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987B1 - 다이얼식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얼식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987B1
KR101569987B1 KR1020140016942A KR20140016942A KR101569987B1 KR 101569987 B1 KR101569987 B1 KR 101569987B1 KR 1020140016942 A KR1020140016942 A KR 1020140016942A KR 20140016942 A KR20140016942 A KR 20140016942A KR 101569987 B1 KR101569987 B1 KR 101569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locking mechanism
locking
bundl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5520A (ko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40016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987B1/ko
Publication of KR20150095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4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umbler discs on a single axis, all the discs being adjustable by rotating a shiftable knob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Landscapes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다이얼식 잠금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설정링부가 정렬되는 다이얼뭉치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이얼뭉치의 회전에 의해 개폐편을 작동시키는 개폐작동부 및 다이얼뭉치에 결합되고 설정링부를 회전시키는 변경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이얼식 잠금장치{DIAL TYPE LOCK DEVICE}
본 발명은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얼식 잠금장치에서 마스터키에 의해 도어를 개방한 후에 다이얼뭉치에 구비되는 설정링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마스터키를 제외하고 다이얼뭉치를 회전시키는 다이얼을 통해 잠금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자물쇠와 손잡이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거나 손잡이에 실린더 자물쇠를 부착하여 구성된 것으로 손잡이와 자물쇠가 된 것은 사용이 불편하고, 실린더 자물쇠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열리는 불편이 있으므로 안전성이 희박한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학교 사물함, 스포츠센터, 목욕탕 등의 공공장소에서 열쇠가 없이 자기만의 비밀번호를 지정하여 사물함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한 다이얼식 자물쇠를 사용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8118호(2006. 02. 28. 등록, 발명의 명칭 : 다이얼 자물쇠의 리셋장치)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얼식 잠금장치에서 마스터키에 의해 도어를 개방한 후에 다이얼뭉치에 구비되는 설정링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마스터키를 제외하고 다이얼뭉치를 회전시키는 다이얼을 통해 잠금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설정링부가 정렬되는 다이얼뭉치;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다이얼뭉치의 회전에 의해 개폐편을 작동시키는 개폐작동부; 및 상기 다이얼뭉치에 결합되고, 상기 설정링부를 회전시키는 변경조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경조작부는, 상기 설정링부에 형성되는 제1조작기어부; 상기 제1조작기어부에 치합되는 제2조작기어부; 및 상기 본체에서 상기 제2조작기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작바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경조작부는, 상기 본체에 상기 조작바디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변경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경조작부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조작바디부에 형성되는 변경축부; 및 상기 조작바디부가 탈부착되도록 상기 변경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변경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경조작부는, 상기 제1조작기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조작기어부와의 치합을 해제시키는 아이들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얼뭉치에서 상기 설정링부를 탈부착시키는 변경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경선택부는, 상기 다이얼뭉치에 결합되어 상기 다이얼뭉치를 회전시키는 조작레버; 및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다이얼뭉치에서 상기 설정링부를 탈부착시키는 선택조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레버가 관통 삽입되는 조작홀부; 상기 조작레버에 돌출 형성되는 선택가이드;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선택가이드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조작경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다이얼뭉치가 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조작경로부 또는 상기 선택가이드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조작경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선택가이드에서 이격되어 상기 조작레버에 돌출 형성되는 제한가이드; 및 상기 제한가이드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한경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제한경로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한경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경선택부는, 상기 다이얼뭉치를 탄성 지지하는 조작탄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에서 마스터키에 의해 도어를 개방한 후에 다이얼뭉치에 구비되는 설정링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마스터키를 제외하고 다이얼뭉치를 회전시키는 다이얼을 통해 잠금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얼뭉치의 조작이 간편하고, 비밀번호의 변경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바디부의 회전을 통해 변경조작부에서 다이얼뭉치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바디부의 탈부착을 통해 변경조작부에서 제2조작기어부의 교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경조작부에서 제2조작기어부의 마모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얼식 잠금장치에서 비밀번호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고, 다이얼뭉치에서 설정링부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얼뭉치에서 설정링부의 탈부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얼뭉치의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다이얼뭉치가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얼뭉치의 이동에 따라 다이얼뭉치의 이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다이얼뭉치의 이동에 따라 다이얼뭉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선택조작부 또는 다이얼뭉치의 유동을 방지하고, 다이얼뭉치와 변경조작부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얼뭉치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다이얼뭉치의 이동에 따른 외력을 감소시켜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얼뭉치의 이동에 따라 제2조작기어부가 다이얼뭉치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조작기어부가 다이얼뭉치에 안정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를 도시한 정면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를 도시한 배면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에서 다이얼뭉치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에서 개폐전달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에서 변경조작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에서 다이얼뭉치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에서 개폐동작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를 도시한 정면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를 도시한 배면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에서 다이얼뭉치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는 사물함에서 다이얼(30)의 회전에 의해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잠금이 해제되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다이얼식 잠금장치로, 본체(10), 다이얼뭉치(20), 개폐작동부(50), 변경조작부(60)를 포함하고, 변경선택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00)는 돌기 형상의 제1고정부(111)와 홈 형상의 제2고정부(112)로 구성되어 두 부재가 상호 결합될 때, 제1고정부(111)와 제2고정부(112)가 끼움 결합되어 두 부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00)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고정부(100)를 통해 두 부재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체(10)는 외관커버(11)와, 전면커버(12)와, 후면커버(1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외관커버(11)와 전면커버(12)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관커버(11)는 사물함의 외관을 형성한다. 외관커버(11)에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며, 전면커버(12)의 일부가 노출된다. 전면커버(12)는 다이얼(30)과 개폐작동부(50)의 일부가 노출된다. 후면커버(13)는 다이얼뭉치(20)와 개폐작동부(50)를 지지하면서 전면커버(12)에 결합되고, 변경조작부(60)의 일부와 변경선택부(70)의 일부가 노출된다.
다이얼뭉치(20)는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다이얼(3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설정링부(25)가 정렬된다. 여기서, 다이얼뭉치(20)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다이얼뭉치(20)를 통해 다이얼(30)의 회전에 따라 다이얼축(21)이 회전되고, 다이얼축(21)이 회전하면서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설정링부(25)가 정렬되고, 설정링부(25)에 형성되는 잠금홈(26)에 잠금봉(45)이 삽입될 수 있다.
일예로, 다이얼뭉치(20)는 다이얼축(21)과, 작동자(23)와, 설정링부(25)를 포함하고, 축부지지부(22)를 더 포함한다.
다이얼축(21)은 다이얼(30)에 연결되어 다이얼(30)의 정역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된다. 다이얼축(21)은 다이얼(30)에 고정되는 고정축(31)에 고정부(100)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축부지지부(22)는 다이얼축(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10)에서 다이얼축(21)을 지지한다. 축부지지부(22)는 고정부(100)를 매개로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작동자(23)는 다이얼축(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이얼축(2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작동자(23)는 비밀번호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설정링부(25)는 복수의 작동자(23)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설정링부(25)는 작동자(23)에 결합되는 경우, 작동자(2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설정링부(25)에 함몰 형성되는 잠금홈(26)이 정렬되면서 정렬된 잠금홈(26)에 잠금봉(45)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설정링부(25)는 작동자(23)와 분리되는 경우, 변경조작부(60)를 통해 설정링부(25)만을 회전시킴으로써,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다이얼뭉치(20)는 다이얼(30)의 회전작동감을 느낄 수 있도록 텐션을 부여하는 회전인식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인식부(32)는 본체(10)에 결합되고, 자체탄성을 지니는 텐션부(321)와, 텐션부(321)와 접촉되도록 고정축(31) 또는 다이얼축(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요철부(322)를 포함한다. 텐션부(321)는 자체탄성을 지니도록 구부러져 있고, 단부에는 요철부(322)와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그러면 다이얼(30)의 회전에 따라 텐션부(321)의 돌기와 요철부(322)가 걸리면서 다이얼(30)의 회전작동감을 느낄 수 있다.
설정링부(25)는 작동자(23)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자(23)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설정링부(25)에는 잠금봉(45)이 삽입되는 잠금홈(26)이 함몰 형성된다.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복수의 설정링부(25)에서 잠금홈(26)이 일렬로 정렬되고, 잠금봉(45)이 일렬로 정렬된 잠금홈(26)에 삽입되도록 한다.
축부지지부(22)는 다이얼축(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이얼축(21)을 지지함으로써, 다이얼축(21)이 회전될 때, 다이얼축(21)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축부지지부(22)는 작동자(23)에 연결되어 작동자(23)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개폐작동부(5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이얼뭉치(20)의 회전에 의해 개폐편(54)을 작동시킨다. 개폐작동부(50)는 제1전달부(51)와, 열쇠뭉치(52)와, 제2전달부(53)와, 개폐편(54)을 포함하고, 키홈부(55)를 더 포함한다.
제1전달부(51)는 다이얼뭉치(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전달부(51)에는 다이얼뭉치(20)와의 치합을 위해 제1전달기어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전달부(51)에는 열쇠뭉치(52)가 삽입되는 작동부(513)와, 열쇠뭉치(52)의 탈부착을 위해 작동부(513)에서 함몰 형성되는 개폐홈부(514)와, 제2전달부(53)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부(515)가 형성된다.
열쇠뭉치(52)는 제1전달부(5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열쇠뭉치(52)는 마스터키에 의해 개폐편(54)을 작동시킬 수 있다. 열쇠뭉치(52)에는 마스터키에 의해 삽탈되는 걸림돌부(521)가 개폐홈부(514)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제2전달부(53)는 열쇠뭉치(5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전달부(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전달부(53)는 고정부(100)를 매개로 열쇠뭉치(52)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제2전달부(53)에는 개폐편(54)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돌부(531)가 형성된다.
개폐편(54)은 제2전달부(53)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개폐편(54)에는 개폐돌부(531)가 삽입된 상태에서 개폐돌부(531)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개폐경로부(541)가 함몰 형성된다.
이때, 개폐편(54)의 안정적인 슬라이드 이동을 위하여 지지가이드(56)가 형성된다. 지지가이드(56)는 개폐편(54)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지지경로부(562)와, 지지경로부(562)에 삽입되어 지지경로부(562)를 따라 이동되는 지지돌부(561)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경로부(562)가 본체(10)의 후면커버(13)에 형성되는 경우, 지지돌부(561)는 개폐편(54)에 형성되고, 지지돌부(561)가 본체(10)의 후면커버(13)에 형성되는 경우, 지지경로부(562)는 개폐편(54)에 형성될 수 있다.
키홈부(55)는 열쇠뭉치(52)를 지지한다. 열쇠뭉치(52)는 키홈부(55)에서 회전 가능하다. 키홈부(55)는 본체(10)에 노출되고, 마스터키가 관통 삽입되어 열쇠뭉치(52)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는 다이얼뭉치(20)의 회전력을 개폐작동부(50)에 전달하는 개폐전달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에서 개폐전달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개폐전달부(4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3전달부(41)와, 탄성후크부(43)와, 잠금봉(45)과, 전달편(47)을 포함한다.
제3전달부(41)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개폐작동부(50)에 연결되어 다이얼(30)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3전달부(41)에는 개폐작동부(50)와의 치합을 위해 제3전달기어부(42)가 형성된다. 특히, 제3전달기어부(42)는 제1전달기어부(511)와 치합되고, 제3전달부(41)의 회전력을 제1전달부(51)에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탄성후크부(43)는 제3전달부(41)에 탄성축(4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탄성후크부(43)는 탄성스프링의 탄성 작용으로 제1전달부(51)에 탄성 지지된다. 이때, 탄성후크부(43)에는 잠금봉(45)이 일체로 형성된다. 잠금봉(45)은 설정링부(25)에 함몰 형성되는 잠금홈(26)에 삽입된다. 잠금봉(45)은 설정링부(25)의 가장자리에 탄성 지지되었다가 다이얼(30)의 회전에 의해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잠금홈(26)이 정렬되면서 잠금봉(45)이 잠금홈(26)에 삽입됨은 물론 탄성후크부(43)는 전달편(47)에 후크 결합된다.
전달편(47)은 다이얼뭉치(20)의 다이얼축(21)에 고정되고, 탄성후크부(43)와 후크 결합된다. 전달편(47)에는 걸림전달부(48)가 함몰 형성되어 탄성후크부(43)가 삽입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얼축(21)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탄성후크부(43)가 걸림전달부(48)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이얼축(21)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걸림전달부(48)에서 탄성후크부(43)가 이탈됨과 동시에 잠금봉(45)이 잠금홈(26)에서 이탈된다. 전달편(47)은 작동자(23)에 연결되어 작동자(23)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상술한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따르면, 설정링부(25)와 작동자(23)가 결합된 상태에서 다이얼(30)을 정역 회전시키면서 비밀번호가 일치되면, 설정링부(25)는 다이얼(30)을 따라 정역 회전되면서 잠금홈(26)을 일렬로 정렬시켜 잠금봉(45)이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다이얼(3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개폐전달부(40)를 통해 개폐작동부(50)가 회전하면서 개폐편(54)을 작동시켜 잠금 해제됨으로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다시 도어를 닫고 다이얼(3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개폐편(54)이 작동하여 잠금 설정됨으로써, 도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잠금 설정됨에 따라 잠금홈(26)에서 잠금봉(45)이 이탈되고, 잠금홈(26)의 정렬이 해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에서 변경조작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변경조작부(60)는 다이얼뭉치(20)에 결합되고, 설정링부(25)를 회전시킨다. 변경조작부(60)는 다이얼뭉치(20)의 설정링부(25)에 형성되는 제1조작기어부(61)와, 제1조작기어부(61)에 치합되는 제2조작기어부(62)와, 본체(10)에서 제2조작기어부(6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작바디부(63)를 포함한다. 그러면, 제1조작기어부(61)에 치합된 제2조작기어부(62)를 회전시킴으로써, 설정링부(2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예로, 다이얼뭉치(20)의 작동자(23)와 설정링부(25)가 결합된 상태에서 설정링부(25)를 회전시키는 경우,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설정링부(25)를 정렬함으로써, 다이얼(30)의 회전을 통해 개폐편(54)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다이얼뭉치(20)의 작동자(23)와 설정링부(25)가 분리된 상태에서 설정링부(25)를 회전시키는 경우, 설정링부(25)만이 회전되어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변경조작부(60)는 본체(10)에 조작바디부(63)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변경축부(64)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1조작기어부(61)와 제2조작기어부(62)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설정링부(25)가 회전될 때, 마찰에 따른 제1조작기어부(61)와 제2조작기어부(62)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경조작부(60)는 본체(10) 또는 조작바디부(63)에 형성되는 변경축부(64)와, 조작바디부(63)가 탈부착되도록 변경축부(64)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변경지지부(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변경축부(64)가 본체(10)에 형성되는 경우, 변경지지부(65)는 조작바디부(63)에 형성되고, 변경축부(64)가 조작바디부(63)에 형성되는 경우, 변경지지부(65)는 본체(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조작기어부(62)를 포함한 조작바디부(63)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변경조작부(60)는 제1조작기어부(61)에 구비되어 제2조작기어부(62)와의 치합을 해제시키는 아이들링부(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조작기어부(61)와 제2조작기어부(62)의 치합이 아이들링부(66)에서 해제됨으로써, 별도의 육안 식별없이도 설정링부(25)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설정링부(25)에 형성되는 잠금홈(26)에 대응하여 잠금홈(26)이 정렬되는 경우, 제2조작기어부(62)는 아이들링부(66)에 위치하도록 한다.
변경선택부(70)는 다이얼뭉치(20)에서 설정링부(25)를 탈부착시킨다.
변경선택부(70)는 다이얼뭉치(20)에 결합되어 다이얼뭉치(20)를 회전시키는 조작레버(71)와, 조작레버(71)의 회전에 따라 다이얼뭉치(20)에서 설정링부(25)를 탈부착시키는 선택조작부(72)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작레버(71)는 다이얼뭉치(20)의 다이얼축(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작레버(71)와 선택조작부(72)를 통해 다이얼뭉치(20)에서 설정링부(25)를 간편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선택조작부(72)는 본체(10)에 구비되어 조작레버(71)가 관통 삽입되는 조작홀부(81)와, 조작레버(71)에 돌출 형성되는 선택가이드(82)와, 본체(10)에 구비되어 선택가이드(82)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조작경로부(83)를 포함한다. 이때, 조작레버(71)를 가압하여 다이얼축(21)을 이동시키면 설정링부(25)와 작동자(23)가 분리되고, 설정링부(25)와 작동자(23)가 분리된 상태에서 조작레버(71)를 회전시키면 선택가이드(82)가 조작경로부(83)로 이동 지지되어 설정링부(25)와 작동자(23)의 분리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선택조작부(72)는 다이얼뭉치(20)가 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작경로부(83) 또는 선택가이드(82)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조작경사부(84)를 더 포함한다. 그러면, 조작레버(71)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선택가이드(82)가 조작경로부(83)에서 조작경사부(84)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별도로 조작레버(71)를 가압하지 않아도 되고, 조작레버(71)의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조작부(72)는 선택가이드(82)에서 이격되어 조작레버(71)에 돌출 형성되는 제한가이드(85)와, 제한가이드(85)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한경로부(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조작레버(71)의 회전 상태를 확인하고, 다이얼뭉치(20)에서 설정링부(25)의 탈부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선택조작부(72)는 조작경사부(84)에 대응하여 제한경로부(86)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한경사부(87)를 더 포함한다. 그러면, 조작레버(71)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제한가이드(85)가 제한경로부(86)에서 제한경사부(87)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별도로 조작레버(71)를 가압하지 않아도 되고, 조작레버(71)의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변경선택부(70)는 다이얼뭉치(20)를 탄성 지지하는 조작탄성부(73)를 더 포함함으로써, 다이얼뭉치(20)에서 설정링부(25)를 분리하였다가 조작탄성부(73)의 탄성력에 의해 간편하게 다이얼뭉치(20)에서 설정링부(25)가 작동자(23)에 결합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에서 다이얼뭉치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 그리고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조작레버(71)를 다이얼뭉치(20)의 축 방향으로 가압하면, 축부지지부(22)가 조작탄성부(73)에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다이얼축(21)이 이동되어 작동자(23)에서 설정링부(25)를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레버(71)를 회전시키면 선택가이드(82)가 조작경로부(83)에 안착 지지되어 작동자(23)와 설정링부(25)의 분리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조작기어부(61)에 치합된 제2조작기어부(62)를 회전시키면 설정링부(25)만이 회전됨에 따라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반대로, 조작레버(71)를 원위치로 회전시키면 조작탄성부(73)의 탄성력에 의해 다이얼축(21)이 복귀되어 설정링부(25)와 작동자(2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조작기어부(61)에 치합된 제2조작기어부(62)를 회전시키면 설정링부(25)를 정렬함으로써, 설정링부(25)에 형성된 잠금홈(26)을 일렬로 정렬하고, 잠금홈(26)에 잠금봉(45)이 삽입됨은 물론 탄성후크부(43)가 전달편(47)의 걸림전달부(48)에 삽입 지지된다. 잠금봉(45)이 잠금홈(26)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다이얼(30)의 회전 동작으로 개폐편(54)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에서 개폐동작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 그리고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마스터키가 열쇠뭉치(52)에 결합되지 않는 경우, 열쇠뭉치(52)의 걸림돌부(521)가 개폐홈부(514)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므로 제1전달부(51)와, 열쇠뭉치(52)와, 제2전달부(53)와, 개폐편(54)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다이얼(30)의 회전에 따라 개폐편(54)을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마스터키가 열쇠뭉치(52)에 결합되는 경우, 열쇠뭉치(52)의 걸림돌부(521)가 개폐홈부(514)에서 이탈되므로 열쇠뭉치(52)와 제1전달부(51)의 결합이 해제되어 다이얼(30)의 회전을 개폐편(54)에 전달하지 못한다. 다만, 마스터키의 회전으로 제2전달부(53)를 회전시킴으로써, 개폐편(54)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따르면, 다이얼식 잠금장치에서 마스터키에 의해 도어를 개방한 후에 다이얼뭉치(20)에 구비되는 설정링부(25)를 회전시킴으로써, 마스터키를 제외하고 다이얼뭉치(20)를 회전시키는 다이얼(30)을 통해 다이얼식 잠금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얼뭉치(20)의 조작이 간편하고, 비밀번호의 변경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바디부(63)의 회전을 통해 변경조작부(60)에서 다이얼뭉치(2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바디부(63)의 탈부착을 통해 변경조작부(60)에서 제2조작기어부(62)의 교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경조작부(60)에서 제2조작기어부(62)의 마모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얼식 잠금장치에서 비밀번호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고, 다이얼뭉치(20)에서 설정링부(25)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얼뭉치(20)에서 설정링부(25)의 탈부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얼뭉치(20)의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다이얼뭉치(20)가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얼뭉치(20)의 이동에 따라 다이얼뭉치(20)의 이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다이얼뭉치(20)의 이동에 따라 다이얼뭉치(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조작부(72)의 회전에 따라 선택조작부(72) 또는 다이얼뭉치(20)의 유동을 방지하고, 다이얼뭉치(20)와 변경조작부(60)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얼뭉치(20)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다이얼뭉치(20)의 이동에 따른 외력을 감소시켜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얼뭉치(20)의 이동에 따라 제2조작기어부(62)가 다이얼뭉치(2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조작기어부(62)가 다이얼뭉치(20)에 안정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고정부 111: 제1고정부
112: 제2고정부 10: 본체
11: 외관커버 12: 전면커버
13: 후면커버 20: 다이얼뭉치
21: 다이얼축 22: 축부지지부
23: 작동자 25: 설정링부
26: 잠금홈 30: 다이얼
31: 고정축 32: 회전인식부
321: 텐션부 322: 요철부
40: 개폐전달부 41: 제3전달부
42: 제3전달기어부 43: 탄성후크부
44: 탄성축 45: 잠금봉
47: 전달편 48: 걸림전달부
50: 개폐동작부 51: 제1전달부
511: 제1전달기어부 513: 작동부
514: 개폐홈부 515: 회전부
52: 열쇠뭉치 521: 걸림돌부
53: 제2전달부 531: 개폐돌부
54: 개폐편 541: 개폐경로부
55: 키홈부 56: 지지가이드
561: 지지돌부 562: 지지경로부
60: 변경조작부 61: 제1조작기어부
62: 제2조작기어부 63: 조작바디부
64: 변경축부 65: 변경지지부
66: 아이들링부 70: 변경선택부
71: 조작레버 72: 선택조작부
81: 조작홀부 82: 선택가이드
83: 조작경로부 84: 조작경사부
85: 제한가이드 86: 제한경로부
87: 제한경사부 73: 조작탄성부

Claims (12)

  1.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이얼뭉치;
    상기 다이얼뭉치에 구비되고,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정렬되는 설정링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다이얼뭉치의 회전에 의해 개폐편을 작동시키는 개폐작동부; 및
    상기 다이얼뭉치에 결합되고, 상기 설정링부를 회전시켜 비밀번호를 변경시키는 변경조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조작부는 상기 설정링부에 형성되는 제1조작기어부;
    상기 제1조작기어부에 치합되는 제2조작기어부; 및
    상기 본체에서 상기 제2조작기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작바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조작부는,
    상기 본체에 상기 조작바디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변경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조작부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조작바디부에 형성되는 변경축부; 및
    상기 조작바디부가 탈부착되도록 상기 변경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변경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조작부는,
    상기 제1조작기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조작기어부와의 치합을 해제시키는 아이들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6.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뭉치에서 상기 설정링부를 탈부착시키는 변경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선택부는,
    상기 다이얼뭉치에 결합되어 상기 다이얼뭉치를 회전시키는 조작레버; 및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다이얼뭉치에서 상기 설정링부를 탈부착시키는 선택조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레버가 관통 삽입되는 조작홀부;
    상기 조작레버에 돌출 형성되는 선택가이드;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선택가이드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조작경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다이얼뭉치가 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조작경로부 또는 상기 선택가이드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조작경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선택가이드에서 이격되어 상기 조작레버에 돌출 형성되는 제한가이드; 및
    상기 제한가이드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한경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제한경로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한경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선택부는,
    상기 다이얼뭉치를 탄성 지지하는 조작탄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20140016942A 2014-02-13 2014-02-13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569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942A KR101569987B1 (ko) 2014-02-13 2014-02-13 다이얼식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942A KR101569987B1 (ko) 2014-02-13 2014-02-13 다이얼식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520A KR20150095520A (ko) 2015-08-21
KR101569987B1 true KR101569987B1 (ko) 2015-11-18

Family

ID=5405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942A KR101569987B1 (ko) 2014-02-13 2014-02-13 다이얼식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912B1 (ko) * 2016-01-04 2017-02-17 조기옥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금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448Y1 (ko) 2004-05-28 2004-08-09 김재식 키실린더 겸용 다이얼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448Y1 (ko) 2004-05-28 2004-08-09 김재식 키실린더 겸용 다이얼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520A (ko) 201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899B1 (ko) 사물함 손잡이
US10626635B2 (en) Locking device
KR101569987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EP2682549B1 (en) Case latch assembly
KR101573627B1 (ko) 차량 도어 손잡이용 레버장치
JP5479040B2 (ja) 傘立て用傘保持装置
JP6698407B2 (ja) 建具及び錠装置
JP5879058B2 (ja) 什器
KR101527693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513168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407437B1 (ko) 푸쉬-풀 타입 도어록
KR20140048687A (ko) 다중 래치 통합 배치형 멀티 록 장치 및 설치 방향 선택장치
JP2009024335A (ja) 錠装置
JP6497708B2 (ja) ファスナー用のダイヤル式符号錠
JP5018390B2 (ja) 可変シリンダ錠
JP6821112B2 (ja) プッシュボタン錠
JP3235340U (ja) ボタン式二輪車錠
KR101251077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200446702Y1 (ko)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KR102498722B1 (ko) 비밀번호 설정이 용이한 다이얼 자물쇠
JP5992714B2 (ja) 不正操作防止カム装置
JP6242445B2 (ja) 電動工具
JP7039131B2 (ja) 宅配ボックス
JP2010255198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15203273A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