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809U - 자전거 보조바퀴 승강장치k3 - Google Patents

자전거 보조바퀴 승강장치k3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809U
KR20170003809U KR2020160001159U KR20160001159U KR20170003809U KR 20170003809 U KR20170003809 U KR 20170003809U KR 2020160001159 U KR2020160001159 U KR 2020160001159U KR 20160001159 U KR20160001159 U KR 20160001159U KR 20170003809 U KR20170003809 U KR 201700038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auxiliary wheel
auxiliary
bicyc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철
Original Assignee
김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철 filed Critical 김지철
Priority to KR2020160001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809U/ko
Publication of KR20170003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 B60B29/001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comprising lifting or alig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006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for cycle wheels or simi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K3 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과 조작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은 보조바퀴를 상승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자전거를 세워 놓을 때는 킥 스탠드로도 사용할 수 있음. 즉, 본 고안 목적은 초보자도 보조바퀴를 하강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능숙한 자는 보조바퀴를 상승해서 탈 수 있는 다목적 보조바퀴 장치입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전거 타기가 능숙한 자와 초보자가 한대의 자전거를 자신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한 것이다. 그리고 이미 보급되어 있는 기존 자전거에도 간단히 조립부착 할 수 있어 가정경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본 고안은 자전거 후륜 축 장치판에 메인 프레이드(1)를 결합장치하며 메인프레이드(1)에는 작동판(15) 및 지지봉(21)와 보조바퀴(16)가 조립되어 보조 바퀴 승하강 기능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지지봉(21)은 메인 프레이드(1)에 조립되어 있으며, 지지봉(21)에는 작동판(15)와 보조바퀴(16)가 결합되어있음. 출원인이 출원하였던 보조바퀴(16) 승강장치 구성이 미흡한 점을 즉 보조바퀴를 상승시 종전내용은 뒷바퀴 양측 옆으로 나와 상하기능을 하게끔 한 것을 효율성을 높여 상승시 보조바퀴가 차륜 후면방향으로 이동 상승정지 하여 운행할 수 있는 본 고안을 안출한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조작이 쉬운 승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능숙자와 초보자가 한대의 자전거로 자신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 것이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작동판(21)을 간단히 조작하여 보조바퀴가 승하강 되게 제공된 것이 그 특징이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보조바퀴 승강장치{Auxiliary wheels lifting device for bicycles}
.
[고안의 상세한 설명]
[고안의 목적]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K3 는 보조바퀴를 분리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하고 아울러 자전거 타기가 익숙치 않는 초보자와 능숙한 자가 한대의 자전거로 보조바퀴를 승하강 조정하여 탈 수 있는 기능 즉, 보조바퀴를 사용 안할시 간단한 조작으로 차륜 후면 방향으로 상승 정지하여 2바퀴로 운행 할 수 있으며 또한 세워 놓을 수도 있는 등의 기능성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제공한 것이다.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고안은 종전의 보조바퀴 승강장치 구성이 미흡한 점 즉 (2바퀴로 탈 경우 보조바퀴를 차륜 후면 방향으로 상승 고정 한다는 것)구성이 간단하고 조작이 쉬운 승하강 장치로 개선하여 제공함으로써 초보자와 능숙한 자가 자신에게 맞는 승하강 장치를 조절하여 탈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 것이다.
종래의 보조바퀴 자전거는 자전거에 익숙해져 보조바퀴가 불필요할 때 공구를 사용하여 분리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다른 초보자가 사용 시 보조바퀴를 재차 조립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어린이가 탈부착을 할 수 없어 전문점에 가서 의뢰 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코져 보조바퀴를 차대에서 분리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보조바퀴를 승하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승강장치 보조바퀴 자전거를 개발한 것입니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에서는 자전거 후륜 축에 메인 프레이드(1)를 장치하여 승강되는 보조바퀴를 장착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즉 보조바퀴(16)을 사용 안 할시 보조바퀴(16)를 차륜 후면 방향으로 상승 정지시켜 올려놓을 수 있는 새로운 보조바퀴 승하강 자전거K3을 제공함으로서 탈부착 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하였으며, 초보 사용자가 자전거에 더욱 흥미감을 가지게 하며, 또한 자전거 보급에도 기여 하고자 한다.
[고안의 구성]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보조바퀴 조립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부품 입체도, 도 3)은 보조바퀴를 이용 시 지면으로 내린 상태, 도 4)는 본 고안의 보조바퀴를 차륜 후면으로 올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은 본 고안의 자전거를 세워 놓았을 때 후면도 및 측면도 이며, 도 6)은 보조바퀴가 하강 및 승강 상태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보조바퀴 승강장치K3 는 자전거 후레임 양측에 메인 프레이드(1)을 설치하며 이때 메인프레이드(1) 고정돌기(4)가 후레임(17) 측판홈(18)에 삽입 후 고정낫트(19)로 쪼인다. 메인 프레이드(1)에는 보조바퀴지지봉(21)을 핀으로 조립하며 지지봉(21)에는 작동판(15)과 보조바퀴(16)가 결합되어있다. 작동판(15)에는 각 부위가 구성되어 승하강 기능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보조바퀴(16) 를 이용시 상향된 작동판(15)에 구성된 페달돌기(13b)를 하향으로 밟으면 작동판(15)과 지지봉(21)이 이동한다. 이때 메인 프레이드(1)와 작동판(15)에 조립된 인장스프링(22)의 힘에 의해 이동 기능을 도우며 바퀴지지봉(16)이 메인 프레이드(1)의 하향스토퍼홈(6)에 닿아서 뒷바퀴 양측면으로 정지되며 또한 상부지지봉(24)이 안전홈(23)에 삽입고정과 동시에 작동판(15)에 연결된 인장스프링(22) 힘에 스토퍼돌기(9)가 메인 프레이드(9)의 고정키홈(7)에 강하게 삽입 밀착되어 보조바퀴(16)를 완전 고정시킨다.
초보자가 이용시 도 4)은 보조바퀴(16)를 상향하기 위해 작동판(15)의 폐달돌기(13a)를 밟아 하향하면 작동판(15)의 스토퍼돌기(9)가 메인프레이드(1)의 고정홈(7)에서 빠져 나온다. 동시에 인장스프링(22)에 의해 보조바퀴가 이동 차륜 후면 방향에 상승 정지하며 또한 지지봉(21)을 원할히 상승하는데 돕기 위해 작동판(15)의 방향전환돌기(11)가 메인프레이드(1)의 절곡면(20)을 밀어주어 바퀴지지봉(21)이 차륜 후면으로 상승한다. 상승된 보조 바퀴지지봉(21)이 메인 프레이드(1)의 상향스토퍼돌기(5)에 의해 스톱 안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보조바퀴(16) 승하강이 자유롭게 기능을 할 수 있어 초보자와 능숙한 자가 한대의 자전거로 공동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존의 고정식 보조 바퀴자전거를 사용하다 필요가 없을 때 보조바퀴를 분리하고 다시 필요시엔 부착하는 기존의 번거스러운 구조를 개선하여 간단한 구조로 보조바퀴를 탈부착할 필요 없이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본 고안 장치는 이미 보급되어 있는 기존의 자전거에 간단히 조립 부착함으로서 기존의 사용자가 사용함에 조금도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어 그 실효성이 매우 기대된다. 그리고, 도 5)은 보조바퀴를 세울 경우 자전거를 세울수가 없어 자전거를 바닥에 눕히거나 벽에 기대어 세우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한쪽바퀴만 내려세운다), 기존의 고정식 보조바퀴 자전거의 모든 불편한 사항들을 해결한 것이다.
도 1)은 본고안의 적용된 보조바퀴 조립사시도
도 2)은 본고안의 부품 입체도
도 3)은 본고안의 보조바퀴가 내려진 상태의 구성도
도 4)은 본고안의 보조바퀴가 올려진 상태의 구성도
도 5)은 본고안의 자전거를 세위 놓을때 한쪽 보조바퀴만 내린상태의 구성도
도 6)은 본고안의 보조바퀴가 승하강 상태를 도식화 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1:메인프레이드 2:뒷바퀴축공
3:스프링고리핑홈 4:메인고정돌기
5:상향스토퍼돌기 6:하향스토퍼홈
7:고정키홈 8:지지봉축공
9:고정돌기 10:결합핀공
11:방향전환돌기 12:스프링걸기
13a:폐달돌기 13b:폐달돌기
14:절곡스토퍼 15:작동판
16:보조바퀴 17:차대후레무
18:측판홈 19:고정낫트
20:절곡면 21:지지봉
22:인장스프링 23;안전홈
24;상부지지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보조 바퀴 승강장치K3 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면에서 접지되거나 지면에서 들어 올려 고정하는 것으로 뒷바퀴 좌우측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자전거 후레임(17)에 메인 프레이드(1)의 메인 고정돌기(4)가 후레임 홈(18)에 삽입 고정 설치되며, 메인 프레이드(1)에 조립된 각 부위에는 지지봉(21)과 작동판(15)이 구성되어 승하강 기능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승된 보조바퀴(16)를 이용하기 위해 하향시 발로 작동판(15)에 구성된 폐달돌기(13b)을 하향으로 밟으면 작동판(15)의 상부지지봉(24)이 안전홈(23)에 삽입한다. 이때 메인 프레이드(1)와 작동판(15)에 조립된 인장스프링(22)의 힘에 의해 작동판의 스토퍼돌기(9)가 메인 프레이드의 고정키홈(7)에 강하게 삽입 밀착 기능을 돕는다. 또한 보조바퀴를 상향하여 사용시 작동판(15)의 폐달돌기(13a)를 밟아 하향하면 작동판(15)의 스토퍼돌기(9)가 메인 프레이드(1)의 고정키홈(7)에서 빠져 나온다. 메인프레이드(1)와 작동판(15)에 연결된 인장스프링(22)에 의해 바퀴지지봉(21)이 상승 후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지지봉(21)을 원할한 상승을 돕기 위해 작동판의 방향전환돌기(11)가 인장스프링(22)의 힘에 의해 메인 프레이드(1)의 절곡부위(20)를 밀어주어 바퀴지지봉(21)이 상승하며 또한 작동판의 절곡스토퍼(14) 역시 지지봉(21)을 밀어주어 차륜 후면 방향으로 상승을 돕는다. 상승된 바퀴 지지봉(21)이 메인 프레이드(1)의 상향스토퍼돌기(5)에 의해 스톱 안착된다.

Claims (1)

  1.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것은 지금까지 출원한 보조바퀴 승강 기능이 뒷바퀴 양측면으로 돌출된 것을 이번 출원한 K3는 도 4)은 보조바퀴(16)상승시 차륜 즉 뒷바퀴 양측 후면 방향에서 상승 정지 기능을 개발하였으며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의 구성 내용으로 자전거 뒷바퀴 양측 후레임 측판홈(18)에 메인 프레이드(1)를 바퀴축으로 연결하며 메인프레이드(1)의 안전한 고정을 위해 메인고정돌기(4)가 측판홈(18)에 삽입한다. 메인 프레이드(1)의 지지봉축공(8)에 지지봉(21)을 핀으로 결속하며 지지봉(21)에는 작동판(15)과 보조바퀴(16)를 설치 결합한다. 도 1)상승된 도 4)보조바퀴(16)를 사용시 도 3) 작동판(15)의 페달돌기(13b)를 하향으로 밟으면 바퀴지지봉(21)이 메인 프레이드(1)의 하향스토퍼홈(6)에 닿아 고정되며 상부지지봉(24)이 안전홈(23)에 결합 고정과 동시에 작동판(15)의 스토퍼돌기(9)가 메인 고정키홈(7)에 결속 고정되며 메인 프레이드(1)와 작동판(15)에 연결된 인장스프링(22)의 힘에 의해 또한 강하게 삽입 밀착 고정하여 보조바퀴(16)로 운행하며 보조바퀴(16)을 사용 안할시 차륜 후면방향으로 상승 정지시켜 2바퀴로 운행하며, 도 5)은 자전거를 세위 놓을 때 한쪽 바퀴만 하강해서 세워 정지 한다. 보조바퀴 자전거K3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보조바퀴 자전거를 운행할 수 있는 3가지 도 3), 도 4), 도 5), 기능을 개발한 것을 출원코져 합니다.
KR2020160001159U 2016-03-02 2016-03-02 자전거 보조바퀴 승강장치k3 KR201700038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159U KR20170003809U (ko) 2016-03-02 2016-03-02 자전거 보조바퀴 승강장치k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159U KR20170003809U (ko) 2016-03-02 2016-03-02 자전거 보조바퀴 승강장치k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09U true KR20170003809U (ko) 2017-11-07

Family

ID=6040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159U KR20170003809U (ko) 2016-03-02 2016-03-02 자전거 보조바퀴 승강장치k3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80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82U (ko) * 2017-10-27 2019-05-08 김지철 자전거 보조바퀴의 승강장치
KR20230094039A (ko) 2021-12-20 2023-06-27 강민재 자전거 보조바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82U (ko) * 2017-10-27 2019-05-08 김지철 자전거 보조바퀴의 승강장치
KR20230094039A (ko) 2021-12-20 2023-06-27 강민재 자전거 보조바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120B2 (en) Scooter
CA2772651A1 (en) Pallet jack power assembly
US20030214108A1 (en) Leg controlled folding and positioning device of scooter
KR20170003809U (ko) 자전거 보조바퀴 승강장치k3
US20210101275A1 (en) Foot-operated bicycle work stand
KR200456510Y1 (ko) 자전거용 보조바퀴 승강장치
KR101715326B1 (ko)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AU2015230832A1 (en) Braking mechanism for a foot-deck-based vehicle
CN212605649U (zh) 可调节的驻车装置
CN204056145U (zh) 一种折叠自行车
KR200215109Y1 (ko) 자전거의 보조바퀴 승강장치
CN202873345U (zh) 棉秸拔除装置
CN212172433U (zh) 一种新型自行车拖车驻车装置
CN211336301U (zh) 一种儿童多功能三轮车
CN211391573U (zh) 一种童车的升降把手结构以及童车
CN204355104U (zh) 可折式捡料台车
CN213138995U (zh) 一种平衡车的车座调节结构
CN210284484U (zh) 一种自行车
CN215706600U (zh) 一种车辆方向调节装置
KR200249639Y1 (ko) 자전거의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CN103966937A (zh) 一种倾斜式垫板座
CN215308028U (zh) 一种居家养老用行走辅助装置
CN215456259U (zh) 一种多功能美术升降桌
KR20000012671U (ko) 자전거의 보조바퀴 승강장치
CN211995156U (zh) 一种履带车悬空式离合踏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