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876B1 -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876B1
KR101429876B1 KR1020140023844A KR20140023844A KR101429876B1 KR 101429876 B1 KR101429876 B1 KR 101429876B1 KR 1020140023844 A KR1020140023844 A KR 1020140023844A KR 20140023844 A KR20140023844 A KR 20140023844A KR 101429876 B1 KR101429876 B1 KR 101429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key bar
bar
couple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4002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E05B65/46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for two or more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복합캐비넷 잠금장치는: 도어가 구비된 수납부와 다수의 서랍이 구비된 복합캐비넷에 있어서, 수납부에 구비되는 조작부 및 조작부의 작동에 의해 서랍을 로킹시키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캐비넷 잠금장치{LOCKING DEVCE FOR COMBINATION CABINET}
본 발명은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서랍을 동시에 잠금할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다양한 캐비넷에 적용될 수 있는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비넷은 물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수납부가 구비된 몸체와 이 몸체의 전면에 구성되는 도어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캐비넷은 수납부에 물품을 넣어 보관하는 것으로, 전면에 구성되는 도어를 열어 수납부에 보관된 물품을 꺼내고, 다시 도어를 닫아 수납부에 넣어진 물품을 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도어가 구비되는 수납부와 더불어 전방으로 인출되는 다수의 서랍이 구비되는 복합 캐비넷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복합 캐비넷의 서랍은 로킹수단이 없거나 로킹수단이 있더라도 각각 로킹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국내 등록 실용신안 제0314654호(등록일: 2003.05.15)에는 "캐비닛의 잠금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서랍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 동시에 잠금할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다양한 캐비넷에 적용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복합캐비넷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는: 도어가 구비된 수납부와 다수의 서랍이 구비된 복합캐비넷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 구비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서랍을 로킹시키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수납부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킹부와 힌지 연결되는 조작바 및 상기 조작바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바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연장되는 조작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조작손잡이가 수용되어 상기 조작바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납부에 고정되는 후면케이스와, 상기 후면케이스에 결합되는 전면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면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손잡이의 이동구간을 제한하는 이동홈부 및 상기 이동홈부를 양분하도록 상기 후면케이스에 형성되는 구획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케이스와 상기 전면케이스는 상호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면케이스에는 상기 수납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킹부는 상기 조작부의 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키바 및 상기 키바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서랍의 접촉부와 상기 키바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로킹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킹부는 상기 키바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바는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는 연결키바 및 상기 연결키바와 별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킹돌기가 형성되는 로킹키바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변경부는 상기 연결키바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키바의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홈부 및 상기 수용홈부에 결합된 상기 로킹키바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바는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는 연결키바 및 상기 연결키바와 별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킹돌기가 형성되는 로킹키바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변경부는 상기 연결키바에서 상기 로킹키바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킹키바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캐비닛 잠금장치는 복수의 서랍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 동시에 잠금할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캐비넷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간단한 형상에 의해 조작바가 구속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한 효과를 지니며, 외부로 돌출된 조작손잡이의 위치를 정확하게 구속할 수 있어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키바가 연결키바와 로킹키바로 이루어지며, 로킹키바가 방향전환부에 의해 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 서랍의 위치에 상관없이 다양한 캐비넷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가 적용된 캐비넷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의 방향전환부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A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의 작동에 의한 서랍 잠금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가 적용된 캐비넷을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의 방향전환부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A-A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의 작동에 의한 서랍 잠금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10) 잠금장치(100)는 도어(25)가 구비된 수납부(20)와 다수의 서랍(30)이 구비된 복합캐비넷(10)에 있어서, 수납부(20)에 구비되는 조작부(110) 및 조작부(110)의 작동에 의해 서랍(30)을 로킹시키는 로킹부(160)를 포함한다.
우선, 수납부(2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5)가 구비된다. 도어(25)는 경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별도의 잠금장치(100)가 마련된다. 그리고, 서랍(30)은 수납부(20)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전면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개폐된다.
조작부(110)는 로킹부(16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수납부(20)에 결합되는 케이스(120)와 케이스(120)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로킹부(160)와 힌지 연결되는 조작바(130) 및 조작바(13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케이스(120)는 수납부(20)에 고정되는 후면케이스(121)와, 후면케이스(121)에 결합되는 전면케이스(123)를 포함한다. 후면케이스(121)에는 조작바(13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홈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조작바(130)는 슬라이드홈부(122)에 구비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다. 또한, 조작바(130)는 케이스(1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고, 케이스(120) 외측으로 연장되는 조작손잡이(132)가 구비된다.
이때, 조작바(130)의 상단부와 슬라이드홈부(122)의 상단부에는 조작바(130)의 위치를 가정하는 가고정부(150)가 구비된다. 가고정부(150)는 조작바(13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고정홈부(152) 및 가고정홈부(152)에 결합되도록 슬라이드홈부(122)에 형성되는 가고정돌기부(155)를 포함한다. 가고정홈부(152)는 가고정돌기부(155)가 진입하는 진입부(153) 및 진입부(153)와 연통되며, 조작바(130)의 회전에 의해 가고정돌기부(155)가 수용되는 회동수용부(154)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고정돌기부(155)는 자체탄성을 지니며, 진입부(153)의 보다 다소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는 진입부(153)와 가고정돌기부(155)의 접촉에 의해 작동감을 느낄 수 있다.
고정부(140)는 전면케이스(123)에 형성되어 조작손잡이(132)의 이동구간을 제한하는 이동홈부(142) 및 이동홈부(142)를 양분하도록 후면케이스(121)에 형성되는 구획돌기부(144)를 포함한다.
구획돌기부(144)의 단부에는 조작손잡이(132)의 회동 시 접촉되는 접촉돌기(145)가 형성된다. 접촉돌기(145)는 조작바(130)의 회동 시 조작손잡이(132)와 접촉되어 조작손잡이(132)의 작동감을 느끼게 한다.
후면케이스(121)와 전면케이스(123)는 상호 결합되는 제1결합부(124)가 구비되고, 후면케이스(121)에는 수납부(20)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127)가 구비된다. 제1결합부(124)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케이스(121)에 형성되는 결합턱(125) 및 결합턱(125)에 결속되도록 전면케이스(123)에 돌출 형성되는 후크(126)를 포함한다. 제2결합부(127)는 후면케이스(121)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결합홀(128a)이 형성되는 결합브라켓(128)으로 이루어져 결합부재(129)에 의해 수납부(20)의 내벽에 결합된다. 결합홀(128a)은 후면케이스(121)의 내부에 형성되어 결합부재(129)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로킹부(160)는 조작부(110)의 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키바(162) 및 키바(162)에 돌출 형성되어 키바(162)의 이동에 따라 서랍(30)의 걸림부(32)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로킹돌기(165)를 포함한다. 키바(162)는 서랍(30)의 전체 높이와 대응되도록 연장되고, 로킹돌기(165)는 서랍(30)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키바(162)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서랍(30)의 내측면에는 키바(162)가 수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가이드홈부(34)가 형성된다. 가이드홈부(34)는 서랍(3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복합캐비넷(10)의 측벽을 기준으로 서랍(30)의 위치에 맞게 가이드홈부(34)가 형성된다.
그리고, 로킹부(160)는 키바(162)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170)가 구비된다. 여기서, 키바(162)는 조작부(110)와 연결되는 연결키바(163) 및 연결키바(163)와 별개로 이루어지고, 로킹돌기(165)가 형성되는 로킹키바(164)를 포함한다. 연결키바(163)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바(130)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방향전환부(170)는 연결키바(163)에 형성되어 로킹키바(164)의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홈부(172) 및 수용홈부(172)에 결합된 로킹키바(164)를 고정하는 체결부재(174)를 포함한다. 따라서, 방향전환부(170)에 의해 연결키바(163)와 로킹키바(164)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연결키바(163)로부터 로킹키바(164)를 분리하여 방향을 변경하여 결합함으로써, 로킹돌기(165)의 돌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방향전환부(270)의 변형예로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부(270)는 연결키바(163)에서 로킹키바(164)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전부(272) 및 회전부(272)에 구비되어 로킹키바(164)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275)를 포함한다. 회전부(272)는 로킹키바(164)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273)과, 회전축(27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연결키바(163)에 형성되는 회전홈부(274)로 이루어지고, 위치고정부(275)는 회전홈부(274)에 형성되는 위치고정홈(276)과, 위치고정홈(276)에 결합되도록 회전축(273)에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277)로 이루어진다. 각 위치고정홈(276)과 위치고정돌기(277)는 180도에 위치되므로 연결키바(163)로부터 로킹키바(164)의 방향을 180도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의 설치를 살펴보면, 도 5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키바(162)가 수납부(20) 및 서랍(30)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4)에 삽입된다. 이때, 가이드홈부(34)는 서랍(3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서랍(30)이 수납부(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과 서랍(30)이 수납부(20)의 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그에 맞게 가이드홈부(34)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로킹돌기(165)는 서랍(30)측으로 돌출되도록 방향전환부(170)에 의해 로킹키바(164)의 방향을 선택하여 결합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키바(163)의 수용홈부(172)로부터 로킹키바(164)를 분리하여 서랍(30)의 위치에 맞게 재조립한다. 또한, 도 7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부(270)의 변형예로서, 로킹키바(164)를 회전축(273)으로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위치고정홈(276)에서 위치고정돌기(277)가 이탈되어 회전되고, 위치고정홈(276)과 위치고정돌기(277)가 재조립됨으로써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방향전환부(170,270)에 의해 로킹키바(164)의 로킹돌기(165)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서랍(30)의 위치가 다른 다양한 캐비넷에 적용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수납부(20)의 내측면에 후면케이스(121)를 제2결합부(127)에 의해 조립한다. 즉, 후면케이스(121)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결합홀(128a)이 형성되는 결합브라켓(128)에 결합부재(129)가 결합되어 조립될 수도 있고, 후면케이스(121)의 내측에 구비되는 결합홀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케이스(121)의 슬라이드홈부(122)에 조작바(130)를 안착시킨 후 전면케이스(123)를 조립한다. 전면케이스(123)는 후크(126)가 후면케이스(121)의 결합턱(125)에 결합되므로써, 상호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는 전면케이스(123)의 이동홈부(142)측으로 조작바(130)의 조작손잡이(132)가 돌출되고, 이동홈부(142)는 구획돌기부(144)에 의해 이동홈부(142)를 분할하고 있으며, 조작손잡이(132)는 구획돌기부(144)에 의해 분할된 공간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로킹부(160)를 작동시킨다.
이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손잡이(132)를 파지하여 조작바(130)를 하부로 내리고, 조작손잡이(132)를 회동시켜 이동홈부(142)의 하측에 고정하게 되면, 키바(162)가 하부로 이동되어 서랍(30)의 걸림부가 로킹돌기(165)와 간섭되지 않으므로 서랍(30)을 개방할 수 있으며, 서랍(30)을 잠금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손잡이(132)를 파지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이동홈부(142)의 하측에서 이탈시킨 후 조작바(130)를 상승시켜 같은 방식으로 조작손잡이(132)를 이동홈부(142)의 상측에 고정시키며, 키바(162)가 상부로 이동되어 로킹돌기(165)와 서랍(30)의 걸림부(32)가 간섭되므로 서랍(30)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9참조)
조작바(130)의 상승시 조작바(130)의 상단에 형성된 가고정홈부(152)와 슬라이드홈부(122)의 가고정돌기부(155)에 의해 키바(162)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작손잡이(132)가 정확한 위치로 회동될 수 있으며, 가고정부(150)에 의해 사용자에게 작동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구획돌기부(144)에는 접촉돌기(145)가 형성되어 조작바(130)의 회동시 사용자에게 작동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작손잡이(132)를 파지하여 회동시키고, 조작바(130)를 상하 이동시켜 키바(162)를 이동시킴으로써, 모든 서랍(30)을 동시에 잠금, 잠금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캐비넷 잠금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서랍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 동시에 잠금할 수 있고, 수납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감을 향상시키고, 서랍의 위치에 상관없이 다양한 캐비넷에 적용될 수 있어 호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110 : 조작부
120 : 케이스 121 : 후면케이스
122 : 슬라이드홈부 123 : 전면케이스
124 : 제1결합부 125 : 결합턱
126 : 후크 127 : 제2결합부
128 : 결합브라켓 128a : 결합홀
129 : 결합부재 130 : 조작바
132 : 조작손잡이 140 : 고정부
142 : 이동홈부 144 : 구획돌기부
145 : 접촉돌기 150 : 가고정부
152 : 가고정홈부 153 : 진입부
154 : 회동수용부 155 : 가고정돌기부
160 : 로킹부 162 : 키바
163 : 연결키바 164 : 로킹키바
165 : 로킹돌기 170 : 방향전환부
172 : 수용홈부 174 : 체결부재
270 : 방향전환부 272 : 회전부
273 : 회전축 274 : 회전홈부
275 : 위치고정부 276 : 위치고정홈
277 : 위치고정돌기

Claims (9)

  1. 도어가 구비된 수납부와 다수의 서랍이 구비된 복합캐비넷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 구비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서랍을 로킹시키는 로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조작부의 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키바; 및
    상기 키바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서랍의 접촉부와 상기 키바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로킹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부는 상기 키바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바는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는 연결키바; 및
    상기 연결키바와 별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킹돌기가 형성되는 로킹키바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변경부는 상기 연결키바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키바의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홈부; 및
    상기 수용홈부에 결합된 상기 로킹키바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수납부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킹부와 힌지 연결되는 조작바; 및
    상기 조작바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바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연장되는 조작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조작손잡이가 수용되어 상기 조작바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납부에 고정되는 후면케이스와;
    상기 후면케이스에 결합되는 전면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면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손잡이의 이동구간을 제한하는 이동홈부; 및
    상기 이동홈부를 양분하도록 상기 후면케이스에 형성되는 구획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케이스와 상기 전면케이스에는 상호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면케이스에는 상기 수납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도어가 구비된 수납부와 다수의 서랍이 구비된 복합캐비넷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 구비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서랍을 로킹시키는 로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조작부의 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키바; 및
    상기 키바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서랍의 접촉부와 상기 키바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로킹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부는 상기 키바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바는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는 연결키바; 및
    상기 연결키바와 별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킹돌기가 형성되는 로킹키바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변경부는 상기 연결키바에서 상기 로킹키바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킹키바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로킹키바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키바에 형성되는 회전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회전홈부에 형성되는 위치고정홈; 및
    상기 위치고정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KR1020140023844A 2014-02-28 2014-02-28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KR101429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844A KR101429876B1 (ko) 2014-02-28 2014-02-28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844A KR101429876B1 (ko) 2014-02-28 2014-02-28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876B1 true KR101429876B1 (ko) 2014-08-12

Family

ID=5175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844A KR101429876B1 (ko) 2014-02-28 2014-02-28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8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940A (ja) * 1991-06-05 1994-03-15 Okamura Corp ファイリングキャビネット等における引出しの同時引き出し防止装置
JP2508242B2 (ja) * 1989-02-28 1996-06-19 コクヨ株式会社 ワゴンの引出し施錠装置
KR200337637Y1 (ko) 2003-09-29 2004-01-03 (주)아거스 자동 도어록 시스템의 스핀들
KR20110011865A (ko) * 2009-07-29 2011-02-09 주식회사 코아스웰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8242B2 (ja) * 1989-02-28 1996-06-19 コクヨ株式会社 ワゴンの引出し施錠装置
JPH0673940A (ja) * 1991-06-05 1994-03-15 Okamura Corp ファイリングキャビネット等における引出しの同時引き出し防止装置
KR200337637Y1 (ko) 2003-09-29 2004-01-03 (주)아거스 자동 도어록 시스템의 스핀들
KR20110011865A (ko) * 2009-07-29 2011-02-09 주식회사 코아스웰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3715B1 (en) Dual hinged dispenser cabinet
KR100927899B1 (ko) 사물함 손잡이
KR101888253B1 (ko) 접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US11591821B2 (en) Modular closure device for different closure elements
KR101332705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102519B1 (ko)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KR101549511B1 (ko) 도어 핸들
KR101429876B1 (ko)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KR101154433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917565B1 (ko) 접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KR101689788B1 (ko)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의 잠금장치
KR10215333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932986B1 (ko)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KR101084052B1 (ko)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
KR101366652B1 (ko) 번호 노출 방지용 가림판을 갖는 이너 락
KR101569991B1 (ko) 사물함 잠금장치
EP3390752B1 (en) Piece of furniture with improved handle
KR10220209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2015200064A (ja) グローブボックスのロック機構
KR102276666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2044630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1395941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2659785B1 (ko) 도어 닫힘유지와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다이얼식 키박스가 적용된 수납가구
KR102179650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2019107265A (ja) 家具におけるハンドル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