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082U - 자전거 보조바퀴의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보조바퀴의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082U
KR20190001082U KR2020170005570U KR20170005570U KR20190001082U KR 20190001082 U KR20190001082 U KR 20190001082U KR 2020170005570 U KR2020170005570 U KR 2020170005570U KR 20170005570 U KR20170005570 U KR 20170005570U KR 20190001082 U KR20190001082 U KR 201900010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plate
bicycle
bent portion
auxiliary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416Y1 (ko
Inventor
김지철
Original Assignee
김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철 filed Critical 김지철
Priority to KR2020170005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16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0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의 차대프레임에 설치되는 자전거 보조바퀴 승강장치에 있어서, 자전거의 차대프레임에 브라켓으로 볼트 결합되며 그 전면에는 가이드장공이 관통 형성된 메인플레이트,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후방을 향하여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에 관통 형성되는 구멍,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전면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 1축핀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축핀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작동판, 상기 작동판의 일측에 상기 작동판의 후방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절곡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작동판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구멍에서 이탈하며 상기 작동판의 구속을 해지하는 걸림돌기, 상기 작동판과 상기 메인플레이트를 탄력적으로 연결 지지하는 인장스프링, 상기 보조바퀴에 타단이 연결되고 그 선단은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제 2축핀으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판의 구속이 해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축핀을 기점으로 젖혀지며 지면에 닿아있는 보조바퀴를 승강시키는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가이드장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봉의 젖힘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조바퀴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전거 보조바퀴의 승강장치 {HOIST of BICYCLE TRAINING WHEEL}
본 고안은 자전거 보조바퀴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보조바퀴를 간편하게 승, 하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보조바퀴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전거는 프레임의 전후에 각각 앞바퀴와 뒷바퀴를 회전 자재되도록 설치하고, 뒷바퀴축에 결합되는 스프로킷을 페달에 의해 회전되는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함으로 해서 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일반적인 자전거는 어린이나 초보자가 탈 경우 앞바퀴와 뒷바퀴만으로 중심을 잡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뒷바퀴의 양단에 별도의 보조바퀴를 설치하여 주행 중에 자전거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보조바퀴의 경우 뒷바퀴가 축 설치되는 프레임의 보조바퀴가 결합되어 있는 지지체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자전거에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보조바퀴의 경우 어린이나 초보자가 탈 경우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되나, 보조바퀴를 설치한 상태에서 일정기간이 지나면 보조바퀴 없이도 자전거 타기가 익숙해져 보조바퀴가 달려 있는 것이 자전거 타기에 불편함으로 분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20-2010-0012820 호(명칭: 자전거용 보조바퀴 승강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프레임과 뒷바퀴축에 고정하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전방에 고정되며 평면단면이 형으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측면에 아래쪽으로 개구되도록 뒷바퀴축 방향으로 형성한 낮은 걸림홈 및 후면에 낮은 걸림홈과 안내공으로 연결되도록 뒷바퀴축과 직각방향으로 형성한 높은 걸림홈과,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단과 하단에 마주보게 절곡 형성한 구멍이 형성된 브래킷 및 이들 브래킷과 마주보도록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측에 절곡 형성한 구멍이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들에 형성된 구멍으로 끼움 결합되며 상단에 손잡이가 절곡 형성된 승강핀과, 상기 승강핀의 하부에 결합 고정되며 보조바퀴가 자유 회전되도록 축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브래킷 상측에 위치하도록 승강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이 승강핀 중간에 결합된 스토퍼와 접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를 잡고 가압한 상태에서 보조바퀴가 지면과 접하도록 지지대가 낮은 걸림홈에 내입되게 하거나 또는 보조바퀴가 지면과 떨어지게 높은 걸림홈에 내입되게 한 것을 요지로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보조바퀴의 승, 하강 동작이 상, 하 수직으로 이뤄지는 동작임에 따라 이에 맞춰 보조바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복잡해질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사용상의 불편함은 물론 구성품증가로 인한 단가 상승등 실용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20-2010-0012820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보조바퀴를 간편하게 승, 하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보조바퀴의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전거의 차대프레임에 설치되는 자전거 보조바퀴 승강장치에 있어서, 자전거의 차대프레임에 브라켓으로 볼트 결합되며 그 전면에는 가이드장공이 관통 형성된 메인플레이트,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후방을 향하여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에 관통 형성되는 구멍,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전면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 1축핀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축핀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작동판, 상기 작동판의 일측에 상기 작동판의 후방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절곡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작동판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구멍에서 이탈하며 상기 작동판의 구속을 해지하는 걸림돌기, 상기 작동판과 상기 메인플레이트를 탄력적으로 연결 지지하는 인장스프링, 상기 보조바퀴에 타단이 연결되고 그 선단은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제2축핀으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판의 구속이 해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축핀을 기점으로 젖혀지며 지면에 닿아있는 보조바퀴를 승강시키는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가이드장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봉의 젖힘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보조바퀴를 간편하게 승, 하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초보자와 숙련자 모두 하나의 자전거로 이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일반적인 차대프레임에도 부착이 가능하여 실용성을 높인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보조바퀴가 접힘식으로 승강하는 구조임에 따라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보조바퀴의 승강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보조바퀴의 승강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동작상태도.
도 3은 도 1의 주요구성이 승강장치를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보조바퀴가 승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보조바퀴의 승강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동작상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주요구성이 승강장치를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보조바퀴가 승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자전거 보조바퀴의 승강장치는 브라켓(10), 메인프레임(20), 작동판(30) 및 인장스프링(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브라켓(10)은 자전거의 차대프레임(200)에 설치되며 메인프레임(20)을 차대프레임(200)에 연결 고정시키는 부재로서, 상기 브라켓(10)과 상기 메인프레임(20)에는 볼트(12)가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차대프레임(200)에 결합되며 브라켓(10)과 메인프레임(20)을 차대프레임(2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상기 브라켓(10)에 볼트(12) 결합되어 차대프레임(200)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이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일측에는 절곡부(24)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후방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가이드장공(22)이 라운드지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절곡부(24)에는 구멍(26)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26)에는 작동판(30)의 걸림돌기(36)가 선택적으로 걸려지게 된다. 상기 절곡부(24)에는 보조바퀴(60)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봉(50)이 제 2축핀(52)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2축핀(52)을 중심으로 지지봉(50)은 젖힘 동작을 수행하며 보조바퀴(60)를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상단 일측에는 브라켓편(28)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편(28)의 구멍(29)에는 인장스프링(40)의 일단이 걸려진다.
상기 작동판(30)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전면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프레임(20)과 제 1축핀(32)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축핀(32)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판(30)과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절곡부(24)는 제 1축핀(32)으로 관통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제 1축핀(32)을 중심으로 상기 작동판(30)이 회전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작동판(30)의 일측에는 절곡부(34)가 상기 작동판(30)의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34)의 상면에는 걸림돌기(36)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36)는 전술한 메인프레임(20)의 절곡부(24)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6)에 걸려지며 상기 작동판(30)의 회전을 구속한 상태에서 작동판(30)의 블레이드(38)를 잡고 상기 작동판(30)을 상기 제 1축핀(3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36)는 상기 구멍 (26)에서 이탈하며 작동판(30)의 구속을 해지시키게 된다.
상기 작동판(30)의 둘레면 양측에는 복수개의 제 1, 2블레이드(38a, 38b)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1, 2블레이드(38a, 38b)는 사용자가 발로 밟아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작동판(30)을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작동판(30)의 걸림돌기(36)는 메인프레임(20)의 구멍(26)에서 이탈하며 작동판(30)의 구속이 해지될 수 있다.
상기 작동판(30)의 전면에는 핀(39)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핀(39)에는 전술한 인장스프링(40)의 타단이 걸려지게 된다.
상기 인장스프링(40)은 상기 작동판(30)의 회전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으로서 상기 인장스프링(40)의 일단은 메인프레임(20)의 브라켓편(28) 구멍(29)에 끼워지고 그 타단은 작동판(30)의 핀(39)에 걸려지며 상기 제 1축핀(32)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한 작동판(30)을 텐션력으로 초기 상태로 자동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봉(50)은 보조바퀴(60)의 축에 타단이 연결되고 그 선단은 상기 메인프레임(20)과 제 2축핀(52)으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판(30)의 구속이 해지되고 나면 상기 제 2축핀(52)을 기점으로 젖혀지며 보조바퀴(60)를 메인프레임(20)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 구성하는 부재이다.
상기 지지봉(50)에는 가이드핀(54)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핀(54)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가이드장공(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작동판(30)을 회전시켜 상기 작동판(30)의 구속을 해지하고 난 뒤, 상기 지지봉(50)을 젖혀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장공(22)을 타고 이동하며 상기 지지봉(50)의 젖힘 동작을 가이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전거 보조바퀴 승강장치에서 보조바퀴(6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먼저, 작동판(30)의 제 1, 2블레이드(38a, 38b)중 어느 하나를 발로 밟아 작동판(30)을 한쪽 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작동판(30)은 제 1축핀(3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작동판(30)의 절곡부(34)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6)는 메인플레이트(20)의 절곡부(24)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6)에서 이탈하며 작동판(30)의 구속을 해지하게 된다.
다음, 사용자가 보조바퀴(60)를 위쪽 방향으로 젖혀주면 상기 보조바퀴(60)의 지지봉(50)은 제 2축핀(52)을 기점으로 젖혀지며 보조바퀴(60)를 승강시켜 자전거를 타는 과정에서 보조바퀴(60)가 지면에 닿이지 않도록 승강시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보조바퀴(60)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자전거를 탈 수 있다.
10: 브라켓 20: 메인플레이트
24: 절곡부 26: 구멍
30: 작동판 32: 제 1축핀
34: 절곡부 36: 걸림돌기
38a, 38b: 제 1, 2블레이드 40: 인장스프링
50: 지지봉 52: 제 2축핀
60: 보조바퀴 200: 차대프레임

Claims (1)

  1. 자전거의 차대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자전거 보조바퀴 승강장치에 있어서,
    자전거의 차대프레임(200)에 브라켓(10)으로 볼트(12) 결합되며 그 전면에는 가이드장공(22)이 관통 형성된 메인플레이트(20);
    상기 메인플레이트(20)의 일측에 상기 메인플레이트(20)의 후방을 향하여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24);
    상기 절곡부(26)에 관통 형성되는 구멍(26);
    상기 메인플레이트(20)의 전면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 1축핀(32)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축핀(32)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작동판(30);
    상기 작동판(30)의 일측에 상기 작동판(30)의 후방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34);
    상기 절곡부(34)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20)의 절곡부(24)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6)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작동판(3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구멍(26)에서 이탈하며 상기 작동판(30)의 구속을 해지하는 걸림돌기(36);
    상기 작동판(30)과 상기 메인플레이트(20)를 탄력적으로 연결 지지하는 인장스프링 ;
    상기 보조바퀴(60)에 타단이 연결되고 그 선단은 상기 메인플레이트(20)와 제 2축핀(52)으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판(30)의 구속이 해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축핀(52)을 기점으로 젖혀지며 지면에 닿아있는 보조바퀴(60)를 승강시키는 지지봉(50) 및 ;
    상기 지지봉(50)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20)의 가이드장공(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봉(50)의 젖힘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54)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조바퀴 승 하강장치.
KR2020170005570U 2017-10-27 2017-10-27 자전거 보조바퀴의 승강장치 KR200489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570U KR200489416Y1 (ko) 2017-10-27 2017-10-27 자전거 보조바퀴의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570U KR200489416Y1 (ko) 2017-10-27 2017-10-27 자전거 보조바퀴의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82U true KR20190001082U (ko) 2019-05-08
KR200489416Y1 KR200489416Y1 (ko) 2019-06-13

Family

ID=6653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570U KR200489416Y1 (ko) 2017-10-27 2017-10-27 자전거 보조바퀴의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16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671U (ko) * 1998-12-17 2000-07-05 김성경 자전거의 보조바퀴 승강장치
KR200249639Y1 (ko) * 2001-06-25 2001-11-16 주식회사 국민정밀 자전거의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KR20100012820U (ko) 2009-06-17 2010-12-27 김지철 자전거용 보조바퀴 승강장치
KR20110018476A (ko) * 2009-08-18 2011-02-24 박경범 보조바퀴를 갖는 자전거
KR20170003809U (ko) * 2016-03-02 2017-11-07 김지철 자전거 보조바퀴 승강장치k3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671U (ko) * 1998-12-17 2000-07-05 김성경 자전거의 보조바퀴 승강장치
KR200249639Y1 (ko) * 2001-06-25 2001-11-16 주식회사 국민정밀 자전거의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KR20100012820U (ko) 2009-06-17 2010-12-27 김지철 자전거용 보조바퀴 승강장치
KR20110018476A (ko) * 2009-08-18 2011-02-24 박경범 보조바퀴를 갖는 자전거
KR20170003809U (ko) * 2016-03-02 2017-11-07 김지철 자전거 보조바퀴 승강장치k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16Y1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1035B2 (en) Adjustable elliptical exercise machine
US6105985A (en) Hand and foot powered bicycle
BRPI0618989A2 (pt) suporte equipado com rodas para um veìculo de duas rodas
KR200489416Y1 (ko) 자전거 보조바퀴의 승강장치
JP4105731B2 (ja)
CN201211900Y (zh) 踏板式摩托车、电动车自动升降轮式支架
JP2002153524A (ja) 病院用臓器処置台
NL2024963B1 (en) Kickstand
JP3702250B2 (ja) 足踏み式自転車
DE502004004038D1 (de) Kinderspielfahrzeug
JP6178247B2 (ja) 立ち乗り式自転車
CN216070341U (zh) 一种踏板车
KR200339830Y1 (ko) 유모차 기능을 갖는 세발자전거
CN2913135Y (zh) 一种升降式二轮车支撑装置
US3559743A (en) Handle height adjustment for cultivators
JPS6216144Y2 (ko)
JP2016007266A (ja) 手押し車
DE48125C (de) Durch Kettenräder betriebenes Sicherheits-Einrad
KR20090099183A (ko) 접이식 자전거의 자동조향 보조바퀴
JP3123965U (ja) 自転車の駐車時前輪安定装置
JPH0434645Y2 (ko)
JP2007326572A (ja) 乗用水田作業機
JP2010075328A (ja) ハンドル付キャリーバッグ
JPH11278328A (ja) 自転車用スタンド
KR200180898Y1 (ko) 오토바이용 수직형 스탠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