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693B1 - 다이얼식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얼식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693B1
KR101527693B1 KR1020140177871A KR20140177871A KR101527693B1 KR 101527693 B1 KR101527693 B1 KR 101527693B1 KR 1020140177871 A KR1020140177871 A KR 1020140177871A KR 20140177871 A KR20140177871 A KR 20140177871A KR 101527693 B1 KR101527693 B1 KR 101527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opening
rotation
contac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40177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2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umbler discs or rings arranged on a single axis, each disc being adjustable independently of the ot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2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umbler discs or rings arranged on a single axis, each disc being adjustable independently of the others
    • E05B37/025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umbler discs or rings arranged on a single axis, each disc being adjustable independently of the others in pad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다이얼식 잠금장치는 본체와,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둘레에 번호가 기재된 복수개의 다이얼이 구비되는 다이얼뭉치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잠금부재를 작동시키는 레버부 및 레버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다이얼뭉치의 다이얼을 설정된 번호로 재배치하는 비밀번호 보호작동부를 포함하고, 비밀번호 보호작동부는 레버부의 회전을 다이얼의 회전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동력전달부에 의해 다이얼을 회동시켜 설정된 위치로 재배치되도록 하는 재배치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이얼식 잠금장치{DIAL TYPE LOCK DEVICE}
본 발명은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방을 위한 레버의 작동과 동시에 비밀번호를 차단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이란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함으로서 대중이 모이는 독서실, 학교, 목욕탕, 스포츠센터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함은 도어에 이름표를 넣을 수 있는 이름표함과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와 사물함의 도어하중으로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석과 금속판으로 형성된 고정부와 또한 사물함을 자물쇠를 이용하여 잠글 수 있도록 자물쇠걸편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물쇠를 열기 위한 키를 항상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부주의 하여 키를 잃어버리는 경우, 관리자가 보관하고 있는 키로 열어야 하거나 키를 복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사물함 관리자가 없는 사용자의 경우, 도어를 열 수 없어 자물쇠를 파손시켜 연 후, 다른 자물쇠로 교체해야 하는 사용상의 단점이 있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0684988호(공개일:2007.02.13)에는 "사물함 잠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개방작동시 노출되는 비밀번호를 레버부와 연동되어 다이얼이 설정된 번호로 재배치되게 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이얼식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둘레에 번호가 기재된 복수개의 다이얼이 구비되는 다이얼뭉치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잠금부재를 작동시키는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다이얼뭉치의 다이얼을 설정된 번호로 재배치하는 비밀번호 보호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밀번호 보호작동부는 상기 레버부의 회전을 상기 다이얼의 회전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다이얼을 회동시켜 설정된 위치로 재배치되도록 하는 재배치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자와, 상기 연결자 내부에 구비되어 마스터키에 의해 상기 연결자와 분리 또는 결합되는 열쇠뭉치와, 상기 열쇠뭉치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잠금부재와 연결되는 회전자 및 상기 열쇠뭉치와 연결되어 상기 열쇠뭉치를 작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레버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개폐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작동부는 상기 각각의 다이얼에 일체로 형성되고, 캠홈부가 형성되는 개폐링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고, 상기 다이얼 뭉치와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개폐링의 둘레면에 접촉되는 개폐축부와, 상기 개폐축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축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버부와 접촉되어 상기 레버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블럭 및 상기 개폐축부를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제1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축부는 상기 개폐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링에 접촉되도록 편심되게 연장되는 접촉분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레버부에 구비되는 편심리브와, 상기 편심리브와 접촉되어 수평이동되고, 제2복원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이동브라켓 및 상기 이동브라켓과 접촉되고, 상기 이동브라켓의 수평이동을 상기 재배치기어의 회전으로 전환시키는 전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재배치기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브라켓과 접촉되는 나선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이동브라켓의 수평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개폐축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조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조력부는 상기 이동브라켓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작동바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가압블럭과, 상기 작동바가 연결되도록 상기 가압블럭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바의 수평이동을 상기 가압블럭의 상하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홈부 및 상기 가압블럭에 접촉되도록 상기 개폐축부에 연장 형성되는 작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얼의 회전 작동감을 부여하는 텐션부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션부여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다이얼의 작동기어에 치합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션부여부는 상기 레버부의 작동에 연동되어 상기 탄성편과 상기 작동기어의 접촉을 해제시키는 접촉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해제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고, 상기 다이얼뭉치와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탄성편이 고정되는 회동편부와, 상기 회동편부에 편심되게 구비되는 해제작동바 및 상기 해제작동바와 접촉되도록 상기 레버부에 편심되게 형성되는 접촉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는 도어의 개방시 비밀번호 보호작동부에 의해 다이얼 뭉치의 다이얼이 재배치됨으로써, 비밀번호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밀번호 보호작동부의 작동이 도어의 개방을 위한 레버부의 회전과 연동되므로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텐션부여부가 구비되어 다이얼의 회전시 작동감을 느끼게 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텐션부여부가 접촉해제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비밀번호 보호작동부의 작동시 원활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개폐작동부를 보인 도 4의 A-A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개폐작동부의 작동을 보인 도 4의 B-B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비밀번호 보호작동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회전조력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텐션부여부를 보인 도 4의 C-C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개폐작동부를 보인 도 4의 A-A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개폐작동부의 작동을 보인 도 4의 B-B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비밀번호 보호작동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회전조력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텐션부여부를 보인 도 4의 C-C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122)식 잠금장치(100)는 본체(110), 다이얼뭉치(120), 레버부(130), 비밀번호 보호작동부(15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전면케이스(112)와 후면케이스(115)로 이루어진다. 전면케이스(112)에는 레버부(130)가 일부 노출되는 개구홀(113)과 다이얼뭉치(120)가 일부 노출되는 노출홀(114)이 형성되고, 후면케이스(115)에는 다이얼뭉치(120)와 레버부(130)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면케이스(112)는 도어의 설치공보다 크게 형성되고, 후면케이스(115)는 도어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도어의 후면에는 후면케이스(115)와 도어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118)가 구비된다.
다이얼뭉치(120)는 본체(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둘레에 번호가 기재된 복수개의 다이얼(122)이 구비된다. 즉, 다이얼뭉치(12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중심축(125)에 복수개의 다이얼(12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다이얼(122)에는 전면케이스(112)의 노출홀(114)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다이얼(122)을 회전시킬 수 있는 다이얼기어(124)가 구비된다.
레버부(130)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잠금부재(139)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레버부(130)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자(132)와, 연결자(132) 내부에 구비되어 마스터키에 의해 연결자(132)와 분리 또는 결합되는 열쇠뭉치(134)와, 열쇠뭉치(134)의 후단에 연결되어 잠금부재(139)와 연결되는 회전자(136) 및 열쇠뭉치(134)와 연결되어 열쇠뭉치(134)를 작동시키는 레버(138)를 포함한다.
열쇠뭉치(134)의 내부에는 연결핀(미도시)이 구비되어 연결자(132)의 내측홈에 끼워져 열쇠뭉치(134)와 연결자(132)는 함께 회전된다. 반면에, 열쇠뭉치(134)의 내부에 마스터키가 삽입되면, 연결핀이 열쇠뭉치(134)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열쇠뭉치(134)와 연결자(132)는 결합이 해제되어 열쇠뭉치(134) 단독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개폐작동부(140)는 도 6과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122)의 회전에 연동되어 레버부(130)의 회전을 단속한다. 이러한 개폐작동부(140)는 각각의 다이얼(122)에 일체로 형성되고, 캠홈부(142)가 형성되는 개폐링(141)과,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고, 다이얼뭉치(120)와 나란하게 구비되며, 각각의 개폐링(141)의 둘레면에 접촉되는 개폐축부(143)와, 개폐축부(143)에 구비되어 개폐축부(143)의 회전에 의해 레버부(130)와 접촉되어 레버부(130)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블럭(146) 및 개폐축부(143)를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제1복원부재(149)를 포함한다.
개폐축부(143)에는 각각의 개폐링(141)과 접촉되도록 개폐축부(143)에서 편심되게 연장되는 접촉분기바(144)가 구비된다. 다이얼(122)의 측면에는 캠홈부(142)가 형성된 개폐링(141)이 일체로 형성되며, 개폐링(141)은 접촉분기바(144)의 단부와 접촉된다. 이때, 접촉분기바(144)의 단부에는 개폐링(141)의 캠홈부(142)에 수용되도록 돌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다이얼(122)의 회전에 의해 접촉분기바(144)의 돌기가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으며, 캠홈부(142)와 돌기의 결합 또는 해제에 의해 개폐축부(143)는 회전될 수 있으며, 개폐축부(143)의 회전에 의해 단속블럭(146)이 레버부(130)의 결속홈(132a)과 대응되어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즉, 최초 단속블럭(146)은 결속홈(132a)에 수용된 상태로, 레버부(130)의 회전을 구속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다이얼(122)을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다이얼(122)의 회전에 의해 개폐링(141)의 캠홈부(142)와 접촉분기바(144)의 돌기가 결합되면, 개폐축부(143)가 회전되어 단속블럭(146)은 결속홈에서 이탈되므로써, 레버부(130)는 회전될 수 있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는 접촉분기바(144)와 단속블럭(146)이 개폐축부(143)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되어 피벗운동하므로 가능하다.
이때, 단속블럭(146)은 후면케이스(115)에 구비되는 가이드홈부(116)내에 구비되어 직선으로 안내될 수 있다.
단속블럭(146)은 개폐축부(143)와 별물로 이루어진다. 즉, 개폐축부(143)에는 연결편(145)이 형성되고, 단속블럭(146)에는 연결편(145)이 수용되는 수용홈(147)이 형성된다. 이는 단속블럭(146)이 개폐축부(143)의 궤적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상하 직선운동하기 위한 구조이다. 그리고, 단속블럭(146)은 복원스프링(148)에 의해 본체(110)에 탄성지지된다.
비밀번호 보호작동부(150)는 도 6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130)의 회전에 연동되어 다이얼뭉치(120)의 다이얼(122)을 설정된 번호로 재배치한다. 이러한 비밀번호 보호작동부(150)는 레버부(130)의 회전을 다이얼(122)의 회전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51) 및 동력전달부(151)에 의해 다이얼(122)을 회전시켜 설정된 위치로 재배치되도록 하는 재배치기어(157)를 포함한다. 이때, 다이얼(122)에는 연동기어(126)가 일체로 구비되고, 연동기어(126)는 재배치기어(157)와 치합된다.
동력전달부(151)는 레버부(130)에 구비되는 편심리브(152)와, 편심리브(152)와 접촉되어 수평이동되고, 제2복원부재(153a)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이동브라켓(153) 및 이동브라켓(153)과 접촉되고 이동브라켓(153)의 수평이동을 재배치기어(157)의 회전으로 전환시키는 전환부재(155)를 포함한다.
전환부재(155)는 재배치기어(157)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동브라켓(153)과 접촉되는 나선기어가 형성된다. 이동브라켓(153)에는 전환부재(155)와 접촉되는 접촉홈부(154)가 형성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151)는 이동브라켓(153)의 수평이동에 연동되어 개폐축부(143)를 회전시키는 회전조력부(160)를 포함한다. 회전조력부(160)는 도 6과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브라켓(153)의 하부로 연장되는 작동바(162)와, 본체(11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가압블럭(164)과, 가압블럭(164)과 작동바(162)가 연결되도록 가압블럭(164)에 형성되어 작동바(162)의 수평이동을 가압블럭(164)의 상하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홈부(166) 및 가압블럭(164)에 접촉되도록 개폐축부(143)에 연장 형성되는 작동편(168)을 포함한다. 즉, 가압블럭(164)은 본체(11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환홈부(166)는 굴곡지게 형성되어 이동브라켓(153)의 수평이동이 가압블럭(164)의 상하 이동으로 전환되며, 이러한 가압블럭(164)의 가압력은 개폐축부(143)의 작동편(168)을 눌러 접촉분기바(144)가 개폐링(141)의 캠홈부(142)에서 원활하게 빠져나오도록 돕는다.
한편, 다이얼(122)의 회전 작동감을 부여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텐션부여부(170)가 구비된다. 텐션부여부(170)는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각각의 다이얼(122)의 다이얼기어(124)에 치합되는 탄성편(175)을 포함한다. 그리고, 텐션부여부(170)는 레버부(130)의 작동에 연동되어 탄성편(175)이 다이얼기어(124)와의 접촉을 해제시키는 접촉해제부(180)를 포함한다. 접촉해제부(180)는 비밀번호 보호작동부(150)에 의해 다이얼(122) 재배치 작동을 방해하는 탄성편(175)의 마찰력을 제거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접촉해제부(180)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고, 다이얼뭉치(120)와 나란하게 구비되며, 탄성편(175)이 고정되는 회동편부(182)와, 회동편부(182)에 편심되게 구비되는 해제작동바(184) 및 해제작동바(184)와 접촉되도록 레버부(130)에 편심되게 형성되는 접촉리브(165)를 포함한다. 즉, 도 6과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리브(165)와 해제작동바(184)가 접촉된 상태에서는 회동편부(182)가 탄성편(175)과 다이얼기어(124)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키고, 접촉리브(165)와 해제작동바(184)의 접촉이 해제되면, 회동편부(182)가 회전되어 탄성편(175)과 다이얼기어(124)의 치합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탄성편(175)의 마찰없이 다이얼(122)이 회전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이얼식 잠금장치(100)의 잠금상태는 단속블럭(146)이 레버부(130)의 결속홈(132a)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레버부(130)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접촉분기바(144)의 돌기가 개폐링(141)의 캠홈부(142)로부터 이탈된 상태이므로 개폐축부(143)를 중심으로 단속블럭(146)의 상단이 결속홈(132a)에 수용된 상태이다.
이후, 도 6과 도 7를 참조하면, 다이얼(122)식 잠금장치(100)의 잠김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이얼(122)을 회전시켜 설정된 비밀번호를 정렬하게 되면, 다이얼(122)의 회전에 의해 개폐링(141)의 회전되어 개폐링(141)의 캠홈부(142)와 접촉분기바(144)의 돌기가 상호 결속된다. 이로 인해 개폐축부(143)는 제1복원부재(149)에 의해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연결편(145)이 회전되고, 연결편(145)과 연결된 단속블럭(146)이 하강하게 되어 결속홈(132a)으로부터 이탈되므로써, 레버(138)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레버(138)를 돌려 잠금부재(139)를 회동시킴으로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레버(138)의 회전과 동시에 비밀번호는 비밀번호 보호작동부(150)에 의해 재배치되어 비밀번호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6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버(138)를 회전시키면, 레버(138)에 형성되는 편심리브(152)가 이동브라켓(153)에 접촉되면서 이동브라켓(153)을 수평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브라켓(153)의 수평이동은 재배치기어(157)를 회전시킨다. 이는 이동브라켓(153)이 나선기어로 이루어지는 전환부재(155)에 의해 재배치기어(157)의 회전으로 전환되고, 재배치기어(157)의 회전은 다이얼(122)에 형성되는 연동기어(126)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이얼(122)이 설정된 위치로 재배치된다.
재배치기어(157)는 다이얼(122)의 회전과 연동되므로 비밀번호를 맞추기 위해 다이얼(122)이 회전된 만큼 회전된 상태이고, 레버부(130)의 회전에 의한 이동브라켓(153)의 수평이동은 전환부재(155)와의 접촉상태만큼 재배치기어(157)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다이얼(122)을 첫 설정된 위치로 돌아갈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최초 다이얼(122)의 '0000' 위치에서 비밀번호를 맞추기 위해 다이얼(122)을 회전시키면, 재배치기어(157) 또한 동일하게 회전된 상태이고,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레버(138)의 회전시 이동브라켓(153)이 전환부재(155)를 가압한 만큼 재배치기어(157)가 회전될 수 있으므로 다이얼(122)을 다시 '0000'으로 재배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레버(138)의 작동과 동시에 비밀번호는 노출되지 않고 비밀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이얼(122)이 설정된 위치로 재배치되면서, 개폐링(141)이 회전되고, 캠홈부(142)에서 접촉분기바(144)의 돌기가 이탈되면서 개폐축부(143)가 회동되므로 연결편(145)은 단속블럭(146)의 수용홈(147)에서 상승된다.
또한, 이동브라켓(153)의 수평이동은 작동바(162)에 의해 가압블럭(164)을 하강시키고, 개폐축부(143)의 작동편(168)을 가압함으로써, 개폐축부(143)의 회동력을 부가하여 원활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어의 개방이후, 사물함 수납이 완료되면,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레버(138)를 최초위치로 회전시키면, 결속홈(132a)과 단속블럭(146)이 일치되고, 단속블럭(146)은 복원스프링(148)에 의해 탄동되어 결속홈(132a)에 일부 수용되어 레버부(13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어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다이얼(122)은 텐션부여부(170)에 의해 회전 작동감을 부여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탄성편(175)이 다이얼기어(124)와 치합되므로써, 다이얼(122)의 회전 작동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어 사용자는 촉감으로 다이얼(122)의 회전정도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텐션부여부(170)는 레버부(130)의 작동에 연동되어 탄성편(175)과 다이얼기어(124)의 접촉을 해제할 수 있어 비밀번호 보호작동부(15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한다. 이는 도 6과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130)의 회전에 의해 접촉리브(165)와 해제작동바(184)가 접촉된 상태에서는 회동편부(182)가 탄성편(175)과 작동기어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키고, 접촉리브(165)와 해제작동바(184)의 접촉이 해제되면, 회동편부(182)가 회전되어 탄성편(175)과 다이얼기어(124)의 치합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탄성편(175)의 마찰없이 다이얼(122)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개방시 비밀번호 보호작동부에 의해 다이얼 뭉치의 다이얼이 재배치됨으로써, 비밀번호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다이얼식 잠금장치 112 : 전면케이스
113 : 개구홀 114 : 노출홀
115 : 후면케이스 118 : 고정플레이트
120 : 다이얼뭉치 122 : 다이얼
124 : 다이얼기어 125 : 다이얼중심축
126 : 연동기어 130 : 레버부
132 : 연결자 132a : 결속홈
134 : 열쇠뭉치 136 : 회전자
138 : 레버 139 : 잠금부재
140 : 개폐작동부 141 : 개폐링
142 : 캠홈부 143 : 개폐축부
144 : 접촉분기바 145 : 연결편
146 : 단속블럭 147 : 수용홈
148 : 복원스프링 149 : 제1복원부재
150 : 비밀번호 보호작동부 151 : 동력전달부
152 : 편심리브 153 : 이동브라켓
153a : 제2복원부재 154 : 접촉홈부
155 : 전환부재 157 : 재배치기어
160 : 회전조력부 162 : 작동바
164 : 가압블럭 166 : 전환홈부
168 : 작동편 170 : 텐션부여부
175 : 탄성편 180 : 접촉해제부
182 : 회동편부 184 : 해제작동바
186 : 접촉리브

Claims (12)

  1.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둘레에 번호가 기재된 복수개의 다이얼이 구비되는 다이얼뭉치;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잠금부재를 작동시키는 레버부;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레버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개폐작동부; 및
    상기 레버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다이얼뭉치의 다이얼을 설정된 번호로 재배치하는 비밀번호 보호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밀번호 보호작동부는 상기 레버부의 회전을 상기 다이얼의 회전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다이얼을 회동시켜 설정된 위치로 재배치되도록 하는 재배치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작동부는 상기 각각의 다이얼에 일체로 형성되고, 캠홈부가 형성되는 개폐링;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고, 상기 다이얼 뭉치와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개폐링의 둘레면에 접촉되는 개폐축부;
    상기 개폐축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축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버부와 접촉되어 상기 레버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블럭; 및
    상기 개폐축부를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제1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자;
    상기 연결자 내부에 구비되어 마스터키에 의해 상기 연결자와 분리 또는 결합되는 열쇠뭉치;
    상기 열쇠뭉치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잠금부재와 연결되는 회전자; 및
    상기 열쇠뭉치와 연결되어 상기 열쇠뭉치를 작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축부는 상기 개폐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링에 접촉되도록 편심되게 연장되는 접촉분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레버부에 구비되는 편심리브;
    상기 편심리브와 접촉되어 수평이동되고, 제2복원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이동브라켓; 및
    상기 이동브라켓과 접촉되고, 상기 이동브라켓의 수평이동을 상기 재배치기어의 회전으로 전환시키는 전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재배치기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브라켓과 접촉되는 나선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이동브라켓의 수평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개폐축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조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력부는 상기 이동브라켓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작동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가압블럭;
    상기 작동바가 연결되도록 상기 가압블럭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바의 수평이동을 상기 가압블럭의 상하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홈부; 및
    상기 가압블럭에 접촉되도록 상기 개폐축부에 연장 형성되는 작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의 회전 작동감을 부여하는 텐션부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여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다이얼의 작동기어에 치합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여부는 상기 레버부의 작동에 연동되어 상기 탄성편과 상기 작동기어의 접촉을 해제시키는 접촉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해제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고, 상기 다이얼뭉치와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탄성편이 고정되는 회동편부;
    상기 회동편부에 편심되게 구비되는 해제작동바; 및
    상기 해제작동바와 접촉되도록 상기 레버부에 편심되게 형성되는 접촉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20140177871A 2014-12-10 2014-12-10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527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871A KR101527693B1 (ko) 2014-12-10 2014-12-10 다이얼식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871A KR101527693B1 (ko) 2014-12-10 2014-12-10 다이얼식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693B1 true KR101527693B1 (ko) 2015-06-09

Family

ID=5350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871A KR101527693B1 (ko) 2014-12-10 2014-12-10 다이얼식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6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241B1 (ko) 2017-11-14 2017-12-29 송정기 비밀번호 비노출형 다이얼 잠금장치
KR101851499B1 (ko) * 2017-06-15 2018-04-24 황상식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8897A (ja) * 2009-04-14 2010-11-04 Sinox Lock (Kunshan) Co Ltd コンビネーションロックの自動ゼロセット装置
KR101160811B1 (ko) * 2011-12-09 2012-06-29 장근대 다이얼식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8897A (ja) * 2009-04-14 2010-11-04 Sinox Lock (Kunshan) Co Ltd コンビネーションロックの自動ゼロセット装置
KR101160811B1 (ko) * 2011-12-09 2012-06-29 장근대 다이얼식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499B1 (ko) * 2017-06-15 2018-04-24 황상식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KR101813241B1 (ko) 2017-11-14 2017-12-29 송정기 비밀번호 비노출형 다이얼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48460B (zh) 开关装置
JP2012041814A (ja) 鍵箱
CN101435296A (zh) 具有复位机构的安全装置
JP7036356B2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CN103228856B (zh) 用于开门的系统,特别是用于家用器具门的系统
US9416568B2 (en) Door lock device with an opening button
JP6777679B2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AU2013270983B2 (en) Locking device
KR101527693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513168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0674684B1 (ko) 이중잠금 자동해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
TW500676B (en) Protective device of cylinder lock
CN110010388A (zh) 带有可锁定致动旋钮的旋转式隔离开关
KR101569987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569991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102285508B1 (ko)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
KR100721976B1 (ko) 도어개폐장치
KR101686769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102145715B1 (ko)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
KR101914433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WO2009090981A1 (ja) 施解錠装置
JP6945228B2 (ja) かばん・ケース類の錠前
KR101569990B1 (ko) 사물함 잠금장치
GB2580543A (en) Safety plug
KR101429876B1 (ko)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