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433B1 - 다이얼식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얼식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433B1
KR101914433B1 KR1020180094954A KR20180094954A KR101914433B1 KR 101914433 B1 KR101914433 B1 KR 101914433B1 KR 1020180094954 A KR1020180094954 A KR 1020180094954A KR 20180094954 A KR20180094954 A KR 20180094954A KR 101914433 B1 KR101914433 B1 KR 101914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sleeve
central axis
dials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맥스 filed Critical (주)퍼맥스
Priority to KR102018009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75Automatic scrambling
    • E05B37/0079Automatic scrambling when un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2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umbler discs or rings arranged on a single axis, each disc being adjustable independently of the ot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이얼을 비밀번호 설정에 맞게 회전시킨 후 레버부를 작동시 다이얼 각각이 초기 상태로 회전되며 설정된 비밀번호의 누출을 방지하는 비밀번호 보호작동부로써, 다이얼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다이얼중심축을 축 삽입하는 슬리브, 대응되는 슬리브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이웃한 슬리브 또는 다이얼중심축에 원주 방향 회전이 구속되는 회전자, 대응되는 슬리브의 둘레면에 구속되어 슬리브와 함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다이얼중심축의 축 방향을 따라 설정거리만큼 왕복 이동되는 다이얼을 회전자에 대해 탄성적으로 회전 방지하는 요철결합부, 및 비밀번호 설정된 후 다이얼 각각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다이얼 각각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다이얼재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다이얼뭉치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다이얼을 세팅된 비밀번호로 설정 후, 잠금 해제를 위해 레버부를 회전시, 각 다이얼이 초기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얼식 잠금장치{DIAL TYPE LOCKER}
본 발명은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얼뭉치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다이얼을 세팅된 비밀번호로 설정 후, 잠금 해제를 위해 레버부를 회전시, 각 다이얼이 초기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자물쇠와 손잡이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거나 손잡이에 실린더 자물쇠를 부착하여 구성된 것으로 손잡이와 자물쇠가 된 것은 사용이 불편하고, 실린더 자물쇠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열리는 불편이 있으므로 안전성이 희박한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학교 사물함, 스포츠센터, 목욕탕 등의 공공장소에서 열쇠가 없이 자기만의 비밀번호를 지정하여 사물함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한 다이얼식 자물쇠를 사용하고 있다.
관련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84988호(등록일: 2007.02.13, 발명의 명칭: 사물함 잠금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자물쇠는 비밀번호가 설정되도록 복수 개의 다이얼을 조작 후 레버를 회전시켜 잠금을 해제하는데, 이 경우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용이하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이얼뭉치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다이얼을 세팅된 비밀번호로 설정 후, 잠금 해제를 위해 레버부를 회전시, 각 다이얼이 초기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비밀번호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는: 케이싱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둘레에 번호가 기재된 복수개의 다이얼이 축 삽입된 다이얼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다이얼 뭉치;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잠금키를 작동시키고, 회전자를 갖는 레버부; 및 상기 다이얼을 비밀번호 설정에 맞게 회전시킨 후, 상기 레버부를 작동시, 상기 다이얼 각각이 초기 상태로 회전되며, 설정된 비밀번호의 누출을 방지하는 비밀번호 보호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밀번호 보호작동부는, 상기 다이얼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상기 다이얼중심축을 축 삽입하는 슬리브; 대응되는 슬리브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이웃한 슬리브 또는 상기 다이얼중심축에 원주 방향 회전이 구속되는 회전링; 대응되는 상기 슬리브의 둘레면에 구속되어 상기 슬리브와 함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다이얼중심축의 축 방향을 따라 설정거리만큼 왕복 이동되는 상기 다이얼을 상기 회전링에 대해 탄성적으로 회전 방지하는 요철결합부; 및 비밀번호 설정된 후 상기 다이얼 각각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다이얼 각각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다이얼재배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얼 각각과 상기 슬리브는 상기 다이얼중심축에 구비된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다이얼중심축에 축 방향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철결합부는, 상기 회전링에서 상기 다이얼 측으로 원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제 1요철부; 및 상기 제 1요철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다이얼에 원 궤적을 따라 형성되어, 외력 작용시 상기 다이얼이 탄성적으로 상기 다이얼중심축을 따라 왕복 이동 안내하고, 외력 제거시 상기 다이얼의 자연적 회전을 방지 안내하는 제 2요철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얼재배치부는, 상기 다이얼중심축을 축 삽입하고, 상기 다이얼 각각에 직접적으로 축 삽입되는 환봉; 상기 환봉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외측정점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양측으로 경사진 경사면부를 형성하는 삼각돌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측정점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대칭되게 양측으로 나선 궤적을 따라 가이드면부를 형성됨으로써, 상기 다이얼의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대응되는 다이얼을 구속한 상기 슬리브를 초기 상태로 복귀 유도하는 가이드돌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다이얼뭉치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다이얼을 세팅된 비밀번호로 설정 후, 잠금 해제를 위해 레버부를 회전시, 각 다이얼이 초기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잠금작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잠금작동부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다이얼뭉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다이얼뭉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비밀번호 보호작동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보호작동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잠금작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잠금작동부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다이얼뭉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다이얼뭉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비밀번호 보호작동부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보호작동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100)는 잠금작동부(200), 잠금조작부(300), 개폐작동부(400) 및 비밀번호 보호작동부(500)를 포함한다.
이때, 잠금작동부(200)와 잠금조작부(300)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잠금작동부(200)는 외부 조작에 의해 잠금 설정 여부에 따라 작동핀(240)의 회전 여부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고, 잠금조작부(300)는 작동핀(240)의 회전에 연동되어 작동되는 잠금키(312)를 구비함으로써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100)는 수납장이나 보관함 등의 도어나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적용된다.
아울러, 잠금조작부(300)는 다양한 형태의 잠금키(312)를 구비하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잠금작동부(200)는 작동핀(240)을 돌출시켜 노출되게 구비하는 케이싱(210)을 포함하고, 잠금조작부(300)는 케이싱(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작동핀(240)의 회전에 연동되어 로킹(locking) 또는 로킹 해제 설정되는 잠금키(312)를 갖는 홀더(310)를 포함한다.
잠금키(312)는 전진 또는 일방향 회전되면서 도어나 패널에 고정 설치된 걸림쇠(10)에 걸리거나, 후진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걸림쇠(10)로부터 이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작동부(200)는 케이싱(210), 다이얼뭉치(220), 레버부(230) 및 작동핀(240)을 포함한다.
케이싱(210)은 잠금작동부(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다이얼뭉치(220)와 레버부(230) 및 작동핀(240)을 수용하거나 연결한다. 물론, 케이싱(2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케이싱(210)은 도어나 패널의 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싱(210)은 다이얼뭉치(220), 레버부(230) 및 작동핀(240)의 설치나 연결을 위해 전측으로 개방되게 형성하고, 개방된 케이싱(210)의 전측은 덮개(212)에 의해 덮여지게 된다. 물론, 덮개(21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다이얼뭉치(220)는 케이싱(210) 내에 구비되고, 다수 개의 다이얼(22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다이얼뭉치(220)는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고, 이로써 잠금조작부(300)를 통한 잠금키(312)의 작동을 허용하거나 작동 정지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레버부(230)는 케이싱(210) 특히 덮개(2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잠금키(312)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레버부(230)는 키이(key,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회전시킨다.
작동핀(240)은 레버부(230)의 하측에 연장되고, 단면상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작동핀(240)은 레버부(230)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잠금조작부(300)는 도어나 패널의 내측 또는 후측에 위치하며, 잠금작동부(200)의 케이싱(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조작부(300)는 홀더(310), 로터리블록(320), 작동수용구(330), 탄성지지부재(340) 및 캡(350)을 포함한다.
홀더(310)는 잠금조작부(300a)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로터리블록(320), 작동수용구(330), 탄성지지부재(340) 및 캡(350)을 내부에 구비하거나, 연결한다. 특히, 홀더(310)는 도어나 패널의 내측 또는 후측에 위치한 채 케이싱(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홀더(3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로터리블록(320)은 잠금키(312)를 이동시키기 위해 홀더(3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잠금키(312)는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홀더(310)에 구비되어, 전진되며 걸림쇠(10)에 걸리거나 또는 후진되며 걸림쇠(10)로부터 유격되어 잠금 해제된다.
로터리블록(3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작동수용구(330)는 로터리블록(320)의 상측에 함몰 형성되어, 다각형 또는 타원형인 작동핀(240)을 수용함으로써, 작동핀(240)의 회전에 연동되어 잠금키(312)의 작동을 허용한다.
즉, 작동수용구(330)는 작동핀(24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래서, 작동핀(240)이 작동수용구(330)에 수용된 채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면, 로터리블록(320)이 원주 방향으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잠금키(312)를 전진 또는 후진 작동하게 된다.
이때, 잠금키(312)는 홀더(310)에 직선 왕복 이동 안내되도록 설치되고, 홀더(310)는 직선 왕복 이동되는 잠금키(312)를 탄성 지지하기 위해 탄성지지부재(340)를 구비한다.
아울러, 잠금키(312)는 제 1걸림부재(314)를 형성하며, 로터리블록(320)은 탄성지지부재(340)를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잠금키(312)를 강제 후진시키기 위해 제 1걸림부재(314)에 걸리는 제 2걸림부재(322)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로터리블록(320)이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 2걸림부재(322)가 제 1걸림부재(314)를 밀게 됨으로써, 잠금키(312)는 탄성지지부재(340)의 축 압축 방향으로 후진 이동된다.
그리고, 로터리블록(320)이 타방향으로 회전시, 제 2걸림부재(322)가 타방향으로 호 궤적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잠금키(312)는 탄성지지부재(3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진 이동된다. 즉, 제 1걸림부재(314)와 제 2걸림부재(322)는 작동핀(240)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됨으로써, 잠금키(312)가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된다.
물론, 제 2걸림부재(322)가 제 1걸림부재(314)를 양방향으로 강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제 1걸림부재(314)와 제 2걸림부재(3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홀더(310)는 잠금키(312)와 탄성지지부재(340)를 설치하기 위해 케이싱(210)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데, 로터리블록(320)과 탄성지지부재(3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캡(350)으로 커버링된다. 이때, 캡(350)은 로터리블록(320)의 상부 특히, 작동수용구(330)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된다.
물론, 캡(350)은 홀더(3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로터리블록(320)은 상태유지부(360)에 의해 탄성지지부재(340)를 압축시키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회전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태유지부(360)는 절개홀부(362) 및 스토퍼돌부(364)를 포함한다.
절개홀부(362)는 캡(350)의 일부를 절개 형성하여, 로터리블록(320)과 접한 부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한다. 즉, 캡(350)은 일부가 절개됨으로써 로터리블록(320)에 접하는 탄성변형편(363)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스토퍼돌부(364)는 로터리블록(320)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어 절개홀부(362)에 대응되는 로터리블록(320)과 접하는 부위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로터리블록(320)의 강제 회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토퍼돌부(364)가 탄성변형편(363)과 가장 근접되면, 탄성변형편(363)이 가장 많이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스토퍼돌부(364)가 더 회전됨에 따라, 탄성변형편(363)은 소정 탄성 복귀됨으로써, 스토퍼돌부(364)와 로터리블록(320)은 회전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래서, 탄성지지부재(340)가 축 압축된 상태에서, 로터리블록(320)은 임의적으로 탄성지지부재(340)가 탄성 복원되도록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스토퍼돌부(36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상태유지부(360)는 돌기부(366)를 포함한다.
돌기부(366)는 탄성변형편(363)에서 로터리블록(320)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토퍼돌부(364)가 탄성변형편(363)을 따라 슬립(slip)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돌기부(36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키(312)는 케이싱(210)이나 홀더(310)의 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된다.
한편, 개폐작동부(400)는 다이얼(222) 각각의 회전에 연동되어 레버부(230)의 회전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개폐작동부(400)는 다이얼 뭉치(220)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특히, 다이얼(222)은 편의상 4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다이얼(222) 각각은 다이얼중심축(2225)이 축 삽입된다. 그리고, 다이얼중심축(225)은 케이싱(210)에 고정 설치된다. 그래서, 다이얼(222) 각각은 다이얼중심축(225)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아울러, 다이얼(222) 각각은 둘레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이얼중심축(2225)은 일측이 레버부(230) 측의 케이싱(210)에 회전 방지되도록 거치되고, 타측에 거치브라켓(227)을 구비한다. 거치브라켓(227)이 케이싱(210)에 끼움 조립됨으로써, 다이얼중심축(225)은 케이싱(210)에 거치된다.
또한, 다이얼중심축(225)은 타측에 스프링(226)과 커넥팅로드(228)를 구비한다. 상세히, 커넥팅로드(228)가 다이얼중심축(225)의 타측에 위치한 채 다이얼중심축(225)을 축 삽입하고, 스프링(226)이 일측을 커넥팅로드(228)에 탄성 지지하면서 타측을 거치브라켓(227)에 탄성 지지한다. 그래서, 다이얼중심축(225)과, 후술할, 환봉(5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스프링(226)에 탄성 지지되면서 축 방향으로 소정 이동 가능하다.
한편, 개폐작동부(400)는 지지블록(410), 편심돌부(420), 회동힌지핀(430), 접촉분기바(440), 연결핀(450), 회동편부(460) 및 탄성부여부(470)를 포함한다.
지지블록(410)은 케이싱(210)의 내측에 구비되고, 레버부(230)를 삽입 설치한다. 물론, 지지블록(4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편심돌부(420)는 회전자(232)의 둘레면에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된다. 물론, 편심돌부(4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회동힌지핀(430)은 지지블록(410)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회동힌지핀(430)은 지지블록(410)에 탄성 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회동되고, 외력 제거시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즉, 회동힌지핀(430)은 회전자(232)의 회전시 편심돌부(420)와 접촉시 편심돌부(420)의 미는 힘에 의해 회동된다. 물론, 회동힌지핀(43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접촉분기바(440)는 다이얼뭉치(220)를 기준으로 케이싱(2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연결핀(450)은 접촉분기바(440)에서 연장된다. 이때, 연결핀(450)은 회동힌지핀(430)에 대응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회동힌지핀(430)이 회동시, 연결핀(450)은 회동힌지핀(430)의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된다. 이로 인해, 접촉분기바(460)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된다.
물론, 연결핀(45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회동편부(460)는 다이얼뭉치(220)를 기준으로 케이싱(210)의 내부 타측에 구비된다. 특히, 회동편부(460)는 케이싱(210)에 연결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회동편부(460)는 편심돌부(420)의 미는 힘에 의해 회동된다. 회동편부(46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탄성부여부(470)는 외력 제거 상태의 회동편부(460)가 미는 힘에 의해 다이얼(222) 각각에 접하여 다이얼(222)이 자연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여부(470)는 케이싱(210)에 연결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다이얼(222) 각각에 대응되게 탄성편(472)을 연장 형성한다. 탄성편(472)이 대응되는 다이얼(222)의 둘레면에 접함으로써, 다이얼(222)은 자연적으로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회전자(232)의 회전시, 편심돌부(420)가 회동편부(460)를 회동할 경우, 탄성편(472)은 다이얼(222)을 강제 접촉하는 힘이 제거됨으로써, 다이얼(222)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비밀번호 보호작동부(500)에 의해, 다이얼(222)은 초기 상태로 회전 허용된다. 이로 인해, 다이얼(222)을 통한 설정 비밀번호의 노출이 방지된다.
한편, 비밀번호 보호작동부(500)는 다이얼(222)을 비밀번호 설정에 맞게 회전시킨 후, 레버부(230)를 작동시, 다이얼(222) 각각이 초기 상태로 회전되며, 설정된 비밀번호의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비밀번호 보호작동부(500)는 슬리브(510), 회전링(520), 요철결합부(530) 및 다이얼재배치부(540)를 포함한다.
슬리브(510)는 다이얼(222)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다이얼중심축(225)을 축 삽입한다. 이때, 슬리브(510)는 다이얼(222) 개수만큼 배치되는데, 대향하는 단부끼리 접촉될 수도 있고, 설정간격만큼 유격될 수도 있다.
특히, 다이얼(222) 각각과 슬리브(510)는 다이얼중심축의 타측에 구비된 스프링(226)에 탄성 지지되어 다이얼중심축(225)에 축 방향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슬리브(510)는 환봉(541)이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방향과 거리에 따라 환봉(541)에 결속되어 원주 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되거나, 환봉(541)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환봉(541)은 둘레면에 내측키(511)를 돌출 형성하고, 슬리브(510)는 내측면에 내측키홈(512)을 형성한다. 슬리브(510)는 환봉(541)의 축 상에서 위치 고정되고, 환봉(541)이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내측키(511)가 내측키홈(512)에 삽입되거나 이탈된다.
내측키(511)가 내측키홈(512)에 삽입시, 환봉(541)과 슬리브(510)는 결속된다. 반대로, 내측키(511)가 내측키홈(512)에서 이탈시, 슬리브(510)는 환봉(541)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물론, 내측키(511)와 내측키홈(512)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링(520)은 대응되는 슬리브(510)의 둘레면에 배치되고, 이웃한 슬리브(510) 또는 다이얼중심축 또는 환봉(541)에 원주 방향 회전이 구속된다.
상세히, 슬리브(510)는 둘레면에 외측키(513)를 돌출 형성하고, 회전링(520)은 내측면에 외측키홈(514)을 형성한다. 이때, 외측키(513)가 외측키홈(514)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회전링(520)은 슬리브(510)와 함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된다. 물론, 외측키(513)가 외측키홈(514)으로부터 이탈시, 회전링(520)이 슬리브(510)와 별도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요철결합부(530)는 대응되는 슬리브(510)의 둘레면에 구속되어 슬리브(510)와 함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다이얼중심축(225)의 축 방향을 따라 설정거리만큼 왕복 이동되는 다이얼(222)을 회전링(520)에 대해 탄성적으로 회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요철결합부(530)는 제 1요철부(532) 및 제 2요철부(534)를 포함한다.
제 1요철부(532)는 회전링(520)의 타측 테두리에 원 궤적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요철부(534)는 제 1요철부(532)에 대응되도록 다이얼(222) 각각에 원 궤적을 따라 형성된다.
그래서, 제 1요철부(532)와 제 2요철부(534)가 결합된 상태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고, 회전링(520)이 슬리브(510)에 결속된 상태일 경우, 다이얼(222)은 자연적으로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회전링(520)과 슬리브(510)가 결속되지 않고, 제 1요철부(532)와 제 2요철부(534)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이얼(222)을 강제로 회전시, 다이얼(222)은 스프링(226)의 탄성 지지로 인해 환봉(541)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된 비밀번호를 맞추기 위해 다이얼(222)을 각각 돌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이얼재배치부(540)는 비밀번호가 설정된 후 다이얼(222) 각각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다이얼(222) 각각이 초기 상태로 복귀를 위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다이얼재배치부(540)는 환봉(541), 삼각돌부(542) 및 가이드돌부(543)를 포함한다.
환봉(541)은 다이얼중심축(225)을 축 삽입하고, 다이얼(222) 각각에 직접적으로 축 삽입된다. 그리고, 환봉(541)은 타측 단부가 커넥팅로드(228)와 접하게 된다. 그래서, 환봉(541)은 커넥팅로드(228)를 통해 스프링(226)이 탄성 지지된다.
삼각돌부(542)는 환봉(541)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외측정점(544)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양측으로 경사진 경사면부(545)를 형성한다. 특히, 삼각돌부(542)는 내측키(511)에서 연장되고, 삼각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삼각돌부(542)는 외측정점(544)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는 경사면부(545)를 연장 형성한다.
가이드돌부(543)는 슬리브(51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측정점(546)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대칭되게 양측으로 나선 궤적을 따라 가이드면부(547)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슬리브(510)가 환봉(541)을 축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을 위해 다이얼(222) 각각을 돌릴 경우, 삼각돌부(542)의 외측정점(544)이 가이드돌부(543)의 가이드면부(547)를 따라 이동된다. 비밀번호가 설정되도록 회전된 다이얼(222)은 제 1요철부(532)와 제 2요철부(534)의 결합으로 인해 외력이 미작용시 회전 방지된다. 이때, 스프링(226)은 압축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개방을 위해 레버부(230)를 회전시킬 경우, 회동편부(460)가 탄성편(472)을 가압하지 않음에 따라, 탄성편(472)이 대응되는 다이얼(222)로부터 이격된다.
이 후, 스프링(226)이 탄성 복원 작용함으로써, 외측정점(544)이 가이드면부(547)를 따라 내측정점(546)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내측정점(546)이 경사면부(545)를 따라 외측정점(544)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다이얼(222) 각각은 초기 상태로 회전 복귀하게 된다.
이때, 경사면부(545)가 외측정점(544)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면부(547)가 내측정점(546)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다이얼(222)을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걸림쇠 100: 다이얼식 잠금장치
200: 잠금작동부 210: 케이싱
220: 다이얼뭉치 230: 레버부
240: 작동핀 300: 잠금조작부
310: 홀더 312: 잠금키
320: 로터리블록 330: 작동수용구
340: 탄성지지부재 350: 캡
360: 상태유지부 362: 절개홀부
364: 스토퍼돌부 400: 개폐작동부
500: 비밀번호 보호작동부 510: 슬리브
520: 회전링 530: 요철결합부
540: 다이얼재배치부 541: 환봉
542: 삼각돌부 543: 가이드돌부

Claims (4)

  1. 케이싱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둘레에 번호가 기재된 복수개의 다이얼이 축 삽입된 다이얼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다이얼 뭉치;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잠금키를 작동시키고, 회전자를 갖는 레버부; 및 상기 다이얼을 비밀번호 설정에 맞게 회전시킨 후, 상기 레버부를 작동시, 상기 다이얼 각각이 초기 상태로 회전되며, 설정된 비밀번호의 누출을 방지하는 비밀번호 보호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밀번호 보호작동부는, 상기 다이얼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상기 다이얼중심축을 축 삽입하는 슬리브;
    대응되는 슬리브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이웃한 슬리브 또는 상기 다이얼중심축에 원주 방향 회전이 구속되는 회전링;
    대응되는 상기 슬리브의 둘레면에 구속되어 상기 슬리브와 함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다이얼중심축의 축 방향을 따라 설정거리만큼 왕복 이동되는 상기 다이얼을 상기 회전링에 대해 탄성적으로 회전 방지하는 요철결합부; 및
    비밀번호 설정된 후 상기 다이얼 각각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다이얼 각각이 초기 위치로 복귀를 위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다이얼재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각각과 상기 슬리브는 상기 다이얼중심축에 구비된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다이얼중심축에 축 방향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결합부는,
    상기 회전링에서 상기 다이얼 측으로 원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제 1요철부; 및
    상기 제 1요철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다이얼에 원 궤적을 따라 형성되어, 외력 작용시 상기 다이얼이 탄성적으로 상기 다이얼중심축을 따라 왕복 이동 안내하고, 외력 제거시 상기 다이얼의 자연적 회전을 방지 안내하는 제 2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재배치부는,
    상기 다이얼중심축을 축 삽입하고, 상기 다이얼 각각에 직접적으로 축 삽입되는 환봉;
    상기 환봉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외측정점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양측으로 경사진 경사면부를 형성하는 삼각돌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측정점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대칭되게 양측으로 나선 궤적을 따라 가이드면부를 형성됨으로써, 상기 다이얼의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대응되는 다이얼을 구속한 상기 슬리브를 초기 상태로 복귀 유도하는 가이드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20180094954A 2018-08-14 2018-08-14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914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954A KR101914433B1 (ko) 2018-08-14 2018-08-14 다이얼식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954A KR101914433B1 (ko) 2018-08-14 2018-08-14 다이얼식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433B1 true KR101914433B1 (ko) 2018-11-02

Family

ID=6432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954A KR101914433B1 (ko) 2018-08-14 2018-08-14 다이얼식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4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960B1 (ko) 2016-06-22 2016-09-22 키플레이주식회사 다이얼 잠금장치
KR101813241B1 (ko) 2017-11-14 2017-12-29 송정기 비밀번호 비노출형 다이얼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960B1 (ko) 2016-06-22 2016-09-22 키플레이주식회사 다이얼 잠금장치
KR101813241B1 (ko) 2017-11-14 2017-12-29 송정기 비밀번호 비노출형 다이얼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231B1 (ko) 호환형 잠금장치
US6668602B2 (en) Flush mounted latch
KR101980094B1 (ko)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JPH10184115A (ja) ハンドル装置
KR100297034B1 (ko) 잠금장치
KR101655960B1 (ko) 다이얼 잠금장치
KR101914433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JP2002161654A (ja) 閉鎖装置
KR200416926Y1 (ko) 사물함용 핸들 일체형 록킹장치
KR101513168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018022B1 (ko) 디지털 도어록의 좌우수 공용장치
KR101695847B1 (ko) 일시 열림 조작 기능을 겸한 트리거 레버를 이용한 래치볼트의 좌, 우수 전환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용 모티스
JP2009024335A (ja) 錠装置
JP3842065B2 (ja) ドア開閉用錠付ハンドル装置
KR101527693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JP2008014037A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3355167B2 (ja) 扉用錠装置
KR20040061068A (ko) 도어락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
KR20100090363A (ko) 사물함용 다이얼키의 비밀번호 리셋장치
JP2009084909A (ja) 施錠装置、及び収納家具
JP4343389B2 (ja) 施解錠装置
KR102498722B1 (ko) 비밀번호 설정이 용이한 다이얼 자물쇠
RU2165507C1 (ru) Механический кодовый замок
KR200239178Y1 (ko) 가구용 자물쇠
JP2007120139A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