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321B1 -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321B1
KR101568321B1 KR1020140029670A KR20140029670A KR101568321B1 KR 101568321 B1 KR101568321 B1 KR 101568321B1 KR 1020140029670 A KR1020140029670 A KR 1020140029670A KR 20140029670 A KR20140029670 A KR 20140029670A KR 101568321 B1 KR101568321 B1 KR 101568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guide
wire
stopp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7166A (ko
Inventor
김완수
정상헌
Original Assignee
바이옵트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옵트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옵트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32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4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feeding screws or nuts
    • B25B23/045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feeding screws or nuts using disposable strips or discs carrying the screw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송 장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나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나사에 대면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송 장치{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나사를 이송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제품의 조립시 거의 모든 경우 나사가 사용된다. 따라서, 나사를 신속하게 제품에 적용시키면 대량 생산에 유리함은 자명하다.
제품에 나사를 신속하게 적용시키기 위해서 나사를 전동 드라이버로 이송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890540호에는 나사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가 개시되고 있으나, 공급된 나사를 전동 드라이버까지 이송시키는 방안은 개시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890540호
본 발명은 나사를 신뢰성 있게 이송할 수 있는 이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송 장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나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나사에 대면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송 장치는 나사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에 와이어를 설치함으로서 이송 중인 나사에 인가되는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사를 신뢰성 있게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송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이동 홈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송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이송 중인 나사의 잘못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나사의 이송 과정 중에 가이드부에 접촉되는 나사 부위를 단면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이송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송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송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이송 장치는 가이드부(110) 및 와이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10)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나사(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나사(10)의 이동 경로 중에서 서로 다른 좌표를 갖는 위치일 수 있다. 일예로, 제1 위치는 나사 공급기로부터 나사(10)가 입력되는 위치일 수 있으며, 제2 위치는 전동 드라이버로 나사(10)가 출력되는 위치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적어도 중력 방향으로 서로 다른 좌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나사(10)가 이동되는 힘은 중력에 의한 나사(10)의 자중일 수 있다.
자중에 의한 나사(10)의 이송을 방해하는 요소로 마찰력이 있을 수 있다. 마찰력이 크면 자중에도 불구하고 나사(10)가 제2 위치를 향해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마찰력 f는 다음의 수학식 1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4024374605-pat00001
여기서, μ는 마찰 계수이고,
N은 수직항력이다.
마찰의 정도를 나타내는 마찰계수는 물체의 재질, 표면의 매끄러운 정도, 윤활제의 유무와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진다.
마찰 계수는 나사(10)와 이송 유니트 간의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줄일 수 있다. 나사(10)와 가이드부(110) 간의 접촉 면적을 줄이기 위해 점접촉을 통해 제1 위치의 나사(10)를 제2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와이어(130)가 이용될 수 있다.
나사(10)는 머리부(11), 머리부(11)의 밑면으로부터 연장되며 머리부(1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몸체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연장되는 강체로 단면상으로 나사(10)의 몸체부(13)가 삽입되는 이동 홈(119)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이동 홈(119)은 가이드부(110)와 마찬가지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동 홈(119)의 양측에 마련된 격벽의 측면에 나사(10) 몸체부(13)의 측면이 접촉되고, 격벽의 상면에 나사(10) 머리부(11)가 접촉될 수 있다.
아하에서는 이동 홈(119)을 형성하는 양 격벽을 각각 제1 가이드(111)와 제2 가이드(112)라 칭하기로 한다.
도 2는 이동 홈(119)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살펴보면, 나사(10)의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제1 가이드(111)와 제2 가이드(112) 사이의 거리, 즉 이동 홈(119)을 형성하는 양 격벽 간의 이격 거리는 나사(10)의 몸체부(13)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나사(10)의 몸체부(13)는 나사(10)의 이동 과정에서 제1 가이드(111) 또는 제2 가이드(112)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나사(10)의 이동 과정 대부분에서 몸체부(13)는 제1 가이드(111) 또는 제2 가이드(112)의 측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나사(10)의 이동 중에 적어도 몸체부(13)의 일측 전체는 제1 가이드(111) 또는 제2 가이드(112)의 측면에 접촉되므로 접촉 면적이 크고 마찰 계수가 증가한다. 또한, 나사(10) 머리부(11)의 밑면 상당 부분이 제1 가이드(111) 또는 제2 가이드(112)의 상면에 접촉되므로 역시 마찰 계수가 큰 폭으로 증가한다.
가이드부(110)와 나사(10)의 접촉 면적을 줄이기 위해 와이어(130)가 이용될 수 있다.
와이어(130)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연장되며, 가이드부(110)에서 나사(10)에 대면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나사(10)의 이동 과정에서 나사(10)가 와이어(130)에만 접촉되도록, 와이어(130)는 가이드부(110)로부터 나사(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송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절단선의 단면이 개시된다.
와이어(130)는 가이드부(110)에서 나사(10)에 대면하는 다양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 와이어(130)는 제1 가이드(111) 또는 제2 가이드(112)에서 나사(10)의 몸체부(13)에 대면하는 측면과 나사(10)의 머리부(11) 밑면에 대면하는 상면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가이드(111)에 2개의 와이어(130)가 설치되고, 제2 가이드(112)에 2개의 와이어(130)가 설치되서 총 4개의 와이어(130)가 배치된다.
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해 와이어(130)의 개수를 줄이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110)가 나사(10)의 몸체부(13) 및 머리부(11)의 밑면을 가이드할 때, 와이어(130)는 단면상으로 가이드부(110)에서 몸체부(13) 또는 머리부(11)의 밑면에 대면하는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의 모서리는 나사(10)의 몸체부(13)와 머리부(11)가 만나는 소위 겨드랑이(19) 부분에 대면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10)의 모서리에 설치된 와이어(130)가 나사(10)의 길이 방향 및 나사(10)의 폭 방향으로 가이드로부부터 돌출되는 직경을 갖는다면 해당 와이어(130)는 나사(10)의 몸체부(13) 측면뿐만 아니라 머리부(11)의 밑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가이드(111)와 제2 가이드(112)의 모서리에 와이어(130)를 설치하면 하나의 와이어(130)만으로 몸체부(13) 및 머리부(11)에 접촉할 수 있다.
도면에는 나사(10)의 길이 방향 및 나사(10)의 폭 방향으로 와이어(130)의 반지름 r만큼 가이드부(110)로부터 돌출되는 경우가 개시된다.
제1 가이드(111)에 설치된 와이어(130)를 제1 와이어(131)라 칭하고, 제2 가이드(112)에 설치된 와이어(130)를 제2 와이어(132)라 칭할 때, 위 구성에 따르면 나사(10)의 일측은 제1 와이어(131)에만 접촉하고, 나사(10)의 타측은 제2 와이어(132)에만 접촉될 수 있다.
이상의 와이어(130)에 의하면 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나사(10)는 와이어(130)에 점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과정에서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되고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130)는 제조 공법상 길이에 상관없이 전 구간에서 거의 고른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110)를 형성하는 제1 가이드(111)와 제2 가이드(112)는 그 단면이 다각형일 수 있는데,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재질인 경우 절삭 가공 등을 아무리 정밀하게 수행하더라도 와이어(130)와 같이 균일한 표면 거칠기를 갖기 어렵다. 또한, 현실적으로 스테인리스강과 같이 높은 강도를 갖는 재질을 정밀하게 절삭 가공하는 것 역시 어렵다.
그러나, 압출 등의 방식으로 제조되는 와이어(130)는 재질과 상관없이 전 구간에서 고른 평탄도를 가진다. 다시 말해 듬성듬성 미세한 걸림턱 등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와이어(130)를 이용할 경우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미세한 걸림턱 등의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정리하면, 와이어(130)를 적용할 경우 신뢰성 높은 나사(10)의 이동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와이어(130)를 각 가이드의 모서리에 설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가이드부(110)의 모서리에는 와이어(130)가 설치되는 설치 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 홈(115)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도 3에서는 나사(10)의 길이 방향으로 r만큼, 폭 방향으로 r만큼 함몰된 직각 단면의 설치 홈(115)이 개시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설치 홈(115)에 반지름 r을 갖는 와이어(130)를 설치하면 와이어(130)는 자연스럽게 나사(1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r만큼 가이드부(1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와이어(130)는 접착,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 홈(115)에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130)는 나사(10)의 몸체부(13)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나사(10)의 머리부(11) 밑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130)는 나사(10)의 머리부(11) 밑면에 접촉되는 범위 내에서 몸체부(1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와이어(130)가 몸체부(13)에 바짝 붙게 되면 도 3과 같이 가이드부(110)의 모서리에만 와이어(130)를 설치할 경우 총 4군데에서 나사(10)와 가이드부(110)간의 점접촉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와이어(130)가 몸체부(13)로부터 w만큼 이격된다면 이동 과정에서 나사(10)가 어느 한편으로 쏠린다 하더라도 3군데에서 나사(10)와 가이드부(110) 간의 점접촉이 이루어진다. 만약, 이동 과정에서 이상적으로 나사(10)가 양 와이어(130)의 사이에 위치한다면 몸체부(13)에 접촉되는 부위가 배제되므로 총 2군데에서 나사(10)와 가이드부(110) 간의 점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나사(10)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나사(10)의 머리부(11)와 몸체부(13)는 직각으로 형성될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제조시 머리부(11)와 몸체부(13)의 사이, 소위 겨드랑이(19) 부위는 뭉툭하게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30)가 몸체부(13)에 바짝 붙게 되면 겨드랑이(19) 부위의 돌출로 인해 나사(10)가 위로 들릴 수 있다. 나사(10)가 위로 들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10)를 따라 이동하는 뒷 나사(10)의 머리부(11)와 앞 나사(10)의 머리부(11)가 중첩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전동 드라이버로 나사(10)를 하나씩 제공하는 시스템 체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와이어(130)를 몸체부(13)로부터 이격시키면 이러한 문제 역시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나사(10)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가이드부(110)의 이동 홈(119)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부(110)는 머리부(11)의 윗면을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130)는 제3 가이드(113)와 머리부(11)의 윗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머리부(11)의 윗면이 제3 가이드(113)에 접촉하더라도 와이어(130)에 의한 점접촉만 이루어지므로 마찰 계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가이드(113)에 설치되는 와이어(130)를 제3 와이어(133)라 칭하기로 한다.
나사(10)의 머리부(11)에서 윗면 형상은 나사(1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도면에는 나사(10)의 머리부(11)가 가운데가 돌출된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달리 나사(10)의 머리부(11) 윗면은 평평할 수도 있으며, 오목한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 머리부(11)를 종류에 상관없이 가이드하기 위해 제3 가이드(113)는 나사(10)의 가운데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와이어(133)는 이렇게 돌출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와이어(133)의 설치를 위해 제3 가이드(113)에는 제3 와이어(133)가 삽입되는 삽입 홈(117)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홈의 깊이는 제3 와이어(133)의 반지름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3 와이어(133)는 반지름만큼 제3 가이드(11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제3 가이드(113)에 의하면 이송 중인 나사(10)가 가려져 시각적으로 나사(10)의 상태를 파악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와이어(130)는 나사(10)의 폭 방향으로 머리부(11)의 중앙에 배치되고, 단면상으로 가이드부(110)의 일측에 치우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단면상으로 제3 와이어(133)로부터 제3 가이드(113)의 일측까지의 거리가 L1이고 제3 와이어(133)로부터 제3 가이드(113)의 타측까지의 거리가 L2일 때, L1이 L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L2 측은 제3 가이드(113)에 의해 나사(10)가 가려지는 부분이 줄어든다. 따라서, 적어도 L2 측에서는 나사(10)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3 와이어(133)와 나사(10) 윗면 사이의 이격 거리 d는 적절하게 조절되는 것이 좋다.
d가 너무 크면 제3 가이드(113)와 제3 와이어(133)가 마련된 의미가 상실될 수 있다.
즉, 나사(10)가 이동 홈(119)부터 이탈되거나 도 4와 같이 서로 인접한 나사(10)의 머리부(11)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도 4는 이송 중인 나사(10)의 잘못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살펴보면, 앞 나사(10)의 머리부(11)의 뒤가 들리고, 해당 나사(10)의 머리부(11)와 가이드부(110)의 사이로 뒷 나사(10)의 머리부(11)의 앞이 끼여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나사(10)의 이송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전동 드라이버로 나사(10)를 하나씩 공급하는 시스템 체계가 훼손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동 드라이버로 동시에 2개의 나사(10)가 공급됨으로써 전동 드라이버 및 이송 장치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d가 너무 작아 제3 와이어(133)가 나사(10) 윗면을 가압하는 상태가 되면 나사(1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위 현상들을 방지하기 위해 d는 나사(10)의 머리부(11) 두께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0보다 큰 것이 좋다.
도 5는 나사(10)의 이송 과정 중에 가이드부(110)에 접촉되는 나사(10) 부위를 단면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에는 극단적인 예로, 제1 가이드(111), 제2 가이드(112) 및 제3 가이드(113)가 나사(10)에 모두 밀착되는 상태가 개시된다.
살펴보면, 머리부(11)의 윗면 전체는 제3 가이드(113)에 접촉되고, 머리부(11)의 밑면 일부와 몸체부(13)의 측면 전체가 제1 가이드(111)와 제2 가이드(112)에 접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각 가이드에 제1 와이어(131) 내지 제3 와이어(133)가 적용되면 우측 도면과 같이 머리부(11) 윗면에 1개, 머리부(11) 밑면에 2개, 몸체부(13)에 2개의 점접촉만 이루어진다. 즉, 와이어(130)가 적용되면 접촉 면적이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마찰력이 최소화되므로 나사(10)를 신뢰성 있게 이송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이송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이송 장치는 다양한 규격의 나사(10)를 이송시킬 수 있다.
나사(10)마다 머리부(11)의 두께, 몸체부(13)의 직경이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규격을 갖는 나사(10)마다 이에 대응하는 이송 장치를 마련하는 것은 불합리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10)의 규격에 따라 제1 와이어(131)와 제2 와이어(132)의 간격 L3, 제1 와이어(131)(또는 제2 와이어(132))와 제3 와이어(133)의 간격 L4를 조절하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제1 가이드(111)와 제2 가이드(112)는 서로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111)와 제2 가이드(112)의 사이에는 이동 홈(119)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 이동 홀(118)이 마련될 수 있다.
간격 L3는 결과적으로 제1 가이드(111)와 제2 가이드(112)의 간격에 의해 결정되므로 제1 가이드(111) 및 제2 가이드(112)에는 제1 가이드(111)와 제2 가이드(112)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간격 조절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간격 조절부(150)는 제1 가이드(111)와 제2 가이드(112)를 관통하는 나사(10)일 수 있으며,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가이드(111)와 제2 가이드(11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간격 L4는 제1 가이드(111)(또는 제2 가이드)와 제3 가이드(113)의 간격에 의해 결정되므로, 제1 가이드(111)(또는 제2 가이드) 및 제3 가이드(113)에는 제1 가이드(111)(또는 제2 가이드)와 제3 가이드(113)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2 간격 조절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 가이드(112)와 제3 가이드(113)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2 간격 조절부(190)가 개시된다.
한편, 이송 장치는 나시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110)에 설치되는 제1 스토퍼(171) 및 제2 스토퍼(17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송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스토퍼(171) 및 제2 스토퍼(172)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스토퍼(171) 및 제2 스토퍼(172)는 가이드부(110)의 출력단에서 나사(10)의 이동 경로에 진입하는 것으로 나사(10)의 이동을 막을 수 있다.
제1 스토퍼(171)는 제2 스토퍼(172)와 비교하여 제2 위치 ⓑ에 가깝게 배치되고, 제2 스토퍼(172)는 제1 스토퍼(171)와 비교하여 제1 위치 ⓐ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71)와 제2 스토퍼(172)는 가이드부(110)를 따라 이동 중인 나사(10)가 1개씩만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스토퍼(171) 및 제2 스토퍼(172)는 이동 경로 상으로 나사(10)의 머리부(11)의 직경 L5만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토퍼(171)가 나사(10)의 이동 경로로 진입하면 제2 스토퍼(172)는 나사(10)의 이동 경로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제2 스토퍼(172)가 나사(10)의 이동 경로로 진입하면 제1 스토퍼(171)는 나사(10)의 이동 경로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도 7의 좌측 상태에서 우측 상태로 전이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제2 스토퍼(172)가 이동 경로로 진입하면 ①, 제1 위치 ⓐ 측의 나사(10)가 제1 스토퍼(171)와 제2 스토퍼(172)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스토퍼(171)가 이동 경로로부터 이탈되면 ②, 제1 스토퍼(171)와 제2 스토퍼(172) 사이에 위치한 나사(10)가 ⓑ 위치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2 스토퍼(172)가 다른 나사(10)의 유입을 저지하고 있으므로 ⓑ 위치로 출력되는 나사(10)는 제1 스토퍼(171)와 제2 스토퍼(172) 사이에 위치했던 나사(10) 1개로 제한된다.
이를 위해서 ① 시점은 ② 시점보다 빠르거나 같을 수 있다.
도 7의 우측 상태에서 좌측 상태로 전이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제1 스토퍼(171)가 이동 경로 진입하면 ③, 나사(10)가 ⓑ 위치로 출력되는 현상이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제2 스토퍼(172)가 이동 경로로부터 이탈되면 ④, 제1 위치 ⓐ 측의 나사(10)가 제1 스토퍼(171)와 제2 스토퍼(172)의 사이로 유입된다.
이를 위해서 ③ 시점은 ④ 시점보다 빠르거나 같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7의 좌측 상태와 우측 상태가 교번함으로써 제2 위치 ⓑ로 주기적으로 1개씩의 나사(10)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의 나사(10) 출력 주기는 제1 스토퍼(171) 또는 제2 스토퍼(172)의 동작 주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71)와 제2 스토퍼(172)에 의하면 특정 시점에서 나사(10)는 완전히 정지된다. 정지 상태의 나사(10)가 자중에 의해 다시 움직이기 위해서는 이동 중일 때 발생하는 마찰력보다 큰 정지 마찰력을 극복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이송 장치에 따르면 제1 스토퍼(171)와 제2 스토퍼(172)가 마련된 위치까지 와이어(130)가 연장된 상태이므로 최대 정지 마찰력 역시 신뢰성 있게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위치를 통해 1개씩의 나사(10)가 주기적으로 그리고 신뢰성 있게 출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나사 11...머리부
13...몸체부 19...겨드랑이
110...가이드부
111...제1 가이드 112...제2 가이드
113...제3 가이드 115...설치 홈
117...삽입 홈 118...이동 홀
119...이동 홈 130...와이어
131...제1 와이어 132...제2 와이어
133...제3 와이어 150...제1 간격 조절부
171...제1 스토퍼 172...제2 스토퍼
190...제2 간격 조절부

Claims (9)

  1.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나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나사에 대면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나사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경로에 진입하는 것으로 상기 나사의 이동을 막는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나사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밑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머리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축은 단면상으로 상기 나사의 폭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의 외주로부터 상기 머리부의 단부까지의 구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직경은 상기 몸체부의 외주로부터 상기 머리부의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와이어는 단면상으로 상기 가이드부의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모서리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나사의 길이 방향 또는 상기 나사의 폭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돌출되는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2 스토퍼와 비교하여 상기 제2 위치에 가깝게 배치되고,
    제2 스토퍼는 상기 제1 스토퍼와 비교하여 상기 제1 위치에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이동 경로로 진입하면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이동 경로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이동 경로로 진입하면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이동 경로로부터 이탈되는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나사가 상기 와이어에만 접촉되도록, 상기 와이어는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나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머리부의 밑면 및 상기 몸체부를 가이드하며,
    상기 와이어는 단면상으로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머리부의 밑면에 대면하는 모서리에 설치되는 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머리부의 윗면을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가이드와 상기 머리부의 윗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3 와이어가 마련되는 이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와이어는 상기 나사의 폭 방향으로 상기 머리부의 중앙에 배치되고, 단면상으로 상기 제3 가이드의 일측에 치우쳐 설치되며,
    단면상으로 상기 제3 와이어로부터 상기 제3 가이드의 일측까지의 거리가 L1이고 상기 제3 와이어로부터 상기 제3 가이드의 타측까지의 거리가 L2일 때, 상기 L1은 상기 L2보다 작은 이송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모서리에는 상기 와이어가 설치되는 설치 홈이 형성된 이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나사의 몸체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상기 나사의 머리부 밑면에 접촉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이격되는 이송 장치.
  9. 삭제
KR1020140029670A 2014-03-13 2014-03-13 이송 장치 KR101568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670A KR101568321B1 (ko) 2014-03-13 2014-03-13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670A KR101568321B1 (ko) 2014-03-13 2014-03-13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166A KR20150107166A (ko) 2015-09-23
KR101568321B1 true KR101568321B1 (ko) 2015-11-12

Family

ID=5424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670A KR101568321B1 (ko) 2014-03-13 2014-03-13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3094A (zh) * 2016-01-07 2016-05-11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锁螺丝机供料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5668A (zh) * 2019-05-23 2019-08-16 苏州锦浩翔自动化有限公司 一种锁螺丝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711A (ja) * 2000-05-16 2001-11-20 Kanto Auto Works Ltd グロメットナットの自動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711A (ja) * 2000-05-16 2001-11-20 Kanto Auto Works Ltd グロメットナットの自動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3094A (zh) * 2016-01-07 2016-05-11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锁螺丝机供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166A (ko)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321B1 (ko) 이송 장치
US9486876B2 (en) Apparatus to load electrode cap magazines
DE502006003723D1 (de) Zuführvorrichtung einer verpackungsmaschine
KR101536456B1 (ko) 강판 정렬분리유닛 및 이를 포함한 강판 공급장치
CN105196083A (zh) 一种用于开合螺母铣端面的新型夹具
TWI660921B (zh) Scribing method and scribing device
EP3587308A1 (en) Highly wear-resistant tile, and conveyor belt having same
KR200483721Y1 (ko)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
US10023413B2 (en) Ramp device
KR101715363B1 (ko) 반제품 자동 정렬 공급장치
KR101259753B1 (ko) 형강 자동 절단 시스템
CN104870102A (zh) 涂布机
KR101819339B1 (ko) 창호 프레임 가공 장치
KR101504457B1 (ko) 연삭장치
CN204035385U (zh) 一种用于钣金连接的辅助装置
CN106625843A (zh) 纸板开槽机
CN103112696A (zh) 一种可调节过渡辊
JP2013028413A (ja) 板状ワークの整列方法及び整列装置
KR20170076270A (ko) 다열 프로그래시브 성형이 가능한 트랜스퍼 금형
KR101508279B1 (ko) 나사 공급 장치
KR20170097715A (ko) 절단 시스템
FR2986178B1 (fr) Systeme automatise d'alimentation d'un materiau
KR100712306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핀설치장치
CN203345586U (zh) 倾斜式皮带输送机的输送带
JP2008207198A (ja) 金型ガイド機構および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