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052B1 -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 - Google Patents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052B1
KR101084052B1 KR1020090069309A KR20090069309A KR101084052B1 KR 101084052 B1 KR101084052 B1 KR 101084052B1 KR 1020090069309 A KR1020090069309 A KR 1020090069309A KR 20090069309 A KR20090069309 A KR 20090069309A KR 101084052 B1 KR101084052 B1 KR 101084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guide member
rotation
lifting member
elastic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865A (ko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to KR1020090069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0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장치는, 핸들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가이드부재; 가이드부재 내에서 직선 이동하는 리프팅부재; 및 핸들의 회전을 상기 리프팅부재의 직선 이동으로 전환하는 방향전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장치를 구비한 복합장은, 본체에 물품을 보관하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서랍; 본체의 내측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서랍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바; 및 잠금바에 연동되어 핸들의 회전동작을 직선동작으로 전환하여 잠금바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핸들장치를 포함한다.
복합장, 리프팅, 가이드부재, 핸들, 방향전환, 승강

Description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HANDLE DEVICE AND CABINET HAVING THEREWITH}
본 발명은 복합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서 설치된 잠금바를 작동하기 위해 핸들의 회전을 리프팅부재와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방향전환부를 거쳐 직선 이동으로 전환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장(일명, 캐비넷이라 함)은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구이다.
복합장은, 서류 또는 필기구 등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본체에서 슬라이드방식으로 수납되는 다수의 서랍과, 이 서랍의 상부 또는 하부에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에 의하여 여닫을 수 있는 수납부 등으로 이루어져 사용되고 있다.
이때, 도어에는 열쇠로 잠글 수 있는 별도의 잠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복합장은 서랍과 수납부를 반드시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어에 의하여 여닫을 수 있는 수납부 없이 슬라이드 되는 다수의 서랍의 크기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복합장은 서랍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복합장을 설치된 상태 또는 이동하여 설치하는 경우 복합장이 기울어지면서 서랍이 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잠금장치가 서랍에 설치된 경우에는 각각의 서랍에 별도로 잠금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부품수가 증가하고, 열쇠를 별도로 보관해 하는 등의 문제점을 지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본 발명은 본체에서 설치된 잠금바를 작동하기 위해 핸들의 회전을 리프팅부재와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방향전환부를 거쳐 편심 작용으로 직선 이동으로 전환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갖고, 리프팅부재가 가이드부재 내에서 면 접촉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핸들의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안착홈이 가이드부재의 안착돌기에 걸려져 회동이 제한되므로 핸들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장치는, 핸들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 내에서 직선 이동하는 리프팅부재; 및 상기 핸들의 회전을 상기 리프팅부재의 직선 이동으로 전환하는 방향전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핸들은, 손잡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핸들이 안착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안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의 중심에는 배면으로 개방된 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핸들의 배면에 중심부 기준으로 편심지게 형성되는 회동돌부와; 상기 회동돌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리프팅부재에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 작동공과; 상기 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동돌부가 상기 작동공에 가압력을 가하여 상기 리프팅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재 내에서 승강 되게 하는 탄성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안내부는, 상기 리프팅부재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탄성접촉부와; 상기 탄성접촉부에 다단으로 걸려지면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접촉부의 이면에는, 상기 리프팅부재의 승강시, 상기 굴곡부 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지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접촉부와 상기 굴곡부는, 이동면이 물결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면접촉 상태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회동 중심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동되게 하는 회동제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핸들의 배면에 반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되어 핸들의 회전 방향을 제한하는 제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에서 회동하는 상기 핸들을 덮어주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되,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측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장치를 구비한 복합장은, 본체에 물품을 보관하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서랍; 상기 본체의 내측 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서랍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바; 및 상기 잠금바에 연동되어 핸들의 회전동작을 직선동작으로 전환하여 상기 잠금바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핸들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핸들장치는, 상기 핸들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 내에서 설치되고, 결합된 상기 잠금바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하는 리프팅부재; 및 상기 핸들의 회전을 상기 리프팅부재의 상,하 이동으로 전환하는 방향전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핸들은, 손잡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핸들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의 중심에는 배면으로 개방된 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핸들의 배면에 중심부 기준으로 편심지게 형성되는 회동돌부와; 상기 회동돌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리프팅부재에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 작동공과; 상기 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동돌부가 상기 작동공에 가압력을 가하여 상기 리프팅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재 내에서 승강 되게 하는 탄성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안내부는, 상기 리프팅부재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탄성접촉부와; 상기 탄성접촉부에 다단으로 걸려지면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접촉부의 이면에는, 상기 리프팅부재의 승강시, 상기 굴곡부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지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접촉부와 상기 굴곡부는, 이동면이 물결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면접촉 상태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장치는, 상기 핸들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회동 중심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동되게 하는 회동제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핸들의 배면에 반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되어 핸들의 회전 방향을 제한하는 제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에 의하면, 본체에서 설치된 잠금바를 작동하기 위해 핸들의 회전을 리프팅부재와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방향전환부를 거쳐 편심 작용으로 직선 이동으로 전환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리프팅부재가 가이드부재 내에서 면 접촉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핸들의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안착홈이 가이드부재의 안착돌기에 걸려져 회동이 제한되므로 핸들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장치를 구비한 복합장의 사시도 이 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장치를 구비한 복합장의 도어 개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장치 및 잠금바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 분해 사시도 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핸들장치 및 잠금바가 상승 및 하강한 상태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핸들장치를 배면에서 본 작동 상태도 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장치(100)의 구성은, 핸들(50)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가이드부재(400); 가이드부재(400) 내에서 직선 이동하는 리프팅부재(300); 및 핸들(500)의 회전을 리프팅부재(300)의 직선 이동으로 전환하는 방향전환부(700)를 포함한다.
핸들(500)은, 가이드부재(400) 내에서 회동이 용이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사용자가 잡기 용이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손잡이부(510)를 더 구비한다.
손잡이부(510)의 외측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 화살표 형상으로 갖는 지시부가 형성되어 핸들(500)의 회동위치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부재(400)는, 핸들(500)이 안착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안착부(420)를 형성하고, 안착부(420)의 중심에는 배면으로 개방된 연통공(440)이 형성된다. 이때, 안착부(420)와 연통공(440)은 모두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전환부(700)는, 핸들(500)의 배면에 중심부 기준으로 편심지게 돌출 형성되는 회동돌부(520)와; 회동돌부(520)가 삽입되도록 리프팅부재(300)에 장공 형 상으로 형성된 작동공(320)과; 핸들(500)의 회전에 의해 회동돌부(520)가 작동공(320)에 가압력을 가하여 리프팅부재(300)가 가이드부재(400) 내에서 승강 되게 하는 탄성안내부(710)를 포함한다.
방향전환부(700)에서 회동돌부(520)와 작동공(320)의 형성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리프팅부재(300)에 회동돌부가 형성되고, 핸들(500)에 작동공이 형성될 수 있다.
회동돌부(52)은, 원기둥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중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공(320)은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안내부(710)는, 리프팅부재(30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탄성접촉부(330)와; 탄성접촉부(330)에 다단으로 걸려지면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부재(4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굴곡부(450)를 포함한다. 이때, 탄성접촉부(330)와 굴곡부(450)의 형성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리프팅부재(300)에 굴곡부가 형성되고, 가이드부재(400)에 탄성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500)의 손잡이부(510)를 회동시키면, 방향전환부(700)의 회동돌부(520)가 가이드부재(400)의 안착부(420)의 안내를 받으면서 편심지게 회동하게 되고 이 회동돌부(520)의 편심력이 리프팅부재(300)의 작동공(320)에 가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에 연동하여 작동공(320)에 가하여진 가압력에 의하여 리프팅부재(300)의 양측면에 형성된 탄성접촉부(330)가 가이드부재(4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굴곡 부(450)를 따라서 탄성적으로 눌려지면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탄성접촉부(330)의 이면에는, 리프팅부재(300)의 승강시, 굴곡부(450)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지는 공간부(3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접촉부(330)와 굴곡부(450)는, 상기 리프팅부재(300)의 이동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탄성접촉부(330)와 굴곡부(450)는, 이동면이 물결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면접촉 상태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면접촉이 아닌 점접촉 상태로 이동하여도 무방하다.
탄성접촉부(330)는 완만한 경사면을 갖는 삼각형 형상으로서, 좌,우측면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접촉부(330)에 결합되는 굴곡부(450) 역시 이에 맞게 완만한 경사면을 갖는 역삼각형 형상으로서, 좌,우측면이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굴곡부(450)는 상측홈(452)와 하측홈(454)으로 이루어진 2단으로 연속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이상의 단으로 형성하여 여러 단계에 걸쳐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핸들(500)이 가이드부재(400)의 회동 중심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동되게 하는 회동제한부(800)를 더 구비한다.
회동제한부(800)는, 핸들(500)의 배면에 반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안착홈(530)과; 안착홈(530)에 끼워지도록 가이드부재(400)에 형성되어 핸들(500)의 회전 방향을 제한하는 제한돌기(430)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배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우측에 형성되지만 이와 반대방향(좌측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400)에서 회동하는 핸들(500)을 덮어주는 케이스(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600) 내에는 걸림돌기(610)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기(610)가 가이드부재(400)의 외측에 형성된 끼움홈(460)에 끼워져 조립된다.
케이스(600)의 표면에는 "OPEN"와, "CLOSE"의 문자를 표기하여 핸들(500)에 표기된 화살표 형상의 지시부가,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를 나타내도록 하여 사용자가 핸들(500)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장치를 구비한 복합장의 구성을 살펴본다.
복합장(A)의 구성은, 본체(10)에 물품을 보관하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서랍(60); 본체(10)의 내측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서랍(60)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바(100); 및 잠금바(100)에 연동되어 핸들(500)의 회전동작을 직선동작으로 전환하여 잠금바(100)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핸들장치(200)를 포함한다.
서랍(60)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힌지에 의하여 회동되는 도어(20)가 더 구비되고, 도어(20)의 내측에는 여러가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30)를 더 구비한다.
수납부(30) 내에는 물품을 얹을 수 있는 선반(50)을 더 구비하고, 도어(20)에는 도어(20)를 본체(10)에서 잠글 수 있는 도어잠금장치(40)를 더 구비한다.
핸들장치(200)는, 핸들(50)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가이드부재(400); 가 이드부재(400) 내에서 설치되고, 결합된 잠금바(100)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하는 리프팅부재(300); 및 핸들(500)의 회전을 리프팅부재(300)의 상,하 이동으로 전환하는 방향전환부(700)를 포함한다.
잠금바(100)는 본체(10)의 내 측면에 상,하로 길게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110)을 따라서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측에는 리프팅부재(300)에 형성된 설치공(310)에 끼워져 설치된다. 이때, 잠금바(100)는, 브라켓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잠금바(100)의 하측 면에는 서랍(60) 방향으로 돌출되는 차단돌기(130)가 형성되고, 이 차단돌기(130)가 잠금바(100)의 승강 동작에 의하여 서랍(60)의 일 측면에 돌출된 이동차단턱(62)에 걸려지거나 걸림이 해제되면서 서 랍(6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이동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핸들(500)은, 손잡이부(510)를 더 구비하고, 가이드부재(400)는, 핸들(500)이 안착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안착부(420)를 형성하고, 안착부(420)의 중심에는 배면으로 개방된 연통공(440)이 형성된다.
또한, 방향전환부(700)는, 핸들(500)의 배면에 중심부 기준으로 편심지게 돌출 형성되는 회동돌부(520)와; 회동돌부(520)가 삽입되도록 리프팅부재(300)에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 작동공(320)과; 핸들(500)의 회전에 의해 회동돌부(520)가 작동공(320)에 가압력을 가하여 리프팅부재(300)가 가이드부재(400) 내에서 승강 되게 하는 탄성안내부(710)를 포함한다.
탄성안내부(710)는, 리프팅부재(30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탄성접촉부(330) 와; 탄성접촉부(330)에 다단으로 걸려지면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부재(4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굴곡부(450)를 포함한다,
탄성접촉부(330)의 이면에는, 리프팅부재(300)의 승강시, 굴곡부(450)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지는 공간부(350)가 형성된다.
탄성접촉부(330)와 굴곡부(450)는, 리프팅부재(300)의 이동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탄성접촉부(330)와 상기 굴곡부(450)는, 이동면이 물결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면 접촉상태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장치(200)는, 핸들(500)이 가이드부재(400)의 회동 중심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동되게 하는 회동제한부(800)를 더 구비한다.
회동제한부(800)는, 핸들(500)의 배면에 반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안착홈(530)과; 안착홈(530)에 끼워지도록 가이드부재(400)에 형성되어 핸들(500)의 회전 방향을 제한하는 제한돌기(430)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장치를 구비한 복합장의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장치를 구비한 복합장 조립상태를 살펴 보면, 본체(10)의 내측 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0)에 잠금바(100)를 함몰 설치하고, 브라켓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승강 가능하게 고정 설치한다.
그 다음, 리프팅부재(300)의 설치공(310)에 잠급바(100)의 작동돌기(120)를 끼워서 고정하고, 리프팅부재(300)를 가이드부재(300)로 덮은 상태에서 다수의 나사, 볼트 등의 체결수단(70)으로 본체(10)의 내측 면에 고정한다.
그리고, 핸들(50)을 전면에서 안착부(420)에 안착시키면서 연통공(440)으로 끼워진 핸들(500)의 회동돌부(520)를 리프팅부재(300)의 작동공(320)에 끼우도록 한다.
그리고, 케이스(600)의 걸림돌기(610)를 핸들(500)의 손잡이부(51)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가이드부재(400)의 끼움홈(460)에 걸어주므로 핸들장치(200)를 본체(10)의 내측 면에 조립 완료하게 된다.
이런 후에 사용 상태를 살펴 보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500)의 손잡이부(510)를 "CLOSE"로 표시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가이드부재(400)의 안착부(420)의 안내를 받으면서 방향전환부(700)의 회동돌부(520)가 편심지게 회동하게 되고 이 회동돌부(520)의 편심력이 리프팅부재(300)의 작동공(320)에 가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에 연동하여 작동공(320)에 가하여진 가압력에 의하여 리프팅부재(300)의 양측면에 형성된 탄성접촉부(330)가 가이드부재(4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굴곡부(450)를 따라서 탄성적으로 눌려지면서 리프팅부재(300)가 가이드부재(40) 내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탄성접촉부(330)의 돌출부는 굴골부(450)의 하측홈(454)에 있다가 상측홈(452)으로 가이드 되면서 이동하여 탄성적으로 걸려지게 된다, 이때, 탄성접촉부(330)의 돌출부가 하측홈(454)와 상측홈(452) 사이의 돌출부에 걸려질 때, 공 간부(350)에 의해 탄성접촉부(330)가 후방으로 눌려지면서 돌출부를 넘어가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돌부(520)는, 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공(320)을 따라 좌,우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하로 동시에 동작하게 된다, 즉, 손잡이부(510)의 90ㅀ회동구간은 좌측으로 이동하다 나머지 90ㅀ회동구간에서는 다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리프팅부재(300)를 상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부재(30)의 상측 이동에 따라 설치공(310)에 끼워진 작동돌기(120)에 의해 잠금바(100)가 본체(10)의 가이드홈(11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고, 하측 면에 있는 차단돌기(130)가 이동차단턱(62)에 걸려지면서 다수의 서랍(60)의 인출이 차단된다.
한편, 서랍(6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자 한다면, 핸들(500)의 손잡이부(510)를 반 시계 방향 즉, 손잡이부(510)의 지시부가 "OPEN"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한 반대의 작동과정을 거쳐 걸림 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한 반대과정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회동제한부(800)의 제한돌기(430)과 안찰홈(530)의 위치를 바꿔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장치를 구비한 복합장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장치를 구비한 복합장의 도어 개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장치 및 잠금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핸들장치 및 잠금바가 상승 및 하강한 상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핸들장치를 배면에서 본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복합장 10 : 본체
60 : 서랍 100 : 잠금바
300 : 리프팅부재 310 : 설치공
320 : 작동공 330 : 탄성접촉부
400 : 가이드부재 420 : 안착부
430 : 제한돌기 450 : 굴곡부
500 : 핸들 510 : 손잡이부
520 : 회동돌부 530 : 안착홈
600 : 케이스 700 : 방향전환부
710 : 탄성안내부 800 : 회동제한부

Claims (15)

  1. 핸들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 내에서 직선 이동하는 리프팅부재; 및
    상기 핸들의 회전을 상기 리프팅부재의 직선 이동으로 전환하는 방향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핸들의 배면에 중심부 기준으로 편심지게 형성되는 회동돌부와;
    상기 회동돌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리프팅부재에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 작동공과;
    상기 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동돌부가 상기 작동공에 가압력을 가하여 상기 리프팅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재 내에서 승강 되게 하는 탄성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손잡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핸들이 안착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안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의 중심에는 배면으로 개방된 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안내부는,
    상기 리프팅부재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탄성접촉부와;
    상기 탄성접촉부에 다단으로 걸려지면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부의 후방에는, 상기 리프팅부재의 승강시, 상기 굴곡부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지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접촉부와 상기 굴곡부는, 이동면이 물결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 어 면접촉 상태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회동 중심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동되게 하는 회동제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핸들의 배면에 반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되어 핸들의 회전 방향을 제한하는 제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서 회동하는 상기 핸들을 덮어주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되,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측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장치.
  9. 본체에 물품을 보관하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서랍;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서랍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바; 및
    상기 잠금바에 연동되어 핸들의 회전동작을 직선동작으로 전환하여 상기 잠금바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핸들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장치는, 상기 핸들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 내에서 설치되고, 결합된 상기 잠금바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하는 리프팅부재; 및
    상기 핸들의 회전을 상기 리프팅부재의 상,하 이동으로 전환하는 방향전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핸들의 배면에 중심부 기준으로 편심지게 형성되는 회동돌부와;
    상기 회동돌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리프팅부재에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 작동공과;
    상기 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동돌부가 상기 작동공에 가압력을 가하여 상기 리프팅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재 내에서 승강 되게 하는 탄성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장치를 구비한 복합장.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손잡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핸들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의 중심에는 배면으로 개방된 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장치를 구비한 복합장.
  12. 삭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안내부는,
    상기 리프팅부재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탄성접촉부와;
    상기 탄성접촉부에 다단으로 걸려지면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장치를 구비한 복합장.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부의 이면에는, 상기 리프팅부재의 승강시, 상기 굴곡부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지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접촉부와 상기 굴곡부는, 이동면이 물결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면접촉 상태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장치를 구비한 복합장.
  15. 제 9 항, 제 11 항, 제 13 항,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장치는, 상기 핸들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회동 중심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동되게 하는 회동제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핸들의 배면에 반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되어 핸들의 회전 방향을 제한하는 제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장치를 구비한 복합장.
KR1020090069309A 2009-07-29 2009-07-29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 KR101084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309A KR101084052B1 (ko) 2009-07-29 2009-07-29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309A KR101084052B1 (ko) 2009-07-29 2009-07-29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865A KR20110011865A (ko) 2011-02-09
KR101084052B1 true KR101084052B1 (ko) 2011-11-16

Family

ID=4377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309A KR101084052B1 (ko) 2009-07-29 2009-07-29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0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876B1 (ko) * 2014-02-28 2014-08-12 장근대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KR101982442B1 (ko) * 2018-06-15 2019-05-24 오세민 항균 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865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115B2 (en) Mechanism for moving a door from a first location to a second location
KR101575929B1 (ko)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KR200448297Y1 (ko) 사물함용 손잡이형 잠금장치
US20070256715A1 (e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Child Safety Feature
EP2463465A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glovebox for automobile and glovebox assembly having the same
US20180209191A1 (en) Lock device in an armrest console and an armrest console employing the same
JP2005247232A (ja) リッド開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小物入れ装置
KR101084052B1 (ko)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
KR101332705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405569B1 (ko)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JP7101192B2 (ja) さまざまな閉鎖要素のためのモジュール式閉鎖装置
KR200450340Y1 (ko) 여닫이문의 잠금 장치
US20200199926A1 (en) Closing device for a storage compartment, storage compartment for a motor vehicle
KR101382281B1 (ko) 차량의 연료도어 장치
KR200416926Y1 (ko) 사물함용 핸들 일체형 록킹장치
KR101857202B1 (ko) 가구용 손잡이
KR102009312B1 (ko)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JP6819998B2 (ja) 扉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扉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キャビネット
KR20140047074A (ko) 가전 기기용 도어 잠금 장치
KR200314654Y1 (ko) 캐비닛의 잠금 장치
KR101388198B1 (ko) 매립형 손잡이
KR200392377Y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1395941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916098B1 (ko) 그립 방식의 손잡이
KR100924422B1 (ko) 다이얼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