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090B1 - 침입 감지 장치, 침입 감지 방법 및 침입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침입 감지 장치, 침입 감지 방법 및 침입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090B1
KR101568090B1 KR1020140100803A KR20140100803A KR101568090B1 KR 101568090 B1 KR101568090 B1 KR 101568090B1 KR 1020140100803 A KR1020140100803 A KR 1020140100803A KR 20140100803 A KR20140100803 A KR 20140100803A KR 101568090 B1 KR101568090 B1 KR 101568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vehicle
intrusion
sensor unit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욱
임동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0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1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human presenc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는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 및 내부의 소정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RF 센서부,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부의 소정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적어도 일부분이 오버랩되는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부, 및 상기 RF 센서부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초음파 센서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초음파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입 감지 장치, 침입 감지 방법 및 침입 감지 시스템{INTRUSION DETECTING APPARATUS, INTRUSION DETECTING METHOD AND INTRUSION DETECTING SYSTEM}
본 발명은 침입 감지 장치, 침입 감지 방법 및 침입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공간으로의 침입을 감지하는 침입 감지 장치, 침입 감지 방법 및 침입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또한, 튜닝 기술의 발달에 따라 차량의 내부 및 외부에는 차량의 성능 향상 또는 디자인 변화를 위한 고가의 부품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고가의 편의 장치들이 장착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실내 장착품의 도난 위험성이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 장착품 등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침입 경보 장치는 초음파 센서 등의 차량 실내 센서가 배치되어 경보 동작을 가동시킨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차량 침입이 이루어지는 경우 차량 침입 경보 장치가 이를 감지하여 경보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초음파는 차량의 유리창을 투과할 수 없어 차량의 실내에서의 움직임만 감지할 수 있고, 유리창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차량 외부로부터의 일정 이상의 충격에 대해 차량 내의 움직임이라고 판단하여 오작동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오작동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침입 감지 장치, 침입 감지 방법 및 침입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는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 및 내부의 소정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RF 센서부,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부의 소정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적어도 일부분이 오버랩되는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부, 및 상기 RF 센서부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초음파 센서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초음파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가 제 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초음파 센서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가 제 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로 침입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경우 상기 침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RF 센서부는 상기 RF 신호를 생성하는 RF 신호 생성부, 상기 RF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객체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 RF 신호를 수신하는 써큘레이터, 및 상기 반사 RF 신호를 복조하는 제 1 복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초음파 센서부는 상기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신호 생성부, 상기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객체의 의해 반사되는 반사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반사 초음파 신호를 복조하는 제 2 복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방법은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 및 내부의 소정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부의 소정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적어도 일부분이 오버랩되는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를 추정하고,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가 제 1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를 추정하고,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가 제 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가 상기 제 2 임계값 이하이고 0 이상인 경우 차량 충돌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시스템은 차량으로의 침입을 감지하는 침입 감지 장치, 상기 침입 감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원부, 및 상기 제 1 전원부로부터 상기 침입 감지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침입 감지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침입 감지 장치는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 및 내부의 소정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RF 센서부,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부의 소정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적어도 일부분이 오버랩되는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부, 및 상기 RF 센서부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초음파 센서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초음파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원부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가 제 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초음파 센서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가 제 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침입 감지 장치는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로 침입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 침입 감지 방법 및 침입 감지 시스템은 오작동 가능성을 줄여 차량 내부로의 침입을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의 감지 영역인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의 RF 센서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의 초음파 센서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침입 감지 장치, 침입 감지 방법 및 침입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공간으로의 침입을 감지하는 침입 감지 장치, 침입 감지 방법 및 침입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차량으로의 침입을 감지하는 침입 감지 장치, 침입 감지 방법 및 침입 감지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의 감지 영역인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100)는 RF 센서부(110), 초음파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RF 센서부(110)는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 1 영역은 차량 외부 및 내부의 소정 영역을 포함하는 감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RF 신호의 경우 차량의 유리창을 투과할 수 있으므로 RF 센서부(110)는 차량 외부의 객체의 움직임(ex. 차량으로 접근하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부(120)는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 2 영역은 차량 내부의 소정 영역을 포함하고, 제 1 영역과 적어도 일부분이 오버랩되는 감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될 수 있으며, 차량의 내부의 객체의 움직임(ex. 차량 내부에서 움직이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RF 센서부(110)에 의해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초음파 센서부(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RF 센서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반사 RF 신호에 기초하여(예를 들어, 파형 변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객체의 이동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추정되는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가 제 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초음파 센서부(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초음파 센서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으로의 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초음파 센서부(120)로부터 전달되는 반사 초음파 신호에 기초하여(예를 들어, 파형 변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객체의 이동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추정되는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가 제 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침입 감지 장치(100)가 차량의 오버헤드 콘솔(overhead console) 또는 룸 램프(room lamp)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침입 감지 장치(100)는 차량 내부로의 침입을 감지하기 위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RF 센서부(110) 및 초음파 센서부(120)가 2개씩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100)는 RF 센서부(110)에 의해 제 1 영역에서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초음파 센서부(120)를 구동하여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 감지 장치(100)는 차량 외부에서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 초음파 센서부(120)를 구동함으로써 외부의 단순한 충격에 의한 초음파 센서부(12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 감지 장치(100)는 차량으로의 침입을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의 RF 센서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의 초음파 센서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RF 센서부(110)는 RF 신호 생성부(111), 써큘레이터(112), 및 제 1 복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RF 신호 생성부(111)는 제어부(130)로부터 전달되는 발진 신호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신호 생성부(111)는 RF 신호의 파형 및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써큘레이터(112)는 생성된 RF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고, 객체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복조부(113)는 수신되는 반사 RF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복조부(113)는 수신되는 반사 RF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된 신호의 고주파 부분을 필터링하는 고역 통과 필터,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저역 통과 필터, RF 신호 및 반사 RF 신호를 혼합하여 파형의 변화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믹서(mix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초음파 센서부(120)는 초음파 신호 생성부(121), 송신부(122), 수신부(123), 및 제 2 복조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신호 생성부(121)는 제어부(130)로부터 전달되는 발진 신호를 이용하여 초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신호 생성부(121)는 초음파 신호의 파형 및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부(122)는 생성된 초음파 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수신부(123)는 객체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초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복조부(124)는 수신되는 반사 초음파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복조부(124)의 구조는 제 1 복조부(113)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100)는 도 1의 침입 감지 장치(100)와 비교하여 기울기 센서부(130), 저장부(140), 및 통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부(130)는 차량의 기울기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부(130)는 외력에 의해 차량의 기울기가 변하는 경우 제어부(130)로 변화 여부를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30)에 의해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침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입 정보는 침입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제 2 영역에 기 존재하는 객체(ex. 장식용 차량용품, 목걸이 등)의 움직임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30)에 의해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칩입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차량의 소유주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WAVE, WiFi, 근거리 무선통신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침입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방법은 RF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S110),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120),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S130), 및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으로의 침입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술한 S110 단계 내지 S140 단계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S110 단계에서, RF 센서부(110)는 RF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은 차량 외부 및 내부의 소정 영역을 포함하는 감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RF 센서부(110)는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를 우선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RF 센서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반사 RF 신호에 기초하여(예를 들어, 파형 변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객체의 이동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추정된 이동 속도가 제 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RF 센서부(110)에 의해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초음파 센서부(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초음파 센서부(120)는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 2 영역은 차량 내부의 소정 영역을 포함하고, 제 1 영역과 적어도 일부분이 오버랩되는 감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초음파 센서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으로의 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초음파 센서부(120)로부터 전달되는 반사 초음파 신호에 기초하여(예를 들어, 파형 변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객체의 이동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추정된 이동 속도가 제 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객체의 추정된 이동 속도가 제 2 임계값 이하이고, 0 이상인 경우 차량 충돌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방법은 RF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S110),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120),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S130),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으로의 침입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 패턴이 일정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50), 및 움직임 패턴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S26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침입 감지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침입 감지 방법과 비교하여 S250 단계 및 S26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S250 단계 및 S260 단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S25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제 2 영역에서 감지되는 객체의 움직임 패턴이 일정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영역에서 감지되는 객체의 움직임 패턴이 일정한 경우는 예를 들어, 제 2 영역에 기 존재하는 객체(ex. 장식용 차량용품, 목걸이 등)의 움직임에 의한 패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오경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S26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제 2 영역에서 감지되는 객체의 움직임 패턴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후술하는 경보 발생부(400)로 경보 발생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130)는 제 2 영역에서 감지되는 객체의 움직임 패턴을 저장부(140)에 저장된 제 2 영역에 기 존재하는 객체(ex. 장식용 차량용품, 목걸이 등)의 움직임 패턴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 2 영역에서 감지되는 객체의 움직임 패턴이 저장부(140)에 저장된 제 2 영역에 기 존재하는 객체(ex. 장식용 차량용품, 목걸이 등)의 움직임 패턴과 다른 경우 경보 발생부(400)로 경보 발생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시스템(1000)은 침입 감지 장치(100), 제 1 전원부(200), 제 2 전원부(300), 및 경보 발생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침입 감지 장치(100)는 도 1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제 1 전원부(200)는 침입 감지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원부(200)는 차량의 배터리일 수 있다.
제 2 전원부(300)는 제 1 전원부(200)로부터 침입 감지 장치(10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침입 감지 장치(1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으로의 침입 시 제 1 전원부(200)가 제거되는 경우에도 제 2 전원부(300)를 통해 침입 감지 장치(100)에 전원 공급이 가능하므로 연속적인 침입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침입 감지 장치
110: RF 센서부
111: RF 신호 생성부
112: 써큘레이터
113: 제 1 복조부
120: 초음파 센서부
121: 초음파 신호 생성부
122: 송신부
123: 수신부
124: 제 2 복조부
130: 제어부
200: 제 1 전원부
300: 제 2 전원부
400: 경보 발생부

Claims (17)

  1.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 및 내부의 소정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RF 센서부;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부의 소정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적어도 일부분이 오버랩되는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부; 및
    상기 RF 센서부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초음파 센서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초음파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에서 감지되는 객체의 움직임 패턴과 상기 제2 영역에 기 존재하던 객체의 움직임 패턴이 상이한 경우를 침입 발생으로 판단하는 침입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가 제 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초음파 센서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가 제 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로 침입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경우 상기 침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 센서부는 상기 RF 신호를 생성하는 RF 신호 생성부;
    상기 RF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객체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 RF 신호를 수신하는 써큘레이터; 및
    상기 반사 RF 신호를 복조하는 제 1 복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부는 상기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신호 생성부;
    상기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객체의 의해 반사되는 반사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반사 초음파 신호를 복조하는 제 2 복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임 감지 장치.
  9.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 및 내부의 소정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부의 소정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적어도 일부분이 오버랩되는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서 감지되는 객체의 움직임 패턴과 상기 제2 영역에 기 존재하던 객체의 움직임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단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가 제 1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가 제 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가 상기 제 2 임계값 이하이고 0 이상인 경우 차량 충돌 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방법.
  13. 차량으로의 침입을 감지하는 침입 감지 장치;
    상기 침입 감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원부; 및
    상기 제 1 전원부로부터 상기 침입 감지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침입 감지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침입 감지 장치는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 및 내부의 소정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RF 센서부;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부의 소정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적어도 일부분이 오버랩되는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부; 및
    상기 RF 센서부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초음파 센서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초음파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전원부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에서 감지되는 객체의 움직임 패턴과 상기 제2 영역에 기 존재하던 객체의 움직임 패턴이 상이한 경우를 침입 발생으로 판단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가 제 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초음파 센서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객체의 이동 속도가 제 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 감지 장치는 상기 차량으로의 침입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로 침입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
KR1020140100803A 2014-08-06 2014-08-06 침입 감지 장치, 침입 감지 방법 및 침입 감지 시스템 KR101568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803A KR101568090B1 (ko) 2014-08-06 2014-08-06 침입 감지 장치, 침입 감지 방법 및 침입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803A KR101568090B1 (ko) 2014-08-06 2014-08-06 침입 감지 장치, 침입 감지 방법 및 침입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090B1 true KR101568090B1 (ko) 2015-11-13

Family

ID=5461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803A KR101568090B1 (ko) 2014-08-06 2014-08-06 침입 감지 장치, 침입 감지 방법 및 침입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148A (ko) * 2021-10-07 2023-04-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움직임 경향성을 이용한 유동체 감지 시스템 및 유동체 감지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3798A (ja) * 2003-10-15 2005-05-12 Denso Corp 車載カメラシステム
JP2006123728A (ja) 2004-10-28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車上盗難警戒器
JP2007203894A (ja) * 2006-02-02 2007-08-16 Mitsubishi Cable Ind Ltd 車両用侵入検知装置、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3798A (ja) * 2003-10-15 2005-05-12 Denso Corp 車載カメラシステム
JP2006123728A (ja) 2004-10-28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車上盗難警戒器
JP2007203894A (ja) * 2006-02-02 2007-08-16 Mitsubishi Cable Ind Ltd 車両用侵入検知装置、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148A (ko) * 2021-10-07 2023-04-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움직임 경향성을 이용한 유동체 감지 시스템 및 유동체 감지 방법
KR102602766B1 (ko) * 2021-10-07 2023-11-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움직임 경향성을 이용한 유동체 감지 시스템 및 유동체 감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04784B (zh) 经由非车载传感器降低车辆点火开关断开的负载
US103847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vehicle parking
KR102389526B1 (ko) 차내 생명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US10106125B2 (en) Wireless vehicle security motion sensor with threaded mounting surface and related methods
CN109649407B (zh) 使用传感器数据的车辆安全系统
JP4501737B2 (ja) 車両用防犯装置
KR20190069327A (ko) 객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A2882465C (en)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accelerometer based security warning and related methods
JP2014236492A (ja) 車両用監視システム
WO2016007407A1 (en) Object detection for vehicles
CN104658316A (zh) 行车预警系统及预警方法
KR20070013192A (ko) 차량 보안 시스템
US20170140646A1 (en) In-vehicle garage door monitor
KR101568090B1 (ko) 침입 감지 장치, 침입 감지 방법 및 침입 감지 시스템
JP4157452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2012242993A (ja) 移動体監視装置及び移動体の監視方法
US20170190312A1 (en) Wireless vehicle security motion sensor and related methods
KR20140036540A (ko) Rf 센서 및 유리창 깨짐 감지 센서를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10066791A (ja) 検出装置、検出方法、警報制御装置、警報制御方法、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2159528B1 (ko) 차량 주변의 초근거리 장애물을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차량용 주차 보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EP1591976B1 (en) Intrusion detection device for spaces
JP2016141312A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04228879B (zh) 基于隧道压力波的列车接近预警系统及其预警方法
JP2014226942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KR20130031655A (ko) 차량의 침입감지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