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201A -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 - Google Patents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201A
KR20180122201A KR1020170056411A KR20170056411A KR20180122201A KR 20180122201 A KR20180122201 A KR 20180122201A KR 1020170056411 A KR1020170056411 A KR 1020170056411A KR 20170056411 A KR20170056411 A KR 20170056411A KR 20180122201 A KR20180122201 A KR 20180122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oling water
pipes
vertic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6292B1 (ko
Inventor
김봉석
김수민
김명성
Original Assignee
김봉석
김명성
김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석, 김명성, 김수민 filed Critical 김봉석
Priority to KR1020170056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292B1/ko
Publication of KR2018012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5/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using the cooling effect of natural or forced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28D2021/007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에 있어서, 냉매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냉매유입헤더와, 냉매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냉매유출헤더가 상,하로 대설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유입헤더와 냉매유출헤더에는 수직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 각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서로 마주하도록 수직상으로 대설되는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과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 각각을 잇는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이 구비되어 있는 증발식 응축기에 있어서,
냉각수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유입헤더와, 냉각수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유출헤더가 상,하로 대설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유입헤더와 냉각수유출헤더를 잇는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 각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수직상으로 대설되는 복수의 냉각수 수직회류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과 복수의 냉각수 수직회류관을 잇는 복수의 냉각수 수평순환관 양단 각각은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 각각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 및 냉매 수직회류관 각각을 관통하여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 및 냉각수 수직회류관 각각에 연결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Evaporative condensation of refriger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식 응축기의 체적은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냉매의 순환속도 및 순환량은 빠르고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동장치의 전체적인 체적은 줄이는 한편, 냉동효율은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증발식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장치는 증발기에서 기화된 기체냉매를 압축기로 보내면 압축기에서는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응축기로 보내고, 상기 응축기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작용으로 액화하도록 응축시키며, 상기 응축기에서의 응축작용으로 응축된 액체냉매는 팽창밸브에서 급속 팽창되어 안개상태로 증발기에 보내지고, 상기 증발기에서는 안개상태로 팽창된 냉매가 주위의 열교환매체(공기 또는 물 등)로부터 열을 빼앗는 작용으로 증발되면서 다시 압축기로 보내지는 순환작동을 반복 되풀이하는 방식으로 열교환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증발식 응축기는 작은 직경의 파이프로 형성된 응축코일을 지그재그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응축코일을 U자형으로 절곡시키는 방법으로 연결 설치하거나 똔느 서로 이웃하는 파이프를 U자형 연결밴드로 용접하여 연결시키는 구조로 응축코일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렇게 지그재그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응축코일은 입구측에서 유입되는 안개상태의 냉매가 출구측까지 이동되는 동안 U자형으로 절곡진 연결부분을 여러 번 반복해서 통과하는 과정에서 흐름저항이 발생되어 냉매의 흐름이 더디어지는 문제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단면적이 작은 소직경의 파이프를 소재로 하여 응축코일을 제작하게 될 경우에는 냉매의 흐름저항이 커지게 되며, 이와는 달리 단면적이 큰 대직경의 파이프를 소재로 하여 응축코일을 제적하게 될 경우에는 증발식 응축기의 체적이 커지게 될 뿐 아니라 무게도 무거워지는 것이 단점으로 나타나게 된다.
때문에 응축코일은 비교적 단면적이 작은 소직경의 파이프를 소재로 하여 응축코일을 제작하게 되지만, 이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U자형의 절곡부분에서 냉매의 흐름저항이 발생하게 되어 응축코일의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냉매가 출구측으로의 순환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냉매의 액화작용도 순조롭지 않게 되어 열교환작용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784802호(2007. 12. 14. 공고) 등록특허 제10-1057338호(2011. 08. 17.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증발식 응축기는 압축기에서 보내지는 고온고압의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순환관의 내,외부에서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냉매의 냉각이 빠르게 이루어져 응축작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냉매의 순환량을 많게 하는 동시에 냉매가 빠르게 순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매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키고 냉동장치의 냉동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증발식 응축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냉매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냉매유입헤더와, 냉매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냉매유출헤더가 상,하로 대설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유입헤더와 냉매유출헤더에는 수직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 각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서로 마주하도록 수직상으로 대설되는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과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 각각을 잇는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이 구비되어 있는 증발식 응축기에 있어서,
냉각수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유입헤더와, 냉각수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유출헤더가 상,하로 대설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유입헤더와 냉각수유출헤더를 잇는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 각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수직상으로 대설되는 복수의 냉각수 수직회류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과 복수의 냉각수 수직회류관을 잇는 복수의 냉각수 수평순환관 양단 각각은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 각각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 및 냉매 수직회류관 각각을 관통하여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 및 냉각수 수직회류관 각각에 연결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냉각 수평순환관이 관통하는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 각각의 외주에는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을 감싸도록 밀착되는 요홈이 일정간격으로 대칭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열교환패널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로 용접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 각각의 내부에는 상,하부 칸막이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 각각의 내부에는 중간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 각각의 내부에는 하나의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 각각의 내부에는 냉각수 수평순환관이 냉매 수평순환관 내면에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지지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발식 응축기에 형성되어 있는 냉매유입헤더의 입구로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냉매유입헤더와 냉매유출헤더를 잇는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을 통해 복수의 냉매수평순환관을 따라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을 거쳐 냉매유출헤더로 배출되므로 냉매의 순환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동시에 복수의 냉매수평순환관을 순환하는 냉매는 냉매 수평순환관 내부를 관통하는 냉각수 수평순환관을 순환하는 냉각수와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 외주에 밀착하도록 설치된 열교환패널로 흘러내리는 냉각수에 의하여 내,외부에서 이중으로 냉각되는 열교환작용으로 냉각되어 응축되므로 냉매의 응축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냉매의 순환속도가 빠르고 응축효율의 향상에 의하여 냉동장치의 냉각효율이 커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증발식 응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증발식 응축기의 정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증발식 응축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증발식 응축기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D-D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증발식 응축기의 설치 및 사용상태도
본 발명에 의한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증발식 응축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증발식 응축기(1)는 넹매입구(21)가 형성되어 있는 냉매유입헤더(2a)와, 냉매출구(22)가 형성되어 있는 냉매유출헤더(2b)가 상,하로 대설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유입헤더(2a)와 냉매유출헤더(2b) 각각에는 수직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3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3a) 각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서로 마주하도록 수직상으로 대설되는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3a)과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3b) 각각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도록 수평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 각각의 양단은 냉매 수직순환관(3a) 및 냉매 수직회류관(3b)에 용접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 각각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의 양단이 용접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3a)과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3b)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냉각수 수평순환관(5)을 설치하여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4)으로 순환하는 냉매를 상기 냉매 수평순환관(4) 내부에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3b)의 일측(도면상 좌측)에는 하측에 냉각수입구(51)가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유입헤더(5a)가, 상측에 냉각수출구(52)가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유출헤더(5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유입헤더(5a)와 냉각수유출헤더(5b)를 수직상으로 잇는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6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3a)의 일측(도면상 우측)에는 상기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6)과 마주하도록 대설되는 복수의 냉각수 수직회류관(6b)이 수직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6a)과 복수의 냉각수 수직회류관(6b)을 수평상으로 이어주는 복수의 냉각수 수평순환관(7)들 각각의 양단은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3a)과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3b)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수직순환관(6a) 및 냉각수 수직회류관(6b)에 각각 용접으로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3a)과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3b) 각각을 수평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들 각각의 외주에는 냉매 수평순환관(4)의 양측에서 밀착하도록 감싸줄 수 있도록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커버부(81a)(81b)가 일정간격으로 대칭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열교환패널(8a)(8b)이 서로 맞대어지는 상태로 밀착되는 평면부(82a)(82b)가 심용접이나 스포트용접으로 고정 부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각 냉각수 수평순환관(7)은 냉매 수평순환관(4)의 내부에서 진동하는 현상이나 또는 처짐현상으로 인해 상기 냉매 수평순환관(4)의 내면에 부딪치거나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냉매 수평순환관(4)에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구(71)에 의하여 냉매 수평순환관(4)의 내부 중심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지지구(71)는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3a) 각각의 내부에는 상,하부 칸막이(31)(3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3b) 각각의 내부에는 중간 칸막이(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6a) 각각의 내부에는 하나의 칸막이(6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 및 복수의 냉각수 수평순환관(7) 각각은 전열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원피치 주름관 또는 나선 주름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식 응축기(1)는 하부에 냉각수가 저장되는 수조(91)가 구비되어 있는 응축기 케이스(9)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응축기 케이스(9)의 일측에는 수조(91)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펌핑하는 펌프(92)와, 상기 펌프(92)에서 펌핑된 냉각수는 응축기 케이스(9)의 내상부에 수평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살수관(93)으로 공급되어 하측의 증발식 응축기(1)를 향해 가는 물줄기로 뿌려주는 방식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살수관(93)에 가는 물줄기로 살수되는 물방울은 증발식 응축기(1)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을 감싼 상태로 용접되어 있는 양측 열교환판(8a)(8b)을 타고 흘러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 케이스(9)의 상부에는 냉각용 공기순환팬(94)을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가 응축기 케이스(9)의 내부로 순환하면서 증발기 응축기(1)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으로 증발식 응축기(1)를 냉각시키는 데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냉동장치의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증발식 응축기(1)로 공급되는 냉매는 상기 냉매유입헤더(2a)에 형성되어 있는 냉매입구(21)를 통해 냉매유입헤더(2a)로 유입되며, 상기 냉매유입헤더(2a)로 유입되는 냉매는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3a)으로 분배되는 상태로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3a)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3a) 각각의 내부에는 상,하부 칸막이(3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냉매 수직회류관(3b)에는 중간 칸막이(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냉매유입헤더(2a)에서 냉매 수직순환관(3a)으로 공급되는 냉매는 상,하부 칸막이(31)(33) 및 중간 칸막이(32)에 의하여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 및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3b)을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3a) 및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3b)을 냉매가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게 되는데 따른 설명의 편의 위하여, 도면상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상부 칸막이(31)를 기준하여 볼 때 상측 3개의 냉매 수평순환관은 '제1 냉매 수평순환관(4-1)'으로 표기하고, 하측 3개의 냉매순환관은 '제2 냉매 수평순환관(4-2)'으로 표기하며, 하부 칸막이(33)를 기준하여 볼 때 상측 3개의 냉매 수평순환관은 '제3 냉매 수평순환관(4-3)'으로, 하측 3개의 냉매 수평순환관은 '제4 냉매 수평순환관(4-4)'으로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그러나, 대표적으로 설명할 때는 '냉매 수평순환관(4)'으로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위의 설명을 기준하여, 상기 냉매유입헤더(2a)로 유입되는 냉매가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3a)으로 공급될 때에는 상부 칸막이(31)에 의하여 냉매는 제1 냉매 수평순환관(4-1)을 통해 상기 냉매 수직회류관(3b)으로 순환하게 되며, 상기 제1 냉매 수평순환관(4-1)을 통해 냉매 수직회류관(3b)으로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냉매 수직순환관(3b)에 형성되어 있는 중간 칸막이(32)에 의하여 제2 냉매 수평순환관(4-2)을 통해 순환하게 되고, 상기 제2 냉매 수평순환관(4-2)을 통해 상부 칸막이(31)와 하부 칸막이(33) 사이의 냉매 수직순환관(3a)으로 유입되는 냉매는 제3 수평순환관(4-3)을 통해 상기 냉매 수직회류관(3b)의 중간 칸막이(32) 하측으로 유입되었다가 다시 제4 냉매 수평순환관(4-4)을 통해 상기 냉매 수직순환관(3a)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칸막이(33)의 하측을 통해 냉매유출헤더(2b)로 유입되게 되므로 상기 냉매입구(21)를 통해 냉매유입헤더(2a)로 유입되는 냉매는 제1 내지 제4 냉매 수평순환관(4-1,4-2,4-3,4-4)을 차례차례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여 상기 냉매유출헤더(2b)로 유입되어 냉매출구(22)를 통해 냉동사이클의 수액기 또는 팽창밸브로 보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냉매유입헤더(2a)로 유입되는 냉매는 냉매 수직순환관(3a) 과 냉매 수직회류관(3b)를 연결하는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4)을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 각각의 내부에는 냉각수 수평순환관(7)이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냉각수 수평순환관(7)을 순환하게 되는 냉각수와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을 순환하는 냉매는 서로 열교환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의 외주를 감싸고 있는 양측 열교환패널(8a)(8b)로 흘러내는 냉각수와도 열교환하게 된다.
즉,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응축기 케이스(9)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92)가 수조(91)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펌핑하여 냉각수입구(51)로 공급하는 냉각수가 냉각수유입헤더(5a)로 유입되며, 상기 냉각수유입헤더(5a)로 유입되는 냉각수는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6a)으로 고르게 분배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6a)의 각 내부에 형성된 중간 칸막이(32)에 의하여 냉각수는 복수의 냉각수 수평순환관(7)을 통해 대설된 냉각수 수직회류관(6b)측으로 순환하는 동안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을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하게 되며, 상기 냉각수 수직회류관(6b)에서 다시 복수의 냉각수 수평순환관(7)으로 순환하는 냉각수도 다시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냉각수 수직순환관(6a)을 거쳐 냉각수유출헤더(5b)의 냉각수출구(52)로 배출되는 냉각수는 상기 증발식 응축기(1)의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살수관(93)에서 가는 물줄기로 살수되는 냉각수가 열교환패널(8a)(8b)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을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을 순환하는 냉매의 내부는 냉각수 수평순환관(7)을 순환하는 냉각수와 열교환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을 순환하는 냉매는 열교환패널(8a)(8b)을 따라 흘러내리는 냉각수와도 열교환하는 상태가 되므로 결국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을 순환하는 냉매는 내,외부를 순환하게 되는 냉각수와의 열교환작용에 의한 이중 냉각작용에 의하여 응축효율이 배(倍) 이상으로 향상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냉동장치의 냉각효율도 배 이상으로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증발식 응축기(1)는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이 직선적인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을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는 냉매의 순환속도를 빠르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4)의 설치간격을 좁게 하는 구성으로 조밀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증발식 응축기(1)의 체적 및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냉동장치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설계변경이 이루어지는 발명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귄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증발식 응축기 2a : 냉매유입헤더
2b : 냉매유출헤더 21 : 냉매입구
22 : 냉매출구 3a : 냉매 수직순환관
3b : 냉매 수직회류관 31 : 상부 칸막이
32 : 중간 칸막이 33 : 하부 칸막이
4 : 냉매 수평순환관 5a : 냉각수 유입헤더
5b : 냉각수 유출헤더 51 : 냉각수입구
52 : 냉각수출구 6a : 냉각수 수직순환관
6b : 냉각수 수직회류관 61 : 칸막이
7 : 냉각수 수평순환관 71 : 지지구
8a,8b : 열교환패널 81a,81b : 커버부
82a,82b : 평면부 9 : 응축기 케이스
91 : 수조 92 : 펌프
93 : 살수관

Claims (4)

  1. 냉매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냉매유입헤더와, 냉매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냉매유출헤더가 상,하로 대설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유입헤더와 냉매유출헤더에는 수직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 각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서로 마주하도록 수직상으로 대설되는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과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 각각을 잇는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이 구비되어 있는 증발식 응축기에 있어서,
    냉각수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유입헤더와, 냉각수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유출헤더가 상,하로 대설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유입헤더와 냉각수유출헤더를 잇는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 각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수직상으로 대설되는 복수의 냉각수 수직회류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과 복수의 냉각수 수직회류관을 잇는 복수의 냉각수 수평순환관 양단 각각은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 각각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 및 냉매 수직회류관 각각을 관통하여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 및 냉각수 수직회류관 각각에 연결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냉각 수평순환관이 관통하는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 각각의 외주에는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을 감싸도록 밀착되는 요홈이 일정간격으로 대칭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열교환패널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로 용접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순환관 각각의 내부에는 상,하부 칸막이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냉매 수직회류관 각각의 내부에는 중간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냉각수 수직순환관 각각의 내부에는 하나의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냉매 수평순환관 각각의 내부에는 냉각수 수평순환관이 냉매 수평순환관 내면에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지지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
KR1020170056411A 2017-05-02 2017-05-02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 KR102036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411A KR102036292B1 (ko) 2017-05-02 2017-05-02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411A KR102036292B1 (ko) 2017-05-02 2017-05-02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201A true KR20180122201A (ko) 2018-11-12
KR102036292B1 KR102036292B1 (ko) 2019-11-26

Family

ID=64398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411A KR102036292B1 (ko) 2017-05-02 2017-05-02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2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890B1 (ko) * 2019-11-06 2021-03-24 김봉석 냉각수 제조장치
WO2022114849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증발식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813A (ja) * 1996-10-01 1998-04-24 Sanyo Electric Co Ltd 凝縮器
KR20010085019A (ko) * 2001-07-19 2001-09-07 민영경 공냉식 및 수냉식을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열교환기
KR200408008Y1 (ko) * 2005-09-14 2006-02-07 방수일 이중관식 응축기 유닛
KR100784802B1 (ko) 2006-09-26 2007-12-14 김봉석 증발식 응축기
JP4646302B2 (ja) * 2005-06-24 2011-03-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シェルアンドチューブ式熱交換器
KR101057338B1 (ko) 2009-12-02 2011-08-17 로인테크(주) 증발식 응축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813A (ja) * 1996-10-01 1998-04-24 Sanyo Electric Co Ltd 凝縮器
KR20010085019A (ko) * 2001-07-19 2001-09-07 민영경 공냉식 및 수냉식을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열교환기
JP4646302B2 (ja) * 2005-06-24 2011-03-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シェルアンドチューブ式熱交換器
KR200408008Y1 (ko) * 2005-09-14 2006-02-07 방수일 이중관식 응축기 유닛
KR100784802B1 (ko) 2006-09-26 2007-12-14 김봉석 증발식 응축기
KR101057338B1 (ko) 2009-12-02 2011-08-17 로인테크(주) 증발식 응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890B1 (ko) * 2019-11-06 2021-03-24 김봉석 냉각수 제조장치
WO2022114849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증발식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292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1422B2 (en) Condenser with tube support structure
US10914525B2 (en) Side mounted refrigerant distributor in a flooded evaporator and side mounted inlet pipe to the distributor
US10161658B2 (en) Modular coil for air cooled chillers
US20150338168A1 (en) Heat exchanger
US8387410B2 (en) Air cooling type chiller
US10612823B2 (en) Condenser
JP2017155992A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CN106196755B (zh) 壳管式冷凝器和空调系统
US20160223231A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US7163052B2 (en) Parallel flow evaporator with non-uniform characteristics
KR100784802B1 (ko) 증발식 응축기
KR102331964B1 (ko) 증기압축식 냉동기의 만액식 증발기
KR20180122201A (ko)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
JP5733866B1 (ja) 冷媒熱交換器
JP6531380B2 (ja) 熱交換器
KR101727914B1 (ko) 열교환기
JP6784632B2 (ja) 熱交換器用接続装置
JP4903743B2 (ja) 吸収式冷凍機
JP2022128910A (ja) シェルアンドチューブ式熱交換器、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熱交換方法
KR20150098141A (ko) 열교환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140001692A (ko) 열교환기
JPH1123086A (ja) 空冷吸収式冷凍機及びその凝縮器
US20180156478A1 (en)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System
WO2017170139A1 (ja) 熱交換装置、冷凍システム及び熱交換方法
JP4720558B2 (ja) 吸収冷凍機用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