동부재와 접촉하여 피스톤에 실리는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무게 감지가 완료되면, 세탁기의 작동 시 발생하는 터브의 진동을 흡수하는 원래 위치로 이동하는 댐퍼의 구성으로 세탁기에 투입되는 세탁물의 무게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댐퍼 및 이를 갖춘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DAMPER AND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댐퍼 및 이를 갖춘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작동 시 발생하는 터브의 진동을 흡수하는 댐퍼 및 이를 갖춘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드럼세탁기는 세탁수를 담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을 포함하여 원통형의 드럼이 회전할 때 그 내부의 세탁물을 상측으로 끌어올린 후, 낙하시키는 힘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드럼세탁기의 포량 감지 방법은 드럼을 기 설정된 속도까지 가속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포량이 많으면 가속시간이 증가하고, 포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면 가속시간이 감소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일정 가속시간 및 그에 따른 포량값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현재 포량에 따른 가속시간과 비교하여 포량을 판단한다.
또한, 포량 감지의 또 다른 방법으로서 드럼 내에 급수가 이루어지면 드럼 내에 수용된 포가 세탁수를 흡수함으로써 초기에 급수되었던 수위가 감소하게 되며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재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재급수 반복횟수를 파악하여 포량을 판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포량 감지 방법은 포의 재질 및 특성의 차이로 인해 그 감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포량 감지가 부정확함에 따라 세탁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사상은 댐퍼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를 이용하여 피스톤에 실리는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댐퍼 및 이를 갖춘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댐퍼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삽입 설치되는 피스톤과, 피스톤의 내부에 위치하며, 실린더 내부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는 이동부재와, 피스톤의 단부와 마주하는 실린더의 내면에 설치되며, 이동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피스톤에 실리는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무게 감지가 완료되면, 세탁기의 작동 시 발생하는 터브의 진동을 흡수하는 원래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피스톤의 내부에 위치하는 모터와, 모터의 축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이동부재에 장착되고,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서 이동부재를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랙 기어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부재는 일면에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피스톤은 가이드 홈에 끼워져 이동부재가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댐퍼는 피스톤의 내부에 형성되어 유압 피스톤과 결합된 이동부재를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유압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때, 유압 장치는 피스톤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관을 이루는 유압 실린더와, 유압 피스톤을 포함하고, 유압 피스톤은 유압 실린더의 내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유압 실린더는 유압 피스톤에 의해 나눠지는 제1 및 제2 챔버를 포함하고, 이동부재는 제1 및 제2 챔버로 공급되는 압력유에 의해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재는 압력유가 제1 챔버로 공급되면, 무게감지센서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무게감지센서와 접촉하고, 압력유가 제2 챔버로 공급되면, 무게감지센서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무게감지센서와 이격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댐퍼를 갖춘 세탁기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삽입 설치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댐퍼를 갖춘 세탁기에 있어서, 피스톤의 내부에 위치하며, 실린더 내부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와, 피스톤의 단부와 마주하는 실린더의 내면에 설치되며, 이동부재와 접촉하여 피스톤에 실리는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와,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요구되면, 이동부재가 무게감지센서와 접촉되도록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는 세탁물이 없을 때의 초기값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만큼 이동부재가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세탁물의 무게 감지는 세탁기 도어가 열린 시점에서 요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세탁기 도어가 닫히면, 이동부재가 무게감지센서와 이격되도록 이동부재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세탁물의 무게 감지는 세탁명령이 입력된 시점에서 요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어부는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완료되면, 이동부재가 무게감지센서와 이격되도록 이동부재를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댐퍼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실린더와, 실린더에 삽입 설치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댐퍼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요구되는지 판단하고,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요구되면, 실린더 내부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를 무게감지센서와 접촉되도록 이동시키고,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피스톤에 실리는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한다.
그리고, 세탁물이 없을 때의 초기값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만큼 이동부재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세탁물의 무게 감지는 세탁기 도어가 열린 시점에서 요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탁기 도어가 닫히는지 더 판단하고, 세탁기 도어가 닫히면, 이동부재가 무게감지센서와 이격되도록 이동부재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세탁물의 무게 감지는 세탁명령이 입력된 시점에서 요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완료되면, 이동부재가 무게감지센서와 이격되도록 이동부재를 이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댐퍼 및 이를 갖춘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댐퍼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를 이용하여 피스톤에 실리는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세탁물의 무게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세탁 시 물 사용량을 줄이고 균일한 세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탁물의 무게가 정확하게 감지됨에 따라 급수량, 세탁시간 등의 세탁패턴이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세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세탁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드럼세탁기의 사용에 따른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드럼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드럼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의 내부에 원통형상의 터브(2)를 구비하고, 이 터브(2)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3)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드럼(3)의 회전을 위하여 캐비닛(1)의 후방 하부에 구동모터(4)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드럼세탁기는 캐비닛(1)의 하부와 터브(2)의 하부 사이에 댐퍼(5)가 연결되고, 캐비닛(1) 상부와 터브(2)에 서스펜션 스프링(6)이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댐퍼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댐퍼(5)는 터브(2)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결합용 고리(7)와, 제1 결합용 고리(7)에 연장된 실린더(8)와, 실린더(8)에 삽입 설치되는 피스톤(9)과, 실린더(8)의 내부에 위치하며, 피스톤(9)에 밀착되는 마찰부재(10)와, 캐비닛(1)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결합용 고리(11)를 구비한다.
또한, 피스톤(9)의 내부에 위치하며, 실린더(8) 내부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12)와, 피스톤(9)의 단부와 마주하는 실린더(8)의 내면에 설치되며, 이동부재(12)와 접촉하여 피스톤(9)에 실리는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13)를 더 구비한다.
피스톤(9)의 내부에는 이동부재(12)가 실린더(8)의 길이방향(도 2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모터(14)가 설치되며, 모터(14)는 모터의 축(14a)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모터의 축(14a)에는 피니언 기어(15)가 설치되어 모터(14)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전달받고, 피니언 기어(15)와 맞물려서 피니언 기어(15)의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랙 기어(16)는 이동부재(12)에 장착되어 이동부재(12)가 실린더(8)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동부재(12)는 일면에 실린더(8)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12a)이 구비되고, 피스톤(9)에는 가이드 홈(12a)에 끼워져 이동부재(12)가 실린더(8)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9a)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9)의 가이드 레일(9a)이 이동부재(12)의 가이드 홈(12a)에 끼워짐에 따라 이동부재(12)가 실린더(8)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때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동부재(12)가 이동 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9)에 실리는 무게를 이동부재(12)가 안정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게 한다.
마찰부재(10)는 실린더(8)의 내면에 설치되어 피스톤(9)에 밀착되도록 한 것으로,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무게감지센서(13)는 이동부재(12)와 접촉하여 피스톤(9)에 실리는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FSR(Force Sensing Resistor) 센서, 가속도 센서, Load 센서 등을 포함한다.
FSR 센서는 표면에 가해진 힘이나 압력에 의한 저항변화를 이용하여 동적인 힘을 측정하는 것으로, 전도체 내부에 구성된 회로의 접촉으로 인한 작동으로 힘이나 압력이 클수록 더 적은 저항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가속도 센서는 속도의 변화라고 하는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 운동체의 동적 진동변화(가속도)를 직접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Load 센서는 힘(Force)이나 하중(Load) 등의 물리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힘이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감지센서(Transducer)로, 힘이나 하중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변형을 발생시키는 단성 변형체(Elastic Strain Member)의 수감부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변형을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전기저항 변화로 변환시키고, Wheaston Bridge라는 전기회로를 구성하여 정밀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원리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댐퍼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댐퍼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에서 모터(14)가 회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면, 모터(14)에서 발생된 구동력은 모터의 축(14a)을 통해 피니언 기어(15)로 전달되고, 피니언 기어(15)는 회전운동을 피니언 기어(15)와 맞물리는 랙 기어(16)에 전달한다.
그러면, 랙 기어(16)는 피니언 기어(15)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도 4b와 같이, 랙 기어(16)와 결합된 이동부재(12)를 아래로 이동시키고, 무게감지센서(13)와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이동부재(12)의 가이드 홈(12a)에 피스톤(9)의 가이드 레일(9a)이 끼워진 상태이므로 이동부재(12)는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무게감지센서(13)는 이동부재(12)와 접촉하여 이동부재(12)를 통해 피스톤(9)에 실리는 무게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반대로 이동부재(12)를 위로 이동하고자 하면, 모터(14)를 역으로 회전하여 피니언 기어(15)를 역으로 회전시키고, 피니언 기어(15)에 맞물리는 랙 기어(16) 또한 역으로 직선 운동하게 함으로써 이동부재(12)를 도 4a와 같이, 위로 이동시켜 무게감지센서(13)와 이격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댐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댐퍼(5)는 터브(2)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결합용 고리(7)와, 제1 결합용 고리(7)에 연장된 실린더(8)와, 실린더(8)에 삽입 설치되는 피스톤(9)과, 실린더(8)의 내부에 위치하며, 피스톤(9)에 밀착되는 마찰부재(10)와, 캐비닛(1)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결합용 고리(11)를 구비한다.
또한, 피스톤(9)의 내부에 위치하며, 실린더(8) 내부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12)와, 피스톤(9)의 단부와 마주하는 실린더(8)의 내면에 설치되며, 이동부재(12)와 접촉하여 피스톤(9)에 실리는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13)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피스톤(9)의 내부에는 이동부재(12)를 실린더(8)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유압 장치(20)를 더 포함한다.
유압 장치(20)는 피스톤(9)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관을 이루는 유압 실린더(21)를 갖는다. 유압 실린더(21)는 내경(22)을 갖추고 있으며, 이 내경(22)은 커버(23)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또, 유압 장치(20)는 유압 피스톤(24)을 갖는데, 유압 피스톤(24)은 이동부재(12)와 결합되고 유압 실린더(21)의 내경(22)에 배치된다. 여기서, 유압 피스톤(24)은 유압 실린더(21)의 내벽과 마찰 접촉하는 바, 마찰 접촉 시 유압 실린더(21)의 내경(22) 벽면에 스크래치 등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유압 실린더(21)보다 무른 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압 실린더(21)는 유압 피스톤(24)에 의해 나눠지는 제1 챔버(22a) 및 제2 챔버(22b)를 더 포함하며, 제1 챔버(22a)와 제2 챔버(22b)로 공급되는 압력유에 의해 이동부재(12)가 실린더(8)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압력유가 제1 유로(25a)를 통해 제1 챔버(22a)로 공급되면, 압력유가 유압 피스톤(24)(도 5에서는 유압 피스톤의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는 방향)에 압력을 가하여 유압 피스톤(24)은 무게감지센서(13)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유압 피스톤(24)에 결합된 이동부재(12) 또한 무게감지센서(13)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부재(12)는 무게감지센서(13)와 접촉한다.
반대로, 압력유가 제2 유로(25b)를 통해 제2 챔버(22b)로 공급되면, 압력유가 반대방향으로 유압 피스톤(24)(도 5에서는 유압 피스톤의 하부에서 상부로 누르는 방향)에 압력을 가하여 유압 피스톤(24)은 무게감지센서(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부재(12) 또한 무게감지센서(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부재(12)는 무게감지센서(13)와 이격된다.
마찰부재(10)는 실린더(8)의 내면에 설치되어 피스톤(9)에 밀착되도록 한 것으로,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무게감지센서(13)는 이동부재(12)와 접촉하여 피스톤(9)에 실리는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FSR(Force Sensing Resistor) 센서, 가속도 센서, Load 센서 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댐퍼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댐퍼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a에서 제1 유로(25a)를 통해 제1 챔버(22a)로 공급되면, 제1 챔버(22a)의 내부로 압력유가 흘러 들어가서 유압 피스톤(24)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 압력으로 인한 힘이 외력 및 마찰력을 극복하게 되어 유압 피스톤(24)은 도 6b와 같이 전진 운동 즉,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유압 피스톤(24)과 접촉된 이동부재(12)는 아래로 이동하게 되어 무게감지센서(13)와 접촉하고, 무게감지센서(13)는 이동부재(12)를 통해 피스톤(9)에 실리는 무게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반대로 이동부재(12)를 위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제2 유로(25b)를 통해 압력유를 제2 챔버(22a)로 공급하고, 제1 챔버(22a)로 공급된 압력유가 탱크(미도시)로 귀환하게 하면, 유압 피스톤(24)에 반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 압력으로 인한 힘이 외력 및 마찰력을 극복하게 되어 유압 피스톤(24)은 도 6a와 같이, 후진 운동 즉, 위로 이동하게 되어 이동부재(12)를 위로 이동시켜 무게감지센서(13)와 이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댐퍼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에서 세탁기는 신호입력부(110), 도어감지부(120), 무게감지센서(13), 저장부(130), 제어부(140) 및 구동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호입력부(110)는 세탁물의 소재에 따라 선택하는 세탁코스와 세탁온도, 탈수 RPM, 헹굼 추가 등의 운전정보 및 세탁명령을 제어부(140)에 입력한다.
도어감지부(120)는 드럼(3)의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세탁기 도어가 열리는지를 감지하며, 또한, 세탁기 도어가 닫히는지를 감지한다.
무게감지센서(13)는 이동부재(12)와 접촉 시 이동부재(12)를 이용하여 피스톤(9)에 실리는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FSR 센서, 가속도 센서, Load 센서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130)는 세탁기의 동작 알고리즘 및 각 세탁행정에 따른 행정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세탁기 관련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30)는 무게감지센서(13)에서 감지한 세탁물의 무게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30)는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에스디램(Synchronous DRAM: SDRAM), 알디램(Rambus DRAM: RDRAM), 디디알램(Double data rate DRAM: DDRAM), 에스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과 같이 세탁기 관련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로 구성된다.
제어부(140)는 신호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운전정보에 따라 세탁기를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서,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요구되는지 판단한다. 즉, 제어부(140)는 도어감지부(120)에서 세탁기 도어의 열림이 감지되거나 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세탁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여 세탁기 도어의 열림이 감지되거나 세탁명령이 입력되면, 드럼(3) 내로 투입된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40)는 이동부재(12)가 무게감지센서(13)와 접촉되도록 이동부재(12)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데, 세탁물이 없을 때의 초기값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만큼 이동부재(12)가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해서 현재 이동부재(12)가 위치한 지점부터 무게감지센서(13)와 접촉되는 지점까지의 이동거리만큼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부재의 이동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40)에서 구동부(150)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면, 모터(14)는 구동하 여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모터(14)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 기어(15)가 회전 운동한다.
그러면, 피니언 기어(15)와 맞물려서 직선 운동하는 랙 기어(16)에 의해 이동부재(12)는 무게감지센서(13)와 접촉되도록 이동하고, 이동부재(12)가 무게감지센서(13)와 접촉하면, 무게감지센서(13)는 이동부재(12)를 통해 피스톤(9)에 실리는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140)에 입력한다.
또한,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부재(12)의 다른 동작을 설명하면, 제어부(140)에서 구동부(150)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제1 유로(25a)를 통해 어큐뮬레이터(26)에 저장된 압력유가 제1 챔버(22a)로 공급되면, 제1 챔버(22a)의 내부로 압력유가 흘러 들어가서 유압 피스톤(24)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 압력으로 인한 힘이 외력 및 마찰력을 극복하게 되어 유압 피스톤(24)은 도 6b와 같이 전진 운동 즉,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유압 피스톤(24)과 접촉된 이동부재(12)는 아래로 이동하게 되어 무게감지센서(13)와 접촉하고, 무게감지센서(13)는 이동부재(12)를 통해 피스톤(9)에 실리는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140)에 입력한다.
제어부(140)는 감지된 세탁물의 무게를 저장부(130)에 저장하여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세탁기 도어의 열림이 감지된 이후부터 세탁기 도어의 닫힘이 감지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마다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도어감지부(120)에서 세탁기 도어가 닫혀 있는 것으 로 감지되면, 저장부(130)에 저장된 세탁물의 무게정보 중에서 가장 늦게 저장된 세탁물의 무게정보를 세탁물의 무게로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도어감지부(120)에서 세탁기 도어가 닫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세탁물의 투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동부재(12)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부(150)로 구동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즉, 제어부(140)는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시점이 되면 댐퍼(5)의 이동부재(12)를 무게감지센서(13)로 이동시켜 이동부재(12)와 무게감지센서(13)를 접촉시킴으로써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완료되면, 제어부(140)는 댐퍼(5)의 이동부재(12)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댐퍼(5) 고유의 역할인 세탁기의 작동 시 발생하는 터브(2)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세탁물의 무게정보와 사용자가 신호입력부(110)에 입력한 운전정보에 따라 세탁을 진행한다.
구동부(150)는 제어부(140)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댐퍼(5)의 모터(14) 및 어큐뮬레이터(26) 등을 구동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댐퍼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감지센서(120)는 세탁기 도어가 열렸는지를 감지한다(600).
세탁기 도어가 열렸으면, 제어부(140)는 드럼(3) 내로 투입된 세탁물의 무게 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40)는 이동부재(12)가 무게감지센서(13)와 접촉되도록 이동부재(12)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데, 세탁물이 없을 때의 초기값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만큼 이동부재(12)가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해서 현재 이동부재(12)가 위치한 지점부터 무게감지센서(13)와 접촉되는 지점까지의 이동거리만큼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해 제어부(140)에서 구동부(150)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면, 모터(14)는 구동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모터(14)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 기어(15)가 회전 운동한다.
그러면, 피니언 기어(15)와 맞물려서 직선 운동하는 랙 기어(16)에 의해 이동부재(12)는 무게감지센서(13)와 접촉되도록 이동하고, 이동부재(12)가 무게감지센서(13)와 접촉(610)하면, 무게감지센서(13)는 이동부재(12)를 통해 피스톤(9)에 실리는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620)하여 제어부(140)에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140)에서 구동부(150)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제1 유로(25a)를 통해 어큐뮬레이터(26)에 저장된 압력유가 제1 챔버(22a)로 공급되면, 제1 챔버(22a)의 내부로 압력유가 흘러 들어가서 유압 피스톤(24)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 압력으로 인한 힘이 외력 및 마찰력을 극복하게 되어 유압 피스톤(24)은 도 6b와 같이 전진 운동 즉,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유압 피스톤(24)과 접촉된 이동부재(12)는 아래로 이동하게 되어 무 게감지센서(13)와 접촉하고, 무게감지센서(13)는 이동부재(12)를 통해 피스톤(9)에 실리는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140)에 입력한다.
620단계를 수행한 후, 제어부(140)는 감지된 세탁물의 무게를 저장부(130)에 저장한다(630).
다음으로, 도어감지센서(120)는 세탁기 도어가 닫혔는지를 감지(640)하고, 세탁기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세탁물의 투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동부재(12)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 무게감지센서(13)와 이격시킨다(650).
그 다음, 제어부(140)는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완료되면, 저장부(130)에 저장된 세탁물의 무게정보와 사용자가 신호입력부(110)에서 입력한 운전정보에 따라 세탁을 진행한다(660).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댐퍼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세탁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700).
세탁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드럼(3) 내로 투입된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40)에서 구동부(150)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면, 모터(14)는 구동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모터(14)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 기어(15)가 회전 운동한다.
그러면, 피니언 기어(15)와 맞물려서 직선 운동하는 랙 기어(16)에 의해 이 동부재(12)는 무게감지센서(13)와 접촉되도록 이동하고, 이동부재(12)가 무게감지센서(13)와 접촉(710)하면, 무게감지센서(13)는 이동부재(12)를 통해 피스톤(9)에 실리는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720)하여 제어부(140)에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140)에서 구동부(150)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제1 유로(25a)를 통해 압력유가 제1 챔버(22a)로 공급되면, 제1 챔버(22a)의 내부로 압력유가 흘러 들어가서 유압 피스톤(24)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 압력으로 인한 힘이 외력 및 마찰력을 극복하게 되어 유압 피스톤(24)은 도 6b와 같이 전진 운동 즉,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유압 피스톤(24)과 접촉된 이동부재(12)는 아래로 이동하게 되어 무게감지센서(13)와 접촉하고, 무게감지센서(13)는 이동부재(12)를 통해 피스톤(9)에 실리는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140)에 입력한다.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완료되었는지 판단(730)하여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완료되면, 이동부재(12)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 무게감지센서(13)와 이격시킨다(740).
그 후,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세탁물의 무게정보와 사용자가 신호입력부(110)에서 입력한 운전정보에 따라 세탁을 진행한다(750).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드럼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댐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댐퍼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댐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댐퍼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댐퍼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댐퍼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댐퍼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5...댐퍼 8....실린더
9...피스톤 12...이동부재
13...무게감지센서 20...유압 장치

Claims (20)

  1.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삽입 설치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실린더 내부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는 이동부재;
    상기 피스톤의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실린더의 내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피스톤에 실리는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무게 감지가 완료되면, 세탁기의 작동 시 발생하는 터브의 진동을 흡수하는 원래 위치로 이동하는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위치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랙 기어를 더 포함하는 댐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일면에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져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이 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댐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형성되어 유압 피스톤과 결합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유압 장치를 더 포함하는 댐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장치는,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관을 이루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유압 피스톤은 상기 유압 실린더의 내경에 배치되는 댐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유압 피스톤에 의해 나눠지는 제1 및 제2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챔버로 공급되는 압력유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댐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압력유가 상기 제1 챔버로 공급되면,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무게감지센서와 접촉하는 댐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압력유가 상기 제2 챔버로 공급되면, 상기 무게감지센서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무게감지센서와 이격되는 댐퍼.
  9.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삽입 설치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댐퍼를 갖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실린더 내부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
    상기 피스톤의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실린더의 내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피스톤에 실리는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요구되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무게감지센서와 접촉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댐퍼를 갖춘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탁물이 없을 때의 초기값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만큼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댐퍼를 갖춘 세탁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의 무게 감지는,
    상기 세탁기 도어가 열린 시점에서 요구되는 댐퍼를 갖춘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무게감지센서와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댐퍼를 갖춘 세탁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의 무게 감지는,
    세탁명령이 입력된 시점에서 요구되는 댐퍼를 갖춘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무게감지센서와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댐퍼를 갖춘 세탁기.
  15.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삽입 설치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댐퍼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요구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요구되면, 상기 실린더 내부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를 무게감지센서와 접촉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피스톤에 실리는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댐퍼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세탁물이 없을 때의 초기값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만큼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댐퍼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의 무게 감지는,
    상기 세탁기 도어가 열린 시점에서 요구되는 댐퍼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 도어가 닫히는지 더 판단하고,
    상기 세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무게감지센서와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댐퍼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의 무게 감지는,
    세탁명령이 입력된 시점에서 요구되는 댐퍼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세탁물의 무게 감지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무게감지센서와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댐퍼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080129826A 2008-12-19 2008-12-19 댐퍼 및 이를 갖춘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KR10157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826A KR101572154B1 (ko) 2008-12-19 2008-12-19 댐퍼 및 이를 갖춘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AT09172990T ATE541979T1 (de) 2008-12-19 2009-10-14 Dämpfer, waschmaschine damit und steuerungsverfahren dafür
EP09172990A EP2202344B1 (en) 2008-12-19 2009-10-14 Damper,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2/588,454 US8302433B2 (en) 2008-12-19 2009-10-15 Damper,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0910224952.0A CN101749352B (zh) 2008-12-19 2009-11-26 减震器、具有该减震器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826A KR101572154B1 (ko) 2008-12-19 2008-12-19 댐퍼 및 이를 갖춘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196A KR20100071196A (ko) 2010-06-29
KR101572154B1 true KR101572154B1 (ko) 2015-11-27

Family

ID=4207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826A KR101572154B1 (ko) 2008-12-19 2008-12-19 댐퍼 및 이를 갖춘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02433B2 (ko)
EP (1) EP2202344B1 (ko)
KR (1) KR101572154B1 (ko)
CN (1) CN101749352B (ko)
AT (1) ATE541979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673B1 (ko) * 2009-11-16 2016-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포량감지장치
DE102010001299A1 (de) * 2010-01-28 2011-08-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81739 Waschmaschine mit einer Wäschetrommel
US20120285750A1 (en) * 2011-05-12 2012-11-15 Advanced Manufacturing Control Systems Ltd. Weight measurement system for accurately determining the weight of material in a container being lifted
US10011936B2 (en) * 2012-07-30 2018-07-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processing machine
KR101372972B1 (ko) * 2012-12-21 2014-03-1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충격 흡수장치
KR101514823B1 (ko) * 2013-11-14 2015-04-23 주식회사 한일정밀 가스스프링 장치
US9068616B1 (en) * 2014-02-28 2015-06-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suspension system
DE102014204079A1 (de) * 2014-03-06 2015-09-10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stimmen eines Beladungsgewichts eines schwingenden Systems eines Haushaltsgeräts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und Haushaltsgerät
CN109972350B (zh) * 2014-03-11 2021-06-22 Lg电子株式会社 洗涤物处理装置
US9605405B2 (en) * 2014-07-28 2017-03-28 Caterpillar Global Mining Llc Snubber for machine
CN104989763A (zh) * 2015-07-21 2015-10-21 张红中 大功率车用发电减震器
US10266982B2 (en) * 2016-09-22 2019-04-23 Midea Group Co., Ltd.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dynamic damping force optimization
CN108660680B (zh) * 2017-03-30 2020-10-1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调平装置、具有该调平装置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EP3517678A1 (de) * 2018-01-29 2019-07-31 V-Zug AG Lagerungsvorrichtung für einen laugenbehälter in einer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CN111120565B (zh) * 2020-02-20 2021-04-27 东莞利富高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可自动调节阻尼大小的减震器
CN115161961B (zh) * 2022-05-26 2023-02-14 浙江京惠机电有限公司 一种洗衣机电机的减震稳定装置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092A (ja) 1992-07-15 1994-02-08 Toshiba Corp 洗濯機の重量センサ
DE29812393U1 (de) * 1998-07-11 1999-11-18 Aeg Hausgeraete Gmbh Programmgesteuerte Waschmaschine
ITPN20010021A1 (it) * 2001-03-05 2002-09-05 R & D S Srl Dispositivo di controllo delle oscillazioni del gruppo vasca-cesto dimacchina lavabiancheria
KR100484658B1 (ko) * 2003-05-20 200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댐퍼 구조
ITTO20050623A1 (it) * 2005-09-14 2007-03-15 Indesit Co Spa Elettrodomestico per il trattamento di capi tessili con sensore di spostamen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49352B (zh) 2014-03-19
US20100154130A1 (en) 2010-06-24
EP2202344B1 (en) 2012-01-18
CN101749352A (zh) 2010-06-23
EP2202344A2 (en) 2010-06-30
KR20100071196A (ko) 2010-06-29
US8302433B2 (en) 2012-11-06
EP2202344A3 (en) 2010-10-20
ATE541979T1 (de)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154B1 (ko) 댐퍼 및 이를 갖춘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CN107438683B (zh) 洗衣机以及洗衣机的控制方法
US8719985B2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KR101658226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8007238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Washing Machine
US7293313B2 (en) Method of determining the weight of laundry in a washing machine drum
KR20180039601A (ko) 세탁기
US9598810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EP1243686A1 (en) Control device for oscillations of tub-drum assembly for household washing machines
KR10191643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WO2008148844A2 (en) A washer/dry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109944016B (zh) 洗涤设备进水控制方法和洗涤设备
CN112011957A (zh) 洗衣机及其偏心量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
CN111850954B (zh) 洗衣机平衡装置的复位控制方法和洗衣机
KR100519325B1 (ko) 세탁기의 포량감지방법
KR101029815B1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12760917A (zh) 一种偏心检测控制装置、控制方法和洗衣机
KR100504500B1 (ko) 드럼 세탁기의 포량/편심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KR100474923B1 (ko) 드럼 세탁기의 편심 검출방법
KR1025411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269393B1 (ko) 드럼세탁기의 진동감지장치 및 방법
EP3109357A1 (en) Washing method
US10640906B2 (en) Washing machine
KR101138664B1 (ko) 드럼세탁기의 진동감지장치
KR20080057709A (ko) 드럼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