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439B1 -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 Google Patents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439B1
KR100844439B1 KR1020070000290A KR20070000290A KR100844439B1 KR 100844439 B1 KR100844439 B1 KR 100844439B1 KR 1020070000290 A KR1020070000290 A KR 1020070000290A KR 20070000290 A KR20070000290 A KR 20070000290A KR 100844439 B1 KR100844439 B1 KR 100844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rod
cable
shroud shell
module
rod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교
김현민
권영주
조광희
윤기석
김인용
조연호
이명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439B1/ko
Priority to CN2007800491213A priority patent/CN101573766B/zh
Priority to PCT/KR2007/007022 priority patent/WO2008082235A1/en
Priority to JP2009544787A priority patent/JP2010515077A/ja
Priority to PL07860799T priority patent/PL2115749T3/pl
Priority to US12/521,911 priority patent/US8599989B2/en
Priority to EP07860799.1A priority patent/EP21157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21C13/02Detail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06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 G21C7/08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by displacement of solid control elements, e.g. control rods
    • G21C7/12Means for moving control elements to desired position
    • G21C7/14Mechanical drive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21C13/02Details
    • G21C13/022Ventil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21C13/02Details
    • G21C13/06Sealing-plugs
    • G21C13/073Closures for reactor-vessels, e.g. rotatable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06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 G21C7/08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by displacement of solid control elements, e.g. control rods
    • G21C7/20Disposition of shock-absorbing devices ; Brak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로 헤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자로 헤드와 제어봉 구동장치의 인양 및 삽입, 제어봉 구동장치의 냉각, 비산물의 차폐, 지진하중에 대한 지지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한 내진지지구조물을 포함하는 원자로 상부집합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구조물의 상측에 위치한 구성품의 조립체인 상부모듈과 상기 내진지지구조물의 하측에 위치한 구성품의 조립체인 하부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은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Modular reactor head area assembly}
도 1은 제어봉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원자로 상부집합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케이블 지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상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부모듈에서 상부 슈라우드쉘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케이블 지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하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부모듈과 도 6에 도시된 하부모듈이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하부모듈 중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
100 : 상부모듈 110 : 상부 슈라우드쉘
120 : 상부 배플 130 : 플래넘
150 : 케이블 지지유닛 200 : 하부모듈
210 : 하부 슈라우드쉘 220 : 하부배플
240 :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판 250 : 내진지지링빔
본 발명은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체형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일부를 모듈화하여 제거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원자로에 설치된 제어봉 구동장치의 유지 및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 상부집합체란 가압 경수로형 원자로 헤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원자로가 정상운전 중일 때에는 제어붕 구동장치의 냉각, 냉각공기의 유로형성, 비산물 차폐, 지지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지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핵연료를 교체할 때에는 제어봉 구동장치와 원자로 헤드를 동시에 인양하는 기능도 아울러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자로 상부집합체는 핵연료를 교체할 때 제어봉 구동장치와 원자로 헤드를 인양하는 기능을 행하고 있어서, 핵연료 재장전 시 제거 또는 분 리해야하는 구조물의 개수를 줄이기 위하여 원자로 상부집합체를 일체화하기 위한 연구들이 계속되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74957호의 "일체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등이 제시되었다.
한편, 원자로 상부집합체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봉 구동장치(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 헤드(0)에 설치되어 원자로 노심의 핵반응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봉을 삽입 및 인출하는 기능을 하는 구조물이다.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6)는 내부에 공간을 가진 튜브 형태의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봉은 제어봉 구동장치(6)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하면서 원자로 노심의 핵반응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제어봉 위치지시기는 상기 제어봉 구도장치(6)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봉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모터집합체(6a)는 상기 제어봉을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봉 구동장치와 관련된 작업으로는 1) 모터집합체의 교체나 수리 등의 유지보수, 2) 위치지시기의 교체나 수리 등의 유지보수, 3) 위치지시기의 최초설치 혹은 재설치 시의 캘리브레이션 작업 등이 있다.
도 2에 종래의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원자로 상부집합체는 냉각팬(1), 쉐클(2), 삼각대(3) 등이 마련된 상부 플레넘(plenum)이 있고, 그 아래로 슈라우드라고 불리는 환형의 구조물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슈라우드의 내부에는 후술할 케이블 지지유닛, 제어봉 구동장치, 배플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냉각팬(1)은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의 냉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치 되는 구조물이고, 상기 쉐클(2)과 삼각대(3)는 원자로 상부집합체 전체를 인양하는데 사용되는 구성으로서, 쉐클(2)이 크레인(미도시)과 연결되며, 쉐클(2)은 삼각대(3)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크레인을 쉐클(2)과 연결한 상태에서 상측방향의 힘을 가하여 원자로 상부집합체 전체를 인양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슈라우드(4), 배플(5), 제어봉 구동장치(6)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원자로 상부집합체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부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봉 구동장치(6)의 주변을 배플(5)이라는 구조물이 둘러싸고 있고, 그 배플(5)의 주변을 슈라우드(4)가 감싸고 있는 구조이다. 도면상에서 제어봉 구동장치(6)는 한 개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배플(5)과 슈라우드(4)를 더욱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것이고, 실제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제어봉 구동장치(6)들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슈라우드(4)는 그 내부에 존재하는 각종 구성물들의 커버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배플(5)은 상기 슈라우드(4)와의 사이에 공기 유동로를 형성하여 상기 냉각팬(1)에 의해 발생한 공기가 원활히 흐르게 함으로써 제어봉 구동장치(6)와 원자로 헤드의 냉각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물이다.
한편, 상기 슈라우드는 상하로 배치된 서포트 칼럼(7)에 의해 지탱되고 있다.
상기 서포트 칼럼(7)은 하나의 H빔이 아래위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H빔이 아래 위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슈라우드(4) 역시 하나의 쉘 형상이 아니라 여러 개의 플레이트가 합쳐져서 한 층의 슈라우드(4) 를 구성하고 있다. 하나의 원자로 상부집합체는 3 내지 5개 층 정도의 슈라우드(4)로 구성되며, 슈라우드(4)의 층수와 하나의 서포트 칼럼(7)을 형성하는 H빔의 수도 동일하다. 도 2에 도시된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경우 네 개의 슈라우드층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지지유닛이란 제어봉 구동장치(6)와 연결되어 제어봉 구동장치(6)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봉 구동장치(6)의 내부에 있는 위치지시기(미도시)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10)을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케이블 이격요건을 만족 시켜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구조물이다. 케이블 지지유닛은 제어봉 구동장치(6)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도 2에 "C"로 표시된 부분에 위치한다. 도 4에는 케이블 지지유닛에 의해 케이블(10)이 지지가 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 지지유닛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지지링빔(8)과 다수의 케이블 지지와이어(9)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 지지와이어(9)는 아래위로 여러 층이 마련되고, 격자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케이블(10)들 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케이블(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케이블 지지와이어(9)는 케이블 지지링빔(8)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배플(5)을 관통한 상태로 케이블(10)들을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원자로 상부집합체에 있어서, 제어봉 구동장치(6)와 관련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냉각팬(1), 쉐클(2), 삼각대(3)와 플레넘을 먼저 인양하고, 그 아래에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 지지와이어(9) 등의 케이블 지지구조물을 해체하여 케이블(10)과 케이블 지지구조물을 제거한 다음, 배플(5)을 분리해야 했다.
이처럼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일부 구성요소를 개별적으로 분해하여 분리 또는 제거를 하는 작업은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일부 구성부품들의 경우에는 분해하는 과정에서 변형이 유발될 수도 있으며, 분해하는 과정에서 유발된 변형에 의해 상술한 제어봉 구동장치와 관련된 작업이 완료된 후에 재조립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봉 구동장치의 상부에 있는 구조물을 모두 분해하여 분리 또는 제거한다는 것은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일부 구성부품만을 분해하여 분리 또는 제거하고 작업을 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이때에는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봉 구동장치와 관련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구성의 일부를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는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자로 헤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자로 헤드와 제어봉 구동장치의 인양 및 삽입, 제어봉 구동장치의 냉각, 비산물의 차폐, 지진하중에 대한 지지의 기능을 수 행하고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한 내진지지구조물을 포함하는 원자로 상부집합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구조물의 상측에 위치한 구성품의 조립체인 상부모듈과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구조물의 하측에 위치한 구성품의 조립체인 하부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은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모듈은,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상부 슈라우드쉘;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의 내부에 고정되어 지지가 되며,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상부 배플;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과 크레인과 연결되어 힘을 전달하기 위한 쉐클 및 그 쉐클에 연결된 삼각대 및 상기 냉각팬, 쉐클 및 삼각대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의 상부에 결합하는 플레넘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고, 원자로 내에 설치된 계측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에 고정되는 케이블 지지링빔과 케이블 지지와이어를 구비한 케이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모듈은,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하부 슈라우드쉘;
상기 하부 슈라우드쉘의 내부에 고정되어 지지가 되는 하부 배플;
상기 하부 슈라우드쉘의 내부에 마련되며 원자로의 제어봉을 인양 또는 삽입하기 위한 여러 개의 제어봉 구동장치; 및
상기 하부 슈라우드쉘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어봉 구동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외부구조물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판, 내진지지대 및 내진지지링빔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과 상기 상부 배플은 상기 내진지지링빔에 서로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과 상기 상부 배플의 하단부에는 각각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과 상기 상부 배플에 마련된 각각의 플렌지는 상기 내진지지링빔에 볼트에 결합하고 있어서, 상기 볼트를 해체함으로써 상부모듈을 하부모듈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 지지링빔은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의 외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 지지와이어는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과 상기 상부 배플을 관통한 후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상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부모듈에서 상부 슈라우드쉘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케이블 지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하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부모듈과 도 6에 도시된 하부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하부모듈 중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는 크게 상부모듈과 하부모듈로 구분된다.
원자로 상부집합체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원자로 헤드(0; 도 1 참조)의 상부에 설치된다. 원자로 상부집합체는 제어봉 구동장치의 인양 및 삽입, 제어봉 구동장치의 냉각, 비산물의 차폐 기능과 함께 제어봉 구동장치를 지진하중으로부터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원자로 상부집합체에는 상기 원자로 상부집합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한 내진지지구조물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내진지지구조물에는 내진지지판(240; 도 6), 내진지지링빔(250) 등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판(240)에는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의 상단부를 보호하기 위한 캡(241)과 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한 케이블 연결단자(24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 연결단자(242)에는 제어봉 구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과 제어봉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지시기(미도시)의 케이블이 연 결되는데, 위치지시기는 제어봉 구동장치의 내부에 그 중간부터 상단까지 수직으로 설치되는 센서이다.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와 관련된 작업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집합체의 교체나 수리 등의 유지보수, 위치지시기의 교체나 수리 등의 유지보수, 위치지시기의 최초설치 혹은 재설치 시의 캘리브레이션 작업 등의 작업이 있으며, 이러한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판의 바로 위에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구조물의 상부에 있는 구조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요구로 인해 본 발명의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는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구조물의 상측에 위치한 구성품의 조립체인 상부모듈(100)과,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구조물의 하측에 위치한 구성품의 조립체인 하부모듈(200)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상부모듈(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상부모듈(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슈라우드쉘(110), 상부 배플(120), 플레넘(130), 케이블 및 케이블 지지유닛(150)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 슈라우드쉘(110)은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물로서 전체가 하나의 쉘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 슈라우드쉘(110)은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최외곽을 둘러싸는 커버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부 배플(120), 플레넘(130), 케이블 및 케이블 지지유닛(150) 등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110)의 하단부에는 외주측방향으로 돌출된 플렌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플렌지(111)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110)의 일부에는 도어(112)가 설치되어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내부로 들어가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 연결단자(242)로부터 분리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도어(112)를 통하여 상부모듈(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케이블이 외부로 연결된다. 상부 슈라우드쉘(110)에 마련된 도어(112)의 외측에는 케이블 연결판(113)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부 배플(120)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부모듈에서 상부 슈라우드쉘(110)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상부 배플(120)은 제어봉 구동장치를 감싸는 다각형 형태의 얇은 판형구조물로서, 쉘 형상인 상부 슈라우드쉘(110)의 내측에 고정되어 지지가 된다.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110)과 상부 배플(12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제어봉 구동장치를 냉각한 더운 공기가 냉각팬으로 안내되며, 따라서 상부 배플(120)은 제어봉 구동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배플(120)의 하단부에도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110)과 마찬가지로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만 그 방향이 상부 슈라우드쉘(110)과 반대로 내주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플레넘(130)은 냉각판(131), 쉐클(132) 및 삼각대(133)를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플레넘(130)은 상부 슈라우드쉘(110)과 상부 배플(1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승한 공기가 냉각팬(131)의 흡입구에 들어가기 전에 합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도 아울러 수행한다.
상기 냉각팬(131), 쉐클(132) 및 삼각대(133)에 대하여는 종래기술 부분에서 이미 설명이 되었고, 본 발명에서의 냉각팬(131), 쉐클(132) 및 삼각대(133)는 이미 설명된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블은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설명된 도 4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의 케이블 역시 종래의 케이블과 동일하게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판(240)에 마련된 케이블 연결단자(242)를 통하여 제어봉 구동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은 제어봉 구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과, 원자로 내에 설치된 위치지시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상기 도어(112) 및 상기 케이블 연결판(113)을 통하여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외부로 전달하는 케이블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지지유닛(150)은 케이블 지지링빔(151)과 케이블 지지와이어(15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케이블 지지유닛(15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7은 케이블 지지유닛(150)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케이블 지지링빔(15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슈라우드쉘(110)의 외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 지지와이어(152)는 그 양단이 상기 케이블 지지링빔(151)에 고 정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케이블 지지와이어(15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태로 배열되며, 아래위로 여러 층으로 배열된다. 케이블 지지와이어(152)의 일단부는 케이블 지지링빔(151)에 고정되고, 상부 슈라우드쉘(110), 상부 배플(120)을 차례로 관통한 상태에서 케이블을 지지하게 되며, 다시 상부 배플(120) 및 상부 슈라우드쉘(110)을 차례로 관통한 후 그 타단부가 케이블 지지링빔(151)에 고정되는 형태를 취한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하부모듈(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부모듈(200)은 하부 슈라우드쉘(210), 하부 배플(220), 제어봉 구동장치, 내진지지판(240), 내진지지대(252), 내진지지링빔(250), 메인 칼럼(26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부 슈라우드쉘(210)은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110)과 마찬가지로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쉘로서, 그 하단부에는 플렌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서 원자로 헤드(0)의 상부에 결합하게 된다. 한편, 하부 슈라우드쉘(210)에는 냉각 공기가 유입되는 창과 제어봉 구동장치와 원자로 헤드를 점검하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하부 문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부 슈라우드쉘(210)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대(211)와 난간(21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부 배플(220)은 상기 하부 슈라우드쉘(2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지지가 되며, 그 구조, 기능 및 하부 슈라우드쉘(210)과의 연결관계는 상기 상부 배 플(120)의 구조, 기능 및 상기 상부 배플(120)과 상부 슈라우드쉘(110) 사이의 연결관계와 거의 유사하고, 그 관계는 이미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는 상기 하부 배플(220)의 내부에 여러 개가 설치되어 있고, 도 8에는 하부 배플(220)에 가려진 상태라 도시되어 있지 않은데, 이미 도 1 내지 도 4와 관련된 종래 기술 분야에서 설명된 부분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판(240)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봉 구동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제어봉 구동장치의 상단부를 보호하는 캡(241)과 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한 케이블 연결단자(2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봉 구동장치의 운전중의 진동이나 지진발생시에 전달되는 하중 등을 수평적으로 상기 내진지지링빔(250)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내진지지링빔(250)은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판(240)에서 전달된 하중을 내진지지대(252)를 통하여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외부에 마련된 구조물인 격납고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내진지지링빔(250)에는 볼트공(251)이 여러 개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110)에 마련된 플렌지(111)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한 볼트에 의해 상부 슈라우드쉘(11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한다.
한편, 상부 배플(120)에도 플렌지가 마련되어 있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 배플(120)도 내진지지링빔(250)과 볼트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상부 슈라우드쉘(110)의 경우에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에 반해, 상부 배플(120)은 하중을 지지하지 않는 대신 단순히 공기통로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고, 상부 슈라우드쉘(1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진지지링빔(250)의 상부에 거치 되는 방식으로 내진지지링빔(250)과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내진지지링빔(250)의 높이는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판(240)과 동일하며, 역시 동일한 높이에 상기 작업대(211)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봉 구동장치와 관련된 여러 가지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판(240)이 노출된 상태가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판(240)의 높이와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판(240)의 높이가 동일하므로, 상기 내진지지링빔(250)과 상부모듈(100)의 상부 슈라우드쉘(110)과 상부 배플(120)이 결합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내진지지링빔(250)은 비교적 강성이 큰(rigid) 구조물이므로 내진지지링빔(250)에 부모듈(100)의 상부 슈라우드쉘(110)과 상부 배플(120)을 결합하는 것이 구조적으로도 매우 안정적인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메인 칼럼(260)은 원자로 헤드(0)와 직접 연결되어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을 관통한 후 삼각대(133)와 연결되는 구조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이 조립된 상태에서 원자로 상부집합체 전체를 인양할 때 원자로 상부집합체에 미치는 하중을 지탱하는 봉 형상의 구조물이다. 메인 칼럼(260)은 상부모듈(100)을 인양할 경우 원자로 헤드(0)에 고정된 채로 하부모듈(200)과 함께 남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이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제어봉 구동장치와 관련된 작업을 하기 위해 상부모듈(100)을 하부모듈(200)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을 서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부 슈라우드쉘(110)의 외부에 마련된 케이블 연결판(113)으로부터 케이블을 우선 분리하고, 작업자가 상부 슈라우드쉘(110)에 마련된 도어(112)를 통하여 상부 슈라우드쉘(110)의 내부로 들어간 후 케이블과 케이블 연결단자(242)와의 결합을 분리해야한다.
케이블과 케이블 연결단자(242)의 결합이 해제되면, 플래넘(130) 상부의 삼각대(133)와 메인 컬럼(260)의 연결을 해제한다.
삼각대(133)와 메인 컬럼(260)이 서로 분리되면, 상부 슈라우드쉘(110)의 내부에서 상부 배플(120)과 내진지지링빔(250)의 볼트결합을 해제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잉 상부 배플(120)의 플렌지가 단순히 내진지지링빔(250)에 거치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라면 볼트결합을 해제할 필요가 없다.
이후에는 작업대(211)에서 상부 슈라우드쉘(110)과 내진지지링빔(250) 사이의 볼트결합을 해제하며, 그 작업이 마무리되면,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의 결합이 모두 해제되어 서로 분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쉐클(132)에 크레인을 연결하여 상측 방향의 힘을 가하면 상부모듈(100)이 제거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가 된다. 이때 메인 칼럼(2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자로 헤드(0)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내진지지링 빔(250)에 비하여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남게 된다.
이 상태가 되면 제어봉 구동장치와 관련된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며 아주 편안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내진지지링빔이 하부모듈에 포함되고 상부모듈이 내진지지링빔에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구성을 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내진지지링빔이 상부모듈에 포함되고, 하부모듈과 내진지지링빔이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며, 그 경우에도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판을 노출함으로써 제어봉 구동장치와 관련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본 발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어긋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로 구체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일부를 일시에 제거 또는 설치할 수 있는 다수의 적층 모듈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분해 과정을 통하여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작업자가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내부에 위치한 제어봉 구동장치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최초 설치 과정에서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의 이동 및 취급이 용이한 장점을 아울러 가지고 있다.
또한, 모듈화된 집합체 형태의 원자로 상부집합체를 제공함으로써 공장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고, 현장 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구조물의 제작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7)

  1. 원자로 헤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자로 헤드와 제어봉 구동장치의 인양 및 삽입, 제어봉 구동장치의 냉각, 비산물의 차폐, 지진하중에 대한 지지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한 내진지지구조물을 포함하는 원자로 상부집합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구조물의 상측에 위치한 구성품의 조립체인 상부모듈과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구조물의 하측에 위치한 구성품의 조립체인 하부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은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모듈은,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상부 슈라우드쉘; 및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의 내부에 고정되어 지지가 되며,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상부 배플;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모듈은,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과 크레인과 연결되어 힘을 전달하기 위한 쉐클 및 그 쉐클에 연결된 삼각대 및 상기 냉각팬, 쉐클 및 삼각대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의 상부에 결합하는 플레넘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고, 원자로 내에 설치된 계측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에 고정되는 케이블 지지링빔과 상기 케이블 지지링빔에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와이어를 구비한 케이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듈은,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하부 슈라우드쉘;
    상기 하부 슈라우드쉘의 내부에 고정되어 지지가 되는 하부 배플;
    상기 하부 슈라우드쉘의 내부에 마련되며 원자로의 제어봉을 인양 또는 삽입하기 위한 여러 개의 제어봉 구동장치; 및
    상기 하부 슈라우드쉘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어봉 구동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외부구조물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지지판, 내진지지대 및 내진지지링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과 상기 상부 배플은 상기 내진지지링빔에 서로 분리가 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과 상기 상부 배플의 하단부에는 각각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과 상기 상부 배플에 마련된 각각의 플렌지는 상기 내진지지링빔에 볼트에 결합하고 있어서, 상기 볼트를 해체함으로써 상부모듈을 하부모듈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링빔은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의 외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 지지와이어는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과 상기 상부 배플을 관통한 후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슈라우드쉘과 상기 하부 슈라우드쉘은,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를 감싸는 상기 상부배플과, 상기 하부배플, 상기 플레넘, 상기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 지지유닛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KR1020070000290A 2007-01-02 2007-01-02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KR100844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290A KR100844439B1 (ko) 2007-01-02 2007-01-02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CN2007800491213A CN101573766B (zh) 2007-01-02 2007-12-31 模块化反应器顶盖区组件
PCT/KR2007/007022 WO2008082235A1 (en) 2007-01-02 2007-12-31 Modular reactor head area assembly
JP2009544787A JP2010515077A (ja) 2007-01-02 2007-12-31 モジュール型の原子炉上部集合体
PL07860799T PL2115749T3 (pl) 2007-01-02 2007-12-31 Modułowy zespół obszaru głowicy reaktora
US12/521,911 US8599989B2 (en) 2007-01-02 2007-12-31 Modular reactor head area assembly
EP07860799.1A EP2115749B1 (en) 2007-01-02 2007-12-31 Modular reactor head area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290A KR100844439B1 (ko) 2007-01-02 2007-01-02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439B1 true KR100844439B1 (ko) 2008-07-07

Family

ID=3958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290A KR100844439B1 (ko) 2007-01-02 2007-01-02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99989B2 (ko)
EP (1) EP2115749B1 (ko)
JP (1) JP2010515077A (ko)
KR (1) KR100844439B1 (ko)
CN (1) CN101573766B (ko)
PL (1) PL2115749T3 (ko)
WO (1) WO2008082235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824B1 (ko) 2010-02-11 2011-05-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링 플레이트
KR101037269B1 (ko) 2010-02-25 2011-05-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서포트 구조
KR101085734B1 (ko) 2010-02-11 2011-11-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장치
KR101085742B1 (ko) 2010-02-11 2011-11-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장치
KR101085647B1 (ko) * 2010-02-11 2011-11-2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원자로의 상부 구조물
KR101141945B1 (ko) 2010-02-25 2012-05-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서포트 구조
WO2013089407A1 (ko) * 2011-12-16 2013-06-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내진 강화 조립체
KR101551852B1 (ko) 2014-08-08 2015-09-08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장치
KR101564989B1 (ko) 2014-07-28 2015-11-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US9978468B2 (en) 2011-12-16 2018-05-22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Lifting shackle of head assembly for nuclear rea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3581B1 (fr) * 2009-12-08 2011-12-30 Jspm Support moteur d'un groupe motopompe primaire d'un reacteur nucleaire a eau pressurisee
JP5761909B2 (ja) * 2009-12-08 2015-08-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原子炉容器補修工法
US9324462B2 (en) * 2010-07-13 2016-04-26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Reactor head seismic support tie rod system
JP5881450B2 (ja) * 2012-02-09 2016-03-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輸送容器及びその解体方法
CN103871499B (zh) * 2012-12-13 2016-08-10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适用于一体化堆顶的crdm冷却围板及风管组件
JP6087660B2 (ja) * 2013-02-22 2017-03-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原子炉容器蓋構造物
KR101512153B1 (ko) * 2013-07-02 2015-04-14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제어봉 구동장치 냉각용 덕트 어셈블리
US10395782B2 (en) 2015-03-18 2019-08-27 Nuscale Power, Llc Reactor module support structure
CN107134300B (zh) * 2017-05-03 2019-04-30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用于压水堆压力容器顶盖组件的起吊装置
KR102021452B1 (ko) * 2017-08-03 2019-09-16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핵연료 취급을 위한 모듈형 하부 이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핵연료 교체방법
CN112128528B (zh) * 2020-08-10 2021-12-17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一种容器设备的横向支撑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957A (ko) * 1999-05-27 2000-12-15 이종훈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
US6618460B2 (en) 2001-08-02 2003-09-09 Advent Engineering Services, Inc. Integrated head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US20050084057A1 (en) * 2003-09-24 2005-04-21 Harkness Alexander W. Head assembly
KR20070011172A (ko) * 2005-07-19 2007-01-24 애드벤트 엔지니어링 서비시즈 인코퍼레이티드 모듈식 일체형 헤드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9483A (en) * 1975-12-05 1977-11-22 Combustion Engineering, Inc. Nuclear fuel assembly seismic amplitude limiter
IL65686A (en) * 1981-06-03 1985-07-31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tegrated head package for a standard-type nuclear reactor
US4678623A (en) * 1984-02-03 1987-07-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dular head assembly and method of retrofitting existing nuclear reactor facilities
US4828789A (en) * 1984-02-03 1989-05-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actor vessel head permanent shield
US4752436A (en) * 1985-12-12 1988-06-2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Nuclear component horizontal seismic restraint
US4830814A (en) * 1987-06-29 1989-05-16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tegrated head package for a nuclear reactor
JPH0294104A (ja) 1988-09-30 1990-04-04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装置
FR2701765B1 (fr) * 1993-02-17 1995-05-24 Framatome Sa Elément de paroi modulaire d'une enceinte de recouvrement d'un récipient et en particulier du couvercle de cuve d'un réacteur nucléaire.
JP2978732B2 (ja) * 1994-12-12 1999-11-15 核燃料サイクル開発機構 原子炉機器の共通床方式上下免震構造
US5742652A (en) * 1996-07-16 1998-04-2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Head assembly
US5930321A (en) * 1996-07-16 1999-07-27 Cbs Corporation Head assembly
US5774513A (en) * 1997-01-14 1998-06-30 Combustion Engineering, Inc. Head area cable tray bridge
US6639960B2 (en) * 2000-10-06 2003-10-28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Method of retrofitting a reactor pressure vessel head assembly
US20040101084A1 (en) 2001-08-02 2004-05-27 Advent Engineering Services, Inc. Integrated head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957A (ko) * 1999-05-27 2000-12-15 이종훈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
US6618460B2 (en) 2001-08-02 2003-09-09 Advent Engineering Services, Inc. Integrated head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US20050084057A1 (en) * 2003-09-24 2005-04-21 Harkness Alexander W. Head assembly
KR20070011172A (ko) * 2005-07-19 2007-01-24 애드벤트 엔지니어링 서비시즈 인코퍼레이티드 모듈식 일체형 헤드 어셈블리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824B1 (ko) 2010-02-11 2011-05-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링 플레이트
KR101085734B1 (ko) 2010-02-11 2011-11-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장치
KR101085742B1 (ko) 2010-02-11 2011-11-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장치
KR101085647B1 (ko) * 2010-02-11 2011-11-2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원자로의 상부 구조물
KR101037269B1 (ko) 2010-02-25 2011-05-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서포트 구조
KR101141945B1 (ko) 2010-02-25 2012-05-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서포트 구조
WO2013089407A1 (ko) * 2011-12-16 2013-06-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내진 강화 조립체
CN104011801A (zh) * 2011-12-16 2014-08-27 斗山重工业株式会社 抗震强化组装体
KR101438108B1 (ko) * 2011-12-16 2014-09-1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내진 강화 조립체
US9601220B2 (en) 2011-12-16 2017-03-21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assembly
US9978468B2 (en) 2011-12-16 2018-05-22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Lifting shackle of head assembly for nuclear reactor
KR101564989B1 (ko) 2014-07-28 2015-11-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내진 강화 부재의 제어 장치
KR101551852B1 (ko) 2014-08-08 2015-09-08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제어봉 구동장치용 내진장치
US9847146B2 (en) 2014-08-08 2017-12-19 Kepc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mpany, Inc. Anti-seismic apparatus for control element drive mechanis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73766A (zh) 2009-11-04
WO2008082235A1 (en) 2008-07-10
US8599989B2 (en) 2013-12-03
EP2115749A4 (en) 2012-08-15
PL2115749T3 (pl) 2014-05-30
JP2010515077A (ja) 2010-05-06
EP2115749B1 (en) 2013-12-04
US20100098205A1 (en) 2010-04-22
CN101573766B (zh) 2012-07-04
EP2115749A1 (en)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439B1 (ko) 모듈형 원자로 상부집합체
KR100923047B1 (ko) 모듈식 일체형 헤드 어셈블리
US7139359B2 (en) Integrated head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KR890002381B1 (ko) 일체화된 원자로 헤드조립체
US5715288A (en) Integral head rig, head area cable tray and missile shield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EP0154113A2 (en) Modular head assembly for a pressure vessel of a nuclear reactor
US6546066B2 (en) Integrated head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US4828789A (en) Reactor vessel head permanent shield
US7158605B2 (en) Head assembly
US9748005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inspect nuclear reactor components in the core annulus, core spray and feedwater sparger regions in a nuclear reactor
KR100357828B1 (ko)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
US10636531B2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installing control rod drive mechanism and cable sealing unit in nuclear reactor pressure vessel
US20030026377A1 (en) Integrated head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CN1236175A (zh) 用于核反应堆的具有抛物防护效果的整体封头组件
JP6513055B2 (ja) フィルタ付ベント装置及びその装置周囲への保温材の配置方法
KR101032824B1 (ko)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링 플레이트
JP2003262697A (ja) 原子炉格納容器内の作業区域遮へい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原子炉内構造物の補修方法
JPH0159555B2 (ko)
JPS63284493A (ja) 原子炉圧力容器支持架台
JPS6311893A (ja) 原子炉の炉内上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2