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510B1 - 차량용 응축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응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7510B1 KR102167510B1 KR1020150053278A KR20150053278A KR102167510B1 KR 102167510 B1 KR102167510 B1 KR 102167510B1 KR 1020150053278 A KR1020150053278 A KR 1020150053278A KR 20150053278 A KR20150053278 A KR 20150053278A KR 102167510 B1 KR102167510 B1 KR 1021675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er tank
- fixing unit
- fixing
- condenser
- fla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 F28F2009/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은 제1 헤더탱크 또는 제2 헤더탱크의 상측을 라디에이터에 고정하고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해 제1 헤더탱크 또는 제2 헤더탱크에 설치되는 고정유닛을 일체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킴에 따라 차량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에 의한 응력집중에 의해서도 고정유닛의 결합부위인 헤더탱크의 파손이나 헤더탱크의 손상에 의한 냉매의 유출을 방지하고, 부품수의 감소를 통해 제조비용과 조립공정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헤더탱크 또는 제2 헤더탱크의 상측을 라디에이터에 고정하고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해 제1 헤더탱크 또는 제2 헤더탱크에 설치되는 고정유닛을 일체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킴에 따라 차량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에 의한 응력집중에 의해서도 고정유닛의 결합부위의 파손이나 손상에 의한 냉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온도차가 있는 두 환경 사이에서 한쪽의 열을 흡수하여 다른 쪽으로 열을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경우에는 냉방시스템으로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방출할 경우에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열교환기는 주변으로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열교환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냉각장치에서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실제 냉각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는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고, 이렇게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게 된다.
또한, 액화된 냉매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화함으로써 저온, 저압으로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에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게 되어 사이클을 구성하게 된다.
이처럼, 열교환기에서는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에 배출된다.
즉, 응축기는 압축기로부터 유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시켜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최근 자동차 개발은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부품수와 조립공정수를 감소하고자 하는 경향이 증가되고 있다. 이처럼,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다수의 부품을 각각 조립하여 집합체를 형성시켜 조립라인에서 조립하는 모듈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모듈화 기술의의 일예로 프런트 엔드 모듈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이란 쿨링모듈, 헤드램프, 혼(horn), 및 범퍼 빔(bumper beam) 등과 같이 차량의 전방부에 독립작업으로 설치되는 장치들이 캐리어(carrier)에 장착되어 하나로 패키지화된 것으로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이 일체로 차체 프레임에 설치된다
또한, 쿨링모듈(cooling module)은 차량의 고조장치에 사용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라디에에이터와 응축기 및 팬슈라우드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결합 브라켓과 플랜지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쿨링모듈을 구성하기 위해 응축기는 라디에이터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응축기를 라디에이터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브라켓이 사용된다. 또한, 응축기에 냉매를 공급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플랜지 브라켓이 사용된다.
도 2는 종래 응력 집중 상태의 해석 상태를 나타내는 응력 분포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차량용 응축기는 결합 브라켓과 플랜지 브라켓이 헤더탱크에 설치되는 세로방향의 이격거리(A)가 짧은 경우에는 차량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에 의한 응력집중에 의해 결합 브라켓이 파손되거나 결합 브라켓의 체결부인 헤더탱크가 손상됨에 따라 냉매가 누출(leak)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응력집중에 의한 파손이나 손상에 따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 차량용 응축기에서 결합 브라켓과 플랜지 브라켓이 설치되는 세로방향의 이격거리(A)를 증대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도, 쿨링모듈의 일부를 구성하는 응축기에서 이러한 세로방향의 이격거리(A)를 증대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결합 브라켓과 플랜지 브라켓을 응축기의 헤더탱크에 별도로 조립함에 따라 조립공수가 상승하여, 조립시간과 조립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결합 브라켓과 플랜지 브라켓을 별도로 생산해야 함에 따라 브라켓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조립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헤더탱크 또는 제2 헤더탱크의 상측을 라디에이터에 고정하고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해 제1 헤더탱크 또는 제2 헤더탱크에 설치되는 고정유닛을 일체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킴에 따라 차량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에 의한 응력집중에 의해서도 고정유닛의 결합부위인 헤더탱크의 파손이나 헤더탱크의 손상에 의한 냉매의 유출을 방지하고, 부품수의 감소를 통해 제조비용과 조립공정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는 가로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 헤더탱크(100)와 제2 헤더탱크(200); 상기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상기 제2 헤더탱크(200)에 세로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 파이프(300)와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 파이프(400); 상기 제1 헤더탱크(100)와 상기 제2 헤더탱크(200)에 양단이 삽입되고, 세로방향으로 이격되게 적층 설치되는 복수개의 튜브(500); 상기 복수개의 튜브(500)들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방열핀(600); 및 상기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상기 제2 헤더탱크(200)의 상측을 라디에이터에 고정하고, 상기 입구 파이프(300)와 상기 출구 파이프(40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상기 제2 헤더탱크(200)에 설치되는 고정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고정유닛(700)은 상기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상기 제2 헤더탱크(200)에 상기 고정유닛(700)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710); 상기 제1 헤데탱크(100) 또는 상기 제2 헤더탱크(200)의 상측을 라디에이터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부(720); 및 상기 입구 파이프(300)와 상기 출구 파이프(400)를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 브라켓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고정유닛(700)의 상기 고정부(710), 상기 마운팅 브라켓부(720), 및 상기 플랜지 브라켓부(7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고정유닛(700)은 압출금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고정유닛(700)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고정유닛의 고정부(710)는 상기 고정부(710)의 내주연(711)이 상기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상기 제2 헤더탱크(200)의 외주연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고정유닛의 마운팅 브라켓부(720)는 상기 고정부(710)의 외측면(712)에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721); 및 상기 절곡부(721)의 일단에서 상기 튜브(500)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상기 제2 헤더탱크(20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7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고정유닛의 마운팅 브라켓부(720)는 상기 절곡부(721)의 일측면에 상기 절곡부(721)의 세로방향의 길이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7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고정유닛의 플랜지 브라켓부(730)는 상기 고정부(710)의 외측면(712)에서 상기 연장부(722)와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랜지부(731); 상기 제1 플랜지부(731)의 일단에서 상기 튜브(500)와 직교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732); 및 상기 제2 플랜지부(732)의 일단에 형성되는 체결부(7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고정유닛의 플랜지 브라켓부의 체결부(733)는 상기 입구 파이프(300)의 일측이 고정 지지되는 제1 안착홈부(734); 및 상기 출구 파이프(400)의 일측이 고정 지지되는 제2 안착홈부(73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는 제1 헤더탱크 또는 제2 헤더탱크의 상측을 라디에이터에 고정하고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해 제1 헤더탱크 또는 제2 헤더탱크에 설치되는 고정유닛을 일체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킴에 따라 차량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에 의한 응력집중에 의해서도 고정유닛의 결합부위인 헤더탱크의 파손이나 헤더탱크의 손상에 의한 냉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는 부품수의 감소를 통해 조립공정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는 고정유닛을 1개의 압출금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는 내구성 증대에 따라 헤더탱크의 파손이나 손상에 따른 냉매 누출을 방지하여 응축기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응축기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결합 브라켓과 플랜지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 응력 집중 상태의 해석 상태를 나타내는 응력 분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에 설치되는 고정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 응력 집중 상태의 해석 상태를 나타내는 응력 분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에 설치되는 고정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에 설치되는 고정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로방향"이란 제1 헤더탱크(100)와 제2 헤더탱크(200)가 이격되는 수평방향을 의미하고, "세로방향"이란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크(20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수직방향을 의미한다. "상부"란 세로방향에서 위쪽을 "하부"란 세로방햐에서 아래쪽을 의미한다. "전방"이란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응축기(1)가 설치되는 엔진룸에서 그릴이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1)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1)는 제1 헤더탱크(100)와 제 헤더탱크(200), 입구 파이프(300)와 출구 파이프(400), 복수개의 튜브(500), 복수개의 방열핀(600), 및 고정유닛(700)로 이루어진다.
제1 헤더탱크(100)와 제2 헤더탱크(200)는 가로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1 헤더탱크(100)와 제2 헤더탱크(200)는 일반적으로 각각 헤더와 탱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즉, 각각 헤더와 탱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헤더탱크(100)와 제2 헤더탱크(200)는 가로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직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입구 파이프(300)가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크(200)에 형성되어, 입구 파이프(300)를 통해 냉매가 유입된다.
출구 파이프(400)는 입구 파이프(300)가 형성되는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크(200)에 입구 파이프(300)와 세로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크(200)에 형성되어, 출구 파이프(400)를 통해 냉매가 유출된다. 즉, 입구 파이프(300)가 제1 헤더탱크(10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출구 파이프(400)도 제1 헤더탱크(100)에 형성된다. 반대로 입구 파이프(300)가 제2 헤더탱크(20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출구 파이프(400)도 제2 헤더탱크(200)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튜브(500)들의 양단이 제1 헤더탱크(100)와 제2 헤더탱크(200)에 삽입된 상태로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적층 설치된다. 즉, 복수개의 튜브(500)들은 제1 헤더탱크(100)와 제2 헤더탱크(200)에 양단이 고정되고, 내부에 매냉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층설치된다.
복수개의 방열핀(600)이 복수개의 튜브(300)들 사이에 설치된다. 즉, 복수개의 방열핀(600)은 인접하게 세로방향으로 적층 설치되는 2개의 튜브(300) 사이에 상하로 절곡되게 형성됨에 따라 튜브(500)들 사이를 흐르는 에어와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킨다.
튜브(500)들의 내부로 냉매가 이동하면서 전열면적이 증가된 방열핀(600)에 의해 외기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는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크(200)의 일측에 유입부와 유출부를 통해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크(200)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제1 헤더탱크(100)가 좌측에 제2 헤더탱크(200)가 우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헤더탱크가 우측에 제2 헤더탱크(200)가 좌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제1 헤더탱크(100)가 우측에 설치되는 경우에 입구 파이프(300)와 출구 파이프(400)도 우측에 설치되고, 리시버 드라이어는 좌측에 설치되는 제2 헤더탱크(2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입구 파이프(300)와 출구 파이프(400)가 제1 헤더탱크(100)에 형성되는 경우에 리시버 드라이어는 제2 헤더탱크(200)에 형성된다. 반대로, 입구 파이프(300)와 출구 파이프(400)가 제2 헤더탱크(200)에 형성되는 경우에 리시버 드라이어는 제1 헤더탱크(100)에 형성된다.
즉, 입구 파이프(300)와 출구 파이프(400) 및 리시버 드라이어는 서로 다른 헤더탱크에 형성된다.
고정유닛(700)은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크(200)의 상측을 라디에이터에 고정하고, 입구 파이프(300)와 상기 출구 파이프(400)를 지지하기 위해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크(200)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구 파이프(300)와 출구 파이프(400)가 제1 헤더탱크(100)에 형성되는 경우에 고정유닛(700)은 제1 헤더탱크(100)의 상측을 라디에이터에 고정하고, 입구 파이프(300)와 출구 파이프(400)를 지지한다. 반대로, 입구 파이프(300)와 출구 파이프(400)가 제2 헤더탱크(200)에 형성되는 경우에 고정유닛(700)은 제2 헤더탱크(200)의 상측을 라디에이터에 고정하고, 입구 파이프(300)와 출구 파이프(400)를 지지한다. 고정유닛(700)이 설치되지 않는 다른 곳은 일반적인 결합 브라켓에 의해 제1 헤더탱크(100)와 제2 헤더탱크(200)를 라디에이터에 고정한다. 입구 파이프(300)와 출구 파이프(400)가 형성되는 헤더탱크의 상측은 고정유닛에 의해 고정되고, 하측은 결합 브라켓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입구 파이프(300)와 출구 파이프(400)가 형성되지 않는 다른 헤더탱크의 상측과 하측은 결합 브라켓에 의해 고정된다. 즉, 결합 브라켓은 통상 3개가 설치되지만, 필요에 따라 고정유닛이 설치되는 헤더탱크의 마주하는 다른 헤더탱크와 동일한 위치에 1개만 설치되어 응축기를 라디에이터에 고정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1)의 고정유닛(700)은 고정부(710), 마운팅 브라켓부(720), 및 플랜지 브라켓부(730)로 이루어진다.
고정부(710)는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크(200)에 고정유닛(700)을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운팅 브라켓부(720)는 제1 헤데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크(200)의 상측을 라디에이터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플랜지 브라켓부(730)는 입구 파이프(300)와 출구 파이프(40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정유닛(700)의 고정부(710), 마운팅 브라켓부(720), 및 플랜지 브라켓부(730)는 압출금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압출금형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유닛(700)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이처럼,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1)는 부품수의 감소를 통해 조립공정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고정유닛(700)을 1개의 압출금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표 1은 결합 브라켓과 플랜지 브라켓의 세로방향의 이격거리(A)에 따른 응력해석결과를 나타낸다.
이격거리(A) (mm) | 응력(MPa) | |
비교예 1 | 1.9 | 35.2 |
비교예 2 | 6.9 | 32.8 |
비교예 3 | 0 | 35.3 |
실시예 1 | 일체형 | 18.5 |
상기 표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세로방향의 이격거리를 크게 할 수록 응력이 작아지나, 제품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또한, 제품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경우에는 쿨링모듈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표의 실시예 1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마운팅 브라켓부와 플랜지 브라켓부를 일체로 형성하게 되면, 비교예 1에 비해 약 52% 정도의 응력집중 해소를 도모할 수 있다.
제1 헤더탱크 또는 제2 헤더탱크의 상측을 라디에이터에 고정하고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해 제1 헤더탱크 또는 제2 헤더탱크에 설치되는 고정유닛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에 따라 내구성을 증대시킴에 따라 차량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에 의한 응력집중에 의해서도 고정유닛의 결합부위인 헤더탱크의 파손이나 헤더탱크의 손상에 의한 냉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1)의 고정유닛(700)의 고정부(710)는 고정부(710)의 내주연(711)이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크(200)의 외주연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고정부(710)의 내주연(711)이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크(200)의 외주연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고정부(710)의 내주연을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트(200)의 외주연과 밀착시킨 상태에서 끼움결합할 수 있다.
고정유닛(700)을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크(200)에 끼움결합을 통해 쉽게 고정하여 조립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1)의 고정유닛(700)의 마운팅 브라켓부(720)는 절곡부(721), 연장부(722), 및 돌출부(723)로 이루어진다.
절곡부(721)가 고정부(710)의 외측면(712)에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된다.
연장부(722)가 절곡부(721)의 일단에서 튜브(500)와 평행하도록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크(20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돌출부(723)는 절곡부(721)의 일측면에 절곡부(721)의 세로방향의 길이를 따라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고정유닛(700)은 마운팅 브라켓부(720)에 의해 고정유닛(700)이 설치되는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크(200)의 상측을 라디에이터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1)의 고정유닛(700)의 플랜지 브라켓부(730)는 제1 플랜지부(731), 제2 플랜지부(732), 및 체결부(733)로 이루어진다.
제1 플랜지부(731)는 고정부(710)의 외측면(712)에서 연장부(722)와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즉, 제1 플랜지부(731)는 고정부(710)의 외측면(712)에서 튜브와 평행하도록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제2 헤더탱크(20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플랜지부(732)는 제1 플랜지부(731)의 일단에서 튜브(500)와 직교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즉, 제2 플랜지부(732)는 제1 플랜지부(731)의 일단에서 제1 플랜지부(731)와 대략 직교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체결부(733)가 제2 플랜지부(732)의 일단에 형성되어, 입구 파이프(300)와 출구 파이프(400)를 지지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1)의 고정유닛(700)의 플랜지 브라켓부(730)의 체결부(733)는 제1 안착홈부(734)와 제2 안착홈부(735)를 구비한다.
제1 안착홈부(734)는 체결부(733)의 하단면과 상단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입구 파이프(300)의 일측을 고정 지지한다.
제2 안착홈부(735)는 제1 안착홈부(734)와 이격되고 체결부(733)의 하단면과 상단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출구 파이프(400)의 일측을 고정 지지한다.
고정유닛(700)은 플랜지 브라켓부(730)에 의해 입구 파이프(300)와 출구 파이프(400)를 지지한다.
마운팅 브라켓부(720)와 플랜지 브라켓부(730)를 구비하고,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유닛(700)에 의해 내구성 증대되고, 이에 따라 고정유닛이 설치되는 헤더탱크의 파손이나 손상에 따른 냉매 누출을 방지하여 응축기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응축기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변형예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내에 속하는 다른 실시예로 확장될 수 있다.
1 : 응축기, 100 : 제1 헤더탱크,
200 : 제2 헤더탱크, 300 : 입구 파이프,
400 : 출구 파이프, 500 : 튜브,
600 : 방열핀, 700 : 고정유닛,
710 : 고정부, 711 : 내주연,
712 : 외측면, 720 : 마운팅 브라켓부,
721 : 절곡부, 722 : 연장부,
723 : 돌출부, 730 : 플랜지 브라켓부,
731 : 제1 플랜지부, 732 : 제2 플랜지부,
733 : 체결부, 734 : 제1 안착홈부,
735 : 제2 안착홈부.
200 : 제2 헤더탱크, 300 : 입구 파이프,
400 : 출구 파이프, 500 : 튜브,
600 : 방열핀, 700 : 고정유닛,
710 : 고정부, 711 : 내주연,
712 : 외측면, 720 : 마운팅 브라켓부,
721 : 절곡부, 722 : 연장부,
723 : 돌출부, 730 : 플랜지 브라켓부,
731 : 제1 플랜지부, 732 : 제2 플랜지부,
733 : 체결부, 734 : 제1 안착홈부,
735 : 제2 안착홈부.
Claims (10)
- 가로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 헤더탱크(100)와 제2 헤더탱크(200);
상기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상기 제2 헤더탱크(200)에 세로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 파이프(300)와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 파이프(400);
상기 제1 헤더탱크(100)와 상기 제2 헤더탱크(200)에 양단이 삽입되고, 세로방향으로 이격되게 적층 설치되는 복수개의 튜브(500);
상기 복수개의 튜브(500)들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방열핀(600); 및
상기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상기 제2 헤더탱크(200)의 상측을 라디에이터에 고정하고, 상기 입구 파이프(300)와 상기 출구 파이프(40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상기 제2 헤더탱크(200)에 설치되는 고정유닛(70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700)은,
상기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상기 제2 헤더탱크(200)에 상기 고정유닛(700)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710);
상기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상기 제2 헤더탱크(200)의 상측을 라디에이터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부(720); 및
상기 입구 파이프(300)와 상기 출구 파이프(400)를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 브라켓부(73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700)의 상기 고정부(710), 상기 마운팅 브라켓부(720), 및 상기 플랜지 브라켓부(730)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부(720)는,
상기 고정부(710)의 외측면(712)에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721); 및
상기 절곡부(721)의 일단에서 상기 튜브(500)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상기 제2 헤더탱크(20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7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700)은 압출금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700)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710)는,
상기 고정부(710)의 내주연(711)이 상기 제1 헤더탱크(100) 또는 상기 제2 헤더탱크(200)의 외주연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부(720)는,
상기 절곡부(721)의 일측면에 상기 절곡부(721)의 세로방향의 길이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7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브라켓부(730)는,
상기 고정부(710)의 외측면(712)에서 상기 연장부(722)와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랜지부(731);
상기 제1 플랜지부(731)의 일단에서 상기 튜브(500)와 직교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732); 및
상기 제2 플랜지부(732)의 일단에 형성되는 체결부(7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733)는,
상기 입구 파이프(300)의 일측이 고정 지지되는 제1 안착홈부(734); 및
상기 출구 파이프(400)의 일측이 고정 지지되는 제2 안착홈부(7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3278A KR102167510B1 (ko) | 2015-04-15 | 2015-04-15 | 차량용 응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3278A KR102167510B1 (ko) | 2015-04-15 | 2015-04-15 | 차량용 응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3122A KR20160123122A (ko) | 2016-10-25 |
KR102167510B1 true KR102167510B1 (ko) | 2020-10-19 |
Family
ID=5744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3278A KR102167510B1 (ko) | 2015-04-15 | 2015-04-15 | 차량용 응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751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00674A (zh) * | 2018-07-08 | 2018-11-13 | 江苏盈科汽车空调有限公司 | 一种新能源汽车空调用冷凝器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8737Y1 (ko) * | 1997-06-13 | 1999-10-15 | 신영주 | 응축기 지지체 |
JPH11125479A (ja) * | 1997-08-21 | 1999-05-11 | Zexel:Kk | 熱交換器の接続構造及びその気密検査装置 |
KR100732979B1 (ko) * | 2005-09-14 | 2007-06-29 | 알메탈주식회사 | 자동차 응축기용 플랜지 파이프 어셈블리 구조 |
KR20100091704A (ko) * | 2009-02-11 | 2010-08-19 | 한라공조주식회사 | 열교환기 브라켓 구조 |
KR20120059684A (ko) | 2010-12-01 | 2012-06-11 | 한라공조주식회사 | 열교환기 |
-
2015
- 2015-04-15 KR KR1020150053278A patent/KR10216751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3122A (ko) | 2016-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2748B1 (ko) | 쿨링모듈 | |
JP5620710B2 (ja) | 車両空調システム用エバポレータ組立品、車両用空調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hvacシステム | |
US20170082331A1 (en) | Microchannel coil spray system | |
JP2014134311A (ja) | エバポレータ | |
KR102167510B1 (ko) | 차량용 응축기 | |
AU2010340137B2 (en) | Floating coil heat exchanger | |
KR102141872B1 (ko) |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 |
KR20140083339A (ko) | 쿨링 모듈 | |
KR101175107B1 (ko) | 라디에이터 | |
KR101631572B1 (ko) | 응축기 | |
KR20170037187A (ko) | 응축기 및 쿨링모듈 | |
JP5127858B2 (ja) | 車両用空気調和機 | |
CN201177419Y (zh) | 一种带油冷的平行流冷凝器 | |
KR102228023B1 (ko) | 차량용 응축기 | |
KR20180023244A (ko) | 쿨링 모듈 | |
JP3205494U (ja) |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追加コンデンサ | |
KR20010005043A (ko) | 에어컨의 냉매관 냉각장치 | |
KR101414178B1 (ko) | 차량 공조장치의 응축기용 리시버 드라이어 | |
KR20100132620A (ko) | 튜브 지지대가 구비된 열교환기 | |
KR101569686B1 (ko) | 열교환기 체결 구조 | |
KR101600878B1 (ko) |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 |
JP6497810B2 (ja) |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 |
KR102206969B1 (ko) |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 |
JP2001039151A (ja) |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 | |
WO2018147364A1 (ja) | 熱交換ユニットの組立て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