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686B1 - 열교환기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686B1
KR101569686B1 KR1020100000395A KR20100000395A KR101569686B1 KR 101569686 B1 KR101569686 B1 KR 101569686B1 KR 1020100000395 A KR1020100000395 A KR 1020100000395A KR 20100000395 A KR20100000395 A KR 20100000395A KR 101569686 B1 KR101569686 B1 KR 101569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fastening structure
bracket
side coupl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248A (ko
Inventor
한지훈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0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68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0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dismountable joints
    • F28F9/12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dismountable joints by flange-ty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손이나 손상 발생 시 교체가 간단하고 결합 공정이 용이한 열교환기 체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는,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를 전후 방향으로 결합하는 열교환기 체결 구조(500)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제1열교환기에 부착 구비되는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 높이 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2열교환기에 부착 구비되며, U자 형상의 개방된 측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의 U자 형상의 개방된 측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에 부착 구비되는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에 폭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에 삽입된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 상부를 눌러 고정 지지하는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체결 구조 {Heat Exchanger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은 열교환기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온도차가 있는 두 환경 사이에서 한쪽의 열을 흡수하여 다른쪽으로 열을 방출시키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 시스템은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열교환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컨덴서, 열교환매체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구성되는데, 여기에서 증발기나 컨덴서가 대표적인 열교환기이다. 상기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는 압축기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컨덴서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며, 상기 액화된 냉매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과함으로써 저온 및 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게 되어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덴서에서는 고온ㆍ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 배출되는데, 이렇게 냉매가 기상에서 액상으로 바뀌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컨덴서 내부에는 기상의 냉매와 액상의 냉매가 혼합되어 있게 된다. 그런데,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혼합되어 있게 되면 온도ㆍ압력에 있어 평형적인 조건밖에는 얻을 수가 없게 되기 때문에, 보다 컨덴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미 응축된 액상 냉매와 아직 응축되지 못한 기상 냉매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컨덴서에는 리시버 드라이어가 구비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컨덴서 내의 일부 영역을 통과한 냉매가 리시버 드라이어로 유입되었다가 기상과 액상이 분리된 후 컨덴서 내로 재유입되는 형태로 유로가 형성된다.
라디에이터(radiator)는 내연기관에서 발생한 열의 일부를 냉각수를 통해서 대기 속으로 방출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은 항상 고온ㆍ고압의 가스를 점화ㆍ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매우 많은 양의 열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냉각을 시켜 주지 않으면 과열로 인하여 실린더와 피스톤을 포함하는 각종 부품이 녹거나 탐으로써 손상 및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 주위에 냉각수를 수용하는 재킷을 설치하고, 상기 재킷 내부로 냉각수를 순환시킴으로써 냉각수가 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흡수함으로써 엔진이 냉각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냉각수 역시 오랜 시간 동안 엔진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고온이 되면 엔진으로부터 더 이상 열을 흡수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상기 냉각수를 냉각시켜 주는 장치가 필요한데, 라디에이터는 바로 이러한 고온의 냉각수를 순환시켜 냉각시켜 주는 장치이다.
최근,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각종 부품의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 자동차의 각 부품에 있어서 종래에는 각각 독립적인 부품들이었던 것들이 합쳐져 일체형 부품으로 전환되거나 비슷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부품끼리 가까이 배치시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컨덴서와 라디에이터 역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깝게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형태로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도 2는 종래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의 라디에이터(200) 및 컨덴서(100)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컨덴서(100)에 부착 구비되는 컨덴서측 결합 브라켓(510')과,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200)에 부착 구비되는 라디에이터측 결합 후크(520')로 이루어진다.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컨덴서측 결합 브라켓(510')이 높이 방향으로 하향하여 상기 라디에이터측 결합 후크(520')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컨덴서측 결합 브라켓(510') 및 상기 라디에이터측 결합 후크(520')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라디에이터측 결합 후크(520')의 후크 형상 윗단이 상기 컨덴서측 결합 브라켓(510')의 상단부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컨덴서측 결합 브라켓(510')이 높이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500')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종래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500')는 상기 컨덴서측 결합 브라켓(510')이 상기 라디에이터측 결합 후크(520')에 끼워짐으로써 결합이 완료되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라디에이터측 결합 후크(520')가 파손될 경우 상기 라디에이터측 결합 후크(520')가 상기 라디에이터(200)에 부착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라디에이터(200)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500')의 경우 상기 컨덴서측 결합 브라켓(510')이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라디에이터측 결합 후크(520')와의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정에 필요한 공간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 또한 있었다. 또한, 상기 컨덴서(100)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00)가 구비되는 바, 결합 시 또는 교체를 위해 후크를 젖혀야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측 결합 후크(520')가 벌어질 만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할 수도 있어 여러 불편함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손이나 손상 발생 시 교체가 간단하고 결합 공정이 용이한 열교환기 체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는,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를 전후 방향으로 결합하는 열교환기 체결 구조(500)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제1열교환기에 부착 구비되는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 높이 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2열교환기에 부착 구비되며, U자 형상의 개방된 측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의 U자 형상의 개방된 측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에 부착 구비되는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에 폭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에 삽입된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 상부를 눌러 고정 지지하는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열교환기 체결 구조(500)는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에 걸림공(53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에 걸림부(541)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공(531)에 상기 걸림부(541)가 걸림으로써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 및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 간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는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이 높이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5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가 각각 라디에이터 및 컨덴서에 부착 구비된 부품들끼리 결합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열교환기 체결 구조 부분에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할 경우 라디에이터 또는 컨덴서 자체를 교체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문제를 제거하는 큰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별물에 의해 열교환기 체결 구조의 고정이 이루어지며, 지지력은 별물 부분에 집중되게 되는 바, 파손이나 손상이 일어난다 해도 별물 부분에 일어나게 되며, 따라서 별물만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교체 및 수리 비용이 크게 줄어들게 되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는 결합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의 경우 결합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컨덴서에 구비된 리시버 드라이어의 존재 등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아, 결합 또는 분해 공정에서 필요한 공간이 크게 줄어들게 되는 효과 또한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하면, 이에 따라 엔진 룸 내 공간 활용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컨덴서, 리시버 드라이어 및 라디에이터 배치.
도 2는 종래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의 결합 단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 체결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는 컨덴서(100)와 라디에이터(200)를 결합하는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겠으나, 본 발명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는 비단 컨덴서와 라디에이터의 결합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두 개의 물이든 관계없이 결합을 위해서 어디에나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열교환기는 도면에서 컨덴서(100)가 되며, 제2열교환기는 도면에서 라디에이터(200)가 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는 어디에나 적용될 수 있으므로,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는 컨덴서 및 라디에이터가 될 수도 있고,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가 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500)는,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각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제1열교환기에 부착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이 납작한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단면으로 도시되었으나, 물론 그 형상에 큰 제약은 없으나, 공간적 유리함을 확보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는, 높이 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2열교환기에 부착 구비되며, U자 형상의 개방된 측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이 삽입되어 지지된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라디에이터측 결합 후크(520')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측 결합 후크(520') 자체로 브라켓을 고정 지지하였던 것과는 달리,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는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그대로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이 삽입되어도 그대로는 고정되지 않고 단지 지지될 뿐이다.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는,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의 U자 형상의 개방된 측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에 부착 구비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은,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에 폭 방향으로 삽입 결합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과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에 삽입된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 상부를 눌러 고정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에는 걸림공(53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에는 걸림부(541)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 및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 간 결합은, 상기 걸림공(531)에 상기 걸림부(541)가 걸림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500)에서는,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에 의하여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지지력은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 및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 간의 결합 부분, 즉 상기 걸림공(531) 및 상기 걸림부(541)가 결합된 부분에 집중되게 된다. 따라서 만일 외력이나 진동 등에 의하여 파손이나 손상이 일어날 경우, 상기 걸림부(541) 부분이 가장 먼저 손상이 일어나게 되며, 나머지 부분, 즉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에는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나머지 부분들(510)(520)(530)은 상기 제1열교환기 또는 상기 제2열교환기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부품들이기 때문에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반면,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은 상기 제1열교환기 또는 상기 제2열교환기에 직접 부착되어 있지 않은 부품이기 때문에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500)에서는 열교환기 체결 구조의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파손이나 손상이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에서만 발생하게 될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제1열교환기 또는 제2열교환기 자체를 교환할 필요가 전혀 없이,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수리 비용을 혁신적으로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컨덴서와 라디에이터의 결합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이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의 U자 형태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 결합된다. 이 때,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경우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에 대응되는 상기 라디에이터측 결합 후크(520')에서는 상기 라디에이터측결합 후크(520') 자체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에 대응되는 상기 컨덴서측 결합 브라켓(51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시켜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는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을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지지할 뿐인 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결합 또는 분해 시 후크의 벌어짐이 발생하게 되어 주변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단지 브라켓을 후크 내에 폭 방향으로 밀어넣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결합 또는 분해 시 여분의 공간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이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에 결합된다. 이 때에도 역시,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은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 또는 분해 시 여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 및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 간 결합을,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에 형성된 상기 걸림공(531)에,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541)가 걸리게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결합 공정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림부(541)를 상기 걸림공(531) 아래쪽으로 밀어내린 후 폭 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써 분해 공정 또한 매우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합 공정에서 모든 부품의 움직임은 폭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또한 결합 또는 분해 시 전혀 여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종래에는 결합 또는 분해 시 발생되는 후크의 벌어짐 때문에 여분의 공간이 필요하였으며, 예를 들어 제1열교환기가 컨덴서일 경우 리시버 드라이어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여분의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이럴 때에는 컨덴서 및 라디에이터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브라켓을 각각 따로 구비시키고, 이 브라켓끼리 결합을 이루도록 해야 하는 등의 구조를 취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에 따라 오히려 엔진 룸 공간이 더욱 협소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문제가 전혀 없기 때문에, 부품 간 결합을 보다 컴팩트하게 이룰 수 있고, 따라서 엔진 룸 내 공간 활용성 또한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500)에 의해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진 모습을도시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이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의 상단부를 눌러 고정 지지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의 이탈을 방지하여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의 상기 걸림부(541)로만 지지력이 집중되는 것을 일부 분산하기 위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에는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이 높이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53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상에는 상기 지지부(532)가 다수 개의 봉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이는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은 제1열교환기 또는 제2열교환기에 직접 부착되는 부품이 아니며 실질적으로 완전히 독립적인 부품이기 때문에, 어떤 재질로 만들어져도 무방하다. 따라서 제1열교환기 또는 제2열교환기가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 어떤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해도,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은 이와 크게 관련없이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되는 적절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컨덴서 200: 라디에이터
300: 리시버 드라이어 500: (본 발명의) 열교환기 체결 구조
510: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 520: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
530: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
531: 걸림공 532: 지지부
540: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 541: 걸림부

Claims (3)

  1.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를 전후 방향으로 결합하는 열교환기 체결 구조(500)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제1열교환기에 부착 구비되는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
    높이 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2열교환기에 부착 구비되며, U자 형상의 개방된 측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의 U자 형상의 개방된 측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에 부착 구비되는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에 폭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지지 후크(520)에 삽입된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제1열교환기측 결합 브라켓(510) 상부를 눌러 고정 지지하는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체결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체결 구조(500)는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에 걸림공(53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에 걸림부(541)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공(531)에 상기 걸림부(541)가 걸림으로써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 및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 간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체결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고정부(530)는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이 높이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열교환기측 결합 별물(540)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5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체결 구조.
KR1020100000395A 2010-01-05 2010-01-05 열교환기 체결 구조 KR101569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395A KR101569686B1 (ko) 2010-01-05 2010-01-05 열교환기 체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395A KR101569686B1 (ko) 2010-01-05 2010-01-05 열교환기 체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248A KR20110080248A (ko) 2011-07-13
KR101569686B1 true KR101569686B1 (ko) 2015-11-17

Family

ID=44919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395A KR101569686B1 (ko) 2010-01-05 2010-01-05 열교환기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152A (ko) * 2021-05-20 2022-11-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쿨링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991A (ja) 2000-09-20 2002-05-22 Valeo Thermique Moteur 自動車用熱交換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991A (ja) 2000-09-20 2002-05-22 Valeo Thermique Moteur 自動車用熱交換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248A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7478B2 (en) Heat radiation unit an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1802748B1 (ko) 쿨링모듈
KR101569686B1 (ko) 열교환기 체결 구조
US20070261433A1 (en) Component assembly for refrigerating cycle and refrigerating cycle having the same
KR101435665B1 (ko) 쿨링모듈
KR102220816B1 (ko)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6809266B2 (ja) 熱交換器モジュール
KR101385256B1 (ko) 화물차량의 컴프레서 체결용 브라켓트
JP2002115936A (ja) 冷却ユニット
KR102167510B1 (ko) 차량용 응축기
US20070277549A1 (en) Automotive air-conditioning system
JP6541219B2 (ja) 受液器付き熱交換器
KR2015008083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175107B1 (ko) 라디에이터
JP2002154318A (ja) コンデンサの取付構造
KR200448845Y1 (ko) 처짐 방지용 엔드캡을 구비한 응축기
JP5588728B2 (ja) 車載用冷凍装置のフレーム構造
JP2019069639A (ja) 車両用冷媒配管構造
KR101971486B1 (ko) 루프탑 리시버 드라이어 장착 구조
JP2008202806A (ja) 冷蔵庫
KR101362202B1 (ko) 자동차용 파이프 고정 장치
KR101101816B1 (ko) 냉장고
KR102228023B1 (ko) 차량용 응축기
KR20160054671A (ko) 축냉기 어셈블리
KR200232970Y1 (ko) 카에어컨의쿨링파이프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