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872B1 -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872B1
KR102141872B1 KR1020150046882A KR20150046882A KR102141872B1 KR 102141872 B1 KR102141872 B1 KR 102141872B1 KR 1020150046882 A KR1020150046882 A KR 1020150046882A KR 20150046882 A KR20150046882 A KR 20150046882A KR 102141872 B1 KR102141872 B1 KR 102141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upling
condenser
header tanks
ai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572A (ko
Inventor
김병주
심호창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6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87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02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in the form of screen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16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preventing lea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릴 전면부에 돌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에 의해 튜브의 손상과 이에 따른 리크를 방지하기 위한 스톤 가드부와 그릴로 유입되는 주행풍이 다른 곳으로 세어 나가지 않도록 하는 한쌍의 에어 가이드부를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이를 응축기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유닛의 개수를 최소하하여 조립공정과 조립비용을 최소화하고, 브레이징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Protective device of condens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릴 전면부에 돌이 튕기는 것에 의해 튜브의 리크를 방지하기 위한 스톤 가드부와 그릴로 들어오는 바람이 세지 않도록 하는 한쌍의 에어 가이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온도차가 있는 두 환경 사이에서 한쪽의 열을 흡수하여 다른 쪽으로 열을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경우에는 냉방시스템으로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방출할 경우에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열교환기는 주변으로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열교환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열교환기, 열교환매체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냉각장치에서는 액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실제 냉각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는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고, 이렇게 압축된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게 된다.
또한, 액화된 열교환매체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화함으로써 저온, 저압으로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에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게 되어 사이클을 구성하게 된다.
이처럼, 열교환기에서는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인 열교환매체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에 배출된다.
즉, 응축기는 압축기로부터 유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인 열교환매체를 외기와 열교환시켜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 응축기(2)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으로 응축기(2)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20), 복수개의 튜브(30), 및 복수개의 방열핀(40)을 구비한다.
한 쌍의 헤더탱크(10, 20)는 가로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헤더탱크는 일반적으로 헤더와 탱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즉, 각각 헤더와 탱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는 가로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직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복수개의 튜브(30)들의 양단이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에 삽입된 상태로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적층 설치된다. 즉, 복수개의 튜브(30)들은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에 양단이 고정되어 내부에 열교환매체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층설치된다.
복수개의 방열핀(40)이 복수개의 튜브(30)들 사이에 설치된다. 즉, 복수개의 방열핀(40)은 인접하게 세로방향으로 적층 설치되는 2개의 튜브(30) 사이에 상하로 절곡되게 형성됨에 따라 튜브(30)들 사이를 흐르는 에어와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킨다.
튜브(30)들의 내부로 열교환매체가 이동하면서 전열면적이 증가된 방열핀(40)에 의해 외기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차량의 주행중에 그릴의 전면부로 돌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어 튜브를 타격하여 튜브를 손상시킬 수 있다. 튜브가 이물질에 의해 손상됨에 따라 튜브에 크랙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열교환매체가 누설되어 응축기의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응축기에 스톤 가드(stone guard)가 설치되었다.
또한, 공냉식의 열교환기의 경우에는 그릴 내부로 들어오는 주행풍을 튜브와 방열핀에 최대한 이송시키기 위한 에어 가이드(air guide)가 옵션사항으로 설치되었다.
그러나, 종래 스톤 가드와 에어 가이드는 응축기에 별도로 조립됨에 따라 조립공수가 상승하여, 조립시간과 조립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스톤 가드와 에어 가이드는 각각 4개의 브라켓, 즉 총 8개의 브라켓에 의해 응축기에 조립됨에 따라 브라켓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조립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 스톤 가드와 에어 가이드를 조립하기 위해 총 8개의 브라켓이 사용됨에 따라 납땜시에 열을 많이 빼앗겨 브레이징(brazing) 품질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 스톤 가드와 에어 가이드를 제작하기 위해 별도의 사출 금형이 필요함에 따라 제조원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종래 스톤 가드는 플라스틱 제품으로 내구성이 낮아 그릴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스톤 가드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596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릴 전면부에 돌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에 의해 튜브의 손상과 이에 따른 리크를 방지하기 위한 스톤 가드부와 그릴로 유입되는 주행풍이 다른 곳으로 세어 나가지 않도록 하는 한쌍의 에어 가이드부를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이를 응축기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유닛의 개수를 최소하하여 조립공정과 조립비용을 최소화하고, 브레이징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로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에 양단이 삽입되고, 세로방향으로 이격되게 적층 설치되는 복수개의 튜브; 상기 복수개의 튜브들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방열핀; 및 상기 튜브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튜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보호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장치는 상기 튜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톤 가드부; 및 상기 스톤 가드부의 양측에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톤 가드부와 상기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는 상기 보호장치를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스톤 가드부는 바디 프레임; 및 상기 바디 프레임에서 세로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적층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평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스톤 가드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에서 가로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직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스톤 가드부는 일단이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수평리브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복수개의 대각선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스톤 가드부의 대각선 리브는 서로 인접한 상기 대각선 리브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수직리브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는 각각 상기 스톤 가드부의 바디 프레임의 일단에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와 평행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 바디부의 전방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결합유닛은 상기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의 제1 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 및 일측이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결합유닛은 상기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의 제1 바디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 및 일측이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결합유닛은 상기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의 제1 바디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결합유닛의 제1 결합 브라켓과 제2 결합 브라켓은 상기 제1 결합 브라켓과 상기 제2 결합 브라켓이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착홈부; 및 상기 제1 결합 브라켓과 상기 제2 결합 브라켓이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결합유닛의 고리부는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의 상단부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는 그릴 전면부에 돌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에 의해 튜브의 손상과 이에 따른 리크를 방지하기 위한 스톤 가드부와 그릴로 유입되는 주행풍이 다른 곳으로 세어 나가지 않도록 하는 한쌍의 에어 가이드부를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이를 응축기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유닛의 개수를 최소하하여 조립공정과 조립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는 결합유닛의 개수를 최소화함에 따라 브레이징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는 1개의 사출 금형으로 스톤 가드부와 에어 가이드부를 형성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스톤 가드부는 복수개의 수직리브와 대각선 리브를 구비하여, 스톤 가드의 내구성이 증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응축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가 한 쌍의 헤더탱크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서 한 쌍의 헤더탱크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결합 브라켓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가 한 쌍의 헤더탱크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에서 한 쌍의 헤더탱크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결합 브라켓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응축기(2)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한바 이하에서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1)를 중점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로방향"이란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가 이격되는 수평방향을 의미하고, "세로방향"이란 제1 헤더탱크(10) 또는 제2 헤더탱크(2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수직방향을 의미한다. "상부"란 세로방향에서 위쪽을 "하부"란 세로방햐에서 아래쪽을 의미한다. "전방"이란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응축기(2)가 설치되는 엔진룸에서 그릴이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헤더탱크(10, 20)는 가로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한 쌍의 헤더탱크(10, 20)를 구성하는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는 일반적으로 각각 제1, 2 헤더와 제1, 2 탱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즉, 각각의 제1, 2 헤더와 제1, 2 탱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는 가로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직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입구 파이프가 제1 헤더탱크(10) 또는 제2 헤더탱크(20)에 형성되고, 입구 파이프를 통해 냉매가 유입된다. 또한, 출구 파이프는 입구 파이프가 형성되는 제1 헤더탱크(10) 또는 제2 헤더탱크(20)에 입구 파이프와 세로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제1 헤더탱크(10) 또는 제2 헤더탱크(20)에 형성되어, 출구 파이프를 통해 냉매가 유출된다. 즉, 입구 파이프가 제1 헤더탱크(1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출구 파이프도 제1 헤더탱크(10)에 형성된다. 반대로 입구 파이프가 제2 헤더탱크(2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출구 파이프도 제2 헤더탱크(20)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튜브(30)들의 양단이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에 삽입된 상태로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적층 설치된다. 즉, 복수개의 튜브(30)들은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에 양단이 고정되고, 내부에 매냉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층설치된다.
복수개의 방열핀(40)이 복수개의 튜브(30)들 사이에 설치된다. 즉, 복수개의 방열핀(40)은 인접하게 세로방향으로 적층 설치되는 2개의 튜브(30) 사이 및 최상측 튜브와 최하측 튜브에 상하로 절곡되게 형성됨에 따라 튜브(30)들 사이를 흐르는 에어와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킨다.
튜브(30)들의 내부로 냉매가 이동하면서 전열면적이 증가된 방열핀(40)에 의해 외기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1)는 제1 헤더탱크(10) 또는 제2 헤더탱크(20)의 일측에 유입부와 유출부를 통해 제1 헤더탱크(10) 또는 제2 헤더탱크(20)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1 헤더탱크(10)가 좌측에 제2 헤더탱크(20)가 우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헤더탱크(10)가 우측에 제2 헤더탱크(20)가 좌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제1 헤더탱크(10)가 우측에 설치되는 경우에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도 우측에 설치되고, 리시버 드라이어는 좌측에 설치되는 제2 헤더탱크(20)의 일측에 설치된다.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가 제1 헤더탱크(10)에 형성되는 경우에 리시버 드라이어는 제2 헤더탱크(20)에 형성된다. 반대로,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가 제2 헤더탱크(20)에 형성되는 경우에 리시버 드라이어는 제1 헤더탱크(10)에 형성된다. 즉,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 및 리시버 드라이어는 서로 다른 헤더탱크에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1)는 스톤 가드부(100)와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200, 300)로 이루어진다.
스톤 가드부(100)는 튜브(30)의 전방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톤 가드부(100)는 그릴에 노출되는 튜브(30)의 전방 하부를 감싸도록 적층된 튜브(30)의 전방 하부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그릴에 노출되지 않는 튜브(30)의 전방을 모두 감싸도록 적층된 튜브(30)들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200, 300)가 스톤 가드부(100)의 양측에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200, 300)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와 동일한 높이로 스톤 가드부(100)의 양측에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즉, 제1 에어 가이드부(200)는 제1 헤더탱크(10)와 동일한 높이로 스톤 가드부(100)의 일측에 제1 헤더탱크(10)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제2 에어 가이드부(300)는 제2 헤더탱크(20)와 동일한 높이로 스톤 가드부(100)의 타측에 제2 헤더탱크(20)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스톤 가드부(100)와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200, 300)는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톤 가드부(100)와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200, 3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1)는 보호장치(1)를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유닛(400)을 더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스톤 가드부(100)는 바디 프레임(110)과 복수개의 수평리브(1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톤 가드부(100)는 복수개의 수직리브(130)와 복수개의 대각선 리브(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프레임(11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대체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수평리브(120)가 바디 프레임(110)에서 세로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적층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복수개의 수평리브(120)는 튜브(30)와 방열핀(40)으로 유입되는 풍량저감으로 인한 차량의 냉방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튜브(30)들 사이의 세로방향의 이격거리와 대응되도록 바디 프레임(110)의 내부에서 세로방향으로 이격되게 적층 형성된다.
복수개의 수직리브(130)가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와 평행하도록 바디 프레임(130)에서 가로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복수개의 수직리브(130)가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됨에 따라, 복수개의 수평리브(120)만 형성될 때보다 강성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중에 그릴을 통해 유입되는 돌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스톤 가드부(100)의 수평리브(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각의 대각선 리브(140)의 일단이 바디 프레임(110)의 상부(111)에 연결되고, 대각선 리브(140)의 타단이 바디 프레임(110)의 하부(112)에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대각선 리브(140)가 복수개의 수평리브(120)를 가로질러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대각선 리브(140)는 서로 인접한 대각선 리브(140)들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리브(13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대각선 리브(140)에 의해 수평리브(120)의 강성이 증가되어 차량의 주행중에 그릴을 통해 유입되는 돌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스톤 가드부(100)의 수평리브(12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이물질로부터 튜브(30)를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스톤 가드부(100)의 파손을 방지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200, 300)는 제1 바디부(210, 310)와 제2 바디부(220, 320)로 이루어진다.
제1 바디부(210, 31)는 스톤 가드부(100)의 바디 프레임(110)의 일단에 한 쌍의 헤더탱크 (10, 20)와 평행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바디부(220, 320)는 제1 바디부(210, 310)의 일측에서 제1 바디부(210, 310)의 전방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고, 제1 바디부(210, 310)와 세로방향으로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제2 바디부(220, 320)가 제1 바디부(210, 310)의 전방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게 형성됨에 따라, 차량의 주행중에 그릴을 통해 유입되는 주행풍을 튜브쪽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1)의 결합유닛(400)은 제1 체결부(410), 제1 결합 브라켓(420), 제2 체결부(430), 및 제2 결합 브라켓(440)으로 이루어진다.
제1 체결부(410)는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200, 300)의 제1 바디부(210, 310)의 하부(212, 312)에 각각 형성된다. 제1 체결부(410)는 제1 바디부(210, 3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제1 체결부(410)는 제1 에어 가이드부(200)의 제1 바디부(210)의 하부(212)와 제2 에어 가이드부(300)의 제2 바디부(310)의 하부(312)에 1개씩 형성된다.
제1 결합 브라켓(420)은 일측이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의 하부에 끼움결합되고, 제1 결합 브라켓(420)의 타측은 제1 체결부(410)에 스냅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즉, 2개의 제1 결합 브라켓(420)이 제1 에어 가이드부(200)와 제2 에어 가이드부(300)의 제1 바디부(210, 310)의 하부(212, 312)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410)에 각각 스냅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이처럼,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1)는 제1 체결부(410)와 제1 결합 브라켓(420)에 의해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에 2번의 조립 공정만으로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체결부(430)는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200, 300)의 제1 바디부(210, 310)의 상부(211, 312)에 각각 형성된다. 제1 체결부(410)는 제1 바디부(210, 3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제2 체결부(430)는 제1 에어 가이드부(200)의 제1 바디부(210)의 상부(211)와 제2 에어 가이드부(300)의 제2 바디부(310)의 상부(311)에 1개씩 형성된다.
제2 결합 브라켓(440)의 일측이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2 결합 브라켓(440)의 타측은 제2 체결부(430)에 스냅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즉, 2개의 제2 결합 브라켓(440)이 제1 에어 가이드부(200)와 제2 에어 가이드부(300)의 제1 바디부(210, 310)의 상부(211, 311)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430)에 각각 스냅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이처럼, 제2 결합 브라켓(440)과 제2 결합부(430)에 의해 차량의 주행중의 진동에 의해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1)가 응축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최대 4개의 결합 브라켓에 의해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1)를 응축기(2)에 결합시킴에 따라 조립공정을 최소호하고, 브레이징시에 열을 빼앗기는 것을 최소화하여 브레이징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체결부(410)와 제2 체결부(430)는 각각 제1 결합 브라켓(420)과 제2 결합 브라켓(440)의 타측과 결합되도록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다양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체로 형성되는 스톤 가드부(100)와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200, 300)를 한 쌍의 헤더탱크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유닛(400)은 볼트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와 제1 헤더탱크 및 제2 헤더탱크에 직접 볼트를 통해 결합되거나,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제1, 2 결합 브라켓이 제1 헤더탱크와 제2 헤더탱크에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결합 브라켓(420)과 제2 결합 브라켓(440)은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에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일단부가 각각의 헤더탱크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제1 결합 브라켓(420)은 제1 결합 브라켓(420)이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착홈부(421)를 구비한다. 또한, 제2 결합 브라켓(440)은 제2 결합 브라켓(440)이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착홈부(421, 441)를 구비한다. 안착홈부(421, 441)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의 곡률과 같거나 약간 큰 곡률을 갖고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에 밀착되어 끼움결합된다.
제1 결합 브라켓(420)은 제1 결합 브라켓(420)이 제1 체결부(410)에서 이탈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부(422)를 각각 구비한다. 또한, 제2 결합 브라켓(440)은 제2 결합 브라켓(440)이 제2 체결부(4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부(442)를 각각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1 결합 브라켓(420)과 제2 결합 브라켓(440)의 타단이 각각 제1 체결부(410)와 제2 체결부(430)에 스냅결합됨에 따라 착부착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1)의 결합유닛(400)은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200, 300)의 제1 바디부(210, 3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450)를 포함한다. 즉, 제2 체결부(430)와 제2 결합 브라켓(440)에 의해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200, 300)의 상부를 체결하는 대신에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200, 300)의 하부는 제1 체결부(410)와 제1 결합 브라켓(420)에 의해 체결하고, 상부는 고리부(450)를 통해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에 결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고리부(450)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의 상단부의 일부가 수용되는 후크 형태의 수용홈(451)를 구비한다.
즉, 제1 결합 브라켓(420)은 일측이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의 하부에 끼움결합되고, 제1 결합 브라켓(420)의 타측은 제1 체결부(410)에 스냅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1)의 하부를 응축기(2)에 결합한다. 또한, 제1 에어 가이드부(2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450)의 수용홈(451)을 제1 헤더탱크(10)의 상단부의 일부에 삽입하고, 제2 에어 가이드부(3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450)의 수용홈(451)을 제2 헤더탱크(10)의 상단부의 일부에 삽입하여,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1)의 상부를 응축기(2)에 결합한다. 이에 따라 최소 2개의 결합 브라켓만 사용함에 따라 결합 브라켓의 제조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조립공정을 최소화하여 조립시간과 조립비용을 절감하며, 브레이징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변형예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내에 속하는 다른 실시예로 확장될 수 있다.
1 : 보호장치, 2 : 응축기,
10, 20 : 한 쌍의 헤더탱크,
30 : 튜브, 40 : 방열핀,
100 : 스톤 가드부, 110 : 바디 프레임,
111 : 상부, 112 : 하부,
120 : 수평리브, 130 : 수직리브,
140 : 대각선 리브,
200, 300 :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
210, 310 : 제1 바디부, 211, 311 : 상부,
212, 312 : 하부,
220, 320 : 제2 바디부, 400 : 결합유닛,
410 : 제1 체결부, 420 : 제1 결합 브라켓,
430 : 제2 체결부, 440 : 제2 결합 브라켓,
421, 441 : 안착홈부, 422, 442 : 걸림턱부,
450 : 고리부, 451 : 수용홈.

Claims (12)

  1. 가로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에 양단이 삽입되고, 세로방향으로 이격되게 적층 설치되는 복수개의 튜브; 상기 복수개의 튜브들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방열핀; 및 상기 튜브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튜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보호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장치는,
    상기 튜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톤 가드부; 및
    상기 스톤 가드부의 양측에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톤 가드부와 상기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장치는,
    상기 보호장치를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톤 가드부는,
    바디 프레임; 및
    상기 바디 프레임에서 세로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적층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평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톤 가드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에서 가로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직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톤 가드부는,
    일단이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수평리브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복수개의 대각선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선 리브는,
    서로 인접한 상기 대각선 리브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수직리브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는 각각,
    상기 스톤 가드부의 바디 프레임의 일단에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와 평행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 바디부의 전방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의 제1 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 및
    일측이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의 제1 바디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 및
    일측이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한 쌍의 에어 가이드부의 제1 바디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브라켓과 상기 제2 결합 브라켓은,
    상기 제1 결합 브라켓과 상기 제2 결합 브라켓이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착홈부; 및
    상기 제1 결합 브라켓과 상기 제2 결합 브라켓이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의 상단부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KR1020150046882A 2015-04-02 2015-04-02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KR102141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882A KR102141872B1 (ko) 2015-04-02 2015-04-02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882A KR102141872B1 (ko) 2015-04-02 2015-04-02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572A KR20160118572A (ko) 2016-10-12
KR102141872B1 true KR102141872B1 (ko) 2020-08-07

Family

ID=5717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882A KR102141872B1 (ko) 2015-04-02 2015-04-02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877A (ko) 2019-09-05 2021-03-1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튜브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KR20230060030A (ko) 2021-10-27 2023-05-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셀 조립형 스톤가드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1937A (ja) 2006-04-25 2007-11-08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熱交換器の保護部材構造
JP2012229907A (ja) 2011-03-02 2012-11-22 Denso Thermal Systems Spa 車両に使用する熱交換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5940A (ko) * 2010-11-24 2012-06-01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쿨링모듈
KR20120059684A (ko) 2010-12-01 2012-06-11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KR101947375B1 (ko) * 2012-05-29 2019-02-13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1937A (ja) 2006-04-25 2007-11-08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熱交換器の保護部材構造
JP2012229907A (ja) 2011-03-02 2012-11-22 Denso Thermal Systems Spa 車両に使用する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572A (ko)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03155B (zh) 车用空调系统
KR102228167B1 (ko) 응축기
US10018422B2 (en) Cooling module
JP5536420B2 (ja) セパレート型空気調和機
KR100784611B1 (ko) 냉방장치의 내부열교환기 일체형 기액분리기
US20160245595A1 (en) Cooling module
CN110014820B (zh) 冷却模块
KR102141872B1 (ko) 차량용 응축기의 보호장치
KR100784802B1 (ko) 증발식 응축기
JP5985387B2 (ja) 複合型熱交換器
KR101674030B1 (ko) 응축기
KR101930010B1 (ko) 쿨링 모듈
KR102173385B1 (ko)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 조립체
KR102205847B1 (ko)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KR101353394B1 (ko) 통합형 열교환기, 이를 이용한 프론트 엔드 모듈 및 열교환 시스템
US20170328615A1 (en) Refrigerant evaporator
KR101210570B1 (ko) 열교환기
KR101610788B1 (ko) 응축기와 라디에이터의 실링 구조
KR102167510B1 (ko) 차량용 응축기
KR102123858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100924564B1 (ko) 실내기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수장치
KR20110105561A (ko) 리시버 드라이어 일체형 응축기
US8806889B2 (en) Ejector type refrigerating cycle unit
KR102092568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102206973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