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499B1 -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 Google Patents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499B1
KR101851499B1 KR1020170075631A KR20170075631A KR101851499B1 KR 101851499 B1 KR101851499 B1 KR 101851499B1 KR 1020170075631 A KR1020170075631 A KR 1020170075631A KR 20170075631 A KR20170075631 A KR 20170075631A KR 101851499 B1 KR101851499 B1 KR 101851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dial
concave
passwor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식
황상식
Original Assignee
황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상식 filed Critical 황상식
Priority to KR1020170075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499B1/ko
Priority to PCT/KR2018/006131 priority patent/WO2018230865A1/ko
Priority to US16/620,435 priority patent/US1113111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2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umbler discs or rings arranged on a single axis, each disc being adjustable independently of the ot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31Locks with both permutation and key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31Locks with both permutation and key actuation
    • E05B37/0034Locks with both permutation and key actuation actuated by ei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31Locks with both permutation and key actuation
    • E05B37/0041Key actuation allowing recovery of a lost/forgotten comb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48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changeable combination
    • E05B37/0058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changeable combination by axial disengagement between hub and rim of tumbler discs or 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16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wo or more push or pull knobs, slid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3/04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the handle being at one side, the bolt at the other side or inside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2003/006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the spindle by means of tilt-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16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wo or more push or pull knobs, slides, or the like
    • E05B37/163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wo or more push or pull knobs, slides, or the like the knobs being pushed in a prescribed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어 자물쇠의 잠금레버를 동작시키는 손잡이를 잠금이나 열림위치가 아닌 리셋 위치로 회전시킨 다음 다이얼의 비밀번호를 확인 또는 리셋시킴으로써 비밀번호를 간편하게 변경 및 재설정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사물함의 도어 전면에 키실린더뭉치(10) 및 다이얼뭉치(20)가 포함된 본체(3)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3) 전면의 커버(2) 외측에 노출된 수 개의 다이얼(24)을 회전시켜 설정된 비밀번호를 맞추면 키실린더뭉치(10)가 해제되어 손잡이(11)와 함께 도어 이면의 잠금레버(4)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하며, 비밀번호를 잊은 경우 마스터 키를 이용해 손잡이(11)가 회전되면서 다이얼뭉치(20)의 작동봉(21)을 눌러 수개의 다이얼(24)에 각각 끼움 결합된 연결봉체(22)의 일측에 형성된 탐지공(23)이 노출되게 하여, 상기 연결봉체(22)의 일측에 구비된 탐지수단(30)의 탐지핀(55)이 상기 탐지공(23)에 투입되어 다이얼(24)의 비밀번호를 알아내도록 구성된 다이얼 자물쇠(1)에 있어서;
탐지수단(30)은 상부에 누름돌기(41)를 갖고 하부에 복귀스프링(42)이 구비되며 일측에 수 개의 조작요철부(43)가 형성된 조작부재(40)가 키실린더뭉치(10)에 더 구비된 가압캠부(13)에 누름돌기(41)가 눌려져 본체(3) 내부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조작부재(40)의 일측에 위치해 힌지핀(51)을 중심으로 본체(3)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힌지핀(51)을 기준으로 일측에 수 개의 조작요철부(43)에 대응되는 탐지요철부(53)가 형성되며, 타측에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에 투입되는 탐지핀(55)이 구비된 탐지부재(50)를 포함해 구성되어,
비밀번호를 잊은 경우 마스터 키를 이용해 손잡이(11)를 설정 위치로 회전시켜 키실린더뭉치(10)가 다이얼뭉치(20)의 작동봉(21)을 눌러 수개의 다이얼(24)에 각각 끼움 결합된 연결봉체(22)의 일측에 형성된 탐지공(23)을 노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키실린더뭉치(10)의 가압캠부(13)가 조작부재(40)의 누름돌기(41)를 눌러 상기 조작부재(4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요철 결합상태인 조작요철부(43)의 철(凸)부이 탐지요철부(53)의 철(凸)부을 밀며 이동해 상기 탐지수단(30)이 힌지핀(5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측의 탐지핀(55)이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에 투입되어 다이얼(24)의 비밀번호를 알아내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The dial lock for using locker}
본 발명은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어 자물쇠의 잠금레버를 동작시키는 손잡이를 잠금이나 열림위치가 아닌 리셋 위치로 회전시킨 다음 다이얼의 비밀번호를 확인 또는 리셋시킴으로써 비밀번호를 간편하게 변경 및 재설정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및 도서관이나 많은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공공장소 즉, 목욕탕, 백화점, 기차역, 대형할인매장 등에는 많은 사물함이 설치되어 이용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사물함의 경우, 전용키(key)와 실린더형 자물쇠를 이용하여 사물함을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하는 열쇠를 이용한 잠금장치와, 수 개의 다이얼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수 개의 다이얼을 회전시켜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시킴으로써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다이얼 자물쇠는 최초 비밀번호를 지정할 때, 먼저 전용키나 열쇠를 이용해 도어의 잠금레버를 연 다음,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수개의 다이얼을 이용해 비밀번호를 설정한 후, 도어를 닫고 잠금레버를 다시 재 자리로 돌려 도어를 잠금상태로 한 후에 수개의 다이얼을 무작위로 돌려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등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자기만의 비밀번호를 설정 및 인지하여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다이얼 자물쇠를 이용하에 있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사물함을 개방할 수 없거나, 또는 이전 사용자가 사물함의 사용을 끝내고 다시 닫음으로써 이후 다른 사람이 자신만의 비밀번호를 재설정할 수 없게 되어 이에 따라 사물함의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경우 관리자가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다이얼 자물쇠를 작동시켜 도어를 개방한 다음 비밀번호를 초기화시킨 후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등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0-0349788호의 실린더 자물쇠가 부착된 사물함 손잡이가 제안된 바 있지만, 상기 기술의 경우 다이얼 자물쇠의 비밀번호를 잃어버렸을 경우 다이얼번호탐지구에 탐지핀을 꽂아 연결봉체의 외면에 핀끝이 접촉된 상태로 다이얼과 함께 연결봉체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봉체의 내홈과 일치된 번호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다이얼 자물쇠의 비밀번호 모두를 알아내야 하기 때문에 그 만큼 다이얼 자물쇠의 비밀번호를 찾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상기 각 다이얼번호탐지구에 탐지핀을 한 번씩 꽂아 넣은 다음 연결봉체의 탐지공에 걸릴 때까지 계속해서 다이얼을 돌려야 하고, 이와 같은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 등 상기 탐지핀을 통한 다이얼번호 탐지작업 역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10-1509537호를 통해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소한 바 있지만, 다이얼 자물쇠의 비밀번호를 잃어버렸을 경우 문을 오픈 시킨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초기화해야 함으로써, 사용자가 사물함 내부를 공개해야 하는 부담감이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본체 하부에 돌출된 작동핀을 사용자가 직접 가압해야 함으로써, 상기 작동핀이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되어 다이얼 자물쇠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금전적 손해 및 교체 기간 동안 사물함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9788호. 사물함 손잡이 (등록일자 2004년 04월 28일)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9537호.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등록일자 2015년 04월 01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물함의 문이 닫혀진 상태에서 마스터키를 통해 키뭉치를 리셋 위치로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다이얼의 비밀번호를 확인 또는 리셋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뭉치를 회전시켜 리셋 위치에서는 다이얼 연결봉체가 눌려져 탐지공을 노출시키고, 다이얼과 함께 연결봉체를 회전시켜 탐지공에 탐지핀이 투입되어 다이얼 비밀번호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인지시킬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이얼 자물쇠 내부에 키뭉치의 회전에 따라 작동하여 다이얼 탐지공에 투입되는 탐지핀이 내장되면서도,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오작동을 방지해 제품만족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물함의 도어 전면에 키실린더뭉치(10) 및 다이얼뭉치(20)가 포함된 본체(3)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3) 전면의 커버(2) 외측에 노출된 수 개의 다이얼(24)을 회전시켜 설정된 비밀번호를 맞추면 키실린더뭉치(10)가 해제되어 손잡이(11)와 함께 도어 이면의 잠금레버(4)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하며, 비밀번호를 잊은 경우 마스터 키를 이용해 손잡이(11)가 회전되면서 다이얼뭉치(20)의 작동봉(21)을 눌러 수개의 다이얼(24)에 각각 끼움 결합된 연결봉체(22)의 일측에 형성된 탐지공(23)이 노출되게 하여, 상기 연결봉체(22)의 일측에 구비된 탐지수단(30)의 탐지핀(55)이 상기 탐지공(23)에 투입되어 다이얼(24)의 비밀번호를 알아내도록 구성된 다이얼 자물쇠(1)에 있어서;
탐지수단(30)은 상부에 누름돌기(41)를 갖고 하부에 복귀스프링(42)이 구비되며 일측에 수 개의 조작요철부(43)가 형성된 조작부재(40)가 키실린더뭉치(10)에 더 구비된 가압캠부(13)에 누름돌기(41)가 눌려져 본체(3) 내부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조작부재(40)의 일측에 위치해 힌지핀(51)을 중심으로 본체(3)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힌지핀(51)을 기준으로 일측에 수 개의 조작요철부(43)에 대응되는 탐지요철부(53)가 형성되며, 타측에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에 투입되는 탐지핀(55)이 구비된 탐지부재(50)를 포함해 구성되어,
비밀번호를 잊은 경우 마스터 키를 이용해 손잡이(11)를 설정 위치로 회전시켜 키실린더뭉치(10)가 다이얼뭉치(20)의 작동봉(21)을 눌러 수개의 다이얼(24)에 각각 끼움 결합된 연결봉체(22)의 일측에 형성된 탐지공(23)을 노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키실린더뭉치(10)의 가압캠부(13)가 조작부재(40)의 누름돌기(41)를 눌러 상기 조작부재(4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요철 결합상태인 조작요철부(43)의 철(凸)부이 탐지요철부(53)의 철(凸)부을 밀며 이동해 상기 탐지수단(30)이 힌지핀(5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측의 탐지핀(55)이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에 투입되어 다이얼(24)의 비밀번호를 알아내도록 구성된다.
또, 탐지수단(30)의 조작부재(40)와 탐지부재(50)에 구비된 조작요철부(43)와 탐지요철부(53)는, 요(凹)부와 철(凸)부가 대응하게 수 개 형성되며, 조작요철부(43)와 탐지요철부(53)의 서로 마주하는 철(凸)부에는 상호 대응하는 안내경사면(43a,53a)을 더 형성하여, 상기 조작요철부(43)의 하측 이동시에 안내경사면(43a,53a)을 통해 이동하면서 탐지요철부(53)의 철(凸)부을 밀어 내도록 구성된다.
또한, 탐지수단(30)의 조작부재(40)와 탐지부재(50)에 구비된 조작요철부(43)와 탐지요철부(53)는, 요(凹)부와 철(凸)부가 대응하게 수 개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철(凸)부에 상호 대응하는 안내경사면(43a,53a)을 더 형성하되, 상기 안내경사면(43a,53a)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테이퍼진 헬리컬면으로 성형되어, 조작요철부(43)의 하측 이동시에 상호 대응된 헬리컬면을 타고 탐지요철부(53)의 철(凸)부을 밀어 내면서 탐지부재(5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탐지부재(50)는 힌지핀(51)을 기준으로 타측에 수 개의 다이얼(24) 사이에 위치하여 간격을 유지시키는 다이얼지지구(54)가 수 개 연속 형성되며, 상기 다이얼지지구(54)에는 수 개의 다이얼(24)에 각각 끼움 결합된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에 대응하는 탐지핀(55)과, 상기 탐지핀(55)의 돌출 및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56)이 더 구비되어,
상기 연결봉체(22)의 외경면에 탐지핀(55)이 선단이 접촉되어 리턴스프링(56)이 가압된 상태에서 비밀번호 탐지를 위해 다이얼(24)과 함께 연결봉체(22)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에 탐지핀(55)이 투입되면 이에 해당되는 다이얼(24) 번호를 알아내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도 다이얼 자물쇠의 비밀번호를 쉽게 확인 또는 리셋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함께 사물함을 더욱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 다이얼의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탐지수단이 본체 내부에 내장된 상태를 갖고 있어 부품의 파손 및 망실을 방지하여, 제품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사용편의성 및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이얼 자물쇠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다이얼 자물쇠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에서 탐지수단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이얼뭉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키실린더뭉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작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탐지수단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탐지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9a 및 도 9b는 탐지수단의 일반적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탐지수단을 통해 비밀번호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단면도.
본 발명인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는, 다이어 자물쇠의 잠금레버를 동작시키는 손잡이를 잠금이나 열림위치가 아닌 리셋 위치로 회전시킨 다음 다이얼의 비밀번호를 확인 또는 리셋시킴으로써 비밀번호를 간편하게 변경 및 재설정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의 구성과 조립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된 다이얼 자물쇠(1)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이는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다이얼 자물쇠(1) 즉,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용 키(key)(미도시)와 실린더형 자물쇠를 이용하여 사물함을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하는 열쇠를 이용한 잠금장치와, 수 개의 다이얼(24)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수 개의 다이얼(24)을 회전시켜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시켜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시키는 다이얼(24)을 이용한 잠금장치가 혼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다이얼 자물쇠(1)에 대한 비밀번호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용 키나 마스터 키를 이용해 도어의 손잡이(11)를 열림 및 닫힘 사이에 있는 설정 위치에 놓은 다음, 상기 수 개의 다이얼을 이용해 비밀번호를 설정한 후, 손잡이를 열림 또는 닫힘 위치로 돌려 키를 분리한 다음 도어를 열거나 물건 수납후 도어를 닫고 수개의 다이얼(24)을 무작위로 돌려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손잡이(11)는 공지(公知)된 키실린더뭉치(10)와 조작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손잡이(11) 및 키를 이용해 키실린더뭉치(1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키실린더뭉치(10)의 내부 구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키실린더뭉치(10)는 본체(3)와 커버(2)가 결합된 내부공간에 위치하면서, 커버(2) 방향의 전방에는 후술(後述)되는 다이얼뭉치(20)의 작동봉(21)을 동작시키는 작동봉삽입부(14)가 형성되고, 본체(3) 방향의 후방에는 후술(後述)되는 탐지수단(30)의 조작부재(40)를 동작시키는 가압캠부(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3)와 커버(2)의 결합된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커버(2) 전면으로 수 개의 다이얼(24)을 노출시키는 다이얼뭉치(2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작동봉(21)에 수 개의 다이얼(24)과 연결봉체(22)가 끼움결합 되고, 상기 다이얼(24)에 각각 끼움 결합된 연결봉체(22)의 상단에 형성된 탐지공(23)은 일반 상태에서는 노출되지 않지만, 사용자가 손잡이(11)를 설정 위치에 놓으면 키실린더뭉치(10)의 작동봉삽입부(14)에 위치한 작동봉(21)의 상부 누름머리(21a)를 하향되게 가압하면서 동시에 연결봉체(22)가 하향 이동되어 연결봉체(22)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탐지공(23)이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이후에 손잡이(11)를 잠금 및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면 작동봉(21) 및 연결봉체(22)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원위치 복귀 하면서 탐지공(23)이 다이얼(24)에 가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봉(21)의 이동에 따라 수 개의 연결봉체(22)가 함께 이동하면서 수 개의 다이얼(24) 외측으로 각각의 탐지공(23)이 노출되게 하는 다이얼뭉치(20)의 구성은 이미 공지(公知)의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사용자가 전용 키 또는 마스터 키를 이용해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외부에서 비밀번호를 확인 또는 리셋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키실린더뭉치(10)의 회전을 이용해 상기 다이얼뭉치(20)의 작동봉(21)을 눌러 탐지공(23)을 노출시키면서 동시에 키실린더뭉치(10)의 가압캠부(13)가 탐지수단(30)을 작동시켜 상기 탐지수단(30)에 포함된 탐지핀(55)이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에 장착되게 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탐지수단(30)은 키실린더뭉치(10)에 의해 상,하 슬라이드 이동하는 조작부재(40)와 상기 조작부재(40)의 이동에 따라 수평 회전하여 다이얼뭉치(20)에 포함된 탐지공(23)에 탐지핀(55)을 장착하는 탐지부재(50)로 크게 구성된다.
조작부재(40)는, "ㄱ"자의 판형상을 갖고 수평부 중앙 상부에 누름돌기(41)가 형성되어, 본체(3)의 키실린더뭉치 장착구멍(미부호)에 상기 누름돌기(41)가 위치되게 하고, 일측에서 절곡된 수직부의 하단에 본체(3)에 지지되는 복귀스프링(42)이 구비되며 수직부 측면에 수 개의 조작요철부(43)가 형성되어 본체(3) 내부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도 5에서와 같이 키실린더뭉치(10)의 가압캠부(13)가 설정 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는 누름돌기(41)를 누르고 있게 되므로 상기 조작부재(40)가 본체(3) 내부에서 하향 이동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조작부재(40)가 "ㄱ"자의 판형상을 갖는 것은, 수평부가 키실린더뭉치(10)의 가압캠부(13)와 접촉하기 위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고, 수직부는 다이얼뭉치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본체(3)의 측벽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본체(3)의 내부 일측에는 돌출된 레일부(3a)를 더 형성하고 상기 조작부재(40)의 절곡 형성된 수직부가 상기 레일부(3a)에 끼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게 함으로써, 조작부재(40)는 보다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3)의 레일부(3a)에는 일측을 개구되게 형성하고, 그 상하부에 힌지핀받침대(3b)를 구비시켜 탐지부재(50)의 힌지핀(51)을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힌지핀(51)을 중심으로 탐지부재(50)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탐지부재(50)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힌지핀(51)을 기준으로 일측에 상기 조작부재(40)에 구비된 수 개의 조작요철부(43)에 대응하는 탐지요철부(53)가 형성되며, 타측에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에 투입되는 탐지핀(55)이 구비되는데, 상기 탐지핀(55)은 상기 수 개의 다이얼(24) 사이에 위치하여 간격을 유지시키는 수 개의 다이얼지지구(54)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다이얼지지구(54)는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수 개의 다이얼(24)에 각각 끼움 결합된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에 대응하는 탐지핀(55)과, 상기 탐지핀(55)의 돌출시키는 리턴스프링(56)이 수납된 상태에서, 외측면 즉, 탐지핀과 리터스프링이 삽입된 면을 마감커버(미부호)로 고정한 상태로 구성되어, 다이얼(24) 사이에 끼워져 간격을 유지시키는 다이얼지지구(54)의 전방으로 탐지핀(55)이 돌출되며 연결봉체(22)의 외경면에 선단이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때, 상기 탐지부재(50)와 본체(3)의 측벽 사이에는 탐지복원스프링(52)이 더 구비되어 탐지부재(50)의 탐지요철부(53)를 조작부재(40)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탐지수단(30)을 구성하는 조작부재(40) 및 탐지부재(50)의 결합면은 상호 조작요철부(43)와 탐지요철부(53)가 요철결합된 상태를 갖고 있으면서, 상기 조작부재(40)의 하강 이동에 따라 도 8과 같이 탐지부재(50)가 힌지핀(5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되게 한다.
상기, 조작부재(40)와 탐지부재(50)에 구비된 조작요철부(43)와 탐지요철부(53)는, 요(凹)부와 철(凸)부가 대응하게 수 개 형성되며, 조작요철부(43)와 탐지요철부(53)의 서로 마주하는 철(凸)부에는 상호 대응하는 안내경사면(43a,53a)을 더 형성하여, 상기 조작요철부(43)의 하측 이동시에 안내경사면(43a,53a)을 통해 이동하면서 탐지요철부(53)의 철(凸)부을 밀어 내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탐지요철부(53)가 타측으로 밀려나면서 힌지핀(51)을 기준으로 일측의 탐지핀(55)이 전방 이동되는 방식으로 탐지부재(50)가 자연스럽게 회전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탐지복원스프링(52)이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탐지부재(50)의 일측에 구비된 탐지핀(55)이 연결봉체(22)의 외경면에 눌려지면서 리턴스프링(56)을 압축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작부재(40)와 탐지부재(50)에 구비된 조작요철부(43)와 탐지요철부(53)의 안내경사면(43a,53a)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테이퍼진 헬리컬면으로 성형되어, 조작요철부(43)의 하측 이동시에 상호 대응된 헬리컬면을 타고 탐지요철부(53)의 철(凸)부을 밀어 내면서 탐지부재(50)에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탐지부재(50)의 탐지요철부(53)에는 다 수의 요철(凹凸)면이 연속 구비하면서도, 상기 요(凹)부에는 후면방향으로 테이퍼진 받침경사면(53b)이 더 형성되어, 상기 받침경사면(53b)이 탐지요철부(53)의 철(凸)부에 걸려지도록 구성하여 탐지부재(50)가 힌지핀(51)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 자유 유동되게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다이얼 자물쇠(1)를 사용하기 위해 다이얼(24)을 회전시키면 연결봉체(22)에 접촉된 탐지핀(55)과 함게 탐지부재(50)가 힌지핀(5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여 부품의 고장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다이얼 자물쇠(1)에 대한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다이얼 자물쇠(1)를 열거나 잠그는 과정과 함께, 키실린더뭉치(10) 및 다이얼뭉치(20)의 구성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작동과정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마스터키를 통해 잠겨진 키실린더뭉치(10)를 회전시켜 비밀번호를 탐지하여 다이얼 번호를 알아내는 과정에 국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다이얼 자물쇠(1)의 비밀번호를 사용자가 알고 있는 상태 또는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수납함 도어가 잠겨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작동봉(21)의 누름머리(21a)가 상부로 돌출되어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이 노출되지 않고, 탐지부재(50)는 탐지복원스프링(52)의 탄성으로 탐지요철부(53)가 조작요철부(43)에 요철결합된 상태이며, 탐지부재(50)의 탐지핀(55)이 연결봉체(22)의 외경면에 단순히 접촉된 상태를 갖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다이얼 자물쇠(1)의 비밀번호를 알아내야 하는 경우 또는 비밀번호를 리셋하기 위한 경우에는 마스터 키를 이용해 다이얼 자물쇠(1)의 키실린더뭉치(10)를 열림, 잠김 사이에 위치한 설정 위치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키실린더뭉치(10)는 커버(2) 전방에서 손잡이(11)가 결합되어 있고, 커버 전면에 열림, 잠김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어, 손잡이(11)의 위치를 통해 설정 위치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키실린더뭉치(10)가 설정 위치로 회전하면, 작동봉삽입부(14)에 삽입된 작동봉(21)의 누름머리(21a)가 키실린더뭉치의 외경면에 의해 가압되어 연결봉체(22)를 포함한 작동봉(21)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또 키실린더뭉치의 후방에 더 구비된 가압캠부(13)에 의해 조작부재(40)의 누름돌기(41)가 하향 슬라이드 이동된다.
따라서, 도 10a와 같이 상기 작동봉(21)과 함께 하부로 이동된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이 노출되는데, 상기 키실린더뭉치(10)의 가압캠부(13)에 의해 하향 슬라이드 이동하는 조작부재(40)에 의해 힌지핀(51)을 중심으로 탐지복원스프링(52)을 압축하면서 연결봉체(22) 방향으로 탐지핀(55)을 회전시켜 상기 탐지핀(55)이 리턴스프링(56)을 압축시키게 된다.
즉, 도 10b와 같이 조작부재(40)와 탐지부재(50)에 구비된 조작요철부(43)와 탐지요철부(53)는, 요(凹)부와 철(凸)부가 대응하게 수 개 형성되어 통상적으로 요철결합된 상태이나, 상기와 같은 설정상태에서는 조작요철부(43)의 철(凸)부가 하향이동하면서 탐지요철부(53)의 철(凸)부를 타고 넘어가 도면 상 우측으로 밀게 되어 힌지핀(5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탐지요철부(53)가 타측으로 밀려나면서 힌지핀(51)을 기준으로 일측의 탐지핀(55)은 도면 상 좌측 이동하는 방식으로 탐지부재(50)가 자연스럽게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탐지부재(50)의 탐지리턴스프링(52)이 압축되면서 일측에 구비된 탐지핀(55)이 연결봉체(22)의 외경면에 눌려지면서 리턴스프링(56)을 압축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알아내기 위해 연결봉체(22)가 포함된 다이얼(24)을 회전시켜, 탐지핀(55)의 위치에 탐지공(23)이 놓이면 상기 압축된 리턴스프링(56)의 탄성으로 탐지핀(55)을 돌출시키면서 탐지공(23)에 끼워져 다이얼(24)의 회전 이동을 제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밀번호를 탐지하기 위해 다이얼(24)과 함께 연결봉체(22)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하는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에 탐지핀 선단이 투입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다단의 다이얼(24)을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탐지핀(55)의 선단이 각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에 각각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잊어버린 커버(2) 외측으로 노출된 다이얼(24) 번호를 사용자가 쉽게 알아 보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잊어버린 다이얼 자물쇠(1)의 비밀번호를 알아내거나 비밀번호를 재설정한 다음에는 상기 마스터 키를 분리한 후 키실린더뭉치(10)에 조립된 손잡이(11)를 열림 또는 잠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캠부(13)에 의해 하향 이동된 조작부재(40)가 복귀스프링(42)에 의해 상향 이동되며, 탐지부재(50)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탐지부재(50)는 탐지복원스프링(52)의 탄성을 이용해도 9b의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키실린더뭉치(10)의 작동봉삽입부(14)에 누름머리(21a)가 삽입되도록 연결봉체(22)와 함께 작동봉(21)이 승강이동함에 따라 탐지공(23)이 노출되지 않는 비밀번호 설정 이전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다이얼 자물쇠(1)의 비밀번호 탐색작업이 모두 종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다이얼 자물쇠 3. 본체
10. 키실린더뭉치 11. 손잡이
13. 가압캠부 14. 작동봉삽입부
20. 다이얼뭉치 21. 작동봉
22. 연결봉체 23. 탐지공
24. 다이얼 30. 탐지수단
40. 조작부재 41. 누름돌기
42. 복귀스프링 43. 조작요철부
50. 탐지부재 51. 힌지핀
53. 탐지요철부 54. 다이얼지지구
55. 탐지핀 56. 리턴스프링

Claims (5)

  1. 사물함의 도어 전면에 키실린더뭉치(10) 및 다이얼뭉치(20)가 포함된 본체(3)가 설치되며, 본체(3) 전면의 커버(2) 외측에 노출된 수 개의 다이얼(24)을 회전시켜 설정된 비밀번호를 맞추면 키실린더뭉치(10)가 해제되어 손잡이(11)와 함께 도어 이면의 잠금레버(4)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하며, 비밀번호를 잊은 경우 마스터 키를 이용해 손잡이(11)가 회전되면서 다이얼뭉치(20)의 작동봉(21)을 눌러 수개의 다이얼(24)에 각각 끼움 결합된 연결봉체(22)의 일측에 형성된 탐지공(23)이 노출되게 하여, 상기 연결봉체(22)의 일측에 구비된 탐지수단(30)의 탐지핀(55)이 상기 탐지공(23)에 투입되어 다이얼(24)의 비밀번호를 알아내도록 구성된 다이얼 자물쇠(1)에 있어서;
    탐지수단(30)은 상부에 누름돌기(41)를 갖고 하부에 복귀스프링(42)이 구비되며 일측에 수 개의 조작요철부(43)가 형성된 조작부재(40)가 키실린더뭉치(10)에 더 구비된 가압캠부(13)에 누름돌기(41)가 눌려져 본체(3) 내부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조작부재(40)의 일측에 위치해 힌지핀(51)을 중심으로 본체(3)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힌지핀(51)을 기준으로 일측에 수 개의 조작요철부(43)에 대응되는 탐지요철부(53)가 형성되며, 타측에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에 투입되는 탐지핀(55)이 구비된 탐지부재(50)를 포함해 구성되어,
    비밀번호를 잊은 경우 마스터 키를 이용해 손잡이(11)를 설정 위치로 회전시켜 키실린더뭉치(10)가 다이얼뭉치(20)의 작동봉(21)을 눌러 수개의 다이얼(24)에 각각 끼움 결합된 연결봉체(22)의 일측에 형성된 탐지공(23)을 노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키실린더뭉치(10)의 가압캠부(13)가 조작부재(40)의 누름돌기(41)를 눌러 상기 조작부재(4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요철 결합상태인 조작요철부(43)의 철(凸)부이 탐지요철부(53)의 철(凸)부을 밀며 이동해 상기 탐지수단(30)이 힌지핀(5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측의 탐지핀(55)이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에 투입되어 다이얼(24)의 비밀번호를 알아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탐지수단(30)의 조작부재(40)와 탐지부재(50)에 구비된 조작요철부(43)와 탐지요철부(53)는, 요(凹)부와 철(凸)부가 대응하게 수 개 형성되며, 조작요철부(43)와 탐지요철부(53)의 서로 마주하는 철(凸)부에는 상호 대응하는 안내경사면(43a,53a)을 더 형성하여, 상기 조작요철부(43)의 하측 이동시에 안내경사면(43a,53a)을 통해 이동하면서 탐지요철부(53)의 철(凸)부을 밀어 내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3. 청구항 1에 있어서, 탐지수단(30)의 조작부재(40)와 탐지부재(50)에 구비된 조작요철부(43)와 탐지요철부(53)는, 요(凹)부와 철(凸)부가 대응하게 수 개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철(凸)부에 상호 대응하는 안내경사면(43a,53a)을 더 형성하되, 상기 안내경사면(43a,53a)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테이퍼진 헬리컬면으로 성형되어, 조작요철부(43)의 하측 이동시에 상호 대응된 헬리컬면을 타고 탐지요철부(53)의 철(凸)부을 밀어 내면서 탐지부재(5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4. 청구항 1에 있어서, 탐지부재(50)의 일측 전면에 형성된 탐지요철부(53)는 다 수의 요철(凹凸)면이 연속 구비되며, 상기 요(凹)부에는 후면방향으로 테이퍼진 받침경사면(53b)이 더 형성되어, 탐지부재(50)가 회전하며 상기 받침경사면(53b)이 탐지요철부(53)의 철(凸)부에 걸려지도록 구성하여 탐지부재(50)가 힌지핀(51)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 자유 유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5. 청구항 1에 있어서, 탐지부재(50)는 힌지핀(51)을 기준으로 타측에 수 개의 다이얼(24) 사이에 위치하여 간격을 유지시키는 다이얼지지구(54)가 수 개 연속 형성되며, 상기 다이얼지지구(54)에는 수 개의 다이얼(24)에 각각 끼움 결합된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에 대응하는 탐지핀(55)과, 상기 탐지핀(55)의 돌출 및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56)이 더 구비되어,
    상기 연결봉체(22)의 외경면에 탐지핀(55)이 선단이 접촉되어 리턴스프링(56)이 가압된 상태에서 비밀번호 탐지를 위해 다이얼(24)과 함께 연결봉체(22)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봉체(22)의 탐지공(23)에 탐지핀(55)이 투입되면 이에 해당되는 다이얼(24) 번호를 알아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KR1020170075631A 2017-06-15 2017-06-15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KR101851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631A KR101851499B1 (ko) 2017-06-15 2017-06-15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PCT/KR2018/006131 WO2018230865A1 (ko) 2017-06-15 2018-05-30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US16/620,435 US11131119B2 (en) 2017-06-15 2018-05-30 Locker dial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631A KR101851499B1 (ko) 2017-06-15 2017-06-15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499B1 true KR101851499B1 (ko) 2018-04-24

Family

ID=6208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631A KR101851499B1 (ko) 2017-06-15 2017-06-15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31119B2 (ko)
KR (1) KR101851499B1 (ko)
WO (1) WO201823086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4742A (zh) * 2018-11-20 2019-03-29 武汉瑞莱保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控制的钥匙柜内钥匙在位检测机构
CN112186546A (zh) * 2020-10-19 2021-01-05 杭州柯雷沃科技有限公司 方便维修的具有散热束线功能的高低压配电柜
KR102250480B1 (ko) * 2021-01-27 2021-05-12 주식회사 아이토프 다이얼식 자물쇠
KR102323898B1 (ko) * 2021-05-10 2021-11-09 정태원 다이얼 잠금장치
KR102336956B1 (ko) * 2021-05-10 2021-12-08 정태원 다이얼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1719B2 (ja) 2019-02-18 2023-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0566044A (zh) * 2019-09-06 2019-12-13 徐正 一种双开密码锁
GB2606302A (en) * 2019-12-27 2022-11-02 Xiamen Make Security Tech Co Ltd Combination lock
CN114704160B (zh) * 2022-03-31 2023-11-28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万宁供电局 一种新型变电站门禁管理工具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702U (ko) * 2008-04-17 2009-10-21 정휘성 비밀번호 확인이 용이한 다이얼키 방식 록킹장치
KR20100090363A (ko) * 2009-02-06 2010-08-16 (주)엠지플라매직 사물함용 다이얼키의 비밀번호 리셋장치
KR101145145B1 (ko) * 2011-08-11 2012-05-14 주식회사 우드메탈 마스터용 잠금 해제기능을 갖는 물품보관함
KR20120078088A (ko) * 2010-12-31 2012-07-10 김판중 리셋이 용이한 다이얼 자물쇠
JP5305282B2 (ja) * 2008-01-16 2013-10-02 コクヨ株式会社 ダイヤル錠及び収納装置
KR101509537B1 (ko) * 2015-02-03 2015-04-07 황상식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KR101527693B1 (ko) * 2014-12-10 2015-06-09 장근대 다이얼식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888B2 (ja) * 1987-09-02 1994-06-22 株式会社クローバー 組合せ錠
JP2564238B2 (ja) * 1993-01-21 1996-12-18 株式会社クローバー 符号錠装置
US6598434B2 (en) * 2001-11-09 2003-07-29 Ping-Jan Yang Dual mechanism lock
US6508089B1 (en) * 2002-03-27 2003-01-21 Jaeyou Co., Ltd. Lock used for the cabinets in public places
US20040011098A1 (en) * 2002-07-17 2004-01-22 Ping-Jan Yang Compound locking device
KR200349788Y1 (ko) 2004-02-12 2004-05-12 주식회사 우창 아이토프 사물함 손잡이
US7444844B1 (en) * 2007-12-18 2008-11-04 Aba Ufo International Corp. Dual-mode lock for lockers
US20110041574A1 (en) * 2009-08-23 2011-02-24 Kuo-Tsung Yang Combination lock with dual key numbers
CN205894899U (zh) * 2016-08-08 2017-01-18 竞泰股份有限公司 转钮锁
CN110566044A (zh) * 2019-09-06 2019-12-13 徐正 一种双开密码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5282B2 (ja) * 2008-01-16 2013-10-02 コクヨ株式会社 ダイヤル錠及び収納装置
KR20090010702U (ko) * 2008-04-17 2009-10-21 정휘성 비밀번호 확인이 용이한 다이얼키 방식 록킹장치
KR20100090363A (ko) * 2009-02-06 2010-08-16 (주)엠지플라매직 사물함용 다이얼키의 비밀번호 리셋장치
KR20120078088A (ko) * 2010-12-31 2012-07-10 김판중 리셋이 용이한 다이얼 자물쇠
KR101145145B1 (ko) * 2011-08-11 2012-05-14 주식회사 우드메탈 마스터용 잠금 해제기능을 갖는 물품보관함
KR101527693B1 (ko) * 2014-12-10 2015-06-09 장근대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509537B1 (ko) * 2015-02-03 2015-04-07 황상식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4742A (zh) * 2018-11-20 2019-03-29 武汉瑞莱保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控制的钥匙柜内钥匙在位检测机构
CN109544742B (zh) * 2018-11-20 2021-05-14 武汉瑞莱保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控制的钥匙柜内钥匙在位检测机构
CN112186546A (zh) * 2020-10-19 2021-01-05 杭州柯雷沃科技有限公司 方便维修的具有散热束线功能的高低压配电柜
CN112186546B (zh) * 2020-10-19 2022-04-15 山东万盛电气有限公司 方便维修的具有散热束线功能的高低压配电柜
KR102250480B1 (ko) * 2021-01-27 2021-05-12 주식회사 아이토프 다이얼식 자물쇠
KR102323898B1 (ko) * 2021-05-10 2021-11-09 정태원 다이얼 잠금장치
KR102336956B1 (ko) * 2021-05-10 2021-12-08 정태원 다이얼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0865A1 (ko) 2018-12-20
US11131119B2 (en) 2021-09-28
US20200131802A1 (en)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499B1 (ko)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KR20030012784A (ko) 복합자물쇠 편입형 문짝용 로크핸들장치
KR101980094B1 (ko)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KR20120113071A (ko) 사물함 잠금장치
JPH0726496B2 (ja) 安全装置の内設されたドア・ロック
KR102495927B1 (ko)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잠금장치
KR101509537B1 (ko)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TWI510204B (zh) An umbrella holding device and a lifting device used in the holding device
KR101145145B1 (ko) 마스터용 잠금 해제기능을 갖는 물품보관함
KR10195610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JP3583383B2 (ja) 符号合わせ錠組込み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1126130B1 (ko) 비상해제기능을 갖는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226686B1 (ko) 리셋이 용이한 다이얼 자물쇠
JP2821368B2 (ja) 符号合わせ錠
JP2003113682A (ja) 複合錠組込み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4022290B2 (ja) ロッカー用ダイヤル錠
KR20100090363A (ko) 사물함용 다이얼키의 비밀번호 리셋장치
KR102336956B1 (ko) 다이얼 잠금장치
JP3355167B2 (ja) 扉用錠装置
JP2009203696A (ja) 錠装置
KR102313629B1 (ko) 다이얼 잠금장치
KR102323898B1 (ko) 다이얼 잠금장치
KR101073086B1 (ko) 도어 록
JP2902552B2 (ja) 傘保管具
JP2008190215A (ja) 符号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