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435B1 -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435B1
KR101570435B1 KR1020140103923A KR20140103923A KR101570435B1 KR 101570435 B1 KR101570435 B1 KR 101570435B1 KR 1020140103923 A KR1020140103923 A KR 1020140103923A KR 20140103923 A KR20140103923 A KR 20140103923A KR 101570435 B1 KR101570435 B1 KR 101570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addle
bicycle
pi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이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수 filed Critical 이상수
Priority to KR102014010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435B1/ko
Priority to CN201510289978.9A priority patent/CN10618449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6Saddles capable of parallel motion up and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안장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 주행도중 자전거의 정지시 안장에서 내리지 않고 안장을 하강시켜서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차 후 주행시 순간적으로 안장을 상승시켜 다리를 완전히 펴서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한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안장(10)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된 지지구(11)에 고정된 승강로드(20)와, 상기 승강로드(20)를 삽입하여 승하강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파이프(30)와, 상기 고정파이프(30)의 상부측에 장착된 고정구(40)와, 상기 고정구(40)의 측면에 결합하여 형성된 회전핀(50)에 고정되어 작동레버(60)의 작동에 따라 와이어(61)가 인출되거나, 당김에 의해 회전핀(50)과 함께 회동하는 작동부재(70)와, 상기 작동부재(70)에 대향하는 회전핀(5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지지구(11)의 고정핀(11a)에 고정한 작동스프링(81)을 권취하여 승강로드(20)의 일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권취롤(80)과, 상기 권취롤(80)의 중심축(82)에 결합하여 단부측이 고정핀(11a)에 결합된 상부링크(90)와, 상기 중심축(82)에 결합된 상부링크(90)와 대향하여 중심축(82)에 결합되면서 절첩되게 단부측이 회전핀(50)에 결합된 하부링크(10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Bicycle saddle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자전거용 안장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 주행도중 자전거의 정지시 안장에서 내리지 않고 안장을 하강시켜서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차 후 주행시 순간적으로 안장을 상승시켜 다리를 완전히 펴서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한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자전거의 안장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이 제공되어 있으나, 공개된 등록특허 10-0864173호는 단계적으로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성은 잠금장치상자에 코일스프링으로 탄지 된 잠금쇠가 지지판기어에 맞물림 되면서 숫레버의 회동정도를 조절하여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므로 사용중 잠금쇠의 지지판기어의 물림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오작동이 발생하고, 안장의 자중과 안장을 지지하는 스프링의 힘이 숫레버에 전달되므로 지지판기어에 삽탈되는 잠금쇠에 지지력이 전달되어 잠금쇠가 지지판기어에서 쉽게 삽탈되지 않아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자전거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특허공개 제10-2013-0005820호, 공개특허 제10-1997-0061689호와 같이 다수개가 공개되었으나, 이들 구성은 나사식으로 높낮이 조절하거나, 조임쇠를 풀고 조이면서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하였던 것이다. 즉, 자전거 주행중에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신장에 맞추어 수동으로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하였던 것이다.
1. 등록특허 10-0864173호 2. 특허공개 제10-2013-0005820호 3. 공개특허 제10-1997-00616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자전거 주행중에 신호등이나 기타 사유로 자전거를 정지할 때, 탑승자가 자전거의 안장에서 내리지 않고 자동으로 안장을 하강시켜서 지면에 발이 닿으면서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오작동이 없이 승, 하강할 수 있게 제작이 용이하게 하고, 자전거의 안장을 순간적으로 정확하게 승강시켜 탑승자의 편의와 안전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에 의하면, 안장(10)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된 지지구(11)에 고정된 승강로드(20)와,
상기 승강로드(20)를 삽입하여 승,하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파이프(30)와,
상기 고정파이프(30)의 상부측에 장착된 고정구(40)와,
상기 고정구(40)의 측면에 결합하여 형성된 회전핀(50)에 고정되어 작동레버(60)의 작동에 따라 와이어(61)가 인출되거나, 당김에 의해 회전핀(50)과 함께 회동하는 작동부재(70)와,
상기 작동부재(70)에 대향하는 회전핀(5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지지구(11)의 고정핀(11a)에 고정한 작동스프링(81)을 권취하여 승강로드(20)의 일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권취롤(80)과,
상기 권취롤(80)의 중심축(82)에 결합하여 단부측이 고정핀(11a)에 결합된 상부링크(90)와,
상기 중심축(82)에 결합된 상부링크(90)와 대향하여 중심축(82)에 결합되면서 절첩되게 단부측이 회전핀(50)에 결합된 하부링크(10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작동부재(70)는 회전핀(50)을 중심으로 상부측에 걸림홈(71)을 형성하고, 걸림홈(71)의 하단으로 돌출한 걸림턱(72)이 고정구(40)의 일측으로 돌출한 지지턱(41)에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형성하고, 회전핀(50)을 중심으로 하부측에는 작동레버(60)와 연결된 와이어(61)의 단부측을 연결하고, 와이어(61)를 연결된 상부측의 지지턱(73)과 고정구(40)의 지지턱(41) 하부에 탄성스프링(74)의 양단부를 장착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핀(50)에 결합된 작동부재(70)의 걸림홈(71) 전방이 하부링크(100)의 일측으로 돌출한 돌기부(101)를 전방으로 밀어서 하부링크(10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부링크(90)를 하향시켜서 상부링크(90)와 하부링크(100)가 절첩되게 형성하여 승가로드(20)와 결합된 안장(10)이 하강하도록 형성하고, 권취롤(80)에 권취된 작동스프링(81)이 탄성에 의해 탄발되면서 승강로드(20)와 결합된 안장(10)을 상승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탑승자가 주행중에도 자전거의 안장에서 내리지 않고 안장의 높이를 상승시켜 다리를 완전히 펴서 체중의 힘으로 페달을 밟아 구동력을 충분히 얻을 수 있고 안장에 집중되는 압력을 페달에 분산시켜 전립선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횡단 보도 등과 같은 곳에서 순간적으로 안장의 높이를 하강시켜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지면에 발이 닿게 되므로 안전성을 증대시킨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가 절첩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에 의하면,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10), 지지구(11), 승강로드(20), 자전거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파이프(30), 고정구(40), 안장의 승,하강을 구동하는 작동레버(60), 작동부재(70), 권취롤(80), 상부링크(90) 및 하부링크(1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결합관계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10)이 형성되고, 상기 안장(10)의 하부에는 안장(10)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구(11)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지지구(11)와 안장(10)은 체결구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구(11)의 일측에는 고정핀(11a)이 장착되어 지지구(11)의 양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이때 지지구(11)의 하부에는 승,하강하는 승강로드(2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승강로드(20)는 자전거의 본체(미도시)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파이프(30)의 상부에 삽입되어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파이프(30)의 상부측에는 고정구(4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40)는 고정파이프(30)의 상부를 감싸면서 일측으로 돌출하여 지지턱(41)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회전핀(50)이 장착되어 있다. 또 지지턱(41)의 일측에는 작동레버(60)와 연결된 와이어(61)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핀(50)의 일측은 좌, 우 회동하는 작동부재(70)가 연결되어 회전핀(50)과 함께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부재(70)는 회전핀(50)을 중심으로 상부측에는 걸림홈(7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홈(71)의 하부에는 걸림턱(72)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72)은 고정구(40)의 일측으로 돌출한 지지턱(41)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지지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핀(50)의 하부측으로 형성되는 작동부재(70)는 하부측에 와이어(61)의 단부측과 결합되어 형성되고, 와이어(61)와 결합되어 상부측에 형성되는 지지턱(73)과, 상기 고정구(40)의 지지턱(41) 하부면에는 탄성스프링(74)의 단부측과 연결되어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핀(50)에 결합된 작동부재(70)와 대향하는 회전핀(50)에는 작동스프링(81)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또 작동스프링(81)의 타측 단부는 지지구(11)의 고정핀(11a)에 결합되고, 작동스프링(81)의 중앙부는 권취롤(80)에 권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권취롤(80)에 형성된 중심축(82)에는 상부링크(90)의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지지구(11)의 고정핀(11a)에 연결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권취롤(80)에 형성된 중심축(82)에는 하부링크(100)의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회전핀(50)과 연결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권취롤(80)의 중심축(82)을 중심으로 상부링크(90)와 하부링크(100)는 절첩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부링크(90)와 하부링크(100)가 중심축(82)을 중심으로 절첩이 될 때, 권취롤(80)에 권취된 작동스프링(81)도 내측으로 절첩되어 안장(10)을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권취롤(80)의 중심축(82)을 중심으로 상부링크(90)와 하부링크(100)를 절첩하기 위하여 하부링크(100)의 하부측에 돌출하여 형성된 돌기부(101)에 작동부재(70)의 걸림홈(71) 전방이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부재(70)가 회동할 때 작동부재(70)의 걸림홈(71) 전방이 돌기부(101)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하부링크(1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권취롤(80)을 중심으로 연결된 상부링크(90)를 잡아당겨서 상부링크(90)와 하부링크(100)가 절첩이 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 1 및 도 2는 탑승자가 안장에 앉자 주행할 때, 안장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자전거를 타고 주행하다가 횡단보도 앞에서 또는 정지를 하고 싶을 때, 안장(10)에서 내리지 않고, 상기 안장(10)에 앉은 상태에서 편안하게 정지하고자 할 때에는 작동레버(60)를 당겨준다.
그러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레버(60)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61)를 후방으로 당겨주게 되면, 와이어(61)의 단부와 연결된 작동부재(70)의 하부를 당겨주게 된다. 이때 작동부재(70)의 지지턱(73)이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작동스프링(74)을 고정구(40)의 지지턱(41)에 압지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부재(70)는 고정구(40)의 일측에 장착된 회전핀(50)을 축으로 상부측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적동부재(7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걸림홈(71)의 전방에 밀착된 하부링크(100)의 돌기부(101)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하부링크(100)의 상부측이 전방으로 젖혀지면서 권취롤(80)의 회전축(82)을 전방으로 젖혀주게 되므로 상부링크(90)의 하부측도 전방으로 젖혀지면서 상부링크(90)의 상부측을 하향시킨다.
그러면 상부링크(90)와 하부링크(100)는 절첩이 됨과 동시에 상부링크(90)의 상단부측과 연결된 승강로드(20)를 하향시키게 되므로 승강로드(20)와 연결된 안장(10)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작동레버(60)의 와이어(61)를 풀어주게 되면 지지구(11)에 형성된 고정핀(11a)이 작동부재(70)의 걸림홈(71)에 걸려 안장(10)은 하강상태를 유지하게 될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스프링(81)을 권취한 권취롤(80)도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작동스프링(81)의 양단부측도 절첩이 됨과 동시에 탄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행 중인 상태에서도 안장(10)에서 탑승자가 내리지 않고도 안장(10)을 간편하게 하향시켜서 발이 지면에 닿게 하여 정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주행하고자 할 때 작동레버(70)를 다시 당겨주게 되면, 와이어(61)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작동레버(70)의 걸림홈(71)에 걸려 있던 고정핀(11a)이 걸림홈(71)에서 풀어지게 된다.
따라서 절첩되어 있던 상부링크(90)와 하부링크(100)가 펼쳐지면서 승강로드(20)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안장(10)도 역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10. 안장 11. 지지구
11a. 고정핀 20. 승강로드
30. 고정파이프 40. 고정구
41. 지지턱 50. 회전핀
60. 작동레버 61. 와이어
70. 작동레버 71. 걸림홈
72. 걸림턱 73. 지지턱
74. 탄성스프링 80. 권취롤
81. 작동스프링 82. 중심축
90. 상부링크 100. 하부링크
101. 돌기부

Claims (3)

  1. 안장(10)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된 지지구(11)에 고정된 승강로드(20)와,
    상기 승강로드(20)를 삽입하여 승,하강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파이프(30)와,
    상기 고정파이프(30)의 상부측에 장착된 고정구(40)와,
    상기 고정구(40)의 측면에 결합하여 형성된 회전핀(50)에 고정되어 작동레버(60)의 작동에 따라 와이어(61)가 인출되거나, 당김에 의해 회전핀(50)과 함께 회동하는 작동부재(70)와,
    상기 작동부재(70)에 대향하는 회전핀(5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지지구(11)의 고정핀(11a)에 고정한 작동스프링(81)을 권취하여 승강로드(20)의 일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권취롤(80)과,
    상기 권취롤(80)의 중심축(82)에 결합하여 단부측이 고정핀(11a)에 결합된 상부링크(90)와,
    상기 중심축(82)에 결합된 상부링크(90)와 대향하여 중심축(82)에 결합되면서 절첩되게 단부측이 회전핀(50)에 결합된 하부링크(100)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핀(50)에 결합된 작동부재(70)의 걸림홈(71) 전방이 하부링크(100)의 일측으로 돌출한 돌기부(101)를 전방으로 밀어서 하부링크(10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부링크(90)를 하향시켜서 상부링크(90)와 하부링크(100)가 절첩되게 형성하여 승강로드(20)와 결합된 안장(10)이 하강하도록 하고, 권취롤(80)에 권취된 작동스프링(81)이 탄성에 의해 탄발되면서 승강로드(20)와 결합된 안장(10)을 상승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70)는,
    회전핀(50)을 중심으로 상부측에 걸림홈(71)을 형성하고, 걸림홈(71)의 하단으로 돌출한 걸림턱(72)이 고정구(40)의 일측으로 돌출한 지지턱(41)에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회전핀(50)을 중심으로 하부측에는 작동레버(60)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핀(50)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와이어(61)의 단부측을 연결하고, 와이어(61)를 연결한 상부측의 지지턱(73)과 고정구(40)의 지지턱(41)하부에 탄성스프링(74)의 양단부를 장착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
  3. 삭제
KR1020140103923A 2014-08-11 2014-08-11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 KR101570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923A KR101570435B1 (ko) 2014-08-11 2014-08-11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
CN201510289978.9A CN106184492B (zh) 2014-08-11 2015-05-29 自行车鞍座升降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923A KR101570435B1 (ko) 2014-08-11 2014-08-11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435B1 true KR101570435B1 (ko) 2015-11-19

Family

ID=5484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923A KR101570435B1 (ko) 2014-08-11 2014-08-11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4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6690A (ja) * 2006-04-10 2007-10-25 Fujiwara Wheel:Kk 自転車のサドル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6690A (ja) * 2006-04-10 2007-10-25 Fujiwara Wheel:Kk 自転車のサドル昇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9464B2 (ja) 車椅子
US8146928B2 (en) Stroller with braking device
US8302974B2 (en) Adaptable mobility aid device for level and inclined walkways and for stairs
CN106029033B (zh) 轮椅
KR101702938B1 (ko) 보행 보조장치
KR101570435B1 (ko)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
KR101727023B1 (ko)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
US5797606A (en) Transporter for patient's emergency escape
TWM426403U (en) Walk-assisting vehicle with safety device
KR200471462Y1 (ko) 자전거 거치대
CN106184492A (zh) 自行车鞍座升降装置
KR20110002513U (ko)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CA2190427C (en) Transporter for patient's emergency escape
KR100821965B1 (ko) 세면대 승강장치
KR101458840B1 (ko)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
KR20170003809U (ko) 자전거 보조바퀴 승강장치k3
KR101219112B1 (ko) 자동회동식 받침대가 구비된 자전거
US20130199329A1 (en) Lockable braking device
CN204978797U (zh) 一种便于收折的童车架
KR200369512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KR20160019987A (ko)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1614512B1 (ko) 휠체어용 우산꽂이 장치
KR102442770B1 (ko) 소형 차량용 리프트
KR20130074881A (ko) 보행보조차
KR102208529B1 (ko)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