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989B1 -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989B1
KR101564989B1 KR1020140095978A KR20140095978A KR101564989B1 KR 101564989 B1 KR101564989 B1 KR 101564989B1 KR 1020140095978 A KR1020140095978 A KR 1020140095978A KR 20140095978 A KR20140095978 A KR 20140095978A KR 101564989 B1 KR101564989 B1 KR 10156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reactor
upper structure
pulley
w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대
김성환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5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02Details of handling arrangements
    • G21C19/10Lifting devices or pulling device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fuel elements or with control el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4Means for suppressing fires ; Earthquake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는 외주면에 와이어고리가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이 원자로 격납건물의 격벽 브라켓에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로드,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설치되되, 상기 로드보다 상부에 형성되는 풀리,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설치되되, 상기 풀리보다 하부에 형성되는 윈치 및 일단이 상기 윈치에 권취되고, 상기 풀리를 경유하여, 타단이 상기 와이어고리에 고정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Controller for Seismic Reinforcing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인양시, 내진 강화 부재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작업 안정성 및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로는 연쇄핵분열반응의 결과 순간적으로 방출되는 다량의 질량결손 에너지가 방출되도록 연쇄반응을 제어하여 핵분열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원자로의 핵연료 교체는 보통 18개월마다 이루어지는데, 원자로 내부의 핵연료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원자로 헤드를 인양하여야 한다. 따라서, 원자로 헤드 상단에는 원자로 헤드를 인양하기 위한 원자로 상부구조물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원자로가 설치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지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원자로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내진 강화 조립체가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내진 강화 조립체는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설치되는 내진 강화 부재와 원자로 격납건물의 격벽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핵연료 교체를 위해 원자로 상부구조물을 인양할 때, 내진 강화 부재는 브라켓에서 분리되어야 한다. 또한 분리된 내진 강화 부재를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고정시켜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내진 강화 조립체는 내진 강화 부재인 로드(50)와 원자로 격납건물의 격벽(80)에 설치되는 브라켓(60)을 포함한다.
로드(50)는 일단이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9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브라켓(60)에 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로드(50)가, 브라켓(60)에 안착되어, 원자로 상부구조물(90)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지진 이외의 다른 작용에 의해 원자로 상부구조물(90)이 흔들릴 경우, 그 종횡방향의 거동을 지지한다.
종래에는 원자로 상부구조물(90)의 인양시에, 작업자가 직접 로드(50)를 브라켓(60)에서 분리시켰다. 그리고 원자로 상부구조물(80)에 고정시키거나, 그대로 중력방향으로 현수하였다.
그런데 로드(50)가 중량물이기 때문에 상기 작업시, 작업자가 큰 부상을 당할 수 있다. 그리고 로드(50)를 견고히 고정하지 않으면, 원자로 상부구조물(90) 인양시에 로드(50)가 흔들리면서 주변 구조물에 충격을 줄 수도 있고, 격벽(80)에 부딪혀 로드(50) 및 로드(50)와 연결되어 있는 원자로 상부구조물(90)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게다가 원자로 상부구조물(90)의 무게가 중량화 됨에 따라, 내진 강화 부재의 무게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브라켓에서 로드를 제거하고, 이를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69424호(내진 강화 조립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윈치시스템을 채용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브라켓에서 로드를 제거할 수 있는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스토퍼를 채용함으로써 로드를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원자로 상부구조물 인양시에 주변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는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는 외주면에 와이어고리가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이 원자로 격납건물의 격벽 브라켓에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로드;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설치되되, 상기 로드보다 상부에 형성되는 풀리;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설치되되, 상기 풀리보다 하부에 형성되는 윈치; 및 일단이 상기 윈치에 권취되고, 상기 풀리를 경유하여, 타단이 상기 와이어고리에 고정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를 가지고, 몸체부의 일단이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설치되고, 몸체부의 타단에는 로드와 결합가능한 로드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의 상기 로드결합부는 상기 로드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에, 상기 로드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드결합부는 상기 로드를 감싸도록 둘로 분할되어 원주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 양단이 회동개폐되고,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드결합부는 원주방향 일측의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를 가지며, 상기 로드결합부의 상기 회동개폐되는 양단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장치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회동개폐되는 양단 중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되는 전방에 걸림부를 형성하는 걸림레버; 및 상기 걸림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걸림부가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결합부의 상기 회동개폐되는 양단 중 상기 걸림레버가 설치된 일측과 대응하는 타단에 돌출되게 고정되는 걸고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드결합부의 내경은 상기 로드의 직경/sin(A)일 수 있고, 상기 A는 상기 로드가 상기 로드결합부에 결합된 경우, 상기 로드가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외주면과 이루는 각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드결합부는 상기 로드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로드가 상기 수용부에 안착된 경우 상기 로드를 구속하는 고정쇠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쇠는 상기 수용부 일측면과 타측면에 대칭하여 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와 상기 고정쇠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내식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풀리, 상기 윈치, 상기 와이어로프는 내식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윈치시스템을 채용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브라켓에서 로드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스토퍼를 채용함으로써 로드를 안정적으로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고정함으로써, 원자로 상부구조물 인양시에 주변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는 등 원자로 상부구조물 인양시에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내진 강화 조립체의 개념도.
도 2는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본 발명에 의한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윈치시스템이 구비되고, 내진 강화 부재를 구성하는 로드가 원자로 격납건물의 격벽에 설치된 브라켓에 안착된 상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 강화 부재를 구성하는 로드가 브라켓에서 제거된 후 스토퍼의 로드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토퍼의 로드결합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5는 도 4의 로드결합부에 형성되는 잠금장치를 확대한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로드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본 발명에 의한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윈치시스템이 구비되고, 내진 강화 부재를 구성하는 로드(500)가 원자로 격납건물의 격벽(800)에 설치된 브라켓(600)에 안착된 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 강화 부재를 구성하는 로드(500)가 스토퍼(200)의 로드결합부(210)와 결합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는 윈치(100), 풀리(300), 와이어로프(400), 로드(500)를 포함한다.
로드(500)는 지진 발생시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의 종횡방향 거동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원자로 내진 강화 부재이다. 로드(500)의 일단은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의 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로드(500)의 일단은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한편, 로드(500)의 타단은 원자로 격납건물의 격벽(800)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600)에 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600)은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에 결합된 로드(500)의 일측을 중심으로 로드(500)가 회전하여 브라켓(600)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상측을 향하여는 개구되고, 결합되는 로드(5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측을 향하여는 닫힌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드(500)는 원자로 상부구조물(900)과 격벽(800)에 결합되어, 외부의 진동과 지진으로부터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을 지지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500)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와이어로프(400)의 고정점에 해당하는 와이어고리(501)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고리(501)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로드(500)를 브라켓(600)에서 분리하여 들어올리기 위해 윈치(100), 풀리(300), 와이어로프(400), 로드(500)의 와이어고리(501)로 구성된 윈치시스템을 채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300)는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에 설치되되, 와이어로프(400)가 경유되는 도르래로 사용되기 위해 로드(500)보다 상부에 형성된다.
윈치(100)도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에 설치되되, 풀리(300)를 도르래로 사용하기 위해 풀리(300)보다 하부에 형성된다.
윈치(100), 풀리(300), 로드(500)의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에 형성되는 각각의 위치는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의 종방향으로 모두 동일선상에 있을 수 있다. 이로써, 로드(500)의 회동에 있어 윈치(100)에 소요되는 동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윈치(100), 풀리(300), 로드(500)의 상기 각 형성되는 위치점들은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의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삼각형을 이룰 수도 있다. 이로써, 윈치(100), 풀리(300), 로드(500)를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에 설치함에 있어, 다른 구조물과 위치가 중복되거나, 설치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그 설치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와이어로프(400)는, 일단이 고정점 역할을 하는 와이어고리(501)에 고정되고, 풀리(300)를 경유하여, 타단이 윈치(100)에 권취된다. 이에 따라 윈치(100)가 작동되면 풀리(300)는 도르래 역할을 하며, 와이어로프(400)가 와이어고리(501)를 잡아당겨 로드(500)를 회동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500)가 회동되어 후술하는 스토퍼(2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원자로 상부구조물(900) 인양시에 주변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는 등 원자로 상부구조물(900) 인양시에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205)와 로드결합부(210)로 구성되는 스토퍼(200)를 추가로 포함한다. 몸체부(205)의 일단은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에 설치되고, 몸체부(500)의 타단에는 로드(500)와 결합가능한 로드결합부(210)가 형성된다.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로드결합부(21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토퍼(200)의 로드결합부(2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고, 도 5는 도 4의 로드결합부(210)에 형성되는 잠금장치(213)를 확대한 구조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로드결합부(2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로드결합부(210)는 그 내부에 로드(500)의 외면에 정합되는 형상을 가지고 2분할체로 구성되며, 2분할체의 일단에는 서로 회동하도록 결합되어있는 연결부(212)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로드결합부(210)는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중공부(211)를 가지고, 원주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 양단이 회동개폐되는 형상일 수 있고, 연결부(212)의 결합형태로는 힌지결합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결합부(210)의 잠금장치(213)는 회동개폐되는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동개폐되는 양단 중 일단에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부(213a)를 형성하는 걸림레버(213b)를 가지며, 또 다른 일단에는 걸림레버(213b)에 대응하여 걸림부(213a)가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돌출되게 고정되는 걸고리(213c)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걸림레버(213b)는 전방 부위가 로드결합부(210)의 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축 체결하여 후방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레버(213b)의 후단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부위를 돌출 형성시킬 수 있다. 걸림부(213a)는 전방이 후방의 축 체결 부위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 되도록 후방이 걸림레버(213b)의 측방에 축 체결되고, 전방이 수평을 이루고 양단이 후방 양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로드결합부(210)와 로드(500)가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로드결합부(210)의 내경은 로드(500)의 직경/sin(A)이상일 수 있으며, A는 상기 로드(500)가 로드결합부(210)에 결합된 경우, 로드(500)가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의 외주면과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드결합부(210')는 로드(50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수용부(215)를 가지고, 로드(500)가 수용부(215)에 안착된 경우 로드(500)를 구속하는 고정쇠(216)를 가질 수 있다.
고정쇠(216)는 수용부(215) 일측면과 타측면에 대칭하여 서로를 바라보도록 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15)와 상기 고정쇠(216) 사이에는 탄성부재(217)가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217)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수용부(215) 일측면과 타측면에 대칭하여 형성된 고정쇠(216)사이의 간격을 로드(500)의 직경보다 작은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한편 탄성부재(217)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로드(500)가 수용부(215)에 진입하기 위해 두 고정쇠(216)사이로 들어오면서, 각 고정쇠(216)에 압력을 가하면, 각 고정쇠(216)는 각 탄성부재(217)에 압력을 전달하고, 이에 따라 탄성부재(217)는 각 고정쇠(216) 사이의 간극이 로드(500)가 그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정도가 될 때까지 수축된다. 로드(500)가 두 고정쇠(216) 사이를 지나 소정의 경로에 이르게 되면, 각 고정쇠(216)는 각 탄성부재(217)의 탄성력에 의해 압력을 받아 로드(500)를 수용부로 밀어 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윈치(100), 스토퍼(200), 풀리(300), 로드(500)는 모두 원자로 환경을 고려하여 내식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 될 수 있다. 와이어로프(400) 또한 원자로 환경을 고려하여 내식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일례로 윈치(100), 스토퍼(200), 풀리(300), 로드(500), 와이어로프(400)는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와이어로프(400)는 아연도금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의 동작상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은 핵연료 교체시, 원자로 헤드와 동시에 인양된다. 그리고 핵연료를 교체한 후에 원자로 헤드와 동시에 원자로에 재설치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을 인양하기 전에 로드(500)가 브라켓(600)에서 분리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의 인양전, 로드(500)는 원자로 격납건물의 격벽(800)에 설치된 브라켓(600)에 안착되어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을 지지한다.
로드를 브라켓(600)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윈치(100)의 작동에 따라 와이어로프(400)가 윈치(100)에 권취되고, 와이어로프(400)에 장력이 발생하면서 풀리(300)를 경유하여 와이어고리(501)를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500)가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에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로드(500)의 타단이 브라켓(60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로드(500)가 소정의 각도까지 회동하게 되면, 로드결합부(210)에 결합되게 된다.
윈치(100)와 풀리(300), 와이어로프(400)를 이용하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 더 적은 힘으로, 세밀하고 안전하게 로드(500)의 회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로드결합부(210)와 로드(500)의 결합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500)가 중공부(211)에 안착되면, 로드결합부(210)의 일측 일단이 힌지부(220)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로드(500)를 중공부(211)에 구속시키기 위해, 로드결합부(210)의 회동개폐되는 양단은 폐쇄되고 잠금장치(213)가 작동된다.
잠금장치(213)의 작동은, 먼저 걸림부(213a)의 후방을 들어올려 전방으로 위치이동된 걸림부(213a)의 전방을 걸고리(213c)에 걸림 위치시킨다. 그리고 걸림부(213a)의 후방을 하강시키면, 걸림부(213a)가 걸고리(213c)를 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어 고정된다.
반면 로드(500)를 로드결합부(21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상기 순서의 역순으로 작동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드결합부(21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로드(500)가 수용부(215)에 삽입될 때, 로드(500)가 고정쇠(216)에 압력을 가하고 탄성부재(217)가 수축된다. 고정쇠(216) 사이의 간격은 로드(500)의 직경만큼 벌어지고, 로드(500)는 고정쇠(216) 사이를 통과하여 수용부(215)에 안착된다.
이후 탄성부재(217)는 다시 팽창하여 2개의 고정쇠(216)가 로드(500)를 수용부(215)에 고정되게 한다. 이렇게 스토퍼(200)가 도입됨으로써 상기 인양 및 재설치시에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로드(50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로드(500)가 스토퍼(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로드(500)의 진동, 로드(500)와 원자로 상부구조물(900)의 충돌, 로드(500)와 원자로 격납건물의 격벽(800)의 충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윈치
200 : 스토퍼 201 : 로드결합부
300 : 풀리
400 : 와이어로프
500 : 로드 501 : 와이어고리
600 : 브라켓
800 : 원자로 격납건물의 격벽
900 : 원자로 상부구조물

Claims (12)

  1.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외주면에 와이어고리가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이 원자로 격납건물의 격벽 브라켓에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로드;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설치되되, 상기 로드보다 상부에 형성되는 풀리;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설치되되, 상기 풀리보다 하부에 형성되는 윈치;
    일단이 상기 윈치에 권취되고, 상기 풀리를 경유하여, 타단이 상기 와이어고리에 고정되는 와이어로프; 및
    몸체부를 가지고, 몸체부의 일단이 원자로 상부구조물에 설치되고, 몸체부의 타단에는 로드와 결합가능한 로드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결합부는 상기 로드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에, 상기 로드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결합부는 상기 로드를 감싸도록 둘로 분할되어 원주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 양단이 회동개폐되고,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결합부는 원주방향 일측의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를 가지며, 상기 로드결합부의 상기 회동개폐되는 양단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장치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회동개폐되는 양단 중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되는 전방에 걸림부를 형성하는 걸림레버; 및
    상기 걸림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걸림부가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결합부의 상기 회동개폐되는 양단 중 상기 걸림레버가 설치된 일측과 대응하는 타단에 돌출되게 고정되는 걸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결합부의 내경은 상기 로드의 직경/sin(A)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여기서 상기 A는 상기 로드가 상기 로드결합부에 결합된 경우, 상기 로드가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외주면과 이루는 각도임.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결합부는 상기 로드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로드가 상기 수용부에 안착된 경우 상기 로드를 구속하는 고정쇠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쇠는 상기 수용부 일측면과 타측면에 대칭하여 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고정쇠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상기 윈치, 상기 와이어로프는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KR1020140095978A 2014-07-28 2014-07-28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KR101564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978A KR101564989B1 (ko) 2014-07-28 2014-07-28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978A KR101564989B1 (ko) 2014-07-28 2014-07-28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989B1 true KR101564989B1 (ko) 2015-11-02

Family

ID=5459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978A KR101564989B1 (ko) 2014-07-28 2014-07-28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9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9509A (zh) * 2019-05-14 2019-07-02 深圳市置华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抗震支架防震性能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439B1 (ko) 2007-01-02 2008-07-07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439B1 (ko) 2007-01-02 2008-07-07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9509A (zh) * 2019-05-14 2019-07-02 深圳市置华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抗震支架防震性能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2330B1 (en) Wind turbine generator and cable supporting structure for use therein
KR101799130B1 (ko) 원자로 헤드 내진 지지 타이 로드 시스템
US20130236324A1 (en) Wind turbine blade structures, lift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blade handling
KR101564989B1 (ko)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JP5143174B2 (ja) 原子炉冷却材系統低温管の熱伝逹緩衝スリーブ除去装置
JP2014034441A (ja) エレベータ用三方枠安全柵
JP6359591B2 (ja) 親綱フック着脱装置
JP3198314U (ja) 引留クランプ把持具
KR101342322B1 (ko) 갱폼 인양용 반자동 샤클
JP2745322B2 (ja) 鉄塔用鋼管の吊り金具
CN112071458B (zh) 燃料棒抽取装置
JP4181136B2 (ja) 床補強構造の施工方法
JP2022117912A (ja) 水平ライフライン装置
CN209203130U (zh) 可用于吊船收绳装置的插销锁紧结构
KR101376975B1 (ko) 갱폼 인양용 샤클
JP4800329B2 (ja) 吊具
RU2722887C1 (ru) Устройство страховочное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мма-камерных тепловыделяющих сборок
JP4101232B2 (ja) 昇降可能な仮設足場を用いた建設物の施工方法
JP2000065981A (ja) 炉内計装管搬入出装置
JP3219768U (ja) 長尺物の巻取装置
JPS6332557Y2 (ko)
JPS61215998A (ja) 原子炉用燃料交換装置
KR20140004900U (ko) 갱폼의 안전 인양장치
JPS5824238Y2 (ja) 制御棒駆動装置
JP2783606B2 (ja) インコアストロングバ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