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873B1 - 활어 이송수조 - Google Patents

활어 이송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873B1
KR101570873B1 KR1020140095049A KR20140095049A KR101570873B1 KR 101570873 B1 KR101570873 B1 KR 101570873B1 KR 1020140095049 A KR1020140095049 A KR 1020140095049A KR 20140095049 A KR20140095049 A KR 20140095049A KR 101570873 B1 KR101570873 B1 KR 101570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air
water tank
live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균
Original Assignee
정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균 filed Critical 정석균
Priority to KR1020140095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어 이송수조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활어 이송수조는 수산물이 저장되는 수조(2)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냉각하여 액화하는 응축기와, 액화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냉매를 기화시킴으로써 열을 흡수하며, 수조(2)의 바닥에 형성된 오목홈(22)의 내측에 배치되어 활어수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활어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증발관(17)을 포함하는 열교환부(6)와; 그리고 수조(2)의 바닥에 형성된 오목홈(22)에 배치되며, 공기를 공급하여 기포를 상승시킴으로써 활어수도 같이 순환시키고 열교환부(6)의 냉기도 수조로 전달할 수 있는 순환부(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활어 이송수조{Tank for transferring live fish}
본 발명은 활어 이송수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소형화함으로써 차량이나 선박 등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수냉식으로 하여 염분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교환배관을 수조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물 순환용 펌프가 필요없는 활어 이송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어는 살아 있는 상태로 유통과정에 오르는 물고기, 새우, 조개, 물오징어 등의 어패류를 말한다. 이러한 활어는 생산지에서 어획되어 판매지 까지 활어차에 의하여 수송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공급될 수 있다.
활어차는 어류, 갑각류를 산 상태로 육상 운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차량이다.
그리고, 수산생물을 산 상태로 수송하게 되므로 수송시 물고기의 배설물, 씨로서 암모니아에 의한 물의 오염, 공기의 결핍, 온도의 상승 등에 의해서 물고기가 폐사하기 쉽다. 따라서, 수산물을 신선한 상태에서 장거리를 이송하기 위하여 활어차에는 통상적으로는 수조, 공기 또는 공기의 도입장치, 물, 해수 등의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활어차의 일 예가 특허출원 제 10-2009-95369호(명칭:활어활어 이송수조)에 제안되는 바, 활어 이송수조의 카고룸 내부에 프로틴 스키머와, 냉동유닛과, 여과재와, 살균장치와, 공기공급장치가 장착됨으로써 활어의 장거리 수송이 가능한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활어차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열교환기를 수조의 외부에 설치하는 경우, 수조의 물을 이 열교환기로 순환시켜서 열교환 후 다시 수조로 복귀시켜야 하는 바, 이때 수조의 물을 펌핑할 수 있는 별도의 펌프가 필요하고, 물 펌프의 고장시 열교환기 자체가 냉각되어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활어 이송수조가 차량 혹은 선박 등에 고정된 구조이므로 활어 이송수조를 활어 수송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어서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활어 이송수조를 대형으로 제조하므로 대용량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 전원 혹은 배터리기 필요하였는 바, 외부 전원 혹은 배터리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공기공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넷째, 활어 이송수조가 대형화됨으로써 수조 내부의 산소 포화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는 공기 공급량도 증가하여야 하고, 또한 열교환기도 용량도 대용량이 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어패류 등의 수산물은 수조 바닥에 가라앉게 되나, 하부에는 공기 공급이 어려워 폐사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여섯째, 활어 이송수조의 냉각방식이 공냉식이므로 라이에이터가 해수 등의 염분으로 인하여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일곱째, 수조의 바닥이 편평한 형상이므로, 수조에서 활어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바닥에 고인 활어수를 완전히 배출하기 어려워 잔류 활어수가 부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여덟째, 활어이송수조의 벽체는 단일 구조이므로 급격한 온도 변화를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 10-2009-95369호(활어 이송수조)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활어 이송수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차량이나 선박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며, 열교환기를 수조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수조의 물을 펌핑하기 위한 별도의 펌프가 불필요한 활어 이송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활어 이송수조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차량이나 선박에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고, 소형화에도 불구하고 열교환 효율과 용존 산소량을 높일 수 있는 활어 이송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어 이송수조는 수산물이 저장되는 수조(2)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냉각하여 액화하는 응축기와, 액화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냉매를 기화시킴으로써 열을 흡수하며, 수조(2)의 바닥에 형성된 오목홈(22)의 내측에 배치되어 활어수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활어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증발관(17)을 포함하는 열교환부(6)와; 그리고
수조(2)의 바닥에 형성된 오목홈(22)에 배치되며, 공기를 공급하여 기포를 상승시킴으로써 활어수도 같이 순환시키고 열교환부(6)의 냉기도 수조로 전달할 수 있는 순환부(10)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어 수송용 수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열교환기가 수조의 내부에 배치되어 잠김으로써 물이 항상 열교환기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수조의 물을 열교환을 위하여 열교환기로 보내기 위한 별도의 순환용 펌프가 불필요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활어 이송수조의 하부에 지게차 등의 포크를 삽입하여 리프팅할 수있음으로 선박이나 차량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셋째, 수조의 내부 바닥에 타공판에 의하여 이중 구조로 함으로써 수조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타공판과 바닥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포집되고, 다수의 홀을 통하여 상승하기까지 공간에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공간의 활어수에 대한 산소 포화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수산물이 오래동안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넷째, 소형화하는 경우, 공기 공급부 및 열교환부의 크기도 소형화됨으로써 공기 공급량 및 냉각효율이 낮아질 수 있는 바, 오목홈의 내부에 다수의 구체를 부유시켜서 공기 공급관으로부터 상승하는 미세기포가 이 구체에 접촉함으로써 상승시간이 지체되어 용존산소량이 증가할 수 있고, 동시에 증발관을 공기 공급관의 양측에 배치함으로써 공기 공급관으로부터 미세기포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증발관 및 다수의 구체에 접촉함으로써 냉기의 전달률을 높일 수 있어서 소형화에도 불구하고 용존 산소량 및 열 교환율을 높일 수 있다.
다섯째, 활어 이송수조에 냉온장치를 탑재하고 있어서 장소에 제약없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섯째, 수냉식 냉각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라디에이터가 불필요하므로 염분으로 인하여 부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곱째, 활어 이송수조가 소형이므로 차량용 베터리에 의하여도 전원 공급이 충분하다.
여덟째, 활어 이송수조의 벽체를 이중구조로 함으로서 단열효과가 높은 장점이 있다.
아홉째, 공기 공급관을 수조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주입된 공기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는 경우 활어수가 순환되어 부패가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째, 수조의 벽체를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차량 혹은 선박 등에 탑재할 때 외부와 간섭되어도 간섭된 부분이 적절하게 굴곡질 수 있어서 탑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어 이송수조로서, 차량에 탑재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활어 이송수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활어 이송수조(1)는 수산물이 저장되는 수조(2)와; 수조(2)의 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열교환부(6)와; 수조(2)로 공기를 공급하여 기포를 상승시킴으로써 활어수도 같이 순환될 수 있는 순환부(10)와; 수조(2)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히터(heater;1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활어 이송수조(1)에 있어서, 수조(2)는 내부에 일정한 용적의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활어수가 저장되어 활어회 등 수산물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수조(2)는 상부에 덮개가 마련됨으로써, 활어 등의 수산물과 활어수를 이 덮개를 통하여 수조(2)의 내부로 공급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수조(2)는 바닥에 삽입홈(16)을 형성함으로써 이 삽입홈(16)에 지게차의 포크 등을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수조(2)를 차량에 싣거나 내리는 경우 이 삽입홈(16)에 지게차의 포크 등을 삽입하여 운반할 수 있다. 물론, 지게차 뿐만 아니라 지그 등 다른 도구를 이 삽입홈(16)에 삽입하여 운반할 수도 있다.
또한, 수조(2)의 바닥에는 배수관(17)을 배치함으로써 수조(2)의 활어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수조(2)의 바닥면에는 오목홈(22)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22)의 하부에 배수관(17)이 배치된다. 따라서, 수조(2)의 활어수는 이 오목홈(22)에 집수된 후 배수관(17)을 통하여 수조(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조(2)는 벽체(24)가 이중 구조이다. 즉 벽체(24)의 내측에 단열재가 배치됨으로써 수조(2)의 내측 및 외측간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중 구조의 벽체(24) 구조로 인하여 활어수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조(2)의 벽체(24)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강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고무,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됨으로써 외부의 물체와 접촉할 때 접촉한 부분이 적절하게 내측으로 들어가거나 굴곡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다.
즉, 수조(2)를 차량 혹은 선박의 좁은 공간에 탑재할 때, 탑재장소들에 돌출된 모서리에 수조가 간섭되는 경우, 플렉시블한 재질이므로 간섭부위가 수조(2) 내측으로 들어가거나 굴곡짐으로써 수조(2)가 용이하게 좁은 공간에 용이하게 탑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부(6)는 수조(2)의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수조(2) 내부 온도를 일정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열교환부(6)는 압축기(11), 응축기(7,9), 팽창밸브(도시안됨)와, 증발관(17)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열교환부(6)는 통상적인 구조의 냉동기로서, 전동기로 압축기를 운전하여 기체상태인 냉매를 압축해서 응축기로 보내고, 이것을 냉각해서 액화한다.
이 액체상태로 된 냉매가 팽창밸브에서 유량이 조정되면서 증발관으로 분사되면 급팽창하여 기화하고, 증발관의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용기 속을 냉각한다. 기체로 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돌아와서 압축되어 액체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냉각부가 압축, 응축, 팽창, 기화의 4단계 변화를 거치면서 활어 이송수조(1)의 내부를 일정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증발관(17) 내부에는 냉매(L)가 순환하고, 이 증발관(17)은 수조(2)의 바닥에 형성된 오목홈(22)에 배치된다.
결국, 증발관(17)은 수조(2)에 저장된 활어수 중에 배치됨으로써 수조(2)의 내부를 순환하는 활어수와 열교환을 통하여 활어수를 일정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증발관(17)은 수조(2)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수조(2)의 내부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증발관(17)을 수조(2)의 외부에 배치하는 경우, 수조(1)의 물을 증발관(17)으로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펌프가 필요하고, 펌프 고장시 열교환부(6) 자체가 냉각됨으로써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우므로 증발관(17)을 수조(2)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였다.
그리고, 증발관(17)과 물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홈(22)의 내부에 다수의 구체(30)를 배치하여 부유시킬 수 있다.
이때, 다수의 구체(30)는 부력에 의한 부유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 원형구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수의 구체(30)는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열 전도성 재질이다.
따라서, 증발관(17)이 냉각되는 경우 이 냉기가 다수의 구체(30)에 전달되고, 다수의 구체(30)는 오목홈(22)의 내부를 채운 상태에서 수중에 부유하므로 냉기를 물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관(17)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티타늄(titanium)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티타늄은 원자 번호 22, 비중 4.5, 융점 1800℃, 상자성체(常磁性體)이며 매우 경도(硬度)가 높고 여린 재질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응축기(7)는 수냉식 응축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랭식 응축기의 경우 라디에이터가 염분 등에 의하여 부식이 발생하므로 수명이 짧다. 따라서, 수냉식 응축기를 적용함으로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순환부(10)는 수조(2)의 바닥에 공기 공급관(23) 및 타공판(19)을 배치하여 공기를 하부로부터 공급하여 상승시킴으로써 활어수에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활어수가 수류를 형성하여 수조(2) 전체적으로 순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순환부(10)는 수조(2)의 바닥에 형성된 오목홈(22)의 내측에 배치된 공기 공급관(23)과; 공기 공급관(23)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축기(5)와; 오목홈(22)의 상부에 배치되어 공기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타공판(19)을 포함한다.
이러한 순환부(10)는 공기 압축기(5)가 구동하는 경우, 공기가 공기 공급관(23)으로 공급되고, 공기 공급관(23)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미세홀(h)을 통하여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공급관(23)으로부터 분사된 공기는 미세 기포 형태로 되어 타공판(19)을 통과한 후 부력에 의하여 상승한다. 이와 같이 다량의 미세 기포가 상승함으로써 수조(2)에 순환류가 형성됨으로써 활어수가 수조(2)에 전체적으로 순환될 수 있다.
이때, 타공판(19)은 오목홈(22)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는 공기 공급관(23)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포집된다.
그리고, 포집된 공기가 타공판(19)을 통하여 상승하기까지 공간에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활어수에 대한 산소 포화도가 증가하게 된다.
결국, 패류와 같이 바닥에 가라앉는 수산물들은 수조(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공기가 하부로부터 상승하게 되므로 수조(2)의 하부공간에는 산소 포화도가 높은 상태이므로 패류 등도 장시간 이송에도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공급관(23)으로부터 발생하여 상승하는 공기가 상승과정에서 증발관(17)으로부터 발생한 냉기를 수조 전체로 전달할 필요가 있는 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공급관(23)의 양측에 증발관(17)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 공급관(23)으로부터 발생한 미세기포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증발관(17)의 냉기를 같이 상승시킬 필요가 있음으로 증발관(17)을 양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 공급관(23)과 증발관(17)은 수평방향으로 동일선상(L)에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공기 공급관(23)이 증발관(17)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기 공급관(23)으로부터 발생한 미세기포가 상승하면서 동일 선상(L) 혹은 보다 높은 지점에 배치된 증발관(17)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더욱이, 오목홈(22)의 내부에는 다수의 원형구(30)가 부유하는 바, 상승하는 미세기포들이 이 다수의 원형구(30)에 접촉함으로써 상승 시간이 지체되어 용존 산소량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때, 원형구(30)의 표면은 거칠게 가공하는 것이 미세기포의 상승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수조(2)의 일측에는 히터(15)가 장착됨으로써 활어수를 일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즉, 이러한 히터(15)는 수조(2)의 내측에 배치되고, 온도 조절기(13)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도 조절기(13)에 의하여 히터(15)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활어 이송수조(1)는 크기가 소형이므로 대용량의 배터리 보다는 차량용 배터리와 같이 적은 용량의 전원공급장치가 적절하다. 즉, 외부전원이나 대용량 배터리의 경우 부피도 크고 가격도 비싸므로, 본 발명과 같이 수조(2)의 크기를 소형으로 함으로써 배터리도 소용량으로 할 수 있다.
1: 이송용 활어 이송수조
3: 활어 이송수조
5: 수조
7: 열교환부
9: 공기공급기

Claims (6)

  1. 수산물이 저장되는 수조(2)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냉각하여 액화하는 응축기와, 액화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냉매를 기화시킴으로써 열을 흡수하며, 수조(2)의 바닥에 형성된 오목홈(22)의 내측에 배치되어 활어수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활어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증발관(17)을 포함하는 열교환부(6)와; 그리고
    수조(2)의 바닥에 형성된 오목홈(22)에 배치되며, 공기를 공급하여 기포를 상승시킴으로써 활어수도 같이 순환시키고 열교환부(6)의 냉기도 수조로 전달할 수 있는 순환부(10)를 포함하며,
    순환부(10)는 수조(2)의 바닥에 형성된 오목홈(22)의 내측에 배치되며 다수의 미세홀(h)이 형성된 공기 공급관(23)과; 공기 공급관(23)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축기(5)와; 오목홈(22)의 상부에 배치되어 공기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타공판(19)을 포함하는 활어 이송수조(1).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오목홈(22)의 내부에는 다수의 구체(30)가 부유함으로써 공기 공급관(23)으로부터 상승하는 미세기포의 상승시간을 지체시켜서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며, 증발관(17)의 냉기를 수조 전체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이송수조(1).
  4. 제 1항에 있어서,
    공기 공급관(23)은 그 양측에 증발관(17)이 각각 배치되며, 공기 공급관(23)은 증발관(17)과 수평방향으로 동일 선상(L)에 배치되거나 증발관(17)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이송수조(1)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2)의 내측에 배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15)와; 히터(15)에 연결되어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13)를 포함하는 활어 이송수조(1).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2)의 벽체(24)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외부와 간섭되는 경우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굴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이송수조(1).


KR1020140095049A 2014-07-25 2014-07-25 활어 이송수조 KR101570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49A KR101570873B1 (ko) 2014-07-25 2014-07-25 활어 이송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49A KR101570873B1 (ko) 2014-07-25 2014-07-25 활어 이송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873B1 true KR101570873B1 (ko) 2015-11-24

Family

ID=5484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049A KR101570873B1 (ko) 2014-07-25 2014-07-25 활어 이송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696B1 (ko) 2021-09-06 2022-05-19 주식회사 혜성마린텍 활어 운송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696B1 (ko) 2021-09-06 2022-05-19 주식회사 혜성마린텍 활어 운송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9322A (ko) 제빙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
KR20150051074A (ko) 농식품 수배송 장치
JP4513110B2 (ja) 遠洋鰹釣り漁船の蓄養水循環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570873B1 (ko) 활어 이송수조
CN109416211B (zh) 多重管冷却冷藏库
JP3866228B2 (ja) 液化dmeガス運搬船および液化dmeガスタンク冷却システム
KR101608057B1 (ko) 저장 수송 용기의 온도 조절 방법
KR100686730B1 (ko) 어선용 활어 및 선어 운반장치
CN201882246U (zh) 用于船上蓄冷保鲜水产品的装置
JP2011247506A (ja) データセンタの冷却システム
JP2004249787A (ja) 簡易型海水冷却装置
US20030033746A1 (en) Live well cooling and aeration system
KR100557805B1 (ko) 냉각분사수단을 구비한 선어(鮮魚)운반장치
JP2002218862A (ja) 生魚輸送用低温水槽
KR200420043Y1 (ko) 냉각수 제조탱크
JP2007309556A (ja) 冷凍装置および冷凍方法
KR200367182Y1 (ko) 선어(鮮魚)냉각 운반 장치
JPS62163654A (ja) 漁獲物の鮮度保持装置
KR100531728B1 (ko) 활오징어 수송보관용 빙온해수 냉각장치
CN104101160A (zh) 一种远洋冷藏运输船的风冷冷藏技术
CN2925091Y (zh) 一种水族缸用冷冻机
KR200479009Y1 (ko)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
KR200460090Y1 (ko) 냉이온정수기용 냉각조
KR101948000B1 (ko) 얼음 정수기
US98013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the health of captive fish in a mobile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