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802B1 - 증발식 응축기 - Google Patents

증발식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802B1
KR100784802B1 KR1020060093545A KR20060093545A KR100784802B1 KR 100784802 B1 KR100784802 B1 KR 100784802B1 KR 1020060093545 A KR1020060093545 A KR 1020060093545A KR 20060093545 A KR20060093545 A KR 20060093545A KR 100784802 B1 KR100784802 B1 KR 100784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refrigerant
straight
refrigerant circulation
hea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석
Original Assignee
김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석 filed Critical 김봉석
Priority to KR102006009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1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1Details of condensers of evaporative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식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 응축기본체와, 냉매가 순환하는 열교환부와, 상부 물공급수조와, 송풍팬 및 상기 응축기 바닥의 하부수조에서 물을 펌핑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구비하여 구성된 증발식 응축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양측 직선헤더 각각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연결구멍 각각에 직선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냉매순환관들의 양단이 끼워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되, 상기한 양측 직선헤더 각각은 복수개의 분할관들이 칸막이에 의해 도중이 막힌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한 양측 직선헤더 중 일측 직선헤더의 상측 분할관으로 유입되는 냉매가 복수개씩의 냉매순환관들을 통해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한 후 양측 직선헤더 중 선택된 일측 분할관으로 통해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본체는 육면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 상측에는 열교환부의 상방에서 물을 분사하는 상부 물공급수조가 은폐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타측에는 상기한 송풍기에서 송풍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증발식 응축기, 열교환부, 냉매순환관, 직선헤더, 물공급수조, 송풍기

Description

증발식 응축기{Condenser}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증발식 응축기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판형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 물공급수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응축기본체 2 : 열교환부
2a,2b : 열교환패널 21 : 냉매순환관
22 : 요홈돌출면 23 : 평탄면
3a,3b : 직선헤더 31,32,33,34,35 : 분할관
36,37,38 : 칸막이 4a : 냉매공급관
4b : 냉매회수관 41,42 : 유입구 및 배출구
5 : 하부수조 54,71 : 상,하부 칸막이
6 : 펌프 7 : 상부 물공급수조
71 : 분사공 8 : 송풍기
본 발명은 냉동싸이클의 압축기에서 보내진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를 물과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시켜 액체냉매로 응축시켜서 증발기로 보내주기 위한 증발식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싸이클은 증발기에서 기화된 냉매를 압축기에서 흡입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를 응축기로 보내며, 응축기에서 응축된 액상냉매는 팽창밸브에서 급속적으로 팽창되어 안개상태로 증발기로 보내지며, 증발기에서는 안개상태의 냉매가 기화되면서 증발기 주위의 열을 빼앗게 되며, 증발기에서 기화된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흡입 압축되는 작용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열교환을 반복하게 된다.
종래 기술의 증발식 응축기는 파이프로 된 응축코일을 지그재그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서로 이웃하는 응축코일들의 양단을 "U"자형으로 굴곡시켜서 지그재그상으로 연결시키거나 또는 "U"자형으로 굴곡된 "U"밴드를 용접 연결시키는 구조로서 응축코일을 지그재그상으로 연결된 구조로 제작하고 있는바, 이러한 응축코일은 입구측에서 유입되는 안개상태의 냉매는 출구측으로 배출되기까지 "U"자형으로 된 다수의 굴곡부분을 통과할 때 흐름저항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단면적이 작은 파이프로 응축코일을 제작하게 될 경우에는 냉매의 흐름저항이 커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단면적이 큰 파이프로 응축코일을 제작하게 될 경우에는 증발식 응축기의 부피가 대형화되고 또 중량도 증가되기 때문에 응축코일을 비교적 단면적 이 작은 파이프를 사용하여 응축코일을 제작하게 되는데, 이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U"자형으로 된 굴곡부분에서 냉매의 흐름저항이 발생되어 응축코일의 입구측으로 유입된 안개상태의 냉매가 출구측으로의 순환작용이 원활하지 못하고 또 냉매의 기화작용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않아 열교환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증발식 응축기는 상부 물분사관과 하부수조 사이에 설치된 응축코일을 공기 중에 노출시킨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순환펌프에 의해 하부수조에서 펌핑돌 물이 상부 분사관을 통해 분사되어 응축코일로 떨어질 때 응축코일에 묻어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부 분사관으로 유입되어 축적될 경우에는 상부 분사관의 노즐구멍이 막힐 염려가 있어 주기적으로 상부 분사관을 청소해야 하는 불편이 뒤따르고, 또 응축코일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부 분사관의 상부에 설치된 배기팬은 상부 분사관 상방에서 응축기 내부 공기를 흡입할 때 응축코일로 분사되어 비산되는 물방울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배기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배기팬과 상부 분사관 사이에 엘리미네이터(증발식 응축기의 냉각공기 출구에 설치되어 상부 분사관에서 분사되는 물방울이 배기팬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배기팬에서 응축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시킬 때 상부 분사관에서 분사되어 비산되는 물방울이 배기팬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일이 배기팬으로 흡입되는 일이 종종 발생될 유려가 있으며, 이렇게 배기팬으로 물이 유입될 경우에는 모터의 고장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증발식 응축기의 열교환부는 직선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냉매순환관과 이들 각 냉매순환관들의 양단에 직접 연결되어 냉매를 지그재그상으로 손환되게 하는 양측 직선헤더로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열교환부의 입구측에서 유입된 냉매가 출구측으로 흐르는 동안 흐름저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상기한 열교환부의 상방에서 분사되는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는 일측 측방에서 송풍시켜서 타측 측방으로 배출되게 하는 수단으로 상기 열교환부로 분사되는 물이 송풍팬으로 흡입되지 않도록 하여 송풍팬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열교환부를 통과하면서 물을 냉각시키고 배출되는 공기가 재유입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 상기 열교환부와 상부 물공급수조 및 하부수조 등을 비노출형으로 형성하므로서 이물질에 의한 상부 물공급수조의 분사공이 막히게 되는 등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므로서 열교환효율이 우수한 증발식 응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상기 열교환부의 각 냉매순환관들을 두장의 금속판으로 감싸준 구조로서 열교환 전열면적을 확장시켜서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응축기본체와, 이의 내부에 안개상태의 냉매가 순환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 상방에서 물을 분사하는 상부 물공급수조와, 상기 열교환부를 향해 외부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팬 및 상기한 상부 물공급수조에 상기 응축기의 바닥에 형성된 하부수조에서 물을 펌핑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구비하여 구성된 증발식 응축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양측 직선헤더 각각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연결구멍 각각에 직선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냉매순환관들의 양단이 끼워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되, 상기한 양측 직선헤더 각각은 복수개의 분할관들이 칸막이에 의해 도중이 막힌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한 양측 직선헤더 중 일측 직선헤더의 상측 분할관으로 유입되는 냉매가 복수개씩의 냉매순환관들을 통해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한 후 양측 직선헤더 중 선택된 일측 분할관으로 통해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본체는 육면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 상측에는 열교환부의 상방에서 물을 분사하는 상부 물공급수조가 은폐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타측에는 상기한 송풍기에서 송풍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는 응축기본체 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종방향으로 다수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열교환부들의 양측 직선헤더 중 일측 직선헤더들의 상,하측 분할관 각각에는 수평상으로 형성된 냉매공급관 및 냉매회수관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의 양측 직선헤더에 연결된 다수의 냉매순환관들은 그 양측에서 심용접으로 용접되는 두장의 열교환패널에 의해 은폐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되, 상기한 두장의 열교환패널은 각 냉매순환관의 외주를 절반씩 감싸주는 요홈 돌출면과 서로 면접촉되어 심용접되는 평탄면이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증발식 응축기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판형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 물공급수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응축기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응축기본체(1)는 밀폐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응축기본체(1) 내부에는 냉동싸이클의 응축기에 해당하는 열교환부(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열교환부(2)는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직선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냉매순환관(21)과, 이들 각 냉매순환관(21)들의 양단이 삽입 연결되는 양측 직선헤더(3a)(3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양측 직선헤더(3a)(3b)들은 각기 적당한 길이를 갖도록 분할 형성된 복수개씩의 분할관들이 칸막이에 의해 도중이 막힌 상태로 용접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 직선헤더(3a)의 경우는 모두 3개로 분할된 분할관(31,32,33)들이 직선상으로 용접되어 있으며, 타측 직선헤더(3b)의 경우는 2개로 분할된 분할관(34,35)들이 직선상으로 용접되어 있는데, 상기한 일측 직선헤더(3a)는 3개로 분할된 각 분할관(31,32,33)들 사이사이에는 두개의 칸막이(36,37)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직선헤 더(3b)는 한개의 칸막이(38)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양측 직선헤더(3a)(3b)들은 두개 및 한개의 칸막이들에 의해 내부가 막힌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한 분할관들 각각은 연결구멍(39)을 통해 각 냉매순환관(21)들과 연결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한 일측 직선헤더(3a)의 상,하측 분할관(31)(33)에는 각각 3개씩의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중간측 분할관(32)에는 6개의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타측 직선헤더(3b)의 상,하측 분할관(34)(35) 각각에는 6개씩의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측 직선헤더(3a)의 상측 분할관(31)에 연결된 냉매공급관(4a)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는 상측 분할관(31)에 형성된 3개의 연결구멍(39)에 연결된 3개의 냉매순환관(21)으로 균등하게 분배되어 타측 직선헤더(3b)의 상측 분할관(34) 상측 3개의 연결구멍으로 유입된 후 그 하측 3개의 연결구멍에 연결된 3개의 냉매순환관(21)들 각각으로 균등히 분배된 상태로 흐르게 되며, 이러한 흐름작동으로 일측 직선헤더(3a)의 하측 분할관(33)으로 유입된 냉매는 냉매회수관(4b)을 통해 압축기로 흐르게 된다.(도 3의 화살표 참조)
한편, 상기와 같이 다수의 냉매순환관(21)들과 이들이 연결된 양측 직선헤더(3a)(3b)로 구성된 열교환부(2)는 응축기본체(1) 내부에 종방향으로 다수열 형성되어 있으며(도 2 참조), 또한 상기한 냉매공급관(4a) 및 냉매회수관(4b)은 다수열 형성된 일측 직선헤더(3a) 각각을 동시에 연결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유입구(41)를 통해 냉매공급관(4a)으로 유입된 냉매는 다수열의 일측 직선헤더(3a) 각각의 상측 분할관(31)으로 분배되어 각 냉매순환관(21)으로 냉매를 균등 공급하여 순환시키게 되며, 다수열의 일측 직선헤더(3a) 각각의 하측 분할관(33)으로 유입되는 냉매는 냉매회수관(4b)으로 회수되어 배출구(42)를 통해 압축기로 보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양측 직선헤더(3a)(3b) 각각에 연결된 다수의 냉매순환관(21)들은 그 양측에서 용접되는 두장의 열교환패널(2a)(2b)에 의해 은폐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한 두장의 열교환패널(2a)(2b) 각각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요홈돌출면(22)과 평탄면(23)이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요홈돌출면(22)들이 각 냉매순환관(21)들을 양측에서 절반씩 감싼 상태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한 각 요홈돌출면(22)들 사이사이에서 면접촉하는 각 평탄면(23)들은 심용접으로 용접 결합된 구조로서, 상기한 두장의 열교환패널(2a)(2b)들은 각 냉매순환관(21)들의 열교환 전열면적을 증대시키게 된다.
다음, 상기 응축기본체(1) 내부에는 열교환부(2) 저부측에 물을 일정수위로 저장할 수 있는 하부수조(5)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수조(5)의 일측에는 물공급관(51)에 장착된 밸브(52)를 개폐하는 볼탑(53)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한 하부수조(5)에는 항시 적정수위의 물이 보충 공급되도록 하였으며, 하부수조(5)의 타측에는 하부수조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6)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열교환부(2) 상방에는 상기한 펌프(6)로부터 펌핑된 물을 공급받아 열교환부(2)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상부 물공급수조(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상부 물공급수조(7)에는 응축기본체(1) 내부에 다수열로 배열 설치되 어 있는 열교환부(2)를 향해 물을 고르게 뿌려주기 위한 분사공(71)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분사공(71)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폭은 좁고 길게 형성된 슬릿공이 다수열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아주 작은 구멍이 종횡으로 무수히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본체(1)의 일측 벽면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응축기본체(1) 내부에 다수열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부(2)로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기(8)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한 송풍기(8)는 열교환부(2)의 설치수 및 냉매 열교환용량에 따라 하나 이상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송풍기(8)가 상,하 두개를 설치한 것을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다.(도 1 참조)
또한 상기 응축기본체(1)의 타측 즉, 상기한 송풍기(8)가 설치된 반대측에는 하부수조(5)에 적정수위의 물을 저장하기 위한 하부칸막이(54)와 상부 물공급수조(7)에서 분사되는 물이 외부로 비산되지 못하게 하는 상부칸막이(7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하부 칸막이(72)(54) 사이의 배출공간(11)으로 배출되는 바람은 응축기본체(1)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응축기본체(1) 내부에 다수열로 배열 설치되는 열교환부(2)들의 일측 수직헤더(3a)들은 냉매를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냉매공급관(4a)및 냉매회수관(4b)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지지구조물을 사용하여 지지하지 않아도 되지만, 타측 수직헤더(3b)들은 별도의 지지구조물(부호 생략)을 사용하여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응축기본체(1)는 열교환부(2)로 냉매를 공급 순환시키기 위하여 일측으로 돌출된 유입구(41)를 냉동싸이클의 압축기의 출구라인에 연결하여 압축기로부터 보내지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편, 배출구(42)는 냉동싸이클의 팽창밸브가 장설된 증발기의 입구라인에 연결하여 응축된 액상냉매를 급속 팽창시켜서 안개상태의 냉매를 증발기로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응축기본체(1)의 유입구(41)로 유입된 냉매는 냉매공급관(4a)에 의하여 다수열로 배열 설치된 열교환부(3)의 일측 직선헤더(3a)의 상측 분할관(31)으로 균일한 압력으로 분배 공급되며, 각 상측 분할관(31)으로 유입된 냉매는 도 3의 화살표 표시와 같이 양측 직선헤더(3a)(3b)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여 일측 직선헤더(3a)의 하측 분할관(33)에 연결된 냉매회수관(4b)으로 회수되어 배출구(42)를 통해 팽창밸브측으로 보내진다.
상기와 같이 열교환부(2)의 각 냉매순환관(21)을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게 되는 냉매는 상기한 각 냉매순환관(21)들을 감싸고 있는 두장의 열교환패널(2a)(2b) 각각의 요홈돌출면(22)과 심용접된 평탄면(23)에 의해 열교환 면적이 증대된 상태인데, 이때 상부 물공급수조(7)의 분사공(71)으로 분출되는 물은 양측 열교환패널(2a)(2b)로 떨어져 흐르면서 열교환으로 가열되는 작용과 이와 동시에 송풍기(8)에 의해 외부로부터 흡입되어 송풍되는 공기와의 열교환작용으로 냉각되는 작용을 반복하게 되므로서 상부 물공급수조(7)에서 분출되는 물은 각 열교환부(2)의 양측 열교환패널(2a)(2b)의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흐르는 동안 열교환 부(2)와의 열교환작용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므로서 냉매의 응축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의 각 열교환부(2)를 순환하면서 열교환한 후 배출구(42)로 배출되는 냉매는 액상으로 상변화하여 팽창밸브로 보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열교환부(2)의 냉매순환관(21)들은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매가 빠르게 순환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양측 직선헤더(3a)(3b)는 기존의 "U"밴드와 같이 굴곡되어 있지 않고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냉매의 흐름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게 되어 상기한 유입구(41)를 통해 유입된 냉매는 상기 열교환부(2)의 각 냉매순환관(21)들을 빠르게 흘러 배출구(42)로 배출되며, 이와 같이 각 냉매순환관(21)들을 순환하는 냉매가 빠르게 흐르게 되더라도 상부 물공급수조(7)에서 분출되는 물과 송풍기(8)에서 송풍되는 바람에 의한 이중적인 열교환작용에 의하여 냉매는 냉각작용이 활발하게 진행되므로서 배출구(42)로는 액상으로 상변화된 냉매가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부의 각 냉매순환관 양단으로 연결시키는 양측 직선헤더가 냉매순환관을 순환하는 냉매를 지그재그상으로 흐르도록 유도함에 있어 기존과 같이 "U"자형으로 굴곡되어 있지 않고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냉매의 순환을 빠르게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열교환부 상방에 설치된 상부 물공급수조에서 분출되는 물이 열교환부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동안 열교환부와의 열교환작용과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바람과의 열교환작용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열교환부의 냉각작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열교환부의 각 냉매순환관 양측을 커버하는 두장의 열교환패널이 열교환면적을 증대시켜 냉매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물과 외부공기를 사용하므로서 압축기의 고압용량을 낮출 수 있게 되어 전력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고, 응축기의 부피를 소형화시킬 수 있어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고 또 제작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4)

  1. 응축기본체와, 이의 내부에 안개상태의 냉매가 순환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 상방에서 물을 분사하는 상부 물공급수조와, 상기 열교환부를 향해 외부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팬 및 상기 응축기본체의 바닥에 형성된 하부수조에서 물을 펌핑하여 상부 물공급수조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열교환부는, 양측 직선헤더 각각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연결구멍 각각에 직선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냉매순환관들의 양단이 끼워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양측 직선헤더 각각은 복수개의 분할관들이 칸막이에 의해 도중이 막힌 상태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한 양측 직선헤더 중 일측 직선헤더의 상측 분할관으로 유입되는 냉매가 양측 직선헤더 각각의 연결구멍에 연결된 각 냉매순환관들을 통해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한 후 양측 직선헤더 중 선택된 일측 분할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 증발식 응축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의 양측 직선헤더에 연결된 다수의 냉매순환관들은 그 양측에서 심용접으로 용접되는 두장의 열교환패널에 의해 은폐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식 응축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두장의 열교환패널은 각 냉매순환관의 외주를 양측에서 절반씩 감싸주는 요홈돌출면과, 각 냉매순환관들 사이에서 서로 면접촉된 상태에서 심용접으로 용접되는 평탄면이 서로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식 응축기.
KR1020060093545A 2006-09-26 2006-09-26 증발식 응축기 KR100784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545A KR100784802B1 (ko) 2006-09-26 2006-09-26 증발식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545A KR100784802B1 (ko) 2006-09-26 2006-09-26 증발식 응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802B1 true KR100784802B1 (ko) 2007-12-14

Family

ID=3914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545A KR100784802B1 (ko) 2006-09-26 2006-09-26 증발식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80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338B1 (ko) 2009-12-02 2011-08-17 로인테크(주) 증발식 응축기
CN102305445A (zh) * 2011-08-26 2012-01-04 西安工程大学 重力式热管和直接蒸发冷却器复合的蒸发冷却冷水机组
KR101410749B1 (ko) * 2012-08-30 2014-06-24 (주)대일아쿠아 냉각수 열교환-증발수 응축회수 방식의 복합기용 냉각수 분배장치
US9453687B2 (en) 2012-07-09 2016-09-27 Daeil Aqua Co., Ltd. Plume abatement and evaporated water recovery apparatus using combined heat exchanger-condenser
KR20180122201A (ko) 2017-05-02 2018-11-12 김봉석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
CN110513921A (zh) * 2019-08-29 2019-11-29 包头轻工职业技术学院 节水型蒸发式冷凝器
CN112864883A (zh) * 2021-01-04 2021-05-28 陈乐仙 一种多雨地区用具有散热功能的变电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102A (ja) * 1999-09-27 2001-04-06 Toyo Eng Works Ltd 蒸発式凝縮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102A (ja) * 1999-09-27 2001-04-06 Toyo Eng Works Ltd 蒸発式凝縮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338B1 (ko) 2009-12-02 2011-08-17 로인테크(주) 증발식 응축기
CN102305445A (zh) * 2011-08-26 2012-01-04 西安工程大学 重力式热管和直接蒸发冷却器复合的蒸发冷却冷水机组
US9453687B2 (en) 2012-07-09 2016-09-27 Daeil Aqua Co., Ltd. Plume abatement and evaporated water recovery apparatus using combined heat exchanger-condenser
KR101410749B1 (ko) * 2012-08-30 2014-06-24 (주)대일아쿠아 냉각수 열교환-증발수 응축회수 방식의 복합기용 냉각수 분배장치
KR20180122201A (ko) 2017-05-02 2018-11-12 김봉석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
KR102036292B1 (ko) * 2017-05-02 2019-11-26 김봉석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
CN110513921A (zh) * 2019-08-29 2019-11-29 包头轻工职业技术学院 节水型蒸发式冷凝器
CN112864883A (zh) * 2021-01-04 2021-05-28 陈乐仙 一种多雨地区用具有散热功能的变电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4802B1 (ko) 증발식 응축기
US7765827B2 (en) Multi-stage hybrid evaporative cooling system
KR101057338B1 (ko) 증발식 응축기
US20100276130A1 (en) Heat exchanger
JPH0861699A (ja) 一体型冷房機
CN106103155A (zh) 车用空调系统
KR102470459B1 (ko) 강하막 열 교환기
KR102331964B1 (ko) 증기압축식 냉동기의 만액식 증발기
JP2004077039A (ja) 蒸発式凝縮器
JP5733866B1 (ja) 冷媒熱交換器
KR101727914B1 (ko) 열교환기
KR20190006781A (ko) 증발식 응축기
TWI586926B (zh) 蒸氣壓縮系統
KR100526758B1 (ko) 하이브리드 냉각탑
JP7032055B2 (ja) 冷蔵庫
KR102328537B1 (ko) 증기압축식 냉동기의 고효율 응축기
KR101867688B1 (ko) 열교환기
JP2000274915A (ja) 冷蔵庫
KR20180122201A (ko)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
KR20060122356A (ko) 공기 조화기
KR200396843Y1 (ko) 증발식 응축기
US20190049163A1 (en) Evaporative refrigerant condenser heat exchanger
JP2008064426A (ja) 凝縮器及び冷凍機
KR20010090934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2169284B1 (ko) 열교환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